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988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988B1
KR101416988B1 KR1020060109162A KR20060109162A KR101416988B1 KR 101416988 B1 KR101416988 B1 KR 101416988B1 KR 1020060109162 A KR1020060109162 A KR 1020060109162A KR 20060109162 A KR20060109162 A KR 20060109162A KR 101416988 B1 KR101416988 B1 KR 10141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an
heat exchanger
main drain
fasten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41065A (en
Inventor
이종호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88B1/en
Publication of KR2008004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를 집수하여 낙하시키는 보조드레인팬이 메인드레인팬과 열교환기 및 오리피스와 각각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uxiliary drain pan for collecting and dropping condensed water is coupled to a main drain pan, a heat exchanger and an orifice,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과,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지지되는 제2열교환기;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베이스팬에 지지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드레인팬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로 안내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요동을 방지하는 보조드레인팬; 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이 견고해지고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drain pan for vertically dividing a space formed by a base frame forming a lower outer appearance, a front frame forming a front outer frame, a rear frame forming a rear outer appearance, A second heat exchanger positioned above the main drain pan and having a lower side supported by the main drain pan; A first heat exchanger located below the main drain pan and a lower side supported by the base fan; And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main drain pan at a low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for guiding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main drain pan to the first heat exchanger,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r, An auxiliary drain fan for preventing the cooling fa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 is robust and can be downsized.

이동형, 공기조화기, 드레인팬, 열교환기, 오리피스 Movable type, air conditioner, drain pan, heat exchanger, orifice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후방프레임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Figs. 4 and 5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rear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흡입그릴의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Figs. 6 and 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uction grill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의 구성을 보인 우측과 좌측의 손잡이사시도.Fig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right and left knobs showing the structure of a knob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0은 도 8의 I-I'부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손잡이의 우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ght side structure of the handle shown in Fig.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Figs. 12 and 13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front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넬의 전방 및 후방 사시 도.14 and 15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front pane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토출루버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16 and 1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discharge lou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드레인팬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18 and 19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a main drain pa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드레인팬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20 and 21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an auxiliary drain pa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의 흐름상태도.22 is a flow state diagram of air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과 도 2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23 and 24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드레인팬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auxiliary drain pa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드레인팬이 보조드레인팬 상측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drain pa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rain pa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전방프레임 110. 토출루버100. Front frame 110. Discharge louver

111. 루버회전축 112. 토출리브111. Looper rotation axis 112. Discharge rib

130. 판넬후크공 132. 판넬체결부130. Panel hook hole 132. Panel fastening part

134. 부가체결부 140. 프레임체결부134. Additional fastening part 140. Frame fastening part

142. 체결가이드리브 144. 드레인체결구142. Fastening guide rib 144. Drain fastener

146. 베이스체결구 150. 루버지지대146. Base fastener 150. Lover support

200. 전면판넬 210. 토출구200. Front panel 210. Outlet

220. 판넬후크 222. 판넬체결돌기220. Panel hook 222. Panel fastening protrusion

224. 부가체결돌기 230. 토출울타리224.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30. Discharge fence

300. 후방프레임 302. 외기유입구300. Rear frame 302. Outer air inlet

304. 필터프레임 310. 흡입그릴304. Filter frame 310. Suction grill

313. 턱트수용홈 315. 탈거리브313. Retaining groove 315. Removing rib

316. 그릴체결후크 317. 그릴체결돌기316. Grille fastening hook 317. Grille fastening projection

