KR101421607B1 -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 Google Patents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607B1
KR101421607B1 KR1020120067467A KR20120067467A KR101421607B1 KR 101421607 B1 KR101421607 B1 KR 101421607B1 KR 1020120067467 A KR1020120067467 A KR 1020120067467A KR 20120067467 A KR20120067467 A KR 20120067467A KR 101421607 B1 KR101421607 B1 KR 10142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ooring
panel
present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0467A (en
Inventor
김민영
최창휴
장병각
임승환
권용진
주용덕
정하영
이경철
김일민
이동윤
이주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삼박엘에프티 (주)
지피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삼박엘에프티 (주), 지피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07B1/en
Publication of KR2014000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 및 방음 특성을 가지면서 경량을 나타내며 시공이 편리하고 고강도를 나타내는 건축물의 실내용 경량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 바닥재의 재질이 특정 밀도 범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충격흡수 및 방음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건물 내 고정 하중의 부담을 경감할 뿐 아니라, 이중 바닥재의 상부 패널과 지지대를 블록 끼움 방식으로 형성하여 이동 및 시공이 편리한 이중 바닥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lightweight flooring material having a shock absorbing and soundproofing property and being lightweight and having a convenient construction and high strength.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double bottomed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a polypropylene foam having a specific density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uble flooring which is easy to move and construct by forming the upper panel and the supporting block of the double flooring in a block-fitting manner, as well as reducing the burden of the fixed load in the building.

Description

건축물 실내용 경량 이중 바닥재{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access floor

본 발명은 경량화가 가능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신뢰성이 높고 고강도를 갖는 이중바닥재용 경량 패널 및 그 관련 부품을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panel for a double flooring having a light weight, a convenient construction, a high reliability, and a double flooring using the related parts.

일반적으로 이중바닥재는 목질계,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스틸계, 알루미늄계 등의 패널과 철재 지지대(프레임)로 구성된다.Generally, the double flooring is composed of wood, inorganic, synthetic resin, steel, aluminum, etc. panels and steel support (frame).

이중에서 무기질계와 이중 스틸계가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으며, 두 재질의 경우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중량이 크기 때문에 건물 전체에 많은 하중이 미치게 된다.In both, inorganic and dual steel systems are commonly used, and both materials can maintain sufficient strength, but the weight is so large that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entire building.

예를 들어, 경량화를 위해 한국특허공개 제2006-0067803호에서는 경량골재, 보강섬유, 시멘트, 폴리카본산계 유동화제 등을 포함한 복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단일층 구조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용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고강도를 나타내더라도 시멘트를 포함하여 중량이 커지므로 건물에 하중을 많은 부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패널재 재료에 많은 첨가제 성분을 포함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67803 discloses a dual flooring panel comprising a single layer structure formed using a composite composition including lightweight aggregate, reinforcing fiber, cement, polycarbonate-based fluidizing agent, etc. . However, even if the above method shows high strength, since the weight including cement is increased, the problem of imposing a large load on the building can not be solved. Further, since the panel material must contain many additive compone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osition is complicated.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10-0020088호에서는 실내 바닥 표면이 되는 상판과 이를 받쳐주는 하판이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이중 바닥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도 경량재 패널을 제공할 수 있더라도, 알루미늄계 사용시에는 고가의 알루미늄으로 인한 건축비 상승이 초래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020088 discloses a double flooring comprising a top plate serving as an indoor floor surface and a bottom plate supporting the floor plate made of aluminum. However, even if the above method can provide a lightweight panel,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expensive aluminum is caused when the aluminum system is used.

또한, 이중 바닥재 구성에서 패널을 지지하는 철제 프레임도 중량이 크고 관련 부속품들이 많아 시공에 어려움이 많으며 많은 시간을 요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the steel frame supporting the panel in the double flooring structure is also heavy and has a lot of related accessori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truct and requires a lot of time.

