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114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114B1
KR101418114B1 KR1020070027841A KR20070027841A KR101418114B1 KR 101418114 B1 KR101418114 B1 KR 101418114B1 KR 1020070027841 A KR1020070027841 A KR 1020070027841A KR 20070027841 A KR20070027841 A KR 20070027841A KR 101418114 B1 KR101418114 B1 KR 10141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information
terminal
m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616A (ko
Inventor
곽용준
이주호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OFDM, resource management, control signaling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ssignment using variable size of resource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OFDM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OFDM 시스템의 리소스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리소스 단위를 다양하게 가져가는 경우, 주파수 대역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 송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리소스 맵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지시자를 이용하여 리소스 단위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기지국의 시그널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에서 고속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OFDM 방식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직렬로 입력되는 심볼(Symbol) 열을 병렬 변환하고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들, 즉 다수의 서브 캐리어 채널(sub-carrier channel)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멀티캐리어 변조(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의 일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OFDM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OFDM 송신기는 부호화기(101)와 변조기(102)와 직/병렬 변환기(103)와 IFFT(104) 블록과 병/직렬 변환기(105)와 CP삽입기(10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부호화기(101)는 일명, 채널 인코딩(Channel encoding) 블록이라 하며, 소정의 정보 비트(Information bits)열을 입력으로 받아 채널 부호화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부호화기(101)로 길쌈 부호기(Convolutional encoder), 터보 부호기(Turbo encoder) 또는 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기 등이 사용된다.
변조기(102)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8PSK, 16QAM, 64 QAM, 256QAM 등의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부호화기(101)와 변조기(102) 사이에 반복(Repetition) 및 천공(Puncturing) 등을 수행하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블록이 추가로 들어갈 수 있다.
직/병렬 변환기(103)는 변조기(102)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신호를 병렬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블록(104)은 직/병렬 변환기(103) 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IFFT 연산을 수행한다. IFFT 블록(104)의 출력은 병/직렬 변환기(105) 변환된다. CP 삽입기(106)에서는 병/직렬 변환기(105)의 출력 신호에 순환전치부호(Cyclic Prefix; 이하 CP라 함)를 삽입한다.
OFDM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무선 리소스를 시간 축과 주파수 축의 2차원 배 열로 표현 가능하게 되는데, 일 예로 OFDM 방식의 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경우 도 2와 같은 리소스 표현이 가능하다.
도 2는 일반적인 OFDM 시스템의 리소스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 축(201)을, 세로축은 주파수 축(202)을 가리키고 있다. 시간 축으로 7개의 OFDM 심볼을 하나의 슬롯(204)이라 하고, 두 개의 슬롯을 묶어 서브프레임(205)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205)이 기본적인 전송 단위인 TTI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전체 주파수 대역(Bandwidth, 203)에 대하여 12개의 서브케리어를 묶어, 하나의 TTI 구간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이하 'PRB'라 칭함, 206)으로 나타내어 데이터 전송 단위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PRB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할당 할 수 있는 최소 리소스 단위를 의미하며, 기지국은 스케쥴링을 통하여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PRB를 단말에게 할당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PRB를 이용하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은 국지 전송(localized transmission) 방식과 분산 전송(distribute transmission)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국지 전송 방식은 상기 PRB를 한 개 혹은 복수 개를 한 단말이 할당을 받아서 상기 할당 받은 PRB 전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국지 전송 방식은 저속 단말이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을 크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반면, 분산 전송 방식은 단말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식으로 여러 단말이 하나의 PRB를 나누어 사용을 하게 된다. 즉, 임 의 복수개의 PRB를 묶어서 복수개의 단말이 상기 PRB들에 섞여서 함께 사용하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게 된다.