320. 프리필터 330. 하부그릴320. Prefilter 330. Lower grille

340. 손잡이 342. 손잡이공340. Handle 342. Handle

344. 손잡이몸체 346. 손잡이테두리344. Handle Body 346. Handle Border

348. 고정리브 360. 그릴장착부348. Fixed rib 360. Grille mount

362. 필터고정후크 370. 프레임체결돌기362. Filter fixing hook 370. Frame fastening projection

372. 탈거홈 400. 배기안내수단372. Removal groove 400. Exhaust guiding means

500. 베이스팬 510. 제1열교환기500. Base fan 510. First heat exchanger

520. 압축기 530. 어큐뮬레이터520. Compressor 530. Accumulator

540. 응축수감지장치 550. 응축수펌프540. Condensate sensor 550. Condensate pump

560. 응축수배관 570. 브레이스560. Condensate piping 570. Brace

580. 지지앵글 600. 하부오리피스580. Support angle 600. Lower orifice

620. 하부에어가이드 630. 하부팬 620. Lower air guide 630. Lower pan

640. 하우징홈 650. 배기가이드 640. Housing groove 650. Exhaust guide

660. 하부모터 670. 하모터지지대660. Lower motor 670. Lower motor support

700. 메인드레인팬 702. 바닥구획리브700. Main drain pan 702. Floor partition ribs

704. 바닥응축수홀 710. 하우징안착홈704. Floor condensate hole 710. Housing seating groove

712. 홈구획리브 714. 홈응축수홀712. Home Compartment Rib 714. Home Condensate Hole

720. 컨트롤박스설치구 722. 덕트회피홈720.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722. Duct avoidance groove

730. 코드관통홈 732. 전원선통과홈730. Cord penetration groove 732. Power line penetration groove

740. 앵글홀 750. 보조드레인팬740. Angle hole 750. Auxiliary drain pan

752. 낙하공 770. 드레인후크752. Falling ball 770. Drain hook

800. 상부에어가이드 810. 상부팬하우징800. Upper air guide 810. Upper fan housing

820. 상부모터 830. 상모터지지대820. Upper motor 830. Phase motor support

840. 상부팬 850. 상부오리피스840. Upper fan 850. Upper orifice

860. 제2열교환기860. Secon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낙하시키는 보조드레인팬이 메인드레인팬과 열교환기 및 오리피스와 각각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uxiliary drain pan for collecting and dropping condensed water, the main drain fan being connected to a heat exchanger and an orifice,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 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expansion valve,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The air conditioner is mainly used to maintain the indoor spac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make the indoor space pleasant.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That is, the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device installed in a space or a wall of a room such as a vehicle, an office or a home to cool or heat the room, a series of a compressor-outdoor heat exchanger-expansion valve (capillary) And a heating cycle by the revers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그 규모가 크고, 건물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한번 설치한 후에는 이동이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이동이 불가능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a conventional general air conditioner is large in size and installed on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it has been difficult to move it onc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s incapable of moving and inconvenient to use.

따라서, 근래에는 바닥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식 공기조화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0252478호에도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mobile air conditione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moving wheel is attached to a floor so that a user can easily move.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is disclosed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0252478 register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조화기에는 응축기와 증발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진동에 의해 넘어지거나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since the condenser and the heat exchanger serving as an evaporator are not fixed prope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tilted by vibration or flow occurs.

또한, 각 부품이 독자적으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주변 부품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component independently occupies a certain spac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is difficult due to interference between peripheral compon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드레인팬에 메인드레인팬은 물론 열교환기와 오리피스 등의 주변 부품이 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main drain fan, as well as peripheral components such as a heat exchanger and an orifice are coupled to an auxiliary drain fa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부품이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each component to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peripheral components, thereby enabling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과,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지지되는 제2열교환기;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베이스팬에 지지되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드레인팬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로 안내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요동을 방지하는 보조드레인팬; 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ront fram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a front portion, a rear fram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a rear portion, and a space formed by a base fan forming a lower outer appearance, A main drain pan for partitioning; A second heat exchanger positioned above the main drain pan and having a lower side supported by the main drain pan; A first heat exchanger located below the main drain pan and a lower side supported by the base fan; And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main drain pan at a low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for guiding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main drain pan to the first heat exchanger,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r, An auxiliary drain fan for preventing the cooling fan .

삭제delete

상기 보조드레인팬은, 체결후크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이중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uxiliary drain pan is doubly fastened to the main drain pan by a fastening hook and a fastening member.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보조드레인팬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astening hooks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respectively.

상기 보조드레인팬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체결을 위한 열교환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단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열교환지지리브가 더 형성된다.
The auxiliary drain pan is formed with a heat exchange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first heat exchanger.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is formed with a heat exchange supporting rib which protrudes downward and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er from the side.

삭제delete

상기 보조드레인팬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형성되는 하우징안착홈과의 간 섭을 방지하기 위한 드레인회피구 및 드레인회피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drain pan is formed with a drain avoidance hole and a drain avoidance surf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a housing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drain pan.