상술한 종래의 이중바닥재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및 지지대에 폴리프로필렌 비드 발포체를 사용하여 경량화를 실현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double floo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 flooring material which realizes weight reduction by using a polypropylene bead foam on a panel and a suppo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형식으로 지지대가 패널에 끼워지도록 설계하고, 지지대 부분에 높이 조절용 나사를 사용하여 경량이면서 시공이 편리하고 고강도의 신뢰성이 높은 이중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flooring which is lightweight and easy to install, and has high strength and high reliability by designing the support frame to be inserted into the panel in a block form and using a height adjusting screw in the support por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하단부에 다수의 홀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내 바닥 표면이 되는 상부 패널과; 및An upp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t a lower end thereof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to serve as an indoor floor surface; And

상기 상부 패널을 받쳐주는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한 건축물 실내용 경량 이중 바닥재이며,And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upper panel.

상기 상부 패널 또는 상부패널과 지지대의 재질이 밀도가 0.03~0.45g/㎤인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이중 바닥재를 제공한다.Wherein the upper panel or the upper panel and the support are made of a polypropylene foam having a density of 0.03 to 0.45 g / cm3.

상기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50만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의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The polypropylene foam may be formed from polypropylene or a copolymer thereof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500,000.

상기 지지대는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나사로 연결 가능한 구조, 상단과 하단 구분 없이 단일체로 구성된 구조, 또는 이들을 서로 조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may be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ends and can be connected by screws, a structure composed of a single body without the upper and lower ends, or a structure combining them.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부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블록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요철을 포함하는 상단부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 투입구를 포함하는 하단부로 이루어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ay include a top portion includ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can be assembled in a block-fitting manner i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and a lower portion including a screw input por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또한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상기 요철은 하나의 지지대에 대하여 4개를 포함하고, 높이가 10 내지 30mm이고 폭이 15 내지 30mm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에서 요철의 형태는 원형, 마름모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나타낼 수 있다.Also,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provided on the support may include four pieces for one support, and may have a height of 10 to 30 mm and a width of 15 to 30 mm. The shape of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in the support may be circular, rhombic, rectangular or square.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ay include a screw inle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an be connected by screws.

상기 나사 투입구는 30 내지 100mm 의 깊이와 10 내지 30mm 의 폭을 가지며 지지대의 중앙부에 나사 돌기를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screw inlet may have a depth of 30 to 100 mm, a width of 10 to 30 mm, and a screw protrus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대는 패널 아랫쪽 공간 확보를 위해 상단부부다 하단부의 지름이 더 작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의 지름은 100 내지 200mm 이고, 하단부의 지름은 50 내지 150mm 일 수 있다.
In order to secure a space below the panel, the support base preferably has a smaller diameter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portion.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ay have a diameter of 100 to 200 mm and the lower end may have a diameter of 50 to 150 mm.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널과 그 지지대의 재질로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를 사용하여 경량 고강도 이중바닥재를 제조함으로써 건물 내 고정하중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바닥재 패널과 지지대에 블록 끼움 방식을 도입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하며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발포제품의 특성상 충격흡수 및 복원력이 뛰어나며 단열성능 및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urden of a fixed load in a building by manufacturing a lightweight, high-strength double flooring using a polypropylene foam as a material of a panel and its support.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block-fitting method in a double flooring panel and a supporting frame, so that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it is easy to check and repair.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double flooring excellent in shock absorbing and restoring for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product, and excellent in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and the floor impact sound blocking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상부 패널의 단면도를 간략히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하부를 이루는 지지대의 상하 부분의 단면도를 간략히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지지대의 평면도 (아래 부분)와 사시도(위 부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panel of a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respectively a plan view (lower part) and a perspective view (upper part) of the support of the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경량 이중 바닥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ightweight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빌딩이나 오피스, 첨단설비 보유빌딩 등에서 사용하는 하부에 전력 및 전산 통신용 배선 또는 공기조화설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에 용이한 기능을 가진 이중 바닥재(access flo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바닥재의 재질로서 특정 밀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한 이중바닥재용 경량 패널 및 그 관련 부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floor having a function that is easy to accommodate equipment such as a wiring for electric power a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or an air conditioner in a lower part used in a building, an office, Relates to a lightweight panel for a dual flooring which can be made lightweight by being manufactured using a polypropylene foam having a specific density as a material of the double flooring, and a related part thereof.

