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825B1 -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825B1
KR101417825B1 KR1020130026639A KR20130026639A KR101417825B1 KR 101417825 B1 KR101417825 B1 KR 101417825B1 KR 1020130026639 A KR1020130026639 A KR 1020130026639A KR 20130026639 A KR20130026639 A KR 20130026639A KR 101417825 B1 KR101417825 B1 KR 10141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authenticity
recognition code
mark recogn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
Original Assignee
(주)캡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캡소프트 filed Critical (주)캡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02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은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문서 이용자가 전자 문서의 위조/변조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OF VERIFICATION OF ELECTRONIC FILING DOCUMENT AND APPARATUSE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문서의 위조 및 변조를 예방하고 전자 문서가 진본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타임 스탬프 및 전자 서명을 이용한 전자 문서 검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타임 스탬프 기술은 전자 문서가 어느 특정 시각에 존재하고 생성되었음을 증명하는 동시에 그 시각 이후에 전자 문서에 포함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타임스탬프는 전자 문서에 대하여 제3의 신뢰할 수 있는 기관(Trusted Third Party, TPP)이 시각 정보를 부여하는 방식이므로 과거 시각으로 재발급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문서 작성 시점을 공증받을 수 있는 시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기관(time stamp authority, TSA)으로 타임스탬프를 발급해줄 것을 요청하면, 공증 시스템은 전자 문서에 타임스탬프를 발급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가 발급된 문서를 확인 시 전자 문서를 열어보는 다른 사용자는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전자 문서가 타임스탬프 발급 시간을 기준으로 진본인지 아니면 전자 문서가 위조 또는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서명은 본인 증명 및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서명은 개인 비밀키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전자 서명은 문서가 특정한 개인개인부터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타임스탬프와 다르게 시점 확인이 불가능하다.
타임 스탬프와 전자 서명 기술을 사용하여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기술은 현재 종이 문서를 줄여 페이퍼리스(paperless)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다수의 행정 정보 시스템에서 활용될 수 있다. 문서의 진본성을 확인하는 기술을 사용할 경우, 문서의 진본성을 대조하기 위한 행정적인 프로세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문서의 작성 시점에 대한 판단이 중요한 지식 재산권과 같은 분야에서는 문서 생성 시점을 증명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기존에 타임스탬프가 사용되는 예로서 어도비 리더(Adobe Reader)에 플러그인(plug-in)형태로 설치되는 타임스탬프 플러그인이 타임스탬프 토큰을 검증하여 전자 문서의 무결성을 가시적으로 표현한다. 이 때 사용되는 타임스탬프 인영은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레이어, 타임스탬프의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레이어, 전자문서의 위/변조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제3 레이어 및 인증서 검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4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어도비에서 제공하는 타임스탬프 기술은 어도비 PDF 리더(Adobe PDF Reader)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어도비 리더의 버전에 따라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치되는 프러그인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운영 체제만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맥킨토시나 리눅스와 같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운영 체제를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에서는 문서의 진본성을 검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은 상기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 서명 정보 및 타임스탬프 토큰 검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가 진본인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진본’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가 변조된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변조’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검증을 실패하는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검증 실패’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문서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미검증’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는 상기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여 입력받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진본성 판단부와 상기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검출 결과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전자 서명 정보 및 타임스탬프 토큰 검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받도록 구현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 받도록 구현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상기 검출 결과 출력부는 상기 전자 문서가 진본인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진본’으로 치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 문서가 변조된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변조’로 치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 문서의 검증을 실패하는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검증 실패’로 치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 문서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미검증’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따르면, 기본 인영 마크에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삽입하여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출력 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자 문서 검증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로 치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문서 이용자가 전자 문서의 위조/변조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삽입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를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인증 정보 생성 및 인증 정보를 이용한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을 위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검출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기존의 전자 문서 검증 기술은 특정 소프트웨어와 운영 체제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전자 문서를 검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모바일 환경과 같은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업무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동작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영 체제에 독립적으로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영 체제 및 뷰어에 종속하여 전자 문서 검증이 가능한지 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 및 전자 문서에 포함된 인영 마크의 시각화 방법을 플러그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문서 검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자 문서 검증이 특정 소프트웨어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소프트웨어 버전에 따라 검증이 되지 않는 문제로 인한 사용자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체제에 독립적으로 전자 문서 검증이 수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 체제를 지원할 수 있어 전자 문서의 형식을 변경하지 않고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전자 문서 검증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문서에 진본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서명 또는 타임스탬프 발급을 요청한다(단계 S100).