상기 보조드레인팬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드레인팬은, 상기 오리피스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auxiliary drain pan is provided with an orific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nd the auxiliary drain pan is fastened to the orific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and th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과 후방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ront and rear outer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과 전면판넬(200)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all appearance by the front frame 100, the front panel 200, and the rear frame 300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rear half, Are schematically formed.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판넬(120)이 구비된다.The front frame 100 forms the skeleton of the front part and partially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n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panel 120 for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프레임(3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안내수단(4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 명한다.The rear frame 30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form an upp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haust guide means 400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guide means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ront frame 100 described above has a rectangular shape. The front fram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frame 100 projects further forward. Therefore, the front frame 100 is formed so as to have a rounded curvatur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단 부근에는 루버설치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구(102)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A louver mounting hole 102 is formed near the upper end of the front frame 100. The louver installation port 102 is a portion to which the discharge louver 11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and has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 등이 설치되는 판넬구(10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판넬구(104)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판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is formed to be inclined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 panel sphere 104 having a manipulation panel 120 or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 The panel sphere 104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ration panel 120 described below.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20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같이 중앙부가 상단 및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라운드진 형상(원호 형상)을 가진다.The front panel 200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rectangular flat plate to form the front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anel 20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00. Accordingly, the front panel 2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That is, the front panel 200 has a rounded shape (arcuate shape)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0 projects further forward tha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루버설치구(102)에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의 외부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루버(11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110)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토출리브 등이 구비되어 공기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louver mount 102 of the front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louver 110 for guiding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air having been air-conditioned (cooled or heated). The discharge louver 110 controls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air, and a plurality of discharging ribs are provided to guide the discharging air in the up-down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판넬구(104)에는 조작판넬(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넬(12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버튼 등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조작판넬(12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버튼조립체(122)가 구비되며, 이러한 버튼조립체(122)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상기 조작판넬(1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다.An operation panel 120 is installed in the panel opening 104. The operation panel 120 is for the user's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buttons or the like are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at is, a pair of button assemblies 122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nipulation panel 120, and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on the button assembly 122 are exposed upward through the manipulation panel 120.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하측에는 조작피시비(PCB)(124)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피시비(124)는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버튼 동작을 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작피시비(124)는 조작프레임(12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피시비(124)의 외측은 직사각 박스 형상의 피시비케이스(128)가 감싸게 된다.The button assembly 122 is provided at its lower side with an operation PCB 124. The manipulation file ratio 124 changes the button operation of the button assembly 122 to a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manipulation file ratio 124 is supported by the manipulation frame 126.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ipulating paper feeder 124 is enclosed in a rectangular box-shaped housing 128.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단 부근에는 토출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A discharge port 21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an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200. The discharge port 210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louver 110, and is a part through which air having air conditioning (cooling or heating) is discharged forward.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라운드지게 전방 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rear frame 300 is engaged with the front frame 100.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100. [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 end portions of the rear frame 300 protrude forward in a relatively rounded shape so as to have a rounde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 rear ends of the front frame 100.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외기유입구(30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외부(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며,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t the upp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an outside air inflow port 302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is formed. The outside air inlet 30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sid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and has a rectangular shape.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중앙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필터프레임(30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304)은 상기 외기유입구(30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탈취필터(322)와 같은 특수필터가 설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A rectangular filter frame 304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air inlet 302 is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side air inlet 302. The filter frame 304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outside air inlet 302, and a special filter such as a deodorizing filter 322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흡입그릴(310)에 의해 차폐된다. 외기(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The outside air inlet port (302) is shielded by a suction grille (310). The outside air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suction grille 310 and flows in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ly,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suction grille 310. The suction grille 310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air inlet 302, and more specifically, slightly slanted forward.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프리필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20)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 pre-filter 320 is installed at the outer edge of the outside air inlet 302. The prefilter 320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grille 310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air inlet 302.

