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915B1 -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915B1
KR101419915B1 KR20100037894A KR20100037894A KR101419915B1 KR 101419915 B1 KR101419915 B1 KR 101419915B1 KR 20100037894 A KR20100037894 A KR 20100037894A KR 20100037894 A KR20100037894 A KR 20100037894A KR 101419915 B1 KR101419915 B1 KR 10141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osphere
cell culture
culture chamber
concentr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351A (ko
Inventor
신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전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전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전과학
Priority to KR2010003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91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0Degassing; Venting; Bubb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12M41/14Incubators; Climatic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위기 검출수단(10)과; PLC(20)와; 디스플레이수단(30)과; 출력수단(40)과; 음향수단(50)과; PC(60)와; 구동수단(70)과; 분위기 조절수단(80) 및; 도어개폐수단(90)으로 구성되어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도 적외선이나 가시광으로 세포 배양챔버 내를 조명할 수 있으며, 자외선 램프로 세포 배양챔버 내 오염을 살균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세포 배양에 최적인 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고,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 조명 및 살균을 원격으로 감시, 설정, 제어 및 분석하고,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 조명 및 살균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하여 다양한 곳에서 다수인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현미경이나 전자 카메라 등의 영상수단을 구비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의 세포 배양을 외부 노출에 의한 오염 없이 촬영하거나 관찰하여 기록할 수 감찰할 수 있으면서 사운드 수단을 설치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에서 배양되는 세포에 음악을 제공하여 세포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CO2 incubator system}
본 발명은, 혈액, 검사 부재 등으로부터 채취된 세포의 온도, 습도, 분위기를 제어함으로써, 세포의 배양을 행하기 위한 CO2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인터넷을 통한 원격으로 감시, 설정, 제어 및 분석하여 세포 배양에 최적인 분위기로 용이하게 정밀제어함으로써 세포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키는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오, 재생 의료 관련 분야의 발달에 수반하여,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작업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세포의 배양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세포에 적합한 배양 공간을 정비할 필요가 있고, 종래로부터 배양 공간 내의 온도 제어, 습도 제어, 분위기 제어를 행하는 인큐베이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배양 조건으로서 CO2(이산화탄소) 가스 농도의 엄격한 농도 조건을 요구하는 세포의 배양을 행하는 경우에는 온도 제어 및 습도 제어를 행하는 데다가, 배양 공간 내의 CO2 가스 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CO2 인큐베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CO2 인큐베이터에서는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행해지면, CO2 인큐베이터의 고 내로부터 CO2 가 외부로 누출되어 고 내의 CO2 가스 농도가 변동한다. 또한, 배양 세포의 납입과 출납에 의해 자주 도어의 개폐가 행해지면, 고 내의 CO2 가스 농도가 소정의 농도로 회복되기 전에 고 내의 CO2 가스 농도가 변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세포의 배양 공간의 상태가 불안정해져 세포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종래의 CO2 인큐베이터에서는 이 CO2 가스 농도의 변동에 대해 고 내에 CO2 농도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의 출력에 의해 설정치보다 CO2 농도가 저하된 경우에 고 내로의 CO2 가스 공급의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설정치에 도달하면 폐쇄한다는 제어를 행하고 있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CO2 가스 농도 센서는 농도 검지 성능이 낮기 때문에 검출된 농도의 정밀도가 나쁘고, 게다가 검출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스 소비량을 저감하기 위해 기밀 구조가 되어 오버슈트하면 소정의 값으로 복귀하는 데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가스의 인젝션량을 적게 하여 회복을 지연시킬 수밖에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는 이러한 센서의 성능 불량에 의한 것이었지만, 결국 종래와 같이 CO2 가스 농도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CO2 가스 공급의 개폐 밸브 제어를 행하면, 미리 설정된 CO2 가스 농도에 대해 실제 CO2 가스 농도는 오버슈트 혹은 언더슈트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로 인해, 엄격한 CO2 가스 농도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여 세포의 배양 공간의 정비를 충분히 준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의 CO2 인큐베이터로서 한국 특허공개 제2004-0027395호의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가 