타임스탬프(Time Stamp)는 전자 문서 및 전자 데이터에 대해 생성 시점 확인과 진본성 확인을 위한 공개키 기반(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국제 표준 기술이다. 전자 문서 작성자는 타임스탬프를 통해 전자적 정보가 특정 시점에 존재하였으며 그 이후 변경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다. 전자 문서에 이러한 증명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TSA(Time Stamp Authority)라고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및 시점을 공증하는 기관을 전자 문서 인증 기관이라는 용어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전자 문서 인증 기관은 ‘공인 인증 시점 확인’을 통해 전자 문서가 처음 생성된 시기를 등록하고 그 문서가 위조 및?변조가 되지 않았음을 인증할 수 있다.
전자 서명은 문서가 서명자에 의해 작성되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서명 또는 타임스탬프를 발급받는다(단계 S110).
전자 문서 작성자가 전자 문서에 전자 서명을 하거나 전자 문서 인증 기관에서 문서 작성 시점을 기초로 생성된 타임 스탬프 토큰을 기초로 타임스탬프를 발급할 수 있다. 전자 문서에 공인 전자 서명이 있는 경우에 본인에 대한 추정력과 전자 문서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다. 타임스탬프는 전자 문서의 작성 시간 및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모두 증명할 수 있다.
인영 마크에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삽입한다(단계 S120).
전자 문서에 기본 인영 마크 및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여 삽입한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확인해줄 수 있는 코드일 수 있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사용하여 전자 문서를 컴퓨터의 화면이나 프린터로 출력 시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 결과를 기초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변화시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문서의 진본성이 확인되지 않거나 진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다른 이미지로 치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삽입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영 마크(200)에 전자 문서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성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로 이진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나, 이진수가 아닌 다른 수도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가 아닌 도형이나 이미지와 같은 일정한 정보를 포함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코드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는 타임 스탬프 발급 정보, 타임스탬프 토큰 정보, 시각 속성 정보, 인증서 정보 및 해쉬 정보, 전자 서명 정보,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와 같은 전자 문서 컨텐츠 정보 등과 같은 문서의 진본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일정한 길이의 이진수 비트일 수 있다.
또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는 문서의 특정 부분에 해당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들의 비트값을 기초로 생성된 비트값 또는 문서의 구조를 기준으로 생성된 비트값을 기초로 생성된 정보로서 이러한 값이 변할 경우 문서에 포함된 문자 또는 텍스트의 구조가 변함을 감지할 수 있는 이진수의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장의 개수를 마침표를 기준으로 판단한 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전체 텍스트의 배열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텍스트 정보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변환된 이진수의 합을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의 텍스트 정보 중 일부를 미리 정해진 시퀀스(sequence)에 의해 선택하여 선택된 문서의 텍스트 정보를 인영 마크 코드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250)가 삽입된 인영 마크(270)를 전자 문서에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삽입된 인영 마크(270)는 기본 인영 마크는 전자 문서를 검증한 후 다른 이미지(예를 들어, ‘변조’, ‘위조’, 인증서 미검증’등)로 변환되어 전자 문서의 검증 여부 및 검증 결과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로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이미지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QR 코드는 2차원 형식의 코드로 다량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에 출력된 QR를 스캔하는 경우,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정보를 바로 알 수 있도록 QR 코드에 문서의 진본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하여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바코드나 QR 코드로 외부의 웹 서버에 접근하여 현재 전자 문서에 포함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의 웹 서버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근거로 문서의 진본성 여부, 문서가 사용된 기록, 문서의 이용자 정보 증 다양한 정보를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추후 문서의 변조자에 대한 정보 및 변조 시기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자 서명 또는 타임 스탬프 인영을 전자 문서에 삽입한다(단계 S130).