일 예로, 주파수 측에서 최대한 떨어져 있는 3개의 PRB를 3개의 단말에게 할당을 해주고, 상기 3개의 단말은 상기 3개의 PRB를 공유하여 나누어 사용을 함으로써 하나의 단말은 하나의 PRB가 가지는 양만큼의 리소스를 할당 받으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국지 전송 방법을 위하여 기지국은 각 단말에게 필요한 개수의 PRB를 할당해야 하는데, 단말의 상태와 기지국의 상태를 고려하여 하나의 단말에게 할당되는 PRB의 개수는 한 개, 혹은 복수 개가 가능하다. 만일 하나의 단말에게 복수 개의 PRB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할당하는 PRB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해 줄 수 있을 때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을 최대화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하나의 단말에게 PRB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하기 위하여는 비트맵 (BITMAP) 방법과 같은 시그널링이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비트맵 방법은 하나의 단말에게 전체 PRB의 개수 만큼의 비트 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커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일례로, 10MHz 시스템 밴드를 가지는 LTE 시스템의 경우는 50개의 PRB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하나의 PRB 단위로의 비트맵 방법을 가정하였을 때 하나의 단말에게 리소스 할당을 위하여 50비트의 정보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한정되는 있는 리소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신호 즉, 상기 할당된 리소스 정보 전송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매우 크다고 말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리소스 할당을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리소스 단위로 할당 받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버퍼 상태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리소스 단위로 할당 받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리소스를 할당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LTE 시스템을 예로 들어 기술되었지만, 기지국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 별다른 가감 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 할당을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제어 정보와 데이터의 다중화에 따른 순방향 리소스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우선 임의의 셀에 속한 단말들을 상기 단말들의 채널 상황, 혹은 버퍼 상태 등을 고려하여 리소스 할당 설정을 변화시켜서 상황에 맞는 리소스 할당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최적화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리소스 할당 설정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단말에게 전달 할 수 있으며, 혹은 각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 링을 통하여 알려 줄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에도 임의의 주기를 가진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는, 상기 주기 사이에는 바로 이전에 정해진 리소스 할당 방법이 계속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매 TTI 마다 리소스 할당 방법을 바꿀 수 있도록 매 TTI마다 브로드캐스트 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단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단말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의 PRB를 묶어서 하나의 리소스 할당 단위로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임의의 기지국(혹은 셀)은 상황을 고려하여 리소스 할당에 효과적인 PRB 개수 단위를 정하고 상기 단위 정보를 현재 상기 기지국에 포함된 모든 단말에게 알려 준다.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게 리소스 할당을 수행함에 있어서, 설정된 PRB 크기의 할당 단위를 이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리소스 단위를 다양하게 가져가는 경우, 주파수 대역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25개의 PRB를 가지는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상기 도 3의 302는 리소스 할당 단위가 하나의 PRB를 나타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상기 302의 설정이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 가장 유연성이 좋고,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이 가장 큰 방식이지만, 반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가장 크게 된다. 즉, 하나의 단말에게 비트맵(BITMAP) 방식을 이용한 리소스 할당에 필요한 시그널링 비트의 수는 25비트가 된다.
반면, 도 3의 303은 리소스 할당 단위를 두 개의 PRB로 설정한 모습이다. 전체 PRB 개수가 25개이기 때문에 두 개의 PRB씩 묶어서 12개의 그룹을 만들고, 마지막 그룹은 하나로 설정되었다. 즉, 상기 기지국이 리소스 할당 단위를 PRB 두 개로 설정하게 되면, 기지국은 30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13개의 할당 단위를 이용하여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게 되고, 따라서 각 단말 당 13비트의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이는 상기 302의 하나의 PRB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과 비교해서 12비트의 시그널링을 줄일 수 있지만, 반면, 스케쥴링을 두개의 PRB 단위로 수행함에 따라서 두개의 PRB가 필요 없는 단말, 혹은 할당 받고 싶은 두 개의 PRB가 각각 떨어져 있는 단말 등에 있어서 스케쥴링 성능의 감소를 동반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304는 리소스 할당 단위를 세 개의 PRB로 설정한 모습이다. 전체 PRB 개수가 25개이기 때문에 3개의 PRB씩 묶어서 8개의 그룹을 만들고 마지막 그룹은 하나로 설정되었다. 즉, 상기 기지국이 리소스 할당 단위를 PRB 세 개로 설정하게 되면, 기지국은 30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9개의 할당 단위를 이용하여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게 되고, 따라서 각 단말 당 9비트의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앞서 302와 같은 1개의 PRB, 혹은 303와 같은 2개의 PRB 단위를 이용하여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해서, 304의 리소스 할당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줄일 수 있지만, 물론 스케쥴링 성능의 감소를 동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들이 원하는 데이터의 양, 혹은 단말들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리소스 할당 단위를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의 리소소 할당 단위 설정 과정과 이에 따른 리소스 할당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 과정(401)이 시작되면, 기지국은 402과정에서 상기 기지국에 속한 단말들 각각의 채널 상황, 혹은 버퍼 상태 등을 판단한다.