공개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04-0027395호의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 내에 형성된 배양공간(S)에 수용한 배양물을 배양하는 CO2 인큐베이터(1)에 있어서, 단열성의 상자 부재로 이루어져 고 내에 배양 공간(S)이 형성되고 공기 교반용 송풍기(3)가 설치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접속되어 배양 공간(S) 내와 연통하는 측정용 공기 채취관(4)과, 상기 측정용 공기 채취관(4)에 펌프(5)를 거쳐 접속되어 배양공간(S) 내의 CO2 가스 농도를 검출하는 CO2가스 농도센서(6)와, 상기 CO2가스 농도센서(6)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2)에 접속되는 측정용 공기 반송관(7)과, 상기 본체(2)에 접속되어 배양공간(S) 내와 연통하는 CO2 가스 공급관(8)과, 상기 CO2 가스 공급관(8)에 전자 개폐밸브(9)를 거쳐서 접속되는 CO2 가스 봄베(A)와, 상기 CO2 가스 농도센서(6)에 입력측이 접속되고 출력측이 상기 전자 개폐밸브(9)에 접속되는 내부에 PID 연산 처리부(B')를 구비하는 CO2 가스 제어장치(B) 및, 상기 CO2 가스 제어장치(B)의 또 다른 입력측에 접속되는 표시부(C')를 구비하는 제어패널(C)로 구성되어 CO2 가스 농도의 오버슈트나 언더슈트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CO2 가스 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공개 제2004-0027395호의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는 단순히 배양공간(S) 내의 CO2 가스 농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을 뿐 세포의 배양에 필요로 하는 온도 제어 및 습도 제어 등 기타 환경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양공간(S) 내의 O2의 농도제어, 오염의 살균, 조명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특허공개 제2004-0027395호의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는 전자 현미경이나 전자 카메라 등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배양공간(S) 내의 세포 배양을 외부 노출에 의한 오염 없이 촬영하거나 관찰하여 기록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양공간(S)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각종 환경 데이터를 원격으로 감시, 설정, 제어 및 분석할 수 없고, 출력할 수 없으므로 환경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곳에서 다수인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도 적외선이나 가시광으로 세포 배양챔버 내를 조명할 수 있고, 자외선 램프로 세포 배양챔버 내 오염을 살균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세포 배양에 최적인 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는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 조명 및 살균을 원격으로 감시, 설정, 제어 및 분석하고,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 조명 및 살균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하여 다양한 곳에서 다수인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현미경이나 전자 카메라 등의 영상수단을 구비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의 세포 배양을 외부 노출에 의한 오염 없이 촬영하거나 관찰하여 기록, 감찰할 수 있으면서 사운드 수단을 설치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에서 배양되는 세포에 음악을 제공하여 세포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은 내부에 배양공간이 형성된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검출하는 분위기 검출수단(10)과;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분위기와 설정분위기를 비교하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제어하는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분위기와 설정분위기 및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에 표시되는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40)과; 상기 세포 배양챔버(11) 내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수단(50)과; 인터넷망(61)을 통해 연결되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원격으로 감시, 설정 및 분석하는 PC(60)와; 상기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의 제어에 따라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기 위해 분위기 조절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70)과; 상기 구동수단(70)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조절하는 분위기 조절수단(80) 및; 상기 세포 배양챔버(11)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수단(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서도 적외선이나 가시광으로 세포 배양챔버 내를 조명할 수 있으며, 자외선 램프로 세포 배양챔버 내 오염을 살균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세포 배양에 최적인 분위기로 제어할 수 있고, 세포 배양챔버 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 조명 및 살균을 원격으로 감시, 설정, 제어 및 분석하고, CO2 의 농도, O2의 농도, 습도, 온도, 조명 및 살균 데이터를 기록하고 출력하여 다양한 곳에서 다수인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현미경이나 전자 카메라 등의 영상수단을 구비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의 세포 배양을 외부 노출에 의한 오염 없이 촬영하거나 관찰하여 기록, 감찰할 수 있으면서 사운드 수단을 설치하여 세포 배양챔버 내에서 배양되는 세포에 음악을 제공하여 세포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CO2 인큐베이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의 전면과 좌측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의 후면과 