즉, 본 발명은 경량화를 유도하기 위해 패널 및 지지대에 폴리프로필렌 비드 발포체를 사용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flooring using a polypropylene bead foam on a panel and a support to induce weigh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블록형식으로 지지대가 패널에 끼워지도록 설계하고, 높낮이 조절을 위해 지지대 부분에 나사를 사용하여 경량이면서 시공이 편리하고 고강도의 신뢰성이 높은 이중바닥재용 패널 및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uch that a support block is fitted to a panel in block form for ease of construction, and a panel and a support for lightweight but high- .

본 발명의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단부에 다수의 홀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내 바닥 표면이 되는 상부 패널과; 및 상기 상부 패널을 받쳐주는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한 건축물 실내용 경량 이중 바닥재이며, 상기 상부 패널 또는 상부패널과 지지대의 재질이 밀도가 0.03~0.45g/㎤인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upp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upper panel, wherein the material of the upper panel or the upper panel and the support is made of a polypropylene foam having a density of 0.03 to 0.45 g /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이중 바닥재 제조시 상부 패널 또는 상부패널과 지지대의 재질을 모두 상술한 특정 밀도 범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비드 발포체를 이용함으로써, 경량화는 물론 충격 흡수 및 방음성이 좋은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lyolefin-based bead foam having a specific density range as described above is used for both the upper panel or the upper panel and the support in manufacturing the double flooring, thereby providing a lightweight double flooring having good impact absorption and soundproofing .

이러한 본 발명의 이중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비드 발포체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비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e doubl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olefin bead foam is preferably a polypropylene foam (EPP) and may have a bead shape.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패널만 특정 밀도를 갖는 EPP를 사용할 경우 지지대의 재질은 상부 패널과 동일한 소재인 발포 PP적용이 구현될 수 있으나, 시공자의 선호에 따라 스틸 소재 등의 시판 소재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 패널의 두께는 30 내지 80mm 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PP having a specific density only for the upper panel is used, the supporting member may be formed of foam PP,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panel. However,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s such as steel material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onstructor. The thickness of the upper panel may be 30 to 80 mm.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50만 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의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발포체에서 밀도가 0.03 g/㎤ 미만이면 이중바닥재의 강도 및 보행감 등에 문제가 있고 밀도가 0.45g/㎤를 초과하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없다. The polyolefin-based foam may be formed from a polyprop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500,000 or a copolymer thereof. If the density of the polypropylene foam is less than 0.03 g / cm 3, there is a problem such as strength and gait feeling of the double bottom material. If the density exceeds 0.45 g / cm 3, the weight can not be realized.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EPP는 폴리프로필렌 비드 발포체로서 충격 흡수성 및 복원성이 좋으며 내구성 및 내화학성, 내유성, 내수성이 좋은 무독성 소재이다. 또한 상기 EPP는 발포 폴리스티렌(Expended polystyrene, 이하 EPS)에 비해 반복 완충성도 우수하고 유독 가스 발생이 없으며, 환경 호르몬을 배출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EPP는 내한성 및 내열성도 좋아 -40℃ ~ 130℃까지 넓은 온도 범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EP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propylene bead foam which is excellent in impact absorbability and resilience and is a non-toxic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oil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Also, the EPP has excellent repetitive buffering properties, no toxic gas generation, and does not release environmental hormones as compared with expanded polystyrene (EPS). Furthermore, the EPP has good cold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can be used in a wide temperature range from -40 ° C to 130 ° C.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EPP를 이용하여 이중 바닥재를 구성함으로써, 고강도 경량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바, 기존 건물 내 고정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double flooring using EPP,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trength lightweight panel,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the fixed load in the existing build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중 바닥재 형성시 상부 패널의 하단부에 지지대의 블록 끼움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건축물에서의 설치 시공이 간단하고 이동도 간편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부 패널의 홀에 끼우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요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요철은 하나의 지지대 중 4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so that the support block can be inserted into the block at the time of forming the double flooring, there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irregularities for fitting into the holes of the upper panel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Most preferably, the irregularities include four of one support.

