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117B1 -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117B1
KR101419117B1 KR1020120071022A KR20120071022A KR101419117B1 KR 101419117 B1 KR101419117 B1 KR 101419117B1 KR 1020120071022 A KR1020120071022 A KR 1020120071022A KR 20120071022 A KR20120071022 A KR 20120071022A KR 101419117 B1 KR101419117 B1 KR 10141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ntent
category
keyword
ra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166A (ko
Inventor
서우석
고경선
위우식
Original Assignee
고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선 filed Critical 고경선
Priority to KR102012007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코드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서비스 형태를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SERVICE LINK SYSTEM AND SERVICE LINK METHOD BASED ON PLATFORM FOR RECOGNIZING KEYWORD COMBINED WITH CATEGO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각종 통신망을 통한 정보 검색이 매우 일반화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 검색은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에게 검색 작업 서비스를 지원하는 검색 서비스 운영자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운영자는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의 질의에 상응하는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운영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 맵을 구축하고 있다.
정보 맵 구조의 하나인 통합검색 구조는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정보의 종류 별로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검색 구조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정보의 종류 별로 제시하고, 이에 제시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검색 구조는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정보를 제시할 때 사용자의 정보 탐색 목적이 직접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질의 목적을 만족시키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질의에서 사용자의 정보 탐색 목적을 인식할 수 있는 플랫폼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생성 및 인식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할 수 있는 컨텐츠 랭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코드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서비스 형태를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웹사이트 바로가기, 전화 걸기, 이메일 보내기, 문자 보내기, 메모 얼럿(memo alert), 문서 연결, 멀티미디어 재생, 지도 보기, 노트 얼럿(note alert), 명함 얼럿(namecard alert)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는, 개인 또는 광고주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상기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개인 또는 광고주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아 상기 코드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와 결합된 카테고리 목록을 제공하여 상기 카테고리 목록에서 선택된 카테고리와 상기 입력된 키워드로 생성된 코드를 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방법은,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서비스 형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보 탐색 목적을 직접 반영한 코드를 생성하고 이러한 코드를 질의로 입력 받음으로써 모든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컨텐츠와 액션이 결합된 텍스트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코드 인식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해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질의로 한 검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나 코드를 기준으로 많은 사용자가 링크를 건 컨텐츠의 순위를 자동 도출함으로써, 연역적인 검색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랭킹 로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랭킹 로직을 통해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결합된 코드 생성 시 해당 코드에 대하여 컨텐츠 순위 목록 내지 보다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컨텐츠 랭킹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의 서비스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코드 활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에 매칭된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컨텐츠 랭킹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키워드에 매칭된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에 매칭된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컨텐츠 랭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를 인식하는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검색어를 단순하게 키워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와 카테고리가 결합된 코드로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생성된 코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질의(101)에 대하여 특정 컨텐츠(102)의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110)과,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에 매칭된 컨텐츠(102)의 랭킹을 도출하는 컨텐츠 랭킹 시스템(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110)과 컨텐츠 랭킹 시스템(120)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시스템 구현이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거나, 