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932B1 -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932B1
KR101420932B1 KR1020120129329A KR20120129329A KR101420932B1 KR 101420932 B1 KR101420932 B1 KR 101420932B1 KR 1020120129329 A KR1020120129329 A KR 1020120129329A KR 20120129329 A KR20120129329 A KR 20120129329A KR 101420932 B1 KR101420932 B1 KR 10142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nozzle
wireless camera
fire suppression
bod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696A (ko
Inventor
황선우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12012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9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용수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고, 화재발생 공간의 화재 진압용으로 투입되는 본체봉; 상기 본체봉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노즐 브라켓; 상기 노즐 브라켓에 구비되고,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봉과 연통되는 노즐; 상기 노즐 단부에 장착되는 무선 카메라; 및 상기 노즐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무선 카메라를 감싸는 투명한 내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화재발생 공간이나 일반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손쉽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INJECTION MODULE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화재발생 공간이나 일반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손쉽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방대원들이 주로 사용하는 소방용 관창은 주로 전방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엄청난 고압으로 분사되는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압력으로 인하여 좌측방이나 우측방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대형물류창고나 지하전력구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염과 함께 인체에 치명적인 독가스가 배출되므로, 이러한 화재 현장에서는 사람의 화재가 발생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화재가 발생한 공간에는 적절한 화재 진압용 장비가 부족한 관계로 인하여 소방대원들이 호흡기 및 방화복을 착용하고 일반적인 소방용 관창을 사용하여 진압하는 실정이다.
특히, 일반적인 소방용 관창은 직사주수(直射注水)와 분사주수(噴射注水)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전력구나 대형물류창고 등과 같이 발화시 유독한 기체를 내뿜는 화재 현장에서는 화재 발생 개소에 접근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힘들므로, 포크레인 등을 활용하여 구조물을 무너뜨리거나 화재 진압 용수가 투입될 구멍을 뚫어서 화재 진압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화재 진압을 하기 위하여 다량의 용수와 중장비를 동원하는 등 화재 진압 이외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던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3-0020723호 특허출원 제10-2009-0118219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8-322959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8-014460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9-271528호 일본공개특허 특개2003-2106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화재발생 공간이나 일반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손쉽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용수의 낭비와 화재 진압 이외의 번거로운 작업을 줄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 진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용수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고, 화재발생 공간의 화재 진압용으로 투입되는 본체봉; 상기 본체봉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노즐 브라켓; 상기 노즐 브라켓에 구비되고,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봉과 연통되는 노즐; 상기 노즐 단부에 장착되는 무선 카메라; 및 상기 노즐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무선 카메라를 감싸는 투명한 내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은, 상기 무선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상기 화재발생 공간 내부의 상태를 전송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카메라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상기 무선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재발생 공간 내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화면송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화재발생 공간 내부의 화재 발생 개소를 파악하여 조준 가능한 조준부와, 상기 화재 발생 개소에 조준된 상기 조준부의 조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노즐을 개방하는 분사명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용수가 유통되는 본체봉의 단부에 탈착 가능한 노즐 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화재 진압 용수가 분사되도록 하되, 노즐 단부에는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카메라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접근이 어려운 공간 내부의 화재 발생 지점을 파악하여 화재 진압을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 일체가 모듈 형태로 제공되어 화재 진압 초기에 화재가 발생한 공간 외부에서 본체봉이 드나들 수 있을 정도의 홀을 뚫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본체봉을 투입하여 노즐을 통해 화재 진압 용수를 분사시켜 화재 진압을 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용수의 낭비와 화재 진압 이외의 번거로운 작업을 줄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 진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직사 또는 분사 기능만 가진 일반적인 소방용 관창에 비하여 분사주수 또는 직사주수도 가능하게 될 것이므로, 전방 화재 진압은 물론 좌, 우, 상, 하 전 방향에 걸친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또는 방사가 가능하여 건물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도 건물 외부에서 화재 진압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주로 직사방식이 아닌 분사 위주로 화재 진압 용수가 방사되므로 화재 진압 용수의 높은 수압으로 인한 기물 파괴의 우려없이 화재 진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의 실제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의 실제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봉(10)의 단부에 노즐 브라켓(20) 및 노즐(30)과 무선 카메라(40)가 순차적으로 장착되고, 무선 카메라(40)는 내열 커버(50)에 의하여 감싸진 구성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체봉(10)은 화재 진압 용수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고, 화재발생 공간(60)의 화재 진압용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노즐 브라켓(20)은 본체봉(10)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일종의 커플링으로서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본체봉(10)의 단부와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노즐(30)은 노즐 브라켓(20)에 구비되고, 다수의 분사공(31)이 형성되어 본체봉(10)과 연통되는 것으로, 분사공(31)을 통하여 화재 진압 용수가 분사되는 것이다.
