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794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794B1
KR101420794B1 KR1020120151798A KR20120151798A KR101420794B1 KR 101420794 B1 KR101420794 B1 KR 101420794B1 KR 1020120151798 A KR1020120151798 A KR 1020120151798A KR 20120151798 A KR20120151798 A KR 20120151798A KR 101420794 B1 KR101420794 B1 KR 10142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lor
image
color code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108A (ko
Inventor
박지현
박유진
김회권
조용희
이상욱
이현태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7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12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imulated using a light source, e.g. a barcode shown on a display or a laser beam with time-varying intensity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involving fractal co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하고,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고,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면의 특정 위치에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폰을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고,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A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 replaced image displayed in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RGB값을 이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정보 복원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전달 받고, 프레임 안에 오류검출 패리티를 넣어서 스마트 기기와 디스플레이(DID) 간의 LED통신에서 정보전달의 정확성을 높이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 받아 복원할 수 있는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고 시장은 정적인 매체(광고지, 광고판, 현수막 등) 에서 동적인 매체인 디스플레이 전자매체 즉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이하 "DID"라 통칭함)나 LED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바뀌어 가는 추세이다. 그 이유는 정적인 매체보다 동적인 매체에서의 광고가 보기에도 좋고, 재미도 주며, 광고의 효율성도 높고, 유지보수가 좋기 때문이다. 전자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동적인 매체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정규 방송이나 광고 방송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중에는 대중교통 터미널의 대합실이나 공공시설의 광장 등에 설치되어 통상의 정규 방송을 제공하거나 국가 또는 지자체의 홍보나 공익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정보 안내시스템인 DID 등이 있으며, 전자현수막 역할을 하는 DID는 디지털 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중요정보나 광고를 전달해 주는 장치로써, 청사안내, 지하철 버스노선 안내, 긴급 대피정보, 공익성 캠페인, 길거리 응원이나 선거 홍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나 실내 또는 여러 디스플레이에서 다양한 광고가 흘러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동적 매체의 광고에서도 정보 전달의 한계가 있다. 광고화면에 모든 정보를 다 표현 할 수가 없고, 공공장소 또는 실내에서의 소리를 낼 수 없다는 점에서 광고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광고에서만으로 정보를 더 얻기가 힘들다. 그래서 사람들은 추가적인 정보를 자신이 직접 찾아보아야 하는 것이 문제점이 있다. 또, 통신이 안 되는 디스플레이와 지역에서는 정보의 전달이 안 된다. 그래서 광고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광고 속에 정보를 넣고 사람들은 스마트폰의 카메라 앱으로 촬영하여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광고로부터 직접 간단하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광고와 함께 바코드나 QR코드가 표시되어 있으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바코드나 QR코드를 인식하여 필요한 정보를 별도의 경로로 얻는 기술들이 등장하였으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중에 광고 관련 부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 중 특허문헌 1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적외선 신호 수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적외선 신호의 촬상 위치를 탐색한 후 기 설정된 동기 신호에 맞춰 순차적으로 신호(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별도의 적외선 수신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나, 이러한 종래의 적외선 수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광고영상에 부가영상을 보내고자 하는 기술이 아니고, 적외선 신호인 적색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효율이 낮아 보낼 수 있는 데이터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2차원 바코드로 변환하여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카메라 내장휴대폰으로 2차원 바코드를 인식, 촬영하여 2차원 바코드로부터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다운로드 기술이다. 이는 데이터 전체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복구하는 기술이지 광고영상의 부가데이터에 대한 영상을 보내는 기술은 아니고, 흑백 영상으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므로 데이터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근 스마트폰은 대중화가 되어 라디오 방송의 청취는 물론 텔레비전 방송의 시청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게임 등 다양한 종류의 응용프로그램(통상적으로 "앱" 또는 "어플"이라 불리고 있으며, 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 통칭함)을 제공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LED 통신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카메라 앱으로 정보를 얻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제안된 바 없다. 또한 RGB값을 이용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정보 복원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전달받고, 프레임 안에 오류검출 패리티를 넣어서 스마트 기기와 디스플레이(DID) 간의 LED통신에서 정보전달의 정확성을 높이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 받아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0645746호 2. 