일부 구성이 다른 시스템에 상주하여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서비스 연결 방법은 카테고리와 함께 키워드를 지정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를 생성하고, 이후 플랫폼을 통해 코드가 입력되면 해당 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해당 코드의 카테고리가 지정하는 액션을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랭킹 시스템 및 컨텐츠 랭킹 방법은 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랭킹을 도출하는 것으로, 서비스 연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되어 생성된 코드 및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이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은 코드 생성부(210), 저장부(220), 및 서비스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드 생성부(210)는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테고리는 코드에 지정하고자 하는 액션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사이트 바로가기, 전화 걸기, 이메일 보내기, 문자 보내기, 메모 얼럿(memo alert), 커뮤니티 사이트 바로가기, 문서 연결, 멀티미디어(음악, 동영상 등) 재생, 지도 보기, 노트 얼럿(note alert), 명함 얼럿(namecard alert) 등의 서비스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키워드는 코드를 구별하고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문자로 지정 가능하다. 이러한 키워드는 개인 자신만이 알 수 있는 키워드(내 키워드), 누군가로부터 키워드를 전달받거나 홍보 등을 통해 인지한 키워드(공유 키워드)(예컨대, '1000 포인트 이벤트', '새로운 아반떼', 등), 직관적으로 연상되거나 검색에 이용되는 키워드(검색 키워드)(예컨대, '대리 운전', '삼성전자 채용' 등)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드는 사용자 개인은 물론, 광고주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광고주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기준으로 광고에 대한 입찰이나 광고 제공 등을 수행하는 광고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인('사용자'라 칭함)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드를 생성하는 주체들에 대한 확대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코드 생성 단계에서 카테고리(401), 키워드(402), 그리고 컨텐츠(403)를 직접 지정하게 되며, 이에 코드 생성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401)와 키워드(402)를 결합하여 컨텐츠(403)에 대한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403)는 코드에 대하여 실질적인 링크나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로, 예컨대, 카테고리(401)가 '전화걸기'로 지정되는 경우 특정 전화번호가 컨텐츠(403)로 입력되어야 한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웹사이트 바로가기'와 결합된 키워드 '서치'에 대하여 컨텐츠 'www.search.com'을 지정한 경우, 'www.search.com'로의 바로가기 액션이 가능한 코드(510)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문자 보내기'와 결합된 키워드 '고강아놀자'에 대하여 컨텐츠 '010-9900-0000'을 지정한 경우, '010-9900-0000'로의 문자 보내기 액션이 가능한 코드(520)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메일 보내기'와 결합된 키워드 '1'에 대하여 컨텐츠 'win@find.com'을 지정한 경우, 'win@find.com'로의 메일 보내기 액션이 가능한 코드(530)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메모 얼럿'과 결합된 키워드 '선영아사랑해'에 대하여 컨텐츠 '내가 널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지정한 경우, '내가 널 얼마나 사랑하는지…'의 메모 얼럿 액션이 가능한 코드(540)가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되어 생성된 코드를 코드 생성 시 입력된 컨텐츠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저장부(220)는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 각각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를 매칭하여 기록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20)는 코드 및 컨텐츠를 해당 코드를 생성한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30)는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통해 컨텐츠와 함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서비스 형태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결합된 코드를 호출하여 해당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와 카테고리 액션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만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워드와 결합된 카테고리 목록을 우선 제공한 후, 사용자가 카테고리 목록에서 선택한 카테고리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로 결합된 코드를 호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코드 내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형태의 서비스를 즉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부(230)는 내부 서비스와 외부 서비스를 연결하는 서비스 연결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코드에 지정되어 있는 카테고리 액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서비스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과 관련된 서버가 관리하는 자사의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외부 서비스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과 관련된 서버가 직접 관리하지 않는 타사의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부(230)는 코드로부터 인식된 컨텐츠와 카테고리 액션을 통해 사용자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코드 인식이 가능한 플랫폼(웹, 모바일 등)에 접속하여 코드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해당 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컨텐츠와 함께 카테고리가 지정하는 액션을 취하게 된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코드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질의 입력 바에 카테고리 '전화걸기'와 키워드 '고강아놀자'로 결합된 코드를 입력하면 '010-9900-0000'로 바로 전화가 연결된다. 