인영 마크의 인영 마크 인식 코드 뿐만 아니라 전자 서명, 발급받은 타임 스탬프도 하나의 인증 정보로서 문서에 포함시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서명 기관 또는 타임 스탬프 기관 코드를 전자 문서에 삽입한다(단계 S14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에 추가적으로 삽입된 전자 서명 기관 또는 타임 스탬프 기관 코드 등을 삽입하여 검증 과정에서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함께 문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서명을 발급하는 기관 및 타임 스탬프를 발급하는 기관에 대한 코드도 문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독립적으로 전자 문서에 삽입되거나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같은 다른 정보에 포함되어 삽입됨으로써 전자 문서의 진위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를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문서의 검증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00).
특정한 전자 문서가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문서인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문서의 위조 및 변조를 따로 확인해야 할 필요가 없는 문서의 경우, 검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문서의 진본성이 동일한 전자 문서의 이용자에게 특정한 횟수 이상 검증된 문서, 진본성 여부가 문제되지 않는 전자 문서의 경우 검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는 전자 문서에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표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문서에 전자 서명, 타임 스탬프, 인영 마크 인식 코드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문서를 판단한 결과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와 같은 표식이 존재하는 경우 출력 시 문서의 진본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하여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문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전자 문서에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표식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전자 문서 파일의 헤더 정보로서 포함되어 전자 문서를 실행시 우선적으로 판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단계 S310).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 전자 서명 또는 타임스탬프 토큰 검증을 통해 전자 문서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서명 또는 타임 스탬프 토큰과 같은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기초로 1차적으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 결과에 대한 정보가 인영 마크 인식 코드에 대한 검증에 사용되는 경우 추후 인영 마크 인식 코드에 대한 검증을 수행 시 활용될 수 있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전자 서명 검증 결과 또는 타임스탬프 토큰 검증 결과가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한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 절차에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기관 코드를 검출하여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
또한, 전자 문서의 검증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전자 문서에 포함된 전자 서명 기관 또는 타임스탬프 기관 코드 등의 기관 코드를 추가적으로 산출하여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할 수 있다. 기관 코드 또한 인영 마크 인식 코드의 진정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단계 S310 및 단계 S320을 기초로 검출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정보는 후술할 인영 마크의 인식 코드를 기초로 문서의 진본성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 문서의 구성 요소(텍스트, 이미지 등) 중 이미지 정보를 검출한다(단계 S3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문서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 중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사용하여 문서의 진본성을 검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문서를 실행시 우선적으로 읽히는 헤더 정보로서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헤더 정보를 읽음으로써 인영 마크의 존재를 인지하고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전자 문서에 이미지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자 문서의 이미지 중 인영 마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영 마크를 검출한다(단계 S340).
인영 마크에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50).
전자 문서에 따라 인영 마크에 인영 마크의 인식 코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영 마크에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문서의 이미지에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발견한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단계 S310에서 검증된 전자 서명 또는 타임스탬프 토큰, 단계 S320에서 검증된 전자 문서에 포함된 전자 서명 기관 또는 타임스탬프 기관 코드 등의 기관 코드 등을 기초로 인영 마크 인식 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인영 전자 서명 또는 타임스탬프 토큰, 기관 코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독립적으로 생성한 경우, 단계 S310 및 단계 S320에서 생성된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인영 마크 인식 코드만을 사용하여 문서의 진본성을 검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QR 코드를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사용할 경우 QR 코드에 포함된 전자 문서 검증을 위한 외부 서버 정보를 기초로 외부 서버로 접속하여 현재 문서의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사용시 문서 자체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의 유효성을 기초로 인영 마크를 치환하거나 워터마크를 생성하여 전자 문서를 출력한다(단계 S360 및 단계 S370).