403과정에서 상기 기지국은 각 단말의 상황에 적당한 리소스 할당 단위를 설정하고 404과정에서 기지국에 속한 단말들로 상기에서 설정한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의 채널 상황이 좋고 시그널링을 위한 충분한 리소스가 존재한다면, 리소스 할당 단위는 하나의 PRB와 같은 작은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즉,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 가장 유연성이 좋고,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이 가장 큰 방식을 적용한다. 반면, 단말의 채널 상황이 좋으나, 시그널링을 위한 충분한 리소스가 존재 하지 않는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PRB를 가지고, 리소스 할당 단위를 설정하여 시그널링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를 고려하여 유연성이 있게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한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의 전송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한번에 모든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혹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하여 각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이어 405과정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리소스 할당 단위를 고려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406과정에서 상기 스케쥴링을 통해 결정된 리소스 할당을 상기 설정된 리소스 할당 단위에 맞는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할당되는 단말에게 전송 하고 407과정에서 과정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동작은 도시한 도면으로, 기지국이 리소스 할당 설정을 변화시킴에 따라 단말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동작이 시작(501)되면, 단말은 502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를 수신한다.
503과정에서 상기 설정된 리소스 할당 단위에 맞는 시그널링 형식을 통하여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된다.
일 예로, cat 0 라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동일한 정보를 모든 단말들이 수신한다. 상기 cat 0 은 시그널링 채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브로드캐스트 되는 정보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또한, 상위 시그널링이란 단말별로 각각,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포함시켜서 단말에게 시그널링해 주는 방법이다. 일 예로, RRC 정보 전송이 상위 시그널링이라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위 시그널링을 포함시킨 이유는 데이터 전송을 받는 단말, 즉 active state 단말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받지 않는 상황을 포함하기 위함이다.
504과정에서 상기 수신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리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 수신을 수행한 후 505과정에서 동작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따른 기지국의 송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케쥴러(602)는 단말의 채널 상황 혹은 버퍼 상태를 판단하여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601)를 이용하여 자신의 제어 하에 있는 단말들 각각에 대한 리소스 할당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상기 설정된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는 메모리 부(601)에 저장된다.
리소스 할당 정보 생성부(603)는 상기 스케쥴링을 통해 결정된 단말에 대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리소스 할당 정보 생성부(603)는 상기 설정된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601)에 따른 적당한 전송 형식의 정보도 생성하게 된다.
전송부(604)는 상기 생성된 리소스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전송 형식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수신부(701)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 메모리(702)는 상기 수신된 신호중에서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리소스 할당 정보 복호화기(703)는 상기 수신부(70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설정된 복호화 방식에 따라 복호화 한다. 즉, 수신 신호중에서 리소스 할당 정보를 복호화한다.
획득부(704)는 상기 복호화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의 리소스 할당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에게 리소스가 할당된 경우, 상기 복호화된 리소스 할당 정 보와 상기 메모리(702)에 저장되어 있는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전체 리소스를 얻어내게 된다.
그 후, 상기 수신부(701)는 상기 획득한 전체 리소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 1>에서는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황을 고려하여 기지국은 리소스 할당 단위를 하나의 PRB로 설정하거나, 두 개의 PRB로 설정하거나, 혹은 그보다 큰 복수 개의 PRB로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는 그 외의 정수배의PRB를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황을 고려하여 다른 정수의 PRB을 하나의 리소스 할당 단위로 설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리소스 할당 단위를 표현하는 BITMAP의 비트 수는 가변적으로 설정되며,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이용한 리소스 할당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동시에 스케쥴링 되는 단말들 중에는 적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단말이 있을 수 있음과 동시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단말이 함께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PRB만을 스케쥴링 되어야 하는 단말과 두개 이상의 PRB가 스케쥴링 되어야 하는 단말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RB 사이즈가 매우 크지 않음을 가정할 때, 단말의 채널 상태에 따라서 PRB 단위로 채널 응답(channel response)의 차이가 크지 않아서 인접한 PRB의 채널 응답이 거의 비슷한 단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의 상황을 고려하여 도 8과 같이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리소스 맵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때, 상기 상기 맵 안에서 비트맵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리소스 할당을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리소스 맵의 한 예를 보여준다. 상기 리소스 단위는 일정하게 하나로 크기로 고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80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전체 대역(5MH)이 25 PRB을 가지고 있다.