도 5를 통해 설명한 코드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카테고리 '웹사이트 바로가기'와 키워드 '서치'로 결합된 코드(510)를 입력하면 웹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 'www.search.com'을 즉시 열게 되고, 사용자가 카테고리 '문자 보내기'와 키워드 '고강아놀자'로 결합된 코드(520)를 입력하면 '010-9900-0000'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작성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컨텐츠와 액션이 결합된 텍스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코드 인식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해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질의로 한 검색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은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사용자 간에 공유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한 코드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컨텐츠와 액션이 결합된 코드를 서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연결 방법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개인 또는 광고주로부터 카테고리와, 키워드, 그리고 컨텐츠를 입력 받아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이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웹사이트 바로가기, 전화 걸기, 이메일 보내기, 문자 보내기, 메모 얼럿(memo alert), 커뮤니티 사이트 바로가기, 문서 연결, 멀티미디어(음악, 동영상 등) 재생, 지도 보기, 노트 얼럿(note alert), 명함 얼럿(namecard alert) 등의 서비스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키워드는 코드를 구별하고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 자신만이 알 수 있는 키워드(내 키워드), 누군가로부터 키워드를 전달받거나 홍보 등을 통해 인지한 키워드(공유 키워드), 직관적으로 연상되거나 검색에 이용되는 키워드(검색 키워드) 등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코드에 대하여 실질적인 링크나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로, 예컨대, 카테고리가 '전화걸기'로 지정되는 경우 특정 전화번호가 컨텐츠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되어 생성된 코드를 코드 생성 시 입력된 컨텐츠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를 통해 컨텐츠와 함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서비스 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카테고리와 키워드로 결합된 코드를 호출하여 해당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와 카테고리 액션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만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워드와 결합된 카테고리 목록을 우선 제공한 후, 사용자가 카테고리 목록에서 선택한 카테고리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로 결합된 코드를 호출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코드 내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형태의 서비스를 즉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내부 서비스와 외부 서비스를 연결하는 서비스 연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코드에 지정되어 있는 카테고리 액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코드 인식이 가능한 플랫폼(웹, 모바일 등)에 접속하여 코드를 입력하면 해당 코드에 매칭되어 있는 컨텐츠와 함께 카테고리가 지정하는 액션을 바로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정보 탐색 목적을 직접 반영한 코드를 생성하고 이러한 코드를 질의로 입력 받음으로써 모든 질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컨텐츠 랭킹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수집부(710), 순위 산출부(720), 및 순위 제공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과의 연동을 통해 상호 간에 필요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다.
수집부(710)는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 및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집부(710)는 코드의 생성 및 인식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하여 개인 또는 광고주에 의해 생성된 코드, 및 각 코드 별로 카테고리와, 키워드, 그리고 컨텐츠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코드 및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수집부(71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의 저장부(220)를 활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순위 산출부(720)는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로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순위 산출부(720)는 컨텐츠 각각이 코드에 매칭된 횟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순위 산출부(720)는 동일 키워드 또는 동일 코드 별로 컨텐츠 각각이 코드에 매칭된 횟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랭킹 로직 1). 즉, 동일 키워드(또는 동일 코드)에 많은 사람들이 등록한 컨텐츠가 좋은 컨텐츠라는 개념의 랭킹을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순위 산출부(720)는 키워드 또는 코드와 무관하게 코드 전체에 대하여 컨텐츠가 코드에 매칭된 전체 횟수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랭킹 로직 2). 이는, 특정 키워드에 얼마나 많이 등록되었는지에 대한 랭킹이 아니라, 전체 코드에서 실제 매칭된 키워드나 코드가 달라도 얼마나 많이 등록되었는지에 대한 컨텐츠 자체만의 권위를 측정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순위 산출부(720)는 키워드 또는 코드와 무관하게 코드 전체에 대하여 컨텐츠가 코드에 매칭된 전체 횟수에 따른 가중치를, 동일 키워드 또는 동일 코드에 대한 컨텐츠의 순위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랭킹 로직 3). 즉, 랭킹 로직 3은 상기한 랭킹 로직 1에, 랭킹 로직 2를 포함한 추가적인 다른 지표(예컨대, 컨텐츠 자체의 권위 스코어링, 키워드가 달라도 코드 전체에서 해당 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중 등)에 따른 가중치들이 조합되어 최종 랭킹 로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랭킹 로직 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랭킹 로직 1은 동일 키워드 또는 동일 코드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각각 컨텐츠를 등록하였을 때, 코드에 등록된 컨텐츠의 중복을 확인 및 체크하여 비중을 구하고 그 결과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는 로직이다. 