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01B1 -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01B1
KR101421201B1 KR1020130044987A KR20130044987A KR101421201B1 KR 101421201 B1 KR101421201 B1 KR 101421201B1 KR 1020130044987 A KR1020130044987 A KR 1020130044987A KR 20130044987 A KR20130044987 A KR 20130044987A KR 101421201 B1 KR101421201 B1 KR 10142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ata
audio channel
audio
uncompresse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민
임재용
최태영
김동준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3004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01B1/ko
Priority to PCT/KR2014/003466 priority patent/WO2014175617A1/ko
Priority to US14/786,468 priority patent/US96795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2335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e.g. by converting from one coding standar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8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uncompress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는,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오디오 패킷 수신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 및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채널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SCALABLE DIGITAL AUDIO USING UNCOMPRESSED AUDIO CHANNEL DATA AND COMPRESSED AUDIO CHANNEL DATA}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채널 디지털 오디오를 효율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패킷으로 패키징할 수 있는 스케일러블(scalable)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품질의 영상과 사운드로 영화 등을 즐기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보다 다이나믹하고 보다 실감나는 사운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션이나 대형 디스플레이 등의 비디오 장치뿐만 아니라, 고채널 스피커 시스템 등의 구매에 비용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오디오 포맷은 대표적으로 5.1채널 음향(5.1 channel audio) 및 7.1 채널 음향(7.1 channel audio)이 있다.
5.1채널 음향은 청취자를 중심으로 전방의 왼쪽, 중간, 오른쪽과 후방의 왼쪽, 오른쪽 등에 5개의 스피커와 저음을 보강하기 위한 서브우퍼(0.1)가 별도로 구성된 방식이다. 전방 좌우와 후방 좌우 스피커는 고정된 청취자의 입체 음향 효과 역할을 하고, 전방의 중앙 스피커는 이동하는 청취자에게도 화면 연기자의 대화를 전방 화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5.1채널 사운드 방식은 대표적으로 AC-3 포맷으로 알려진 돌비 디지털 5.1과 디지털 극장 시스템(DTS) 등이 있다.
7.1채널 음향은 7개의 방향성 스피커와 1개의 서브우퍼로 구성된 서라운드 음향 청취 방식이다. 7.1채널 음향은 5개의 방향성 스피커와 1개의 서브우퍼로 구성된 기존의 5.1채널에 양쪽 사이드에 2개의 스피커를 추가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킨 방식이다.
도 1은 대표적인 5.1채널 및 7.1채널 사운드의 사운드필드(soundfield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5.1채널 사운드(110)의 경우 전방에 3개 채널(L, C, R), 서라운드 2개 채널(Ls, Rs) 및 서브우퍼(LFE)가 구비되고, 5.1채널-EX 사운드(120)의 경우, 일반적인 5.1채널 사운드(110)에 센터 서라운드 채널(Cs)이 부가된 것이고, 7.1채널-DS 사운드(130)는 5.1채널-EX 사운드(120)에서 센터 서라운드 채널이 두 개로 분리(Lrs, Rrs)된 것이고, 7.1채널-SDDS 사운드(140)는 일반적인 5.1채널 사운드(110)에서 전방 3개 채널 사이에 두 개 채널들(Lc, Rc)이 추가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5.1채널 및 7.1채널 사운드 이외에도 보다 실감나는 고품질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566호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뒤에 복수개의 소형 스피커들이 배열되어 있는 고채널 스피커 시스템이 소개되었다.
도 2는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566호에 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 및 그 뒤에 배치되는 고채널 어레이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2차원 어레이 스피커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객체와 연동하여 사운드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 뒤의 어레이 스피커를 통해 객체와 연동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5.1채널, 7.1채널 오디오로는 부족하고, 보다 많은 오디오 채널이 할당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뒤에 배치되는 스피커의 수가 15개라면 종래 스크린 뒤에 3개의 스피커가 배치되는 5.1채널에 비하여 12개의 추가적인 오디오 채널이 필요하다.