802, 805, 808,811, 814에서 리소스 할당 단위는 하나의 PRB 크기로 동일하다.
반면, 803, 806, 809, 812에서 리소스 할당 단위는 두 개의 PRB 크기로 동일하다.
한편, 804, 807, 810, 813에서 리소스 할당 단위는 세 개의 PRB 크기로 동일하다.
즉, 상기 실시 예 2에 따라 3가지의 다른 크기를 가지는 리소스 단위들을 이용하여 전체 주파수 대역을 구분하여 상기 불규칙한 크기의 리소스를 단말에게 할당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주는 이득은 동시에 스케쥴링 되는 단말은 필요로 하는 PRB의 크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장 작은 단위(일 예로, 도 8에서는 PRB 한 개의 크기와 같은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받는 단말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단말을 위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단말이 상기 작은 단위(일 예로, 한 개의 리소스 할당 단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인접한 PRB 들 사이의 채널 응답은 비슷하다고 가정하면, 여러 개의 PRB를 묶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함께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실시 예 2와 같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들며, 채널 응답은 비슷한 단말들에 대응하여 동일한PRB들을 적응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라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리소스 맵은 리소스 단위의 크기와 각 크기의 리소스 들이 주파수상에서의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일 크기의 리소스 들은 최대한 전대역에 걸쳐서 퍼뜨려서 존재하는 것이 스케쥴링 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PRB 크기의 리소스를 원하는 단말은 스케쥴링 하기 위하여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802, 805, 808, 811, 814의 리소스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들은 전체적으로 서로 떨어져서 전대역에 걸쳐서 퍼뜨려져 있으므로, 각 리소스 사이에 채널 응답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리소스 맵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4가지 리소스 맵은 모두 25개의 PRB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3비트만을 이용하여 비트맵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9에서 일 예로 모두 같은 크기의 리소스 들은 주파수 상에서 모여 있지 않으며, 전대역으로 퍼뜨려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리소스 맵은 사용되는 리소스 단위의 크기와 각 크기의 리소스의 개수들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시 이득이 있게 된다.
도 9의 901은 4개의 PRB 1개 크기 단위(0, 4, 8, 12), 6개의 PRB 2개 크기 단위(1, 3, 5, 7, 9, 11), 3개의 PRB 3개 크기 단위(2, 6, 10)로 구성되어 있다.
902와 903은 5개의 PRB 1개 크기 단위, 4개의 PRB 2개 크기 단위, 4개의 PRB 3개 크기 단위로 구성되는 면에서는 동일하지만, 각 크기의 리소스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902는 리소스 할당 단위로써 0, 3, 6, 9, 12이 하나의 PRB로 설정되어 있고, 1, 4, 7, 10이 두 개의 PRB로 설정되어 있고, 그리고 2, 5, 8, 11이 세 개의 PRB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903는 리소스 할당 단위로써 1, 4, 7, 11, 12이 하나의 PRB로 설정되어 있고, 2, 5, 8 , 10이 두 개의 PRB로 설정되어 있고, 0, 3, 6, 9가 세 개의 PRB로 설정되어 있다.
반면, 904는 9개의 PRB 1개 크기 단위와 4개의 PRB 4개 크기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서 앞의 901, 902, 903과 다르게 PRB 1개 크기(0, 2, 3, 5, 6, 8, 9, 11, 12)의 리소스 할당 단위와 PRB 4개 크기(1, 4, 7, 10)의 리소스 할당 단위만을 이용하여 리소스 맵이 구성하고 있다. 믈론 상기에서 리소스 할당 단위는 1, 2, 3, 4 개 이외의 크기도 가능하다.