또한, 높낮이 조절을 위해 본 발명은 지지대 부분에 높이 조절용 나사를 사용하여 경량이면서 시공이 편리하고 고강도의 신뢰성이 높은 이중바닥재용 패널 및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anel and a support for a dual flooring which is lightweight and easy to install, high strength, and high in reliability, by using a height adjusting screw in a support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 되고 부분별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해 활용도가 다양하다. 또한 EPP로 이루어진 이중 바닥재는 EPS를 패널로 사용시 발생되던 표면 마찰 소음이 적으며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진동 및 소음 없는 쾌적한 분위기의 공간 연출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and installe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and facilitat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for each part. In addition, the double flooring made of EPP has a low surface friction noise generated when EPS is used as a panel, and is excellent in the floor impact sound isolation performance, so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mfortable atmosphere without vibration and noise.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이중 바닥재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바닥 표면이 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홀을 갖는 상부 패널과 이를 지지하고 상기 다수의 홀에 블록 끼움을 할 수 있는 요철을 구비한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panel having an upp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o provide a double flooring.

이때, 본 발명의 이중 바닥재의 상부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상부 패널의 단면도를 간략히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panel of the doubl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panel of a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바닥재의 상부 패널(10)의 구조는 바닥재 상부 패널의 상단부(11), 바닥재 상부 패널의 하단부(12), 및 바닥재 상부 패널의 하단부의 다수의 홀(13)을 포함한다.1, the structure of the upper panel 10 of the double flooring includes an upper end 11 of the flooring upper panel, a lower end 12 of the flooring upper panel, and a plurality of holes 13 at the lower end of the flooring upper panel do.

도 1에 도시된 바대로, 이중 바닥재의 상부 패널의 상단부는 일정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크기는 건축물의 실내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중 바닥재의 상단부의 종횡비는 1 내지 1.5 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upper end of the upper panel of the double flooring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ize thereof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Preferably, the aspect ratio of the upper end of the raised flooring may be between 1 and 1.5.

패널 아래 부분은 지지대 블록 끼움이 가능하도록 홀(13)이 수십개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지지대 끼움이 가능하다. 그리고, 소음 절감을 위하여 패널 가장자리 부분은 패널들끼리의 접촉이 최소화 되는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panel, there are dozens of holes 13 so that the support block can be inserted.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the edge of the panel can be subjected to a finish treatment in which the contact between the panels is minimized.

즉 상기 상부 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의 개수는 후술하는 이중 바닥재의 하부에 있는 지지대의 요철의 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패널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서, 각 홀간의 간격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30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깊이는 후술하는 지지대의 높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요철을 패널에 형성된 홀에 블록 끼움할 수 있도록, 요철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cave / In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the distance between the ho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 to 30 mm. Further, the depth of the hole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a support stand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ize of the hole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cave and convex so that the concave and the convex formed on the support can be block-fit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panel.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하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lower structure of the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바닥재의 하부 구성에는 지지대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나사로 연결 가능한 구조, 상단과 하단 구분 없이 단일체로 구성된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구조를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대는 상부 패널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블록 끼움 방식으로 끼워 이중바닥재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tructure of the double flooring includes a support, which can be divided into a top and a bottom and can be connected with a screw, a structure composed of a single body without separating the top and bottom, It is also possible. The support base may be formed by block-fitt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to form the double flooring.

이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하부를 이루는 지지대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이 분리되는 형태로서 상하 부분의 단면도를 간략히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upper and lower ends of a support member forming a lower part of the doubl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에 있어서, 하부는 지지대(2)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는 상단부(20)와 하단부(21)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의 지지대는 상단과 하단이 분리되어 나사로 연결 가능하고, 하단 부분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다.2, in the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part shows the support 2. The support base is composed of two parts, an upper end part (20) and a lower end part (21).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se of Fig. 2 is structur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by screws,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the lower end portion.