나아가,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기존의 5.1채널 사운드 시스템이나 7.1채널 사운드 시스템과의 호환성이다. 즉, 동일한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극장에 제공하더라도 극장의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 맞게 5.1채널, 7.1채널 또는 16채널 이상의 고채널로 출력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종래의 5.1채널 오디오나 7.1채널 오디오와 함께 고채널 오디오를 함께 인코딩할 수 있는 새로운 인코딩/디코딩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5.1채널 사운드나 7.1채널 사운드 등의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채널 사운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패킷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사운드 시스템 환경과, 실시간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 디코딩이 가능한 하이엔드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 대하여 적절히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적의 형태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서는 디코딩이나 압축 해제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바로 사운드를 출력하고, 고채널 하이앤드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서는 신속하게 고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여 실감나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대해 압축 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들의 개수는 짝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16채널 이상, 256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들 각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비디오 소스와 동기화되고,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상기 물리적 채널들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 때,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디코더단에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할 때 고려되도록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는,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오디오 패킷 수신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채널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는,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오디오 패킷 수신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 및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채널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장치는,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비디오 소스와 동기화되고,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5.1채널 사운드나 7.1채널 사운드 등의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채널 사운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패킷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사운드 시스템 환경과, 실시간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 디코딩이 가능한 하이엔드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 대하여 적절히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적의 형태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서는 디코딩이나 압축 해제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바로 사운드를 출력하고, 고채널 하이앤드 사운드 시스템 환경에서는 신속하게 고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여 실감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대표적인 5.1채널 및 7.1채널 사운드의 사운드필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및 그 뒤에 배치되는 고채널 어레이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5.1채널 사운드를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6은 7.1채널 사운드를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7은 5.1채널 사운드, 7.1채널 SDDS 및 7.1채널 DS를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8은 5.1채널 사운드 또는 7.1채널 사운드와 함께 고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전방에 15개 채널, 측면 서라운드에 6개 채널, 후방 서라운드에 3개 채널, 천정에 6개 채널, 전방 및 후방 우퍼 0.2개 채널을 포함하여 총 30.2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특히 전방 스크린 뒤에 5 X 3의 어레이 형태로 스피커들을 배치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객체와 연동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이 객체와 연동된 실감나는 사운드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사운드 시스템에서 사이드 서라운드 구역은 스크린으로부터 극장 후면벽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1/4지점(front), 2/4지점(middle), 3/4지점(rear)에 위치하며, 서라운드 스피커 사이의 간격은 1.5~3m일 수 있다.
이 때, 서라운드 스피커의 높이는 스크린의 미들 레벨과 일치해야 하며, 스태디움 시팅(stadium seating)의 경우에는 좌석 배치에 비례하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2열로 배열된 천정 스피커들은 전방 스피커들 중 좌측에서 2번째 열 및 우측에서 2번째 열의 스피커들과 수평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천정 스피커들은 3개의 사이드 서라운드 구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30.2채널 등의 고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기존의 5.1채널 오디오 데이터 등에 비해 오디오 패킷 내에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30.2채널 오디오 인코딩시에 기존의 5.1채널 오디오 시스템만을 구비한 사운드 시스템 등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인코딩하여야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좌/우 측면, 후면, 천정 등에 16개 채널 이상에 해당하는 스피커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크린 정면의 좌(L) 채널은 객석 기준으로 스크린 뒤 좌측 끝부분의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스크린 정면의 중앙(C) 채널은 객석 기준으로 스크린 뒤 중앙의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스크린 정면의 우(R) 채널은 객석 기준으로 스크린 뒤 우측 끝부분의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스크린 하단의 스크린 서브(LFE) 채널은 스크린 끝에 위치하는 대역 제한 저 주파수 전용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객석 좌측의 좌측 서라운드(LS) 채널은 좌측 벽을 따라 스크린에서부터 극장 스크린과 마주보는 뒷면 벽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의 세트들에 상응한다.
객석 우측의 우측 서라운드(RS) 채널은 우측 벽을 따라 스크린에서부터 극장 스크린과 마주보는 뒷면 벽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의 세트들에 상응한다.
중앙 서라운드(CS) 채널은 스크린과 마주보는 뒷면 벽의 중심에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들의 세트들에 상응한다.
스크린 정면의 중앙 좌(LC) 채널은 스크린의 중심과 좌측 끝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스크린 정면의 중앙 우(RC) 채널은 스크린의 중심과 우측 끝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수직 상단 좌측(VERTICAL HEIGHT LEFT- VHL), 수직 상단 중앙(VERTICAL HEIGHT CENTER- VHC) 및 수직 상단 우측(VERTICAL HEIGHT RIGHT- VHR) 채널은 모두 스크린 상단부에 매달려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들에 상응한다.