상기 프리필터(320)의 전방에는 탈취필터(3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322)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필터프레임(304)에 고정 설치된다.A deodorization filter 322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pre-filter 320. The deodorization filter 322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lter frame 304 and to be fixed to the filter frame 304. The deodorization filter 322 is provided to remove the odor components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grille 310, Respectively.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는 하부그릴(3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은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lower grill 3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The lower grill 330 guides the air to be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and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air conditioner.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손잡이(3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상단부 근처에는 손잡이공(34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손잡이공(342)에 손잡이(3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쉽게 들어올려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r frame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340. In other words, a handle hole 342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left and right side upper end portions of the rear frame 300, and a handle 34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342. The handle 340 is for allowing the user to easily lift and move the air conditioner.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34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양쪽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340)를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용이하게 공기조화기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handle 34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300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is detachably installed.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340 while holding the handle 340 with both hands, the air conditioner can be easily moved.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외부(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An exhaust guide means 400 is connected to the rear frame 300.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is for exhausting the heat-exchanged air to the outside (outdoor) inside the air conditioner, one end connected to the rear frame 300,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esirable.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내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그리고 프레임커넥터(430)와 노즐커넥터(440) 등으로 구성된다. The exhaust guide means 40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low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and includes an exhaust duct 410, an exhaust nozzle 420, a frame connector 430 and a nozzle connector 440 do.

상기 배기덕트(4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배기노즐(420)은 상기 배기덕트(410)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 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끝단부이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exhaust duct 410 includes a cylindrical long tub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exhaust, and the exhaust nozzle 420 is an end for guiding the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exhaust duct 410 to be finally discharged . The exhaust duct 41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or a shape so as to be bendable.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넥터(43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상기 배기덕트(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하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노즐커넥터(440)는 상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상단에 상기 배기노즐(420)이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frame connector 430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frame 300 and the exhaust duct 410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duct 410 to be mounted on the rear frame 300. The nozzle connector 440 is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duct 410 and the exhaust nozzle 420 so that the exhaust nozzle 420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duct 410.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하부 외관은 베이스팬(5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하단과 결합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bottom view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base pan 500. The base fan 500 is coupled with the lower ends of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and supports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베이스팬(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502)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502)는 공기조화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상기 베이스팬(5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A plurality of moving wheels 502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n 500. The moving wheels 502 are provided to each corner of the square fan base 500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열교환기(5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중앙부분에 제1열교환기(510)가 전후로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 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외부(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A first heat exchanger (5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 (500). That is, a first heat exchanger 5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ase fan 500.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serves to cool (or heat) the refrigerant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and the air. That i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grill 330 formed in the low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flow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the heat-exchanged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utdoor) through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에는 압축기(5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2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부분 후단부에 설치되며, 삼각 형상의 압축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되고, 이러한 압축프레임(522)이 상기 베이스팬(500)에 장착된다.A compressor 520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he compressor 52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ight portion of the base pan 500 and is supported by a triangular compression frame 522. The compression frame 522 is mounted on the base pan 500 .

상기 압축기(520)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5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5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n accumulator (5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or (520). The accumulator 530 functions to filter the liquid refrigerant and to cause only the gaseous refrigerant to flow into the compressor 520.

상기 압축기(520)의 전방에는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A condensate sensing device 54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ompressor 520. The condensate sensing device 540 senses the amount of condensed wate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 500 and displays it on the outside.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응축수펌프(5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펌프(550)는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를 펌핑(pumping)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A condensate pump 550 is further install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fan 500. The condensate pump 550 pumps the condensed water to the base fan 500 and supplies the condensed water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응축수펌프(550)에는 응축수배관(56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응축수를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배관(560)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연결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에 연결된다.A condensate pipe 56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pump 550. The condensed water pipe 560 serves as a passage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forced by the condensed water pump 550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o be described below.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condensate pipe 56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pump 550,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단에는 브레이스(5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우측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 고정된다.A brace 570 is further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base pan 500. The brace 570 is for supporting the righ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is formed of a rectangular flat plate. The upper end of the brace 570 is fixed to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 500 and the upper end of the brace 570 is fixed to the righ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에는 지지앵글(580)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지지앵글(580)이 상하로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지앵글(580)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좌우에 쌍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 supporting angle 58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tip of the base fan 500. In other words, a support angle 58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base fan 500 to support the tip load of the main drain pan 7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pporting angle 580 is provid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drain pan 7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좌측에는 하부오리피스(60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오리피스(850) 및 상부에어가이드(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열교환기(510)을 통과한 공기를 좌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하오리피스공(602)이 관통 형성된다.A lower orifice 60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he lower orifice 600 supports a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an upper orifice 850 and an upper air guide 800, as will be described below, and guides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o the left . Accordingly, a circular lower orifice hole 60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orifice 600.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에는 하부에어가이드(6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A lower air guide 62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orifice 600. The lower air guide 620 guides the flow of air together with the lower orifice 600.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하부팬(630)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에는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 홈(64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Between the lower orifice 600 and the lower air guide 620, a lower fan 630 for urging the flow of air is positioned. Accordingly, the lower orifice 600 and the lower air guide 620 are formed with housing grooves 640 symmetrical to each other to guide air flowing by the lower fan 630.