하기의 도 10내지 13에서는 상기 도 8 및 도 9의 불규칙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가지는 리소스 맵을 이용하여 리소스 할당을 수행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실시 예 2>
본 발명의실시예 2에서는 리소스 맵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직접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기지국은 임의의 구간동안 설정할 리소스 맵을 정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리소스를 할당 받는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주게 되는데, 상기 기지국이 리소스 맵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 주는 방법으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단말에게 전달 하는 방법과 각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링을 통하여 알려 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에도 임의의 주기를 가진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는, 상기 주기 사이에는 바로 이전에 설정된 리소스 맵이 계속 사용되게 된다.
또는 매 TTI 마다 리소스 맵을 바꿀 수 있도록 매 TTI마다 브로드캐스트 되는 정보(LTE에서 사용되는 Cat 0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소스 맵 정보를 모든 단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이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리소스가 할당되는 단말이 필요로 하는 리소스의 크기 정보와,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려주는 채널 상황 정보(CQI) 등을 이용하여 상황에 맞는 적당한 리소스 맵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이 리소스 맵을 단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리소스 맵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리소스 맵의 구조 자체를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임의의 다수 개의 리소스 맵을 미리 정하고, 이중에서 하나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리소스 맵을 미리 정하는 경우에는 전제 가능한 리소스 맵 중에서 허용 가능한 리소스 맵 자체를 단말에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허용 가능한 리소스 맵의 수를 줄이고, 그 안에서 리소스 맵 하나를 지시하게 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대한 기지국, 단말 동작과 기지국, 장치 도면은 실시예 1에 대한 기지국, 단말 동작과 기지국, 장치 도면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대신 실시예 1에서 기지국이 설정하고 단말이 해석하는 부분이 리소스 단위의 크기였던 거에 비해, 본발명의 <실시 예 2>에서는 기지국이 설정하고 단말이 해석하는 부분이 리소스 맵으로 바뀌어 동작하게 된다.
<실시 예 3>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리소스 맵을 기지국이 매번 설정하지 않고, 정해진 임의의 복수 개의 리소스 맵을 미리 정하고, 시간에 따라서 다른 리소스 맵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기지국과 단말은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리소스 맵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시간정보에 따라 임의의 시간 구간에 어떠한 리소스 맵이 사용되는 지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과 단말이 공유한다.
일 예로 리소스 맵을 상기 도 9의 4가지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기지국과 단말은 TTI에 따라서 도 9의 901의 리소스 맵과, 902, 903, 904의 리소스 맵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라 다른 리소스 맵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가능한 리소스 맵을 위하여 기지국과 단말이 미리 정해진 리소스 맵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혹은 상위 시그널링, 혹은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통하여 가능한 복수개의 리소스 맵의 구성을 각각 알려 주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리소스 맵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하기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동일 크기의 리소스 단위에 대하여 다른 리소스 맵에 대하여는 최대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임의의 크기의 리소스 단위에 대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 대역에 걸쳐서 위치하게 한다.
상기 크기의 리소스를 할당 받기 원하는 단말이 현재 시점에서 가장 선호하는 주파수 위치에서 크기가 다른 리소스 단위가 위치하는 리소스 맵이 사용되고 있다면, 시간적으로 기다린 후 상기 위치에서 원하는 크기의 리소스 단위가 위치하는 리소스 맵이 설정되는 시간에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리소스 맵을 사용한다면, 전송 지연보다 시스템 성능을 높이는 데 있어서 이득을 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소스 할당 방법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리소스를 할당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과정에서 송신 과정이 시작되면 기지국은 1002과정에서 현재 시간 정보를 판단한다. 현재 시간 정보는 TTI, 혹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1003과정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정해지는 리소스 맵을 설정하고 1004과정에서 상기 설정된 리소스 맵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일 예로 리소스 맵을 상기 도 9의 4가지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기지국과 단말은 TTI에 따라서 901의 리소스 맵과, 902, 903, 904의 리소스 맵을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되는 리소소 맵을 지시자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1005과정에서 스케쥴링을 통해 결정된 리소스 할당을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할당되는 단말에게 전송하고, 1006과정에서 종료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소스 할당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하여 할당되는 리소스를 찾아내는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도 11를 참조하면, 1101과정에서 단말 동작이 시작되면 단말은 1102과정에서 우선 현재 시간 정보를 판단한다. 여기서, 현재 시간 정보는 TTI, 혹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1103과정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리소스 맵을 설 정한다. 1104과정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리소스 할당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리소스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1105과정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상기 설정된 리소스 맵에 따라 확인하여 실제로 자신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결정한다.