코드 A를 등록한 사용자의 수를 n(즉, 코드 A에 등록된 개별 컨텐츠의 개수)이라고 하고, 코드 A에 등록된 n개의 컨텐츠에 대한 중복 제거된 고유 값을 각각 a, b, c라고 하면, 코드 A에 대한 컨텐츠 랭킹은 a의 랭킹값=a/n, b의 랭킹값=b/n, c의 랭킹값=c/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810) 테이블은 카테고리 '웹사이트 바로가기'와 키워드 '서치'로 생성된 코드('웹_서치')에 대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등록된 컨텐츠를 모두 수집한 것이다. 이때, 순위 산출부(720)는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의 중복을 체크함으로써 수집된 컨텐츠에 대한 고유 값(820)을 도출할 수 있다. 즉, (810) 테이블의 컨텐츠에 대한 고유 값(820)은 'www.search.com', 'www.portal.net', 'www.engine.com'와 같다. 그리고, 순위 산출부(720)는 고유 값(820)에 해당되는 각각의 컨텐츠 별로 테이블(810)에서 차지하는 비중, 즉 해당 컨텐츠가 코드에 매칭된 횟수를 카운트 하여 카운트 된 횟수를 기준으로 랭킹(830)을 도출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 코드 '웹_서치'에 대하여 'www.search.com'가 6명의 사용자에 의해 6번 등록되고, 'www.portal.net'가 3명의 사용자에 의해 3번 등록되고, 'www.engine.com'가 1명의 사용자에 의해 1번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www.search.com', 'www.portal.net', 'www.engine.com'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0%, 30%, 10%이므로 컨텐츠의 랭킹(830)은 'www.search.com'가 1위, 'www.portal.net'가 2위, 'www.engine.com'가 3위로 결정된다.
또한, 순위 산출부(720)는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중복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www.search.com', 'search.com', 'www.search.com/main.htm' 등은 실제 링크 페이지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컨텐츠로 처리할 수 있다.
순위 제공부(730)는 특정 키워드 또는 특정 코드에 대하여 순위 산출부(720)에서 산출된 순위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순위 제공부(730)는 랭킹 로직 1과 3에 따라 산출된, 특정 키워드 또는 특정 코드에 대한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랭킹 로직 2에 따라 산출된 전체 키워드 또는 전체 코드에 대한 컨텐츠 자체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순위 제공부(73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순위 정보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으로 전달되어 코드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많이 등록된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코드에 매칭할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에 매칭된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컨텐츠 랭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랭킹 방법은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카테고리와 키워드가 결합된 코드, 및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를 수집한다. 이때,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코드의 생성 및 인식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하여 개인 또는 광고주에 의해 생성된 코드, 및 각 코드 별로 카테고리와, 키워드, 그리고 컨텐츠를 획득한다.
단계(920)에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파악하여 컨텐츠의 랭킹을 도출하는 로직으로, 컨텐츠 각각이 코드에 매칭된 횟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동일 키워드 또는 동일 코드 별로 컨텐츠 각각이 코드에 매칭된 횟수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랭킹 로직 1). 다른 예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키워드 또는 코드와 무관하게 코드 전체에 대하여 컨텐츠가 코드에 매칭된 전체 횟수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랭킹 로직 2). 또 다른 예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키워드 또는 코드와 무관하게 코드 전체에 대하여 컨텐츠가 코드에 매칭된 전체 횟수에 따른 가중치를, 동일 키워드 또는 동일 코드에 대한 컨텐츠의 순위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랭킹 로직 3). 그리고,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중복 체크를 통해 동일한 컨텐츠 별로 각 코드에 매칭된 횟수를 카운트 하여 카운트 된 횟수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코드에 매칭된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컨텐츠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중복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특정 키워드 또는 특정 코드에 대하여 순위 산출부(720)에서 산출된 순위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랭킹 로직 1과 3에 따라 산출된, 특정 키워드 또는 특정 코드에 대한 컨텐츠의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랭킹 로직 2에 따라 산출된 전체 키워드 또는 전체 코드에 대한 컨텐츠 자체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단계(920)에서 산출되는 컨텐츠의 순위 정보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200)으로 전달되어 코드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많이 등록된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코드에 매칭할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랭킹 시스템(700)은 코드 생성 시 많은 사람이 링크를 건 컨텐츠일수록 신뢰성 있고 좋은 컨텐츠라는 개념에서 기본적으로 여론조사(poll)의 개념을 적용한 랭킹 로직을 제공하는 것으로, 연역적인 검색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랭킹 로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서비스 연결 시스템
210: 코드 생성부
220: 저장부
230: 서비스 제공부
700: 컨텐츠 랭킹 시스템
710: 수집부
720: 순위 산출부
730: 순위 제공부

Claims (10)