즉,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면과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하우징홈(64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홈(640)은 상기 하부팬(630)의 외경 크기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을 감싼다.That is, a housing groove 640 symmetrical to each other is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ower orifice 600 and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lower air guide 620 to guide the air discharged by the lower fan 630. The housing groove 64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fan 630 to wrap the lower fan 630.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의 후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기가이드(6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는 상기 하우징홈(64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The lower orifice 60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air guide 620 are formed with an exhaust guide 650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exhaust guide 650 serves to guide the air guided by the housing groove 640 to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guide 65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I have.

상기 배기가이드(650) 내측 상단부에는 원형의 배기그릴(652)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배기그릴(65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하측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circular exhaust grill 652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guide 650. The exhaust grill 652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lower side of the exhaust guide 650 from the outside.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중앙부분에는 하모터공(6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모터공(622)에 하부모터(660)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모터(6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팬(6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A lower motor hole 622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air guide 620. Therefore, the lower motor 66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motor hole 622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lower motor 660 generates rotational power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generated power to the lower fan 630 so that the lower fan 630 rotates.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좌측에는 하모터지지대(6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모터(66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접한다.A lower motor support 67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air guide 620. The lower motor support 670 is for firmly supporting the lower motor 660 mounted on the lower air guide 620 and the lower end thereof contacts the base fan 500.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후측에는 메인드레인팬(7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열교환기(8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공기조화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A main drain pan 700 is installed at the center rear side of the front frame 100. The main drain pan 7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The main drain pan 700 collect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supports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vides the interior space of the air conditioner into upper and lower parts Also.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내부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실외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실내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in general, the 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n outdoor side and an indoor side. The main drain fan 700 functions to divide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outdoor side and an indoor side. That is, an outdoor side (radiation side) corresponding to an outdoor unit (in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an indoor side (Heat absorption side) is formed.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및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분배되는 부분이다.An auxiliary drain pan 750 is installed below the main drain pan 700.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a portion where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by the main drain pan 700 and the condensed water pump 550 is collected and distributed.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고이는 응축수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내려와 집수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이는 응축수도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단에 골고루 뿌려져 증발된다.In detail,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main drain pan 700 is collected and collected in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base pan 500 is discharged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rough the condensed water pipe 560. [ .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uniformly spray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evaporated.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는 상부에어가이드(8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좌우로 가로질러 설치된다.An upper air guide 800 is installed above the main drain pan 700. The upper air guide 800 guides the air to be flowed by the upper fan 8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air guide 800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에는 상부팬하우징(8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안내구(814)로 유동한다.An upper fan housing 8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air guide 800. The upper fan housing 81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fan 8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refore, air forcedly discharged by the upper fan 840 to be described below is guided by the upper fan housing 810 and flows to the discharge guide 814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중앙 부분에는 상모터공(8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모터공(812)에는 상부모터(8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모터(8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An upper motor hole 812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air guide 800. An upper motor 820 is inserted into the phase motor hole 812. The upper motor 820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upper fan 8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상단부에는 토출안내구(81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토출안내구(814)는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A discharge guide hole 814 is form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upper air guide 800. The discharge guide hole 814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louver 110. Therefore, the air guided by the upper fan housing 810 flows forwar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814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louver 110.

상기 상부모터(820)의 하측에는 상모터지지대(8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모터지지대(830)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모터지지대(670)와 같은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상부모터(82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모터지지대(830)의 하단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The upper motor 8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hase motor support 830 below the upper motor 820. The phase motor support 830 functi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er motor support 67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upper motor 820 is more firmly supported.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upper motor support base 830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상기 상부팬하우징(810) 내측에는 상부팬(840)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상부팬(84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모터(820)의 후단에 체결되어 회전하게 된다.An upper fan 840 is accommodated inside the upper fan housing 810. The upper fan 840 urges external air to flow through the suction grille 310 and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motor 820 to rotate.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후측에는 상부오리피스(8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공기가 유동 가능한 원형의 상오리피스공(852)이 관통 형성된다.An upper orifice 85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air guide 800. The upper orifice 850 is formed of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a circular upper orifice hole 852 through which air can flow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orifice 850.