무선 카메라(40)는 노즐(30)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실시간으로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화재 발생 상황을 전송하며, 무선 통신으로 조작될 수 있다.
내열 커버(50)는 노즐(30) 단부에 장착되어 무선 카메라(40)를 감싸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노즐(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공(31)을 통하여 화재 진압 용수가 분사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브라켓(20)으로부터 반구 형상으로 돌출되고, 반구 형상인 노즐(30) 표면의 전체에 걸쳐 무수히 많은 분사공(31)을 형성하여 화재 진압 용수가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과 같이 상하 좌우 전 방향에 걸쳐 균일하고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여 화재 진압이 넓은 공간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은 무선 카메라(40)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상태를 전송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휴대용 단말기(70)에 탑재된 컨트롤러(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컨트롤러(80)는 노즐(30)로부터 분사되는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봉(10)을 통하여 노즐(30)과 연통되는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류의 개방 또는 밀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컨트롤러(80)는 무선 카메라(40)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송출부(81)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화재 발생 개소(61)를 파악하고, 화재 발생 개소(61)를 조준하여 분사명령부(83)로써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컨트롤러(80)는 PDA나 테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70)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면송출부(81)는 대용 단말기(70)의 디스플레이 패널(71)을 통하여 무선 카메라(40)로부터 전송받은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화면송출부(81)를 통하여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화재 발생 정도를 육안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화재 진압 용수의 양을 대략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조준부(82)는 디스플레이 패널(71)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화재 발생 개소(61)를 파악하여 조준 가능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된 컨트롤러(80)의 조작을 위하여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71) 상에서 작업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분사명령부(83)는 화재 발생 개소(61)에 조준된 조준부(82)의 조준 상태를 감지하여 노즐(30)을 개방하는 명령을 직접 전술한 밸브류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분사명령부(83)는 작업자가 조준부(82)의 위치를 화재 발생 개소(61)에 정확히 조준하면 이를 감지하여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재 진압 용수를 분사할 것인가(INJCT?)를 물어볼 것이며, YES 또는 NO를 선택하여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명령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을 이용하여 화재 진압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화재가 발생한 구조물(62)의 외벽을 통하여 화재 발생 개소(61)가 있는 화재발생 공간(60)측을 향하여 코어 드릴(미도시)과 같은 장비를 통하여 화재 진압용 천공홀(63)을 뚫는다.