상기 지지대는 상부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블록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요철을 포함하는 상단부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 투입구를 포함하는 하단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나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includ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in a block-fitting manner, and a lower end portion including a screw inlet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ls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ay include a screw inle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an be connected by screws.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21)의 상부에는 요철(24)을 포함하고, 상단부의 하부에 높이 조절용 나사 투입구(23)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21 of the support may include concave and convex parts 24, and a height adjusting screw insertion opening 23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상기 상단부(21)는 상부 패널(10)과의 끼움을 위해 하나의 지지대에 대하여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 4개의 요철(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부(22)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나사 역할이 가능한 부분이다. 이 두 부분은 각각 나사 투입구(23)가 있어 높낮이 조절용 나사를 삽입할 수 있으며 그 나사를 통해 연결된다.The upper end portion 21 may be formed with at least two, preferably four,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3 for one support for fitting with the upper panel 10. Further, the lower end portion 22 is a portion that can serve as a screw for adjusting the height. Each of these two parts has a screw insertion opening (23) for inserting a height adjusting screw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screw.

즉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22)는 높이 조절용 나사 투입구(23)가 형성되어 나사(25)를 통해 상기 상단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나사투입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지지대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대의 구성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는 건축물 실내의 바닥면의 높이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end portion 22 of the support base is formed with a height adjusting screw insertion opening 23, and can be coupled with a screw insertion opening formed on the lower 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through the screw 25. With this structure,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an be combined to complete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Further, the screw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loor of the building.

또한 지지대(20)는 패널 아래쪽 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단부(21)보다 하단부(22)의 지름이 더 작은 형태를 갖는다.Further, the support base 20 has a smaller diameter of the lower end portion 22 than the upper end portion 21 for securing a space under the panel.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요철(23)은, 높이가 10 내지 30mm 이고 폭이 15 내지 30mm 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에서 요철의 형태는 원형, 마름모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나타낼 수 있다.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3 provided on the support may have a height of 10 to 30 mm and a width of 15 to 30 mm. The shape of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in the support may be circular, rhombic, rectangular or square.

상기 나사 투입구는 30 내지 100mm 의 깊이와 10 내지 30mm 의 폭을 가지며 지지대의 중앙부에 나사 돌기를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screw inlet may have a depth of 30 to 100 mm, a width of 10 to 30 mm, and a screw protrus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상기 지지대는 패널 아랫쪽 공간 확보를 위해 상단부부다 하단부의 지름이 더 작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의 지름은 100 내지 200mm 이고, 하단부의 지름은 50 내지 150mm 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ay be 100 to 200 mm,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may be 50 to 150 mm.

또한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의 지지대의 평면도(아래 부분)와 사시도(위 부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3b에서, 지지대의 요철 부분은 50~100mm가 될 수 있다.3A and 3B are a plan view (lower part) and a perspective view (upper part), respectively, of the support of the double floo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the uneven portion of the support may be 50 to 100 mm.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지지대(30)는 일체형 지지대로서, 상단과 하단의 구분 없이 단일체로 구성되어 요철(31) 형태를 구비될 수 있으며, 이것은 패널에 단독 적용되거나 또는 상술한 도 2의 지지대와 혼합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도 3의 지지대에는 하단에도 홀(32)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30 shown in FIG. 3 is an integral support,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2 supports are possible. At this time, a hole 3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base of Fig.

예를 들어, 도 3의 지지대를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도 2의 지지대를 하단에 위치시키면, 지지대가 높게 형성되므로 더 넓은 패널 하단 공간이 생기게 되어 이점이 있다.For example, if the support of FIG. 3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and the support of FIG. 2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the support is formed to be higher, which results in a wider panel bottom space.

한편, 상기 이중 바닥재의 패널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상부 패널의 하단부의 홀의 수와 지지대의 요철의 구성에 따라 다른 형태로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nel structure of the double flooring is mere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Therefore, the above structure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holes i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panel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unevenness of the support.