상기 상부오리피스(850)의 후측에는 제2열교환기(8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A second heat exchanger 86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orifice 850.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suction grill 310.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is installed laterally on the second half of the main drain pan 700. [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컨트롤박스(8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87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70)의 상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On the other hand, a control box 870 is installed at the righ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control box 870 is installed through the main drain pan 700 where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re installed. That is, the upper half of the control box 870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the lower half protrudes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도 4와 도 5에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4 and 5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rear frame 300,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fram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후 길이는 상반부와 후반부가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후길이는 상반부의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is stepped. Specifically,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rear frame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half and the lower half. That is, the length of the low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alf.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중앙부분에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구(302) 하측에는 수평으 로 이루어지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Accordingly, a stepped surface 350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frame 300. That is, a stepped surface 350 formed horizontally is formed below the outer air inlet 302 formed in the upp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그리고, 상기 단차면(350)에는 덕트연결구(352)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구성하는 프레임커넥터(43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프레임커넥터(430)의 하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 duct connecting port 352 is formed in the stepped surface 350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duct connecting port 352 is a por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is fastened. That is, the frame connector 430 constituting the exhaust guide means 400 is inserted and fastened. Accordingly, the duct connector 3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connector 430.

상기 단차면(350)의 좌우 측단부에는 그릴돌기삽입홀(35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310)의 그릴체결돌기(317)가 삽입되는 부분이다.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stepped surface 350, a grille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grill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is a portion into which the grill engagement protrusion 317 of the suction grill 310 is inserted.

한편, 상기 단차면(350)의 상측에는 그릴장착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장착부(360)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후측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grill mounting portion 360 is formed on the stepped surface 350. The grill mounting portion 360 is a portion to which the suction grille 310 is mounted, and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side air inlet 302.

또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에는 상기 프리필터(32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고정후크(3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테두리 후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갈고리 형상의 필터고정후크(36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프리필터(320)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lter fixing hooks 362 on which the pre-filter 320 is mounted are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outside air inlet 302. In other words, claw-shaped filter fixing hooks 362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rear edge of the outer air inflow port 302 to fix four corners of the pre-filter 320.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단차면(350)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우측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호환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실제로는 우측부분(도 5에서는 좌측부분)만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고, 좌측부분(도 5에서는 우측부분)은 내부가 차폐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동이 불가능하다. The lower grill 330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pped surface 35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grill 330 is formed only on the lower right half of the rear frame 300. [ 5, the suction grille 310 is formed to extend over the entire low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However, the suction grille 310 is formed to be compatible with the suction grille 310. In reality, only the right side portion And the left portion (the right portion in FIG. 5) is shielded from the inside, so that the air can not flow.

이처럼 상기 하부그릴(330)을 후방프레임(300)의 우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부그릴(330)를 통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으로 유입되어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lower grill 330 is formed only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frame 300 is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lower grill 330 must pas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hat is, the air sucked from the rear through the lower grill 330 flows in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flow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o the left side.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배관공(36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관공(364)은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 설치되는 부분이다.At the lower end of the rear frame 300, a plumbing hole 364 is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The plumbing hole 364 is a portion through which a discharge pipe (not shown) for guiding the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penetrates.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프레임체결돌기(37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및 선단부 및 상단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선단부의 중앙과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단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체결돌기(370)에 스크류(screw)가 삽입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At the front end of the rear frame 300, a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protrusions 370 for fastening with the front frame 100 are formed. The frame fastening protrusions 370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end portions and top end portions of the rear frame 300, respectively, through which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pass. In other words, the center,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front ends of the rear frame 300, and the right and left front upper faces of the rear frame 300,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frame fastening protrusion 370 and fastened to the front frame 100, the rear frame 300 and the front frame 100 are fastened together.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 상단의 후단에는 탈거홈(372)이 형성된다. 상기 탈거홈(372)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부분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하의 길이는 사람의 손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detaching groove 37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Preferably, the removal groove 372 is recessed inward from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300, and the length of the removal groove 372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hand of a person.