한국공개특허 제2007-00013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정보제공시스템을 제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에 있어서,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화면의 특정 위치에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은 4개이고, 색깔코드 2개씩 묶어서 하나의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는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되는 첫 번째 프레임은 세션의 프레임의 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복원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는 단계;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검은색 세장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정보를 입력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깔 검출을 위해 난수기반의 색깔검출 알고리즘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에 입력된 교체영상을 분석하고 교체영상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하고,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고,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면의 특정 위치에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고,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하고,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고,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면의 특정 위치에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고,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RGB 기본색을 이용해서 알파벳 대/소문자와 아라비아숫자(0~9)를 표현할 수 있고, RGB값을 이용한 LED통신에서 정보복원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통신 개념을 이용함으로써 통신(3G, 4G, WI-FI, BLUETOOTH 등)의 장애지역인 지하, 건물안, 주차장, 지하도, 지하철 장소에서 영상으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영상 관련 정보를 받는 데에 데이터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복조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색깔코드로 매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의 타입을 구분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영상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보제공시스템은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세션(session)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하고, 프레임(frame)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고,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parity)용 색깔코드를 화면에 출력하고, 화면의 특정 위치에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폰은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고,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 정보 복조 스마트폰(2)으로 구성된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에서 LED 통신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카메라 앱으로 정보를 복조하고 원래의 정보를 얻어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영상 관련된 부가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표시한다. 그리고 디지털 정보화된 부가 정보를 색깔 정보로 광고영상에 표현한 후에, 이렇게 편집된 광고영상은 DID나 LED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방송이 된다. LED 통신개념을 기반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2)으로 영상 관련 부가정보가 전달되면, 스마트폰에 기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서 부가정보를 필요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한다. 교체 영상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카메라 앱으로 촬영하면 영상 속에 있는 영상 관련 부가정보를 RGB 색상으로 매핑한 색깔정보를 읽어들여 원래의 부가정보로 복조 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나오는 영상 신호를 LED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변조한다. 이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쓰일 수 있는 특별한 영상 변조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과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드웨어 추가는 필요 없다. 사용자는 보유한 스마트폰(2) 카메라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화면 중 특정한 부분, 즉 광고주의 로고 등 영상의 변화가 적은 화면의 일부를 보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스마트폰(2) 카메라에는 영상의 변화가 적은 회사의 로고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일부가 입력된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의 프로그래밍 기능을 이용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해 부가정보를 복원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부가정보를 이용해 영상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은 공지된 기술인 LED 통신개념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 중 회사 로고 등의 일부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원래 영상과는 색깔이 다른 교체영상으로 채운다. 이렇게 하더라도 전 영상 중 변화가 거의 없는 부분만 교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알아채지 못한다. 또한, 원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과 달라진 영상을 사용자의 스마트폰 카메라가 인지할 수 있으므로 교체영상 자체가 부가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된다. 예를 들어 RGB를 이용하여 색깔형태로 디지털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RGB로 처리할 경우의 이점은 정보량에 있다. 예를 들어 RGB 정보는 3 비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색깔 정보를 보내기 때문에 스마트폰 카메라가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필요 없이 촬영만 되어 색깔만 인지된다면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원래 영상이 교체영상으로 바뀐 여부를 구별하기 위해서도 색깔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영상의 로고 등은 영상을 교체하는 비율에 비해 천천히 변하기 때문에 색깔검출이 천천히 변하다가 갑자기 바뀌는 부분이 생긴다. 이 부분이 영상이 교체된 부분이다.
본 발명은 알파벳과 같은 정보를 색깔코드로 매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컬러 색상은 8개 이상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7개의 색깔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적용환경에 따라 8개 이상의 색깔을 사용하여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전달을 위한 세션(session)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해 데이터로 사용하지 않는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화면에 출력한다. 가령 검정색(Black)을 3장 출력한다. 다음으로,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해 구분자용 색깔코드 (검정색)를 하나 출력한다. 동일 영상이 카메라에 다수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락용 색깔코드를 정보 표시용 색깔코드 다음에 삽입할 수 있다. 클락용 색깔코드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만 삽입하여 클락용 색깔코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헤더(header)는 선택사항으로 프레임의 개수를 표시하고, 검출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 색깔코드를 약속된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프랙탈 코딩(fractal coding) 또는 병렬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 프랙탈 코딩은 전체와 부분이 같은 특성을 적용하는 것으로 화면을 나누어 채널 정보를 송출할 때 반복되게 하는 방식으로 채널별로 순서대로 반복해서 송출하는 것을 영상전체를 찍으면 모든 채널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촬영시간을 늘려서 일부만 찍어도 모든 채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병렬코딩은 특정위치에만 클락용 색깔코드를 삽입하여 코딩하고 복조할 수 있다.