이와 같이, 기존 이중 바닥재가 패널부분과 지지대 부분 등 많은 부품으로 따로 나뉘어 시공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이중 바닥재(EPP Access floor)는 경량 일뿐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패널부분의 홀(13)과 도 2의 지지대 요철(24) 또는 도 3의 지지대의 요철(31)의 블록 끼움 방식을 채택하여 시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의 상부패널의 홀에 도 2의 지지대의 요철을 블록끼움 방식으로 조립하여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므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재 철거 후 패널과 지지대 부분이 한가지 소재로 되어 있으므로 폐기물 처리도 편리하여 친환경적이다.The EPP access floor made of the polypropyle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lightweight but also has the same construction as the panel part shown in FIG. 1,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by adopting the block-inserting method of the hole 13 of the support base and the support base unevenness 24 of FIG. 2 or the unevenness 31 of the support base of FIG.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nevenness of the support of FIG. 2 is assembled in a block-fitting manner in the hole of the upper panel of FIG. 1 to provide a double flooring, which is very simple to install. In addition, since the panel and the support part are made of one material after the flooring material is demolished, the present invention is eco-friendly because it is easy to treat waste.

또한 기존 이중 바닥재는 바닥 시공 마감 전, 바닥 충격음 차단, 억제 등의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바닥시공 마감 후의 내부 바닥 마감 전에 사용하는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사무실 등의 전기 배선이나 공조 시스템 등을 바닥 아래에 삽입하기 위한 이중바닥재를 의미한다.In addition, existing double flooring may be used before closing the floor construction, blocking floor impact sound, and suppress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flooring material for use before an interior floor finish after a floor construction finish, and refers to a double flooring material for inserting an electric wiring 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r the like of an office or the like under the floo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대의 형태가 다르면 지지대를 두개 이상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EPP 단독 구조로 위에 마감재를 바로 설치함으로써 기존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품 위에 바로 마감재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어서, 시공성과 보행감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일부 금속 부분을 제외하고 동일한 소재 사용으로(PP) 재사용성 및 재활용성이 높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hape of the support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support so that two or more supports can be us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finish material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a product, and both a workability and a walking feeling can be satisfi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same material (PP) except for a part of metal part is high in reusability and recyclabil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 바닥재의 상부 패널
11: 바닥재 상부 패널의 상단부
12: 바닥재 상부 패널의 하단부
13: 바닥재 상부 패널의 하단부의 홀(hole)
20: 지지대
21: 지지대의 상단부
22: 지지대의 하단부
23: 높이 조절용 나사 투입구
24: 지지대의 요철
25: 나사
30: 일체형 지지대
31: 지지대의 요철
32: 지지대 하단의 홀(hole)
10: Top panel of flooring
11: upper part of the flooring upper panel
12: Lower part of the flooring upper panel
13: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flooring upper panel
20: Support
21: upper end of the support
22: Lower end of the support
23: Height adjusting screw inlet
24: Unevenness of Support
25: Screw
30: Integrated support
31: unevenness of the support
32: hole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Claims (9)