상기 탈거홈(372)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그릴(310)의 탈거리브(315)를 전방으로 당기기 위해 탈거리브(315)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손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moval groove 372 i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hand when the user holds the removal rib 315 by hand to pull the removal rib 315 of the suction grille 310 forward as described below.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 상단부에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의 선단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A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is formed through the rear upper end of the rear frame 300.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eading end of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which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fastened.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장착부(360)의 상단부 좌우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형성되며, 이러한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가 관통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More specifically, a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grill fastening portion 360 so as to pass through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is engaged with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The portion 316 'has a size that allows penetration.

도 6과 도 7에는 상기 흡입그릴(31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6 and 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suction grille 310,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그릴리브(31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를 통해 공기의 흡입이 일어나게 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uction grille 310 has a plurality of grill ribs 312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refore, air is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grill ribs 312.

그리고, 상기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의 틈새는 그물망이나 망사 등에 의해 차폐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그릴리브(31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clear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grill ribs 312 is preferably shielded by a mesh or mesh. This i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assing through the grill rib 312 from the outside.

상기 흡입그릴(310)의 중앙부에는 리브지지대(312')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지지대(312')는 상기 다수의 흡입그릴(3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rib support 312 'is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ction grille 310. The rib support 312 'serve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uction grilles 310.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일부가 수용되는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그릴(310)의 좌측부분에는 전방(도 6에서)으로 함몰된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되며, 이러한 덕트수용홈(313)의 하단은 상기 배기덕트(410)의 전면과 대응되는 반원홈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덕트수용홈(313)에 상기 배기덕트(410) 및 프레임커넥터(430)의 선단부가 수용된다.The suction grille 310 is formed with a duct receiving groove 313 for receiving a part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6) is formed in the left portion of the suction grille 310. The lower end of the duct receiving groove 313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duct 410 And has a corresponding semicircular groove shape. Therefore, the end portions of the exhaust duct 410 and the frame connector 430 are accommodated in the duct accommodating groove 313.

상기 흡입그릴(310)은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그릴(310)의 양단은 전방으로 벤딩(bending)된 다음 연장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그 넓이가 넓어지는 삼각형상의 그릴측면부(314)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릴측면부(314)의 내측에는 다수의 그릴보강리브(314')가 형성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하고 있다.The suction grille 310 is sloped forwar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uction grille 310 bend forward and then extend to form a triangular-shaped grill side surface 314 that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grill reinforcing ribs 314 'are formed inside the grill side surface portion 314 to reinforce the supporting strength.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탈거리브(315)가 더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측면부(314)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된 탈거리브(3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탈거리브(315)를 잡고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grille 310, a removal rib 315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user is further formed. More specifically, a removal rib 315 protruding sideways to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rill side portion 314. Accordingly, when the user holds the removal rib 315 and pulls it backward,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grille 310 is separated from the rear frame 300.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그릴체결후크(31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부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 좌우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 성된다. A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grille 310, a pair of grill fastening hooks 316 are formed.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protrudes forward from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the suction grille 310 to fasten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grille 310 to the rear frame 300.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자체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선단부가 상하 좌우로 일정 거리 유동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후측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된 걸림부(316')가 형성된다.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is formed to have its own elasticity and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can flow and return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as a hook portion 316 ' .

따라서,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된 다음,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하기 전에는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 때문에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is inserted into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of the rear frame 300, and then the grating fastening hook 316 'of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Therefore,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is not separated from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에는 그릴체결돌기(317)가 더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돌기(317)는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의 폭과 대응되는 좌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 grille fastening protrusion 317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grille 310. The grill fastening protrusion 317 is inserted into the grill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Therefore, the suction grille 31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ction grille 310 by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rille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도 8 내지 도 11에는 상기 손잡이(340)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340) 중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도 8의 I-I'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8에 도시된 손잡이의 우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8 to 11, the structure of the handle 340 is more specifically show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rovided on a right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of the pair of grips 340.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frame 300 Respectively.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8, and FIG. 11 is a righ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이러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손잡이(340)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도 8과 도 9)의 손잡이(34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우측의 손잡이인 도 8과 도 10 및 도 1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3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8 and 9)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8, FIG. 10, and FIG. 11 which are right hand knobs.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되는 손잡이몸체(344)와,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테두리(346)와,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리브(348)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340 includes a handle body 344 in which a user's finger is received, a handle frame 346 protruding from the handle body 344 along the edge of the handle body 344, And fixed ribs 348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부의 공간에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이다.The handle body 344 is a portion into which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and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 shape,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Therefore, four fingers except the thumb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상면(344a)과, 상기 손잡이상면(344a)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하면(344b)과, 상기 손잡이상면(344a)과 상기 손잡이하면(344b)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측면(344c)과, 전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전면(344d) 및 손잡이후면(344e)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handle body 344 includes a handle upper surface 344a forming an upper surface appearance and a handle bottom 344b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upper surface 344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 handle side 344c for connecting the handle bottom 344a and the handle bottom 344b to form a side external appearance and a handle front 344d and a handle rear 344e for forming front and rear external appearance.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우측단 테두리를 따라 전후좌우 외측으로 일정 크기로 돌출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테두리(346)는, 상기 손잡이(340)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손잡이공(342)에 장착될 때 후방프레임(300)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The handle rim 346 is protrud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utside along the right edge of the handle body 344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ccordingly, the handle frame 34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when the handle 340 is mounted on the handle hole 342 of the rear frame 300.