중앙 상단 스피커(TS) 채널은 객석 위로 수평 및 수직의 중간에 위치하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좌측 와이드(LW) 채널은 스크린 좌측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우측 와이드(RW) 채널은 스크린 우측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후방 좌측 서라운드(RLS) 채널은 스크린과 마주하는 뒷벽의 좌측에 있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후방 우측 서라운드(RRS) 채널은 스크린과 마주하는 뒷벽의 우측에 있는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한다.
도 4에 도시된 채널들 이외에도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채널들(HI, VI-N)이나 D-Box 등의 모션 데이터(motion data)를 위한 채널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실감 입체 음향 시스템은 16채널 이상의 고채널을 필요로 하며, 고채널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패킷의 패키징시에는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뿐만 아니라 5.1채널 등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 장비가 설치된 극장에서는 고가의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거나 압축 해제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이 큰 로드가 되지 않지만, 5.1채널 등의 종래의 사운드 시스템만이 설치된 극장에서는 오디오 출력을 위해 디코딩이나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것이 큰 로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5.1채널 등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에 대해서는 압축 없이 그대로 채널 컨테이너에 기록하고, 16채널 이상의 고채널 오디오에 상응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에 대해서는 압축을 통해 데이터량을 줄여서 채널 컨테이너에 기록함으로써 최적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 생성이 가능하다.
도 5는 5.1채널 사운드를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5를 참조하면,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이 구비된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만 사용하면 5.1채널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1채널 사운드는 물리적 채널과 1:1로 맵핑되고 압축되지 아니한 채로 유지되는 채널(비압축 오디오 채널)이므로, 나머지 10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에는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채널(압축 오디오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물리적 채널은 극장 사운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의미하며, 하나의 라우드스피커에 상응하는 것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라우드스피커들에 상응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제공 받은 극장에서 압축 해제나 디코딩 등의 동작 없이 바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채널이 비압축 오디오 채널이고, 사운드 출력을 위해서 디코딩이나 압축 해제를 수행하여야 하는 오디오 채널이 압축 오디오 채널이다.
도 6은 7.1채널 사운드를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이 구비된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8개의 채널 컨테이너들만 사용하면 7.1채널 사운드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7.1채널 사운드는 물리적 채널과 1:1로 맵핑되고 압축되지 아니한 채로 유지되는 채널(비압축 오디오 채널)이므로, 나머지 8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에는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채널(압축 오디오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5.1채널 사운드, 7.1채널 SDDS 및 7.1채널 DS를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7을 참조하면, 5.1채널과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9개 채널 컨테이너들이, 7.1채널 SDDS와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11개 채널컨테이너들이, 7.1채널 DS와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11개 채널 컨테이너들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1채널과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6개의 5.1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채널 컨테이너 1부터 6까지에 L, R, C, LFE, Ls, Rs 순으로 담겨서 전송되고, 청각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채널인 HI 및 VI 채널은 각각 채널 컨테이너 7 및 8에 담겨서 전송되고, 모션 데이터를 위한 채널은 채널 컨테이너 13에 담겨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담기 위한 채널 컨테이너들은 채널 컨테이너 9 내지 12,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고, 이 때 생략된 채널에 상응하는 채널 컨테이너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위해 할당될 수 있다.
7.1채널 SDDS와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8개의 7.1채널 SDDS 오디오 데이터는 채널 컨테이너 1부터 6까지 및 9부터 10까지에 L, R, C, LFE, Ls, Rs, Lc, Rc 순으로 담겨서 전송되고, 청각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채널인 HI, VI 채널은 각각 채널 컨테이너 7 및 8에 담겨서 전송되고, 모션 데이터를 위한 채널은 채널 컨테이너 13에 담겨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담기 위한 채널 컨테이너들은 채널 컨테이너 11 내지 12,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고, 이 때 생략된 채널에 상응하는 채널 컨테이너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위해 할당될 수 있다.
7.1채널 DS와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8개의 7.1채널 DS 오디오 데이터는 채널 컨테이너 1부터 6까지 및 11부터 12까지에 L, R, C, LFE, Lss, Rss, Lrs, Rrs 순으로 담겨서 전송되고, 청각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채널인 HI, VI 채널은 각각 채널 컨테이너 7 및 8에 담겨서 전송되고, 모션 데이터를 위한 채널은 채널 컨테이너 13에 담겨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담기 위한 채널 컨테이너들은 채널 컨테이너 9 내지 10,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HI/VI 및 모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고, 이 때 생략된 채널에 상응하는 채널 컨테이너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채널 컨테이너들은 모두 극장 사운드 시스템 등 디코딩단에서 물리적 채널과 직접적으로 일대일 연결될 수 있도록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해당한다.