우측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초기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메인 표시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메인메뉴화면의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CO2 농도 설정화면의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온도 설정화면의 예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O2 농도 설정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키패드화면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분위기 추세화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런 히스토리화면의 예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의 전면과 좌측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의 후면과 우측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초기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메인 표시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메인메뉴화면의 예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CO2 농도 설정화면의 예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온도 설정화면의 예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O2 농도 설정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키패드화면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분위기 추세화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행에 따른 런 히스토리화면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은 내부에 배양공간이 형성된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검출하는 분위기 검출수단(10)과;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분위기와 설정분위기를 비교하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제어하는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분위기와 설정분위기 및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에 표시되는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40)과; 상기 세포 배양챔버(11) 내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수단(50)과; 인터넷망(61)을 통해 연결되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원격으로 감시, 설정 및 분석하는 PC(60)와; 상기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의 제어에 따라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기 위해 분위기 조절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70)과; 상기 구동수단(70)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조절하는 분위기 조절수단(80) 및; 상기 세포 배양챔버(11)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수단(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은 세포 배양챔버(11) 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배양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측정수단(10a), 제 2온도측정수단(10b), 제 3온도측정수단(10c)과; 세포 배양챔버(11) 내에 설치되어 배양공간 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10d)과; 상기 세포 배양챔버(11) 내에 설치되어 배양공간 내를 촬영하는 영상수단(10e)와; 상기 세포 배양챔버(11) 내에 설치되어 배양공간의 내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CO2 농도 측정수단(10f)과; 상기 세포 배양챔버(11) 내에 설치되어 배양공간의 내의 O2 농도를 측정하는 O2 농도 측정수단(10g)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에는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수단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온도측정수단(10a), 제 2온도측정수단(10b), 제 3온도측정수단(10c) 각각의 온도측정범위는 5℃ ∼ 50℃ 이고, 습도측정수단(10d)의 습도측정범위는 60% ∼ 98% 이며, 상기 영상수단(10e)은 렌즈의 배율이 20배 ∼ 200배인 전자카메라 또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하고 USB 포트를 구비하여 촬영한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영상을 전송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CO2 농도 측정수단(10f)은 CO2 농도 측정범위가 0.1%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O2 농도 측정수단(10g)은 O2 농도농도 측정범위가 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 조성요소인 온도와 습도, CO2 농도 및 O2 농도의 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가 설정값이 되도록 구동수단(70)을 제어함으로써 분위기 조절수단(80)의 작동에 의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 조성요소인 온도와 습도, CO2 농도 및 O2 농도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으로는 LCD 모니터를 채용한 터치스크린보드를 사용하여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출력수단(40)으로는 열전사 프린터, 상기 음향수단(50)으로는 MP3와 같은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스피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70)은 히터를 구동하는 제 1 내지 제 3히터 구동수단(71 ∼ 73)과, 가습기 구동수단(74)과, CO2 밸브 구동수단(75)과, O2 밸브 구동수단(76) 및, 조명기구 구동수단(7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위기 조절수단(80)은 세포 배양챔버(11) 내를 가열하는 제 1 내지 제 3히터(81)와, 가습기(84), CO2 