상기 고정리브(348)는 상기 손잡이(340)의 상면과 하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 기 고정리브(348)는 손잡이(340)가 상기 손잡이공(342)에 장착될 때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측에 위치된다. The fixing ribs 348 ar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handle 34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andle rim 346. The fixing rib 348 is positioned inside the rear frame 300 when the handle 340 is mounted on the handle hole 342.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리브(348)는 도시(도 10)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단면(정면에서 볼 때)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리브(348)의 우측면과 좌측면은 수직면(348')과 가이드면(348")으로 이루어진다. More specifically, the fixed rib 348 has a triangular cross-section (as seen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10. Thus,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is fixed rib 348 consist of a vertical surface 348 'and a guide surface 348 ".

상기 수직면(348')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내면에 접하는 면이며, 상기 가이드면(348")은 손잡이(340)의 장착을 안내하는 면이다. 즉 상기 가이드면(348")은, 상기 수직면(348')과 예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340)가 측방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공(342)로 삽입될 때, 손잡이공(342)의 테두리와 슬라이딩하여 손잡이(340)가 손잡이공(342)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vertical surface 348 'is a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and the guide surface 348' 'is a surface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grip 340. That is, the guide surface 348' The handle 340 is formed to have an acute angle with the vertical surface 348 'so that when the handle 34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342 from the side, the handle 340 slides on the edge of the handle hole 342, (342).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테두리(346)와 고정리브(348) 사이에는 손잡이홈(349)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홈(349)에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이 삽입된다.A handle groove 349 is formed between the handle rim 346 and the fixed rib 348,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30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groove 349.

상기 손잡이홈(349)은 'U'자 형상(전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손잡이홈(349)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리브(348)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손잡이보강리브(349')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The handle groove 349 is formed in a U shape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a knob reinforcement rib 349 'for supporting the fixing rib 348 more firmly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knob groove 349.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의 폭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전방으로 올수록 점차 좌우의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body 34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ateral wid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side. That is, the grip body 344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grip body 344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몸체(344)가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증가되도 록 구성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인체의 손가락은 각각 그 크기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handle body 344 is gradually increased in width toward the rear side is to facilitate the user's gripping. That is, the fingers of the human body are different in size from each other.

예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전방에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사람의 인지(둘째손가락)은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내부 후단에 수용되고, 새끼손가락은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내부 선단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인지의 원활한 수용을 위해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후단 폭을 선단보다 더 넓게 한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from the front, the human perception (the second finger) is received in the inner rear end of the handle body 344, and the little finger is positioned at the inner end of the handle body 344 Will be. Therefore, the rear end width of the handle body 344 is made wider than the front end for smooth recognition.

또한, 상기 손잡이몸체(344)는, 상기 손잡이테두리(346)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상측으로 치우쳐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도 10에서 상기 손잡이몸체(344)의 좌측단은 우측단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몸체(34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handle body 344 has a shape gradually shifted upward from the handle rim 346. 10, the left end of the handle body 344 is located higher than the right end. This is to prevent the user's fingers from being easily detach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andle body 344.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우 한 쌍의 손잡이몸체(344)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방으로 치우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상면(344a)과 손잡이하면(344b)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좌측으로 갈수록 그 위치가 점차 높아진다. 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left and right handle bodies 344 have a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up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surface 344a of the handle and the lower surface 344b of the handle are inclined. That is, the position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left side.

도