도 8은 5.1채널 사운드 또는 7.1채널 사운드와 함께 고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16개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인코딩하는 경우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8을 참조하면, 5.1채널과 HI/VI를 제공하는 경우 8개 채널 컨테이너들이, 7.1채널 DS와 HI/VI를 제공하는 경우 10개 채널 컨테이너들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1채널과 HI/VI를 제공하는 경우 6개의 5.1채널 오디오 데이터는 채널 컨테이너 1부터 6까지에 L, R, C, LFE, Ls, Rs 순으로 담겨서 전송되고, 청각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채널인 HI 및 VI 채널은 각각 채널 컨테이너 7 및 8에 담겨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담기 위한 채널 컨테이너들은 채널 컨테이너 9 내지 1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7.1채널 DS와 HI/VI를 제공하는 경우 8개의 7.1채널 DS 오디오 데이터는 채널 컨테이너 1부터 6까지 및 11부터 12까지에 L, R, C, LFE, Lss, Rss, Lrs, Rrs 순으로 담겨서 전송되고, 청각장애인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채널인 HI, VI 채널은 각각 채널 컨테이너 7 및 8에 담겨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담기 위한 채널 컨테이너들은 채널 컨테이너 9 내지 10, 13 내지 16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각각 물리적 채널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되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할당되지 않은 채널 컨테이너에 할당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6개의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STA Channel 1, STA Channel 2, STA Channel 3, STA Channel 4, STA Channel 5, STA Channel 6)이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할당되지 아니한 채널 컨테이너들인 채널 컨테이너 9, 10, 13, 14, 15 및 16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코딩이나 압축이 필요 없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와, 고사양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디코딩이나 압축을 통해 고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채널 컨테이너에 담을 수 있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하향 호환성을 보장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실감 입체 음향 제공이 가능하다.
이 때,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디지털 데이터들의 집합으로 패킷, 프레임 또는 데이터 묶음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디코더 단에서 디코딩이나 압축 해제가 필요 없는 형태로 기록되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와, 디코더 단에서 디코딩이나 압축 해제를 통해 할당된 채널 컨테이너의 수보다 많은 수의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생성하여야 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극장 등으로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와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모두 포함시킴으로써 최적의 하향 호환성을 얻으면서도 16채널 이상의 고채널 실감 입체 음향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한다(S1010).
이 때, 물리적 채널들은 극장에서 사운드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채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들은 5.1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L, R, C, LFE, Ls, Rs의 6개이고, 7.1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L, R, C, LFE, Ls, Rs, Lc, Rc의 8개일 수 있다.
즉,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5.1 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L, R, C, LFE, Ls 및 Rs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이고, 7.1 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L, R, C, LFE, Ls, Rs, Lc 및 Rc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비디오 소스와 동기화되고,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한다(S1020).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상기 물리적 채널들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원래 32(물리적 채널들의 개수)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6개(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 채널에 담기 위해 압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한다(S1030).
이 때,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물리적으로 필요한 개수의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보다 작은 개수의 채널 컨테이너들에 기록되기 위해 압축되어 상기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짝수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짝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구비하여 상응하는 채널 컨테이너가 짝수개가 되도록 함으로써 AES 페어(pair)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16 채널 이상, 256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소스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디코더단에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할 때 고려되도록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한다(S1110).
또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한다(S1120).
또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한다(S1130).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한다(S1210).
또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한다(S1220).
또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한다(S1230).
이 때, 단계(S1230)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대해 압축 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16 채널 이상, 256 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들 각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한다(S124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에서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에서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될 수 있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이 때,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짝수일 수 있다.
도 11 및 1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2에 도시된 단계(S1230)는 상기 채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장치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1310), 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1320) 및 디지털 오디오 패킷 생성부(1330)를 포함한다.
비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1310)는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짝수개일 수 있다.
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1320)는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비디오 소스와 동기화되고,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상기 물리적 채널들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16 채널 이상, 256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소스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디지털 오디오 패킷 생성부(1330)는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물리적으로 필요한 개수의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보다 작은 개수의 채널 컨테이너들에 기록되기 위해 압축되어 상기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이 때, 도 13에 도시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장치는 디코더단에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할 때 고려되도록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는 오디오 패킷 수신부(1410), 비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1420), 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1430),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1440) 및 오디오 채널 출력부(1450)를 포함한다.