공급배관 상에 설치되는 CO2 밸브(85), O2 공급배관 상에 설치되는 O2 밸브(86) 및, 세포 배양챔버(11)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명기구(8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기구(87)로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조명기구 또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조명기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의 사용상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의 전면과 좌측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로서, 전면(a) 상부에는 디스플레이수단(30)이 설치되어 있고, 좌측면(b) 상부에는 다수의 환기구(30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b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의 후면과 우측면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로서, 후면(a') 상부에는 O2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O2 공급구(13)와, CO2 공급배관이 연결되는 CO2 공급구(14)와, 무선 및 인터넷 통신용 포트(15; RF/LAN) 및, 전원 콘센트(16)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면(b') 상부에는 출력수단(40)과, 메인스위치(12), 체킹밸브(17), 음향볼륨 조절기(18) 및, 온도조절기(1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온도조절기(19)는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의 이상으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분위기 조절수단(80)의 제 1 내지 제 3히터(81 ∼ 83)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내지 제 3히터(81 ∼ 8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채용한 CO2 인큐베이터를 작동시키고자 하면, 메인스위치(12)를 온시켜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즉, 메인스위치(12)를 온시켜 본 발명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으로 초기 전원을 인가하며, OS(Operating System) 부팅후 디스플레이수단(3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사로그 및 정보를 나타내는 초기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초기화면에는 필요로 하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Korean), 영어(English), 중국어(Chinese), 일본어(Japanese) 선택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초기화면(31)은 초기 부팅시에만 표시되어 약 20초간 유지된 후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자동으로 넘어가도록 하거나 화면상의 어느 곳이든 터치하면 메인 표시화면(32)이 실행된다.
메인 표시화면(3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의 상부 우측에는 현재의 날자와 시각이 표시되고, 화면의 좌측에는 CO2 농도 측정수단(10f)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CO2 농도값, 제 1 내지 제 3온도측정수단(10a ∼ 10c)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온도 평균값, O2 농도 측정수단(10g)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O2 농도값 및 습도측정수단(10d)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습도값이 표시되고, 화면의 우측에는 설정값(SV)으로 CO2 농도 설정값, 온도 설정값, O2 농도 설정값 및 습도 설정값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이 메인 표시화면(32)이 아닌 다른 화면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30초를 경과하면, 자동으로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되며, 메인메뉴창(MAIN MENU)을 터치하면, 디스플레이수단(30)의 화면은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으로 전환된다.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은 메인메뉴창(MAIN MENU)과, 메인뷰우창(MAIN VIEW), CO2 농도 설정창(CO2 SETUP), 온도 설정창(TEMP SETUP), O2 농도 설정창(O2 SETUP), 분위기 추세창(TREND) 및 히스토리 선택창(HISTORY)으로 이루어져 메인메뉴화면(33)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30초를 경과하면,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되고, 메인뷰우창(MAIN VIEW)을 터치하는 경우도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에서 CO2 농도 설정창(CO2 SETUP)을 터치하게 되면, 도 7a에 나타낸 CO2 농도 설정화면(34a)으로 전환된다.
도 7a의 CO2 농도 설정화면(34a)에서 PV는 CO2 농도 측정수단(10f)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CO2 농도값을 나타내고, SV는 CO2 농도 설정값, MAX는 CO2 농도 상한치 설정값, MIN은 CO2 농도 하한치 설정값을 각각 나타내며, SAVE는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창으로서, 설정을 완료한 후 저장창(SAVE)을 터치하거나, 메인메뉴창(MAIN MENU)을 터치하면,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으로 복귀하게 되고, CO2 농도 설정화면(34a)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30초를 경과하면,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7a의 CO2 농도 설정화면(34a)에서 숫자 표시창을 터치하면, 도 8에 나타낸 설정 키패드화면(35)으로 전환되어 설정 키패드화면(35)의 괄호( ) 내에는 CO2 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설정 키패드화면(35)의 숫자키를 터치하여 필요로 하는 CO2 농도와 관련된 설정값을 설정하게 된다. 설정값의 설정 후 저장창(SAVE)을 터치하면, 도 7a의 CO2 농도 설정화면(34a)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에서 온도 설정창(TEMP SETUP)을 터치하게 되면, 도 7b에 나타낸 온도 설정화면(34b)으로 전환된다.