1106과정에서 상기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 수신을 수행한 후 1107과정에서 동작을 종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로,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소스 할당 방법에 따라 기지국의 송신 장치를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 송신기는 메모리(1201)에 가능한 모든 리소스 맵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리소스 맵들은 미리 정해진 리소스 맵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혹은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정해지는 리소스 맵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케쥴러(1203)는 상기 메모리(1201)에 포함된 복수 개의 리소스 맵과, TTI 혹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1202)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리소스 맵을 결정하고, 상기 리소스 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리소스 할당 정보 생성부(1204)는 상기 스케쥴러(1203)에 따라 리소스가 할당되는 단말들에게 리소스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전송부(1205)는 상기 생성된 상기 리소스 할당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로,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소스 할당 방법에 따라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의 수신부(1301)는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
리소스 할당 정보 복호화기(1304)는 상기 수신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복호화하여 할당 리소스 결정부(1304)로 전달한다.
할당 리소스 결정부(1304)는 할당된 리소스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할당 리소스 결정부(1304)는 상기 메모리(1302)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리소스 맵들과, TTI 혹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1303)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리소스 맵을 결정한다. 즉, 상기 수신한 리소스 할당 정보를, 현재의 TTI 혹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점의 리소스 맵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현재 시점의 할당 리소스를 판단해 낸다.
<실시 예 4>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서는 미리 설정되는 리소스 할당 크기나, 리소스 맵이 필요하지 않도록, 리소스 할당 시그널링 내부에 지시자를 포함하여, 지시자에 따라 할당되는 리소스의 크기가 달라지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지시자를 이용하여 리소스 단위를 시그널링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할당할 수 있는 리소스의 크기의 종류를 두 종류로 가정하면, 기본적인 시그널링은 큰 사이즈의 리소스 크기를 기준으로 비 트맵 방식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1401은 50개의 PRB를 가지는 시스템에서 두 개의 PRB를 리소스 할당 단위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기지국은 시그널링에 포함된 지시자를 타입 1으로 설정한다면, 25비트를 이용하여 두개의 PRB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하게 된다.
반면, 1402와 같이 시그널링에 포함된 지시자를 타입 2로 설정한다면, 하나의 PRB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여기서, 타입 2의 경우, 전체 할당할 수 있는 리소스의 개수는 50개 이므로 25비트를 이용하여 알려 줄 수 있는 리소스는 반만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타입 2의 경우는 1404, 1405와 같이 두 개의 PRB 단위로 홀수 위치에 위치하는 리소스만을 할당하도록 한다.
따라서 1406과 같이 두 개의 PRB 단위로 짝수 위치에 위치하는 리소스는 두 개의 PRB 단위로 타입 1을 이용하여 리소스를 할당한다.
도 14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 4>는 복수 개의 PRB를 하나의 리소스 단위로 시그널링 방법을 정하고, 함께 지시자를 포함하여 임의의 위치에서는 상기 리소스 할당 단위보다 적은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 할 수 있다.