  1. 서비스 형태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결합하여 특정 컨텐츠에 대한 코드로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코드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서비스 형태를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코드에 지정하고자 하는 액션으로서, 웹사이트 바로가기, 전화 걸기, 이메일 보내기, 문자 보내기, 메모 얼럿(memo alert), 문서 연결, 멀티미디어 재생, 지도 보기, 노트 얼럿(note alert), 명함 얼럿(namecard alert)으로 구분된 서비스 형태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되고,
    상기 키워드는 상기 코드를 구별하여 호출하기 위한 문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코드에 대하여 상기 카테고리로 지정된 액션을 위한 실질적인 링크나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코드를 바로 호출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만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워드와 결합된 카테고리 목록을 우선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테고리 목록에서 상기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상기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코드에 매칭된 상기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통해 지정된 액션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연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71022A 2012-06-29 2012-06-29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022A KR101419117B1 (ko) 2012-06-29 2012-06-29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022A KR101419117B1 (ko) 2012-06-29 2012-06-29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66A KR20140003166A (ko) 2014-01-09
KR101419117B1 true KR101419117B1 (ko) 2014-07-16

Family

ID=5013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022A KR101419117B1 (ko) 2012-06-29 2012-06-29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1040B (zh) * 2020-06-30 2024-01-12 深圳市世强元件网络有限公司 一种网络平台内部服务实体服务入口的推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418A (ko) * 2001-03-06 2002-09-12 김시환 정보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40062900A (ko) * 2003-05-01 2004-07-09 주식회사 유비즈커뮤니케이션 키워드를 이용한 웹사이트 자동 연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90002325A (ko) * 2006-12-07 2009-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중계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72110A (ko) * 2008-12-04 2010-06-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418A (ko) * 2001-03-06 2002-09-12 김시환 정보 검색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40062900A (ko) * 2003-05-01 2004-07-09 주식회사 유비즈커뮤니케이션 키워드를 이용한 웹사이트 자동 연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90002325A (ko) * 2006-12-07 2009-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중계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72110A (ko) * 2008-12-04 2010-06-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66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344B1 (ko) 최근 이력에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JP5328896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を活用したクエリーの絞込みおよび提案
US8386476B2 (en) Computer-implemented search using result matching
US76241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by attribute
KR101681280B1 (ko) 쿼리 제안들로서 사용자 입력에 관련된 답변 상자들을 선택 및 제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KR101132509B1 (ko)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US11042590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personalized search query suggestions
US200600800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ndidate matching
US20080065633A1 (en) Job Search Engine and Methods of Use
US20170011112A1 (en) Entity page generation and entity related searching
KR20110050478A (ko) 검색 질의에 응답하여 디스커션 스레드에 대한 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899728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ranking personalized and generic search query suggestions
KR20160010416A (ko) 맞춤형 실시간 지능 채널
CN106663100B (zh) 多域查询补全
JP2008529179A (ja) 自然言語によってモバイル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836169B2 (en) Methods, systems and techniques for providing search query suggestions based on non-personal data and user personal data according to availability of user personal data
US9275421B2 (en) Triggering social pages
KR20110086233A (ko) 공통 관심 사용자 검색장치 및 방법
JP5221664B2 (ja) 情報マップ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マップ管理方法
CN103678624A (zh) 搜索方法、搜索服务器、搜索请求执行方法及终端
WO2014186324A1 (en) Answering people-related questions
US9514198B1 (en) Suggesting a tag to promote a discussion topic
KR101419117B1 (ko) 카테고리와 결합된 키워드를 인식하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4970B1 (ko) 사용자 검색의도에 부합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2693267A (zh) 扩大搜索结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