인영 마크에 위치한 인영 마크 인식 코드 부분이나 인영 마크 중 일부에 전자 문서가 진본인지 여부, 전자 문서가 변조되었는지 여부, 전자 문서의 인증을 실패였는지 여부, 전자 문서가 검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자 문서의 인영 마크를 출력 시 전술한 단계 S310 및 단계 S320을 통해 판단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도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310, 단계 S320 및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판단한 결과 모두 문서가 진본이라고 판단 시 전자 문서를 진본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 결과가 전자 문서가 진본이 아니라고 판단 시 전자 문서가 변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검증 결과에 따라 검증 결과로 치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문서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여 인영 마크를 마킹하는 방법으로 전자 문서가 진본인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진본’이라는 마킹을 하고(420), 전자 문서가 변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변조’라는 마킹을 하고(440), 전자 문서의 검증이 실패한 경우 ‘검증 실패’(460), 전자 문서에 대한 검증 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미검증’(480)이라는 마킹을 추가하여 전자 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 인증 정보 생성 및 인증 정보를 이용한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A)는 전자 문서를 생성하고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전자 문서 인증 정보는 전자 문서 사용자의 업무 시스템(500)에서 생성된 전자 문서를 기초로 전자 문서 인증 기관(550)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전자 문서 사용자의 업무 시스템(500)에서 문서 작성자가 전자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성한 전자 문서에 대해 사용자는 진본성을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해줄 것을 전자 문서 인증 기관(550)으로 요청할 수 있다.
전자 문서 인증 기관(550)은 사용자가 진본성 정보 생성을 요청한 시간 정보, 전자 서명 정보, 문서의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정보(전자 서명, 타임 스탬프, 인영 마크 인식 코드 등)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독립적인 방법으로 생성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로서 전자 문서의 텍스트 정보를 비트화한 값을 기초로 텍스트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에러 검출 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기초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된 에러 검출 코드를 기초로 생성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정보를 문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전자 문서의 변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에러 검출 코드로 패리티 비트 정보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문서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전자 문서를 출력 시 에러 검출 코드 정보를 기초로 전자 문서에 원본과 다른 변조가 일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러 검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텍스트에 대한 에러 검출 코드의 양이 많은 경우 텍스트 중 일부의 텍스트에 대한 정보 만을 에러 검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텍스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체 텍스트 정보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에러 검출 코드가 많아질 경우, 일부의 랜덤한 텍스트 정보만을 사용하여 에러 검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에러 검출 코드로는 전술한 단순 이진 코드가 아닌 QR 코드와 같은 2차원 행렬 정보를 사용하여 보다 많은 정보가 인영 마크 인식 코드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문서의 진본성 인증 정보를 생성 후 전자 문서 인증 기관()에서는 생성된 정보를 전자 문서의 일부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인증 정보를 포함한 문서는 다시 사용자의 업무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의 (B)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를 출력하는 절차에 대해 개시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전자 문서를 출력하는 사용자는 전자 문서의 전자 서명, 타임 스탬프, 인영 마크 인식 코드 등과 같은 전자 문서의 진본성 인증 정보가 치환된 값을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문서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 토큰 정보, 타임 스탬프 발급 정보, 인증서 정보, 문서의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업무 시스템(500)에서 바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문서에 포함된 진본성 인증 정보를 전자 문서 인증 기관(550)과 같은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전자 문서 인증 기관(550)에서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을 위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검출하는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검출하는 장치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600), 외부 정보 입력부(620), 전자 문서 컨텐츠 입력부(640), 진본성 판단부(660), 검출 결과 출력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600)는 전자 문서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600)는 전자 문서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 정보 입력부(620)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타임 스탬프, 전자 서명과 같은 외부 정보를 기초로 생성시 이러한 외부 정보를 입력받아서 전자 문서의 진본성 판단을 수행하는 진본성 판단부(66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문서 컨텐츠 입력부(640)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문서 내부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생성 시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입력받아서 전자 문서의 진본성 판단을 수행하는 진본성 판단부(66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본성 판단부(660)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600)로부터 입력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정보, 외부 정보 입력부(620)로부터 입력된 외부 정보, 전자 문서 컨텐츠 입력부(640)로부터 입력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진본성 판단부(66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출 결과 출력부(680)는 진본성 판단부(660)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다른 이미지로 치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진본성 판단 결과에 따라 ‘진본’, ‘변조’, ‘검증 실패’ 등 다양한 이미지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생성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전자 서명 정보 및 타임스탬프 토큰 검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5.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문서가 진본인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진본’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가 변조된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변조’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문서의 검증을 실패하는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검증 실패’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문서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미검증’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방법.