도 7b의 온도 설정화면(34b)에서 TEMP1은 제 1온도측정수단(10a)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온도, TEMP2는 제 2온도측정수단(10b)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온도, TEMP3은 제 3온도측정수단(10c)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온도를 각각 나타내고, SV는 평균값으로서 온도 설정값, MAX는 평균값으로서 온도 상한치 설정값, MIN은 평균값으로서 온도 하한치 설정값을 각각 나타내며, SAVE는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창으로서, 설정을 완료한 후 저장창(SAVE)을 터치하거나, 메인메뉴창(MAIN MENU)을 터치하면,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으로 복귀하게 되고, 온도 설정화면(34b)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30초를 경과하면,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7b의 온도 설정화면(34b)에서 숫자 표시창을 터치하면, 도 8에 나타낸 설정 키패드화면(35)으로 전환되어 설정 키패드화면(35)의 괄호( ) 내에는 온도를 나타내는 TEMP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설정 키패드화면(35)의 숫자키를 터치하여 필요로 하는 온도와 관련된 설정값을 설정하게 된다. 설정값의 설정 후 저장창(SAVE)을 터치하면, 도 7b의 온도 설정화면(34b)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에서 O2 농도 설정창(O2 SETUP)을 터치하게 되면, 도 7c에 나타낸 O2 농도 설정화면(34c)으로 전환된다.
도 7c의 O2 농도 설정화면(34c)에서 PV는 O2 농도 측정수단(10g)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O2 농도값을 나타내고, SV는 O2 농도 설정값, MAX는 O2 농도 상한치 설정값, MIN은 O2 농도 하한치 설정값을 각각 나타내며, SAVE는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창으로서, 설정을 완료한 후 저장창(SAVE)을 터치하거나, 메인메뉴창(MAIN MENU)을 터치하면,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으로 복귀하게 되고, O2 농도 설정화면(34c)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30초를 경과하면,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7c의 O2 농도 설정화면(34c)에서 숫자 표시창을 터치하면, 도 8에 나타낸 설정 키패드화면(35)으로 전환되어 설정 키패드화면(35)의 괄호( ) 내에는 O2 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설정 키패드화면(35)의 숫자키를 터치하여 필요로 하는 O2 농도와 관련된 설정값을 설정하게 된다. 설정값의 설정 후 저장창(SAVE)을 터치하면, 도 7c의 O2 농도 설정화면(34c)으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에서 분위기 추세창(TREND)을 터치하게 되면, 도 9에 나타낸 분위기 추세화면(36)으로 전환된다.
도 9에 나타낸 분위기 추세화면(36)은 화면 좌측에 0℃ ∼ 100℃ 로서 상하로 표시되는 온도 표시부와, 화면 상부에 표시되는 CO2 농도, 온도 및 O2 농도 그래프 표시부, 화면 하부에 0 ∼ 240초로서 좌우로 표시되는 시간 표시부, 화면 우측에 0% ∼ 100% 로서 상하로 표시되는 O2 농도 표시부, 화면 우측에 0% ∼ 20% 로서 상하로 표시되는 CO2 농도 표시부, 화면 하부 좌측에 표시되는 실행시간(RUN TIME) 표시부, 화면 하부 우측에 표시되는 현재시각 표시부, 화면 하단의 좌측에 표시되어 분위기 추세화면(36) 상에 표시되는 내용의 저장을 실행하는 저장실행창(STRT)과 CO2 농도, 온도 및 O2 농도 추세표시를 정지시키는 정지창(STOP), 분위기 추세화면(36)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커서, 출력수단(40)인 프리터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프린트 실행창(PRINT START) 및 프린트 정지창(PRINT STOP), 그리고, 메인메뉴창(MAIN MENU)으로 이루어져 CO2 농도, 온도 및 O2 농도 추세를 그래프로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저장실행창(STRT)을 터치하면, 분위기 추세화면(36) 상에 표시되는 내용이 도표로서 저장되고, 실행시간(RUN TIME) 표시부로 저장중인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좌우 이동커서로 분위기 추세화면(36)을 좌우로 이동시켜 지나간 과거의 저장 기록을 화면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위기 프린트 실행창(PRINT START)을 터치하여 분위기 추세화면(36) 상에 표시되는 내용을 출력수단(40)인 프리터로 출력할 수 있으며, 현재시각 표시부를 통해 분위기 추세화면(36) 상의 현재 표시시각을 알 수 있고, 분위기 추세화면(36)에서 메인메뉴창(MAIN MENU)을 터치하면,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에서 히스토리 선택창(HISTORY)을 터치하게 되면, 도 10에 나타낸 런 히스토리화면(37)으로 전환된다.