오디오 패킷 수신부(1410)는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될 수 있다.
비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1420)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한다.
이 때,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짝수일 수 있다.
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1430)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한다.
이 때,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일 수 있다.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1440)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한다.
이 때,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1440)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대해 압축 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16 채널 이상, 256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들 각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채널 출력부(1450)는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 또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한다.
도 14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채널 할당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1440)는 상기 채널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및 인코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인코딩 방법 및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410: 오디오 패킷 수신부
1420: 비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1430: 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1440: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
1450: 오디오 채널 출력부

Claims (24)

  1.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2.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대해 압축 해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16 채널 이상, 256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들 각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방법.
  11.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비디오 소스와 동기화되고,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상기 물리적 채널들의 개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각각 펄스 코드 모듈레이션(Pulse Code Modulation)된 웨이브 파일이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이 패키징되고, 분배되고, 저장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각각 디지털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컨테이너들 중 하나와 일대일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 중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이 기록되지 않는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물리적으로 필요한 개수의 상기 채널 컨테이너들보다 작은 개수의 채널 컨테이너들에 기록되기 위해 압축되어 상기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은 16개의 채널 컨테이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 이상 11개 이하이고,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는 짝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은
    16 채널 이상, 256채널 이하의 극장용 고채널 오디오 소스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은
    디코더단에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할 때 고려되도록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 상응하는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방법.
  21. 제1항, 2항 및 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2.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오디오 패킷 수신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채널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
  23.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수신하는 오디오 패킷 수신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패킷에서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추출부;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상기 물리적 채널들에 상응하는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디코딩부; 및
    상기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각각을 상기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일대일 매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채널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디코딩 장치.
  24. 각각 압축되지 아니한 상태로 유지되는 복수개의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비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비디오 소스와 동기화되고, 각각 물리적 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압축 오디오 채널 생성부; 및
    상기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 및 상기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패킷을 생성하는 디지털 오디오 패킷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코딩 장치.
KR1020130044987A 2013-04-23 2013-04-23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42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87A KR101421201B1 (ko) 2013-04-23 2013-04-23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3466 WO2014175617A1 (ko) 2013-04-23 2014-04-21 직접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간접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14/786,468 US9679572B2 (en) 2013-04-23 2014-04-21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scalable digital audio using direct audio channel data and indirect audio channe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87A KR101421201B1 (ko) 2013-04-23 2013-04-23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201B1 true KR101421201B1 (ko) 2014-07-22

Family

ID=5174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987A KR101421201B1 (ko) 2013-04-23 2013-04-23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66A1 (ko) * 2015-07-23 2017-01-26 (주)캐스트윈 멀티 포맷 초고선명 고효율 코덱을 적용한 인코딩 및 트랜스코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106A (ko) * 1995-10-27 1999-08-16 에이치. 쥐. 톰슨 데이터 압축방법
KR20050090448A (ko) * 2003-01-07 2005-09-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오디오-비쥬얼 콘텐트 전송
KR20080036119A (ko) * 2005-07-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생성 및 처리 방법
KR20110086645A (ko) * 2007-05-14 201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106A (ko) * 1995-10-27 1999-08-16 에이치. 쥐. 톰슨 데이터 압축방법
KR20050090448A (ko) * 2003-01-07 2005-09-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오디오-비쥬얼 콘텐트 전송
KR20080036119A (ko) * 2005-07-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 생성 및 처리 방법
KR20110086645A (ko) * 2007-05-14 201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66A1 (ko) * 2015-07-23 2017-01-26 (주)캐스트윈 멀티 포맷 초고선명 고효율 코덱을 적용한 인코딩 및 트랜스코딩 장치
US10812841B2 (en) 2015-07-23 2020-10-20 Castwin Co., Ltd. Apparatus for encoding and transcoding which applies multi-format ultra-high definition high-efficiency code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1738C1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постоянный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представления данных адаптивного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KR102172279B1 (ko) 스케일러블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지원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KR20200112774A (ko) 사운드 바를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1201B1 (ko) 비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압축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96795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scalable digital audio using direct audio channel data and indirect audio channel data
KR101949756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54343B1 (ko) 직접 오디오 채널 데이터 및 간접 오디오 채널 데이터를 이용한 스케일러블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40017344A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74853B1 (ko) 탑 채널 업믹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50455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949755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40128181A (ko) 예외 채널 신호의 렌더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