  9. 삭제
  10.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여 입력받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진본성 판단부; 및
    상기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검출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전자 서명 정보 및 타임스탬프 토큰 검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 및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을 판단하도록 구현되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받도록 구현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13.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에서 인영 마크 및 상기 인영 마크에 포함된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검출하여 입력받는 인영 마크 인식 코드 입력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여부를 판단하는 진본성 판단부; 및
    상기 진본성 여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치환하여 출력하는 검출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되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의 컨텐츠 정보는,
    상기 전자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의 문장 구조 정보, 상기 전자 문서의 텍스트 중 미리 정해진 주기로 선택된 일부의 텍스트 정보 및 이진화된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본성 판단부는,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 확인을 수행하는 외부 서버로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기초로 판단된 상기 전자 문서의 진본성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전송 받도록 구현되되,
    상기 진본 확인용 인영 마크 인식 코드와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16. 제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출력부는,
    상기 전자 문서가 진본인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진본’으로 치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 문서가 변조된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변조’로 치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 문서의 검증을 실패하는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검증 실패’로 치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자 문서가 검증되지 않은 경우 인영 마크 인식 코드를 출력 시 상기 인영 마크인식 코드를‘미검증’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도록 구현되는 전자 문서의 진본성 검증 장치.
KR1020130026639A 2013-03-13 2013-03-13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41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39A KR101417825B1 (ko) 2013-03-13 2013-03-13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639A KR101417825B1 (ko) 2013-03-13 2013-03-13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825B1 true KR101417825B1 (ko) 2014-07-16

Family

ID=5174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639A KR101417825B1 (ko) 2013-03-13 2013-03-13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999A (ko) * 2017-07-10 2020-06-15 씽크클라우드 디지털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 서명된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4778B1 (ko) * 2023-11-10 2024-02-07 영원아이앤에스(주) 디지털 통합 민원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629A (ja) * 2001-07-17 2003-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媒体文書への署名装置、紙媒体文書上の署名の検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629A (ja) * 2001-07-17 2003-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紙媒体文書への署名装置、紙媒体文書上の署名の検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999A (ko) * 2017-07-10 2020-06-15 씽크클라우드 디지털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 서명된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0865B1 (ko) * 2017-07-10 2020-08-04 씽크클라우드 디지털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전자 서명된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4778B1 (ko) * 2023-11-10 2024-02-07 영원아이앤에스(주) 디지털 통합 민원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111B1 (en) Digitally encoded seal for document verification
US9009477B2 (en) Archiving electronic content having digital signatures
US7523315B2 (en) Method and process for creating an electronically signed document
US8037310B2 (en) Document authentication combining digital signature verification and visual comparison
US20200074129A1 (en) Combined two-dimensional code, electronic certificate carrier, and generation and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7984302B2 (e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MX2013007923A (es) Sistema y metodo para la autenticacion de documentos de alto valor.
US20140075200A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file and electronic file management apparatus
JP2010536055A5 (ko)
US20120017092A1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17825B1 (ko) 전자 문서 검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04102950A1 (ja) 印刷文書の改ざん検出装置および改ざん検出方法
TWM520159U (zh) 產生與驗證具電子認證與紙本認證的認證電子文件之裝置
JP5788681B2 (ja) 手書き署名取得装置、手書き署名取得プログラム、手書き署名取得方法
US200700167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gning physical documents and for authenticating signatures on physical documents
CN101427242A (zh) 安全签名
KR20100053158A (ko) 전자문서의 원본 증명 시스템 및 방법
KR101766804B1 (ko) 전자문서 원본 증명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 방법
KR101028163B1 (ko) 원본증명마크 및 임베디드 기술을 이용한 전자문서의 타임스탬프 발급 및 검증방법
CN115396117A (zh) 基于区块链预防篡改的电子文书签署、校验方法及系统
KR20160130958A (ko) 영상코드를 이용한 전자문서의 원본증명 확인문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62456A1 (en) Print management device, storage medium for print management program, print analysis system, print system, document issuance system, pri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data signal
TW201719487A (zh) 產生與驗證具電子認證與紙本認證的認證電子文件之裝置及其方法
JP2006253896A (ja) 文書出力装置及び文書検証装置
KR20110020288A (ko) 전자문서의 원본 증명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