도 10의 런 히스토리화면(37)은 상기 분위기 추세화면(36)에서 저장실행창(STRT)을 터치하여 분위기 추세화면(36) 상에 표시되는 내용의 기록을 도표로서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데이터 시간 표시부(DATA TIME)과 명세표시부(DESCRIPTION)으로 구성되고, 화면의 하단부에 데이터 선택창(DATA), 업 선택창(UP), 다운 선택창(DOWN) 및 메인메뉴창(MAIN MENU)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명의 시험자(연구자) 별로 별도의 시험조건의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출력하여 얻을 수 있고, 업 선택창(UP), 다운 선택창(DOWN)을 터치하여 히스토리 내역을 검색할 수 있으며, 메인메뉴창(MAIN MENU)을 터치하면, 도 6에 나타낸 메인메뉴화면(33)으로 복귀하게 되며, 런 히스토리화면(37)에서 아무런 조작 없이 30초를 경과하면, 도 5에 나타낸 메인 표시화면(32)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 즉, CO2 농도, 온도 및 O2 농도가 설정되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는 설정된 분위기로 자동으로 제어되게 된다.
온도제어
PLC(20)는 제 1 내지 제 3온도측정수단(10a ∼ 10c)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측정온도 평균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측정온도 평균값이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제 1 내지 제 3히터구동수단(71 ∼ 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제 1 내지 제 3히터(71 ∼ 73) 중 해당 히터를 가동시켜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히터(71 ∼ 73)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 또는 둘 또는 히터 전부를 가동시키게 된다.
또한, 측정온도 평균값이 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제 1 내지 제 3히터구동수단(71 ∼ 73)의 구동을 정지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제 1 내지 제 3히터(71 ∼ 73) 중 해당 히터의 가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에도 제 1 내지 제 3히터(71 ∼ 73)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 또는 둘 또는 히터 전부의 가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습도제어
PLC(20)는 습도측정수단(10d)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습도 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습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가습기 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가습기(84)를 가동시켜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습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습도 평균값이 설정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가습기 구동수단(74)의 구동을 정지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가습기(84)의 가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CO 2 농도제어
PLC(20)는 CO2 농도 측정수단(10f)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CO2 농도 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CO2 농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CO2 밸브 구동수단(75)을 구동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CO2 밸브(85)를 열어 CO2 공급배관과 CO2 밸브(85)를 통해 세포 배양챔버(11) 내로 CO2 를 공급한다.
CO2 농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CO2 밸브 구동수단(75)의 구동을 정지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CO2 밸브(85)를 닫아 CO2 공급배관과 CO2 밸브(85)를 통해 세포 배양챔버(11) 내로의 CO2 공급을 차단한다.
O 2 농도제어
PLC(20)는 O2 농도 측정수단(10g)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O2 농도 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O2 농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O2 밸브 구동수단(76)을 구동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O2 밸브(86)를 열어 O2 공급배관과 O2 밸브(86)를 통해 세포 배양챔버(11) 내로 O2 를 공급한다.