이후, 작업자는 화재 진압용 천공홀(63)을 통하여 본체봉(10)을 투입하고 휴대용 단말기(70)의 컨트롤러(80)를 조작하여 무선 카메라(40)를 작동시켜 화면송출부(81)로부터 화재발생 공간(60)의 내부 상황을 파악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화재 발생 개소(61)를 파악하고, 조준부(82)를 조작하여 정확하게 화재 진압 용수가 분사될 지점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조준부(82)로써 화재 발생 개소(61)에 대하여 화재 진압 용수가 분사될 정확한 지점의 결정이 완료되면, 분사명령부(83)를 이용하여 본체봉(10)과 연결된 밸브류를 개방함으로써 화재 진압 용수가 노즐(30)의 분사공(31)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80)는 화재 발생 개소(61)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적절한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압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작업자는 화면송출부(81)를 통하여 화재 진압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화재 진압이 완료되면 컨트롤러(80)를 조작하여 밸브류를 차단한 후, 본체봉(10)을 화재 진압용 천공홀(63)로부터 꺼내면 화재 진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이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화재발생 공간이나 일반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를 손쉽게 진압할 수 있고, 불필요한 용수의 낭비와 화재 진압 이외의 번거로운 작업을 줄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 진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본체봉
20...노즐 브라켓
30...노즐
31...분사공
40...무선 카메라
50...내열 커버
60...화재발생 공간
61...화재 발생 개소
62...구조물
63...화재 진압용 천공홀
70...휴대용 단말기
71...디스플레이 패널
80...컨트롤러
81...화면송출부
82...조준부
83...분사명령부

Claims (3)

  1. 화재 진압 용수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고, 화재발생 공간(60)의 화재 진압용으로 투입되는 본체봉(10);
    상기 본체봉(10)의 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노즐 브라켓(20);
    상기 노즐 브라켓(20)에 구비되고, 다수의 분사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봉(10)과 연통되는 노즐(30);
    상기 노즐(30) 단부에 장착되는 무선 카메라(40);
    상기 노즐(30)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무선 카메라(40)를 감싸는 투명한 내열 커버(50); 및
    상기 무선 카메라(40)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상기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상태를 전송받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휴대용 단말기(70)에 탑재된 컨트롤러(80);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노즐(30)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카메라(40)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70)의 디스플레이 패널(71)을 통하여 상기 무선 카메라(4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화면송출부(81)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71)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화재발생 공간(60) 내부의 화재 발생 개소(61)를 파악하여 화재 진압 용수가 분사될 지점을 결정하고 조준 가능한 조준부(82)와,
    상기 화재 발생 개소(61)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화재 진압 용수의 분사 압력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화재 발생 개소(61)에 조준된 상기 조준부(82)의 조준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노즐(30)을 개방하는 분사명령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2. 삭제
  3. 삭제
KR1020120129329A 2012-11-15 2012-11-15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KR10142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29A KR101420932B1 (ko) 2012-11-15 2012-11-15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29A KR101420932B1 (ko) 2012-11-15 2012-11-15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696A KR20140070696A (ko) 2014-06-11
KR101420932B1 true KR101420932B1 (ko) 2014-07-28

Family

ID=5112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329A KR101420932B1 (ko) 2012-11-15 2012-11-15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572B1 (ko) * 2018-02-19 2020-01-22 아이비젼(주)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KR200492641Y1 (ko) * 2018-12-19 2020-11-16 대구시설공단 스마트 농약 분무기용 노즐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772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점감시용 카메라장치
JP2008168059A (ja) * 2007-01-15 2008-07-24 Taisei Corp 消火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772A (ko) * 2005-03-28 2006-10-0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점감시용 카메라장치
JP2008168059A (ja) * 2007-01-15 2008-07-24 Taisei Corp 消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696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420932B1 (ko) 화재 진압용 분사 모듈
JP5456207B2 (ja) 複数の作用物質放出能力を有するデュアルモード作用物質放出システム
KR101229517B1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CN105107121A (zh) 一种全方位的灭火装置
CN211357520U (zh) 一种森林防火隔离装置
TWM521473U (zh) 遠端遙控滅火裝置
KR101356018B1 (ko)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RU2424837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с полнопроцессной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KR20090083266A (ko) 소방용 분무 관창
CN217119198U (zh) 一种具有重复灭火功能的灭火系统
CN212618257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火焰枪
CN112843561B (zh) 消防设备、压裂系统及压裂系统的控制方法
CN104740807A (zh) 氮气灭火系统
CN214912925U (zh) 消防设备及压裂系统
CN105107119A (zh) 一种全方位的消防灭火设备
CN206239949U (zh) 火探装置设备管理系统
KR101916599B1 (ko) 수동분사체를 갖는 소 공간 화재진압장치
CN207871309U (zh) 排油烟管道快速灭火装置
KR101168210B1 (ko) 화재진압용 복합형 소화장치
KR20110001244A (ko) 화재 진압용 소화장치
CN101293127B (zh) 手提式细水雾防火防烟及门口降温装置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CN205692308U (zh) 雨林喷洒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