<실시 예 5>
본 발명의 실시 예 5에서는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CQI가 전송되는 단위를 사용하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리소스 맵의 기본 단위는 CQI의 전송 단위로 하고, 상기 하나의 CQI 전송 단위 내에서 리소스를 분리하여 작은 크기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아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5에 따른 기지국의 시그널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시그널링 방법에서 먼저 복수개의 리소스 블록들(RB1 내지 RB24)을 부대역(서브밴드, 1501 내지 1608)으로 묶고, 상기 각각의 부대역(1501내지 1508)을 기준으로 단말은 CQI를 전송한다. CQI 전송을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소 단위는 상기 부대역(1501 내지 1508)이 된다. 기지국 스케쥴러는 CQI를 바탕으로 스케쥴링을 수행한 후 단말들에게 리소스(1511내지 1534)를 할당하게 되는데, 상기 CQI가 상기 부대역(1501 내지 1508)을 기준으로 전송되었으므로, 상기 스케쥴러도 리소스(1511 내지 1534)를 할당함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 단위(1501 내지 1508)로 할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대역(1501내지 1608)만을 기준으로 상기 리소스(1511내지 1534)를 할당하게 되면, 작은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리소스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15에서 짝수 번째 부대역(1502, 1504, 1506, 1508)은 상기 부대역(1502, 1504, 1506, 1508) 각각의 크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할당하는 데 반하여, 홀수 번째 부대역(1501, 1503, 1505, 1507)은 내부에 포함된 리소스 블록 단위로 나누어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부대역(1501)은 세 개의 리소스 블록(RB1, RB2, RB3)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리소스 블록(RB1=R1, 1511)과 두 개의 리소스 블록(RB2+RB3=R2, 1521)으로 나누어 각각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부대역(1503)은 하나의 리소스 블록(RB7=R4, 1512)과 두 개의 리소스 블록(RB8+RB9=R5, 1522)으로, 부대역(1505)은 하나의 리소스 블록(RB13=R7, 1513)과 두 개의 리소스 블록(RB14+RB15=R8, 1523)으로, 부대역(1507)은 하나의 리소스 블록(RB19=R10, 1514)과 두 개의 리소스 블록(RB20+RB21=R11, 1524)으로 나눈다. 따라서 기지국이 할당할 수 있는 리소스의 집합, 즉 리소스 맵은 하나의 리소스 블록 크기를 가진 리소스(1511내지 1514) 및 두 개의 리소스 블록 크기를 가진 리소스(1521 내지 1524), 그리고 부대역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리소스(1531 내지 1534)를 포함한다.
상기 부대역의 크기에 따라서 하나의 부대역 내에서 나누어지는 리소스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부대역 내에서 나누어지는 부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혹은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다른 부대역이 선택되어 나누어지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부대역이 나누어지는 빈도도 기지국 설정 혹은 시스템 전체 대역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맵이 CQI 전송 단위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만큼, 큰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게는 상기 단말의 CQI에 대해 가장 좋은 채널 응답을 보이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부대역을 찾아서 할당하게 되며,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게는 상기 나누어진 부대역 중에서 상기 단말의 CQI에 따라서 가장 좋은 채널 응답을 보이는 하나 혹은 다수개의 부대역을 찾아 서 상기 찾은 부대역 내부에 포함된 나누어진 리소스(한 개 혹은 복수 개) 중에서 좋은 대역의 적당한 크기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기지국은 상기 리소스 맵을 바탕으로 단말에게 시그널링을 전달하는 방식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리소스 맵을 이용하여 기지국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알려줄 수 있는데, 하기에서 두 가지의 방법을 기술한다.
첫번째 시그널링 방법은 상기 리소스 맵을 그대로 비트맵 방식을 사용하여 알려준다. 이 방법은 스케쥴링 유연성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임의의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이 가지는 좋은 대역으로 상기 단말이 원하는 적당한 크기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즉, 도 15의 1541과 같이 모든 가능한 리소스를 비트맵을 이용하여 할당하게 된다.