O2 농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O2 밸브 구동수단(76)의 구동을 정지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O2 밸브(86)를 닫아 O2 공급배관과 O2 밸브(86)를 통해 세포 배양챔버(11) 내로의 CO2 공급을 차단한다.
조도제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측정수단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PLC(20)는 조도측정수단이 측정한 현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조도 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조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조명기구 구동수단(77)을 구동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조명기구(87)를 점등시킨다.
조도 측정값이 설정값 보다 높은 경우에는 PLC(20)가 구동수단(70)에 있는 조명기구 구동수단(77)의 구동을 정지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조명기구(87)를 소등시킨다.
여기서 조명기구(87)는 다수 설치함으로써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조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제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에 자외선를 조사할 수 있는 자외선(UV) 램프(88)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PLC(20)로 구동수단(70)에 있는 자외선 램프 구동수단(78)을 구동시켜 분위기 조절수단(80)에 있는 자외선(UV) 램프(88)를 전등하여 세포 배양챔버(11) 내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도제어, CO2 농도제어, O2 농도제어, 조도제어 및 살균제어 상태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수단(30)의 표시상태는 인터넷을 통한 PC(60)로 원격으로 감시, 설정 및 분석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과 접속 가능하면, 여러 곳에서 다수인이 활용할 수 있고,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PC(60)로 표시되어 있으나, 예컨대 노트북, 넷북, 휴대폰 등과 같이 인터넷으로 접속 가능한 기기이면, 모두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에 있는 영상수단(10e)으로는 필요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세포 배양챔버(11) 내부의 상태를 촬영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수단(30)을 통해 표시하거나 감찰 또는 저장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여러 곳에서 다수인(시험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음향수단(40)을 구동시켜 세포 배양챔버(11) 내부에 세포 배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향볼륨 조절기(18; 도 3b 참조)로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분위기 검출수단 10a : 제 1온도측정수단
10b : 제 2온도측정수단 10c : 제 3온도측정수단
10d : 습도측정수단 10e : 영상수단
10f : CO2 농도 측정수단 10g : O2 농도 측정수단
11 : 세포 배양챔버 12 : 메인스위치
13 : O2 공급구 14 : CO2 공급구
15 : 무선 및 인터넷 통신용 포트 16 : 전원 콘센트
17 : 체킹밸브 18 : 음향볼륨 조절기
20 : PLC 30 : 디스플레이수단
30a : 환기구 40 : 출력수단
50 : 음향수단 60 : PC
70 : 구동수단 71 : 제 1히터 구동수단
72 : 제 2히터 구동수단 73 : 제 3히터 구동수단
74 : 가습기 구동수단 75 : CO2 밸브 구동수단
76 : O2 밸브 구동수단 77 : 조명기구 구동수단
80 : 분위기 조절수단 81 : 제 1히터
82 : 제 2히터 83 : 제 3히터
84 : 가습기 85 : CO2 밸브
86 : O2 밸브 87 : 조명기구
90 : 도어개폐수단 a : 챔버의 전면
a' : 챔버의 후면 b : 챔버의 좌측면
b' : 챔버의 우측면

Claims (7)

  1. 내부에 배양공간이 형성된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검출하는 분위기 검출수단(10)과;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분위기와 설정분위기를 비교하여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제어하는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와; 상기 분위기 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분위기와 설정분위기 및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30)과; 상기 디스플레이수단(30)에 표시되는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40)과; 상기 세포 배양챔버(11) 내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수단(50)과; 인터넷망(61)을 통해 연결되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원격으로 감시, 설정 및 분석하는 PC(60)와; 상기 PLC(20; Program mable Logic Controller)의 제어에 따라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기 위해 분위기 조절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70)과; 상기 구동수단(70)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세포 배양챔버(11) 내의 분위기를 조절하는 분위기 조절수단(80) 및; 상기 세포 