난수기반 색깔검출 알고리즘은 영상인식을 위한 알고리즘 중의 하나로서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제한적이므로 계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여러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 중 일부만 계산하여도 전체 영역의 색깔을 평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정보를 색깔코드로 매핑하는 방법과 세션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색깔코드로 매핑(mapping)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 보듯이, 컬러 중 Blue, Green, Cyan, Red, Magenta, Yellow, Black의 7가지 색깔을 사용하며, 색깔을 숫자로 표현한다면, 1~7까지 번호를 붙일 수 있다. 이 경우에 Blue = 1, Green = 2, Cyan = 3, Red = 4, Magenta = 5, Yellow = 6, Black = 7의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숫자는 실제 전달되는 정보로서의 숫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류 검출을 위한 숫자로만 사용된다. Black은 색깔코드로 정보를 전송하기 시작한다는 Start_Color로 사용된다. 두 개의 색의 조합으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하게 된다. Black을 제외하고 남은 6개의 Color를 사용하여 6x6(36)의 조합의 경우로 정보를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는데, 알파벳(A~Z) 26개가 2개의 색의 조합과 매핑되어 표현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의 타입을 구분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36개 표현 가능한 컬러 조합 (36가지) 중 알파벳 26개를 표현하고 남은 10개의 Color로 정보의 타입 구분에 사용된다. 알파벳 대문자 ABC를 색깔코드로 매핑하기 위해서는 대문자라는 정보 타입 표시를 위한 2개의 컬러 조합 1쌍, 즉 Magenta/Red와, 알파벳 정보 표시를 위한 2개의 컬러조합 3쌍, Blue/Blue, Blue/Green, Blue/Cyan을 프레임에 표시하면 된다. 알파벳 단위로 정보 타입을 표시할 수도 있고, 대문자, 소문자, 숫자가 바뀌는 경우에만 정보타입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b)에는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숫자의 구분만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정보의 타입에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숫자 외에도 특수문자, 한글 등을 추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적용환경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체영상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하나의 프레임은 연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교체영상 5장의 색으로 표현되는데, 4장의 색은 정보, 1장의 색은 오류검출 패리티로 사용된다. 5장의 색의 합이 6의 배수이어야 하며, 6의 배수가 아니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가령 5장의 색이 Blue, Green, Cyan, Red, Green이라고 할 때, 이를 숫자로 표현하면 12342가 된다. 5개를 다 더하면 1+2+3+4+2 = 12가 되어 6의 배수이므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검은색(Start Bit)을 3장 연속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검은색 한 장은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첫 번째 프레임의 정보는 총 데이터의 프레임 길이 수를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전송된 교체 영상의 정보 복원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교체 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한 후에 모든 데이터를 오류 없이 다 받았는지 검사한다. 검은색 세장이 들어오기 전까지는(data_start=false) 정보를 받지 않는다. 검은색이 세장 들어오면(data_start = true) 정보를 받기 시작한다. 스마트폰의 메모리의 저장 공간에 이차원배열로 [프레임수]x[색상수(5)]의 형식으로 입력 받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프레임안의 교체영상 그림 5장을 다 받지 못하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받으면 오류로 판단한다. 모든 프레임에 오류가 없을 때까지 정보를 받는다.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으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한다. [프레임수]x[색상수(5)]에서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프레임에 12345가 들어 있으면, 패리티 정보 5를 제외하고 1234의 정보 중 12와 34 둘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한다. 즉 12는 'h'가 되고 34는 'w'가 되어, 문자열(res)에 누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스마트폰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화면 중 주된 영상보다 변화가 적은 특정부분의 영상을 교체하여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를 복수개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병렬코딩을 위한 클락용 색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는 4개이고, 색깔코드 2개씩 묶어서 하나의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출력되는 첫 번째 프레임은 세션의 프레임의 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
  6.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화면 중 주된 영상보다 변화가 적은 특정부분의 영상에 표현된 교체영상의 정보복원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는 단계;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출력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출력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프레임 단위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체영상의 정보복원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스마트폰 카메라에 세션 구분자용 검은색 3장이 들어오기 전까지는 정보를 입력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복원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색깔검출을 위해 난수기반의 색깔검출 알고리즘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복원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에 입력된 교체영상을 분석하고 교체영상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복원하고, 복원된 부가정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영상의 정보복원방법.