하단부에 다수의 홀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실내 바닥 표면이 되는 상부 패널과; 및
상기 상부 패널을 받쳐주는 다수의 지지대;를 구비한 건축물 실내용 경량 이중 바닥재이며,
상기 상부 패널 또는 상부패널과 지지대의 재질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50만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의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되며, 밀도가 0.03~0.45g/㎤인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재.
An upp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t a lower end thereof an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to serve as an indoor floor surface;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upper panel.
The material of the upper panel or the upper panel and the support may be,
And a polypropylene foam having a density of 0.03 to 0.45 g / cm < 3 > formed from polypropylene or a copolymer thereof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500,0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나사로 연결 가능한 구조,
상단과 하단 구분 없이 단일체로 구성된 구조, 또는
이들을 서로 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중 바닥재.
2. The apparatus of claim 1,
A structure which can be connected by screws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single body without upper and lower boundaries, or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서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되어 나사로 연결 가능한 구조는
상부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블록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요철을 포함하는 상단부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 투입구를 포함하는 하단부로 이루어진 구조
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The method of claim 3,
The structur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y upper and lower ends and is connectable by screws,
An upper portion including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hat can be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in a block-
A structure comprising a lower end portion including a screw inle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Wherein the flooring is a double floor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하나의 지지대에 대하여 4개를 포함하고,
높이가 10 내지 30mm 이고 폭이 15 내지 30mm 인 이중 바닥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include four for one support,
A double flooring having a height of 10 to 30 mm and a width of 15 to 30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 투입구를 더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urther comprises a screw inle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나사를 통해 연결되는 이중 바닥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base are connected through a scre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투입구는 30 내지 100mm 의 깊이와 10 내지 30mm 의 폭을 가지며 지지대의 중앙부에 나사 돌기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이중 바닥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crew inlet has a depth of 30 to 100 mm and a width of 10 to 30 mm and is provided with a screw proj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의 지름은 100 내지 200mm 이고, 하단부의 지름은 50 내지 150mm 인 이중 바닥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100 to 200 mm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is 50 to 150 mm.
KR1020120067467A 2012-06-22 2012-06-22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KR101421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67A KR101421607B1 (en) 2012-06-22 2012-06-22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67A KR101421607B1 (en) 2012-06-22 2012-06-22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67A KR20140000467A (en) 2014-01-03
KR101421607B1 true KR101421607B1 (en) 2014-07-23

Family

ID=5013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67A KR101421607B1 (en) 2012-06-22 2012-06-22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6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315A (en) * 2005-06-02 2006-12-14 Sekisui Chem Co Ltd Floor panel and floor supporting structure
KR100734611B1 (en) * 2006-10-04 2007-07-02 정옥수 Foaming floor construct device
KR100810502B1 (en) * 2004-12-28 2008-03-07 정한석 A floo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process for impact-noise red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02B1 (en) * 2004-12-28 2008-03-07 정한석 A floo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process for impact-noise reduction
JP2006336315A (en) * 2005-06-02 2006-12-14 Sekisui Chem Co Ltd Floor panel and floor supporting structure
KR100734611B1 (en) * 2006-10-04 2007-07-02 정옥수 Foaming floor construc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67A (en)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en)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stories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same on the floor of building
KR101566776B1 (en) Floor pannel for shutting noise between stairs of apartment house
KR101712986B1 (en) Floor pannel for shutting noise between stairs of apartment house
KR102370085B1 (en) Spacer and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thereof
KR20180070938A (en) sound absorption panel for building
KR100624357B1 (en) A building material of floating floor structure having sound-proofing function in multihousing
KR100763434B1 (en) Floor material of building for noise insulation and interruption
KR101477783B1 (en) Floating floor type vibroisolating sheet for using the complex material
KR101699724B1 (en) Buffer Flooring Material Building Slab
KR200402807Y1 (en) A Preventive Material For The Floor Impact Sound
KR102258997B1 (en) Module type dry ondol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21607B1 (en) Light weight Access floor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structure
KR100606943B1 (en) Layer for sound arresting prevention re
KR101855586B1 (en)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of bulding
KR200365686Y1 (en) Layer for sound arresting prevention re
KR101428760B1 (en) Material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20150111176A (e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KR200453109Y1 (en) crashing sound preventing structure of building
JP3159295U (en) Anti-vibration material, anti-vibration floor structure using the anti-vibration material
KR100495041B1 (en) A building material having dust prevention, sound-proofing and adiabatic function, a floor structure provided the same
KR20060026780A (en) Soundproofing material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and floor forming method for inter layer noise proofing of a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20070088233A (en) Insulation materials for reducing a noise and a impact sound
KR20090089722A (en) Watertight structure of shock-absorbing layer for building bottom
WO2006009396A1 (en) Stiffness reinforced floor panel for a raised floor system
KR20080059833A (en) A soundproofing plate for 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