배양챔버(11)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수단(90)으로 구성된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70)은 히터를 구동하는 제 1 내지 제 3히터 구동수단(71 ∼ 73)과, 가습기 구동수단(74)과, CO2 밸브 구동수단(75)과, O2 밸브 구동수단(76) 및, 조명기구 구동수단(77)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위기 조절수단(80)은 세포 배양챔버(11) 내를 가열하는 제 1 내지 제 3히터(81)와, 가습기(84), CO2 공급배관 상에 설치되는 CO2 밸브(85), O2 공급배관 상에 설치되는 O2 밸브(86) 및, 조명기구(8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87)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조명기구 또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조명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KR20100037894A 2010-04-23 2010-04-23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KR10141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894A KR101419915B1 (ko) 2010-04-23 2010-04-23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7894A KR101419915B1 (ko) 2010-04-23 2010-04-23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351A KR20110118351A (ko) 2011-10-31
KR101419915B1 true KR101419915B1 (ko) 2014-07-16

Family

ID=4503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7894A KR101419915B1 (ko) 2010-04-23 2010-04-23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82A (ko) 2016-10-28 2018-05-09 고려오트론(주) 인큐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30B1 (ko) * 2012-10-24 2014-05-30 비전과학(주) 가스유입조절수단이 구비된 세포배양 인큐베이터
CN103361266A (zh) * 2013-07-12 2013-10-23 昆山爱达斯工业设计有限公司 多参数微生物快速检测仪
KR102043670B1 (ko) * 2018-04-27 2019-11-12 이상인 미생물 자동관리 인큐베이터 시스템
CN108690804A (zh) * 2018-06-14 2018-10-23 山东中农绿能工程设计有限公司 生物天然气生产系统以及控制方法
CN108849103A (zh) * 2018-08-08 2018-11-23 福建农林大学 一种微环境可控的苗木培养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96A (ko) * 2004-09-30 2006-04-04 박경철 휴대형 이산화탄소 배양기
KR20080031697A (ko) * 2005-07-01 2008-04-10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인큐베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96A (ko) * 2004-09-30 2006-04-04 박경철 휴대형 이산화탄소 배양기
KR20080031697A (ko) * 2005-07-01 2008-04-10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인큐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82A (ko) 2016-10-28 2018-05-09 고려오트론(주) 인큐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351A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915B1 (ko) Co2 인큐베이터 시스템
US8563300B2 (en) Incubator
US8455241B2 (en) Culture observation system
US20160299165A1 (en) Biochip detection system
US20060023299A1 (en) Biological sample observation system and biological sample observation method
JP2020519287A (ja) モニタリングされる細胞成長のためのインキュベータ、システム、及び方法
EP3055405A1 (en) Benchtop dry incubator
WO200612467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ubating cell cultures
CN105779286A (zh) 一种多功能培养箱
JP2006204219A (ja) 細胞培養設備
KR20090011711A (ko) 계사 환경제어 장치
KR101059291B1 (ko)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
EP2130901A1 (en) Culture apparatus
KR100960106B1 (ko) 다중 세포배양기를 구비한 인큐베이터
KR101340611B1 (ko) 여러 가지 측정값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멀티 측정 기록장치
KR20170024784A (ko) 세포 배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세포 배양기
KR100579115B1 (ko) 휴대형 이산화탄소 배양기
WO2022087862A1 (zh) 一种多功能二氧化碳培养皿
US20210106984A1 (en) Configurable Workstations
CN207923847U (zh) 一种食品微生物检测装置
JP2021174008A (ja) インキュベートされた試料の検査のための顕微鏡およびかかる顕微鏡を含むシステムならびに対応する方法
CN113583840A (zh) 一种活菌培育检验箱
KR20110071879A (ko) 마이크로 세포배양기
CN207294763U (zh) 一种多种培养基共同培养装置
CN206538432U (zh) 一种微藻智能调控双层光生物培养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