  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화면 중 주된 영상보다 변화가 적은 특정부분의 영상을 교체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출력하고,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출력하고,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출력하고, 병렬코딩을 위한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고,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화면 중 주된 영상보다 변화가 적은 특정부분의 영상을 교체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세션 시작을 알리기 위한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를 출력하고, 프레임 시작을 알리기 위한 구분자용 색깔코드 하나를 출력하고,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과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를 출력하고, 병렬코딩을 위한 클락용 색깔 코드를 출력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부분의 영상 화면에 출력된 교체영상을 스마트폰 카메라가 촬영하고, 세션 구분자용 색깔코드 복수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구분자용 색깔코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 및 하나의 패리티용 색깔코드가 카메라에 들어오면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입력된 모든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모든 프레임을 오류 없이 받았다고 판단되면 정보 디코딩을 시작하여, 저장된 색깔코드 중 패리티 정보를 제외한 정보표시용 색깔코드들을 2개씩 끊어서 문자로 변환하는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교체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51798A 2012-12-24 2012-12-24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KR10142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798A KR101420794B1 (ko) 2012-12-24 2012-12-24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798A KR101420794B1 (ko) 2012-12-24 2012-12-24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108A KR20140083108A (ko) 2014-07-04
KR101420794B1 true KR101420794B1 (ko) 2014-07-21

Family

ID=5173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798A KR101420794B1 (ko) 2012-12-24 2012-12-24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7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3786A (ja) 2005-07-01 2007-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視光通信方法及び可視光通信装置
KR20080108732A (ko) * 2007-06-11 2008-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90525A (ko) * 2008-02-21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67812B1 (ko) 2012-03-26 2013-05-3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통신을 이용한 디아이디용 문자정보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3786A (ja) 2005-07-01 2007-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視光通信方法及び可視光通信装置
KR20080108732A (ko) * 2007-06-11 2008-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90525A (ko) * 2008-02-21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67812B1 (ko) 2012-03-26 2013-05-3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통신을 이용한 디아이디용 문자정보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108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akis et al. Using a CMOS camera sensor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587680B2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EP2791861B1 (en) Data transfer using barcodes
US92883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handwritten message by using handwriting data
US101293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laying animated message
Langlotz et al. Unsynchronized 4D Barcodes: (Coding and Decoding Time-Multiplexed 2D Colorcodes)
CN102905132B (zh) 无线视频传输的压缩和解压缩装置
KR101645136B1 (ko) 디스플레이 화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색상 코드를 출력하는 방법 및 색상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CN104348761A (zh) 信号的编解码方法
KR20190047527A (ko) 광학 카메라 통신 장치 및 방법
CN116846472B (zh) 一种电视屏幕和智能手机间的可见光通信方法
CN103124350A (zh) 基于rle的图像压缩方法及装置
US8340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dditional data into image file in electronic device
KR20170085953A (ko) 2d 컬러 코드 광학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JP5903821B2 (ja) 情報伝達効果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伝達効果出力方法
KR1014207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서 교체영상의 정보표현방법과 정보복원방법
CN106549730A (zh) 基于二维码的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13343895A (zh) 目标检测方法、目标检测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Hu et al. LED-camera communication system with RGB coding
KR100604000B1 (ko)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성능에 따른 바코드 생성방법, 장치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05680915A (zh) 基于显示屏与摄像头链接的无线近场通信方法和系统
US8000652B2 (en)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N102841928A (zh) 网间文件安全发送、接收方法及装置
CN104243028A (zh) 移动终端之间的数据传输方法
CN101064840B (zh) 蛇形矩阵编码/解码器以及可视标志编码和呈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