두번째 시그널링 방법은, 작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들에게는 상기 나누어진 작은 리소스(일 예로 하나의 리소스 블록)만을 이용하여 리소스를 할당하고, 기타 단말에게는 상기 작은 리소스 이외의 다른 크기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즉, 도 15의 1542와 같이 한 비트 혹은 복수 개의 비트의 지시자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할당하려는 리소스의 크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크기의 리소스들은 각각 비트맵(1543)을 이용하여 할당하게 된다. 도 15에서는 하나의 리소스 블록 크기의 리소스와 다른 크기의 리소스로 나누고, 지시자(1542)에 따라 하나의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진 리소스(1511내지 1514)에 대하여는 비트맵(1544)으로 알려주고, 나머지 리소스(1521 내지 1534)에 대하여는 지시자를 다르게 하여 비트맵(1543)을 이용하여 알려준다. 비트맵(1543)과 비트맵(1544)의 크기가 다른 것은 패딩을 통하여 보상해 줄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시그널링 방법은 첫번째 방법에 비해 스케쥴링 유연성을 어느 정도 제한하지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 할당에 있어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최소화 하면서 주파수 선택 스케쥴링 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들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황을 고려하여 리소스를 할당함에 따라 리소스 할당을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수신 성능을 최대화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 정보마다 상이한 리소스 할당 단위로 리소스를 수신하여 단말의 리소스 효율을 높이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상이한 리소스 할당 단위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지시자에 대응하는 정의된 리소스 할당 단위 정보를 통해 할당된 리소스를 확인하여,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현저히 줄이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2)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위 시그널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은 불규칙적인 크기를 갖는 리소스 단위 자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시간 정보에 따라 사용할 다수개의 리소스 맵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전송 시간 간격 및 시스템 프레임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개의 리소스 맵들 중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간 정보에 따른 리소스 맵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리소스 맵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해 사용할 리소스 맵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리소스를 할당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상위 시그널링 신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은 불규칙적인 크기를 갖는 리소스 단위 자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된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된 리소스 맵은 상기 단말이 시간 정보에 따라 사용할 다수개의 리소스 맵들 중, 전송 시간 간격 및 시스템 프레임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확인된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리소스 맵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소스 할당 방법.
  1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위 시그널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은 불규칙적인 크기를 갖는 리소스 단위 자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시간 정보에 따라 사용할 다수개의 리소스 맵들을 결정하고, 전송 시간 간격 및 시스템 프레임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다수개의 리소스 맵들 중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간 정보에 따른 리소스 맵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리소스 맵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해 사용할 리소스 맵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삭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상기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채널 상황 및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상위 시그널링 신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은 불규칙적인 크기를 갖는 리소스 단위 자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된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라 설정된 리소스 맵은 상기 단말이 시간 정보에 따라 사용할 다수개의 리소스 맵들 중, 전송 시간 간격 및 시스템 프레임 넘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확인된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라 선택된 리소스 맵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단위 자원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현재 시간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삭제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맵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70027841A 2006-12-18 2007-03-2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418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700 2006-12-18
KR20060129700 2006-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16A KR20080056616A (ko) 2008-06-23
KR101418114B1 true KR101418114B1 (ko) 2014-07-09

Family

ID=3980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841A KR101418114B1 (ko) 2006-12-18 2007-03-2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538A2 (en) 2008-10-22 2010-04-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4021B2 (en) 2008-10-22 2012-06-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ubchanne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44696A (ko) 2008-10-22 2010-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유닛 맵핑방법
US8432860B2 (en) * 2008-10-22 2013-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resource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73385A2 (ko) * 2011-06-13 2012-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764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US20060018347A1 (en) 2004-07-21 2006-01-26 Avneesh Agrawal Shared signaling channel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16463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장치 및 방법
KR20060092400A (ko) * 2005-02-17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궤환 및 이를 이용한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764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US20060018347A1 (en) 2004-07-21 2006-01-26 Avneesh Agrawal Shared signaling channel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16463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장치 및 방법
KR20060092400A (ko) * 2005-02-17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궤환 및 이를 이용한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16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9029B2 (ja) セルラ多重搬送波システムで稠密度を調節する資源割り当てシグナリング方式
JP59767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ンネルの集合を限定して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5242025B2 (ja) 基地局および送信方法
EP18670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dm channelization
RU2763149C1 (ru) Способ для приема сигнала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терминал, использующий то же самое
US20160150515A1 (en) Terminal receiving resource block allocation and method therefor
US8331307B2 (en) Method of physical resource management in 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EP2472766A1 (e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
US20110267996A1 (e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20090021199A (ko) 기지국, 통신단말,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KR20100019336A (ko) 다중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EP2448158A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1811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 크기의 리소스 단위를 통한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876802B1 (ko)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자원의 할당및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93657A (ko) 직교 주파수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및 장치
KR201100106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0951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자원 할당 정보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352241A1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subcarrier allocation method, and subcarrier allocation program
KR20110003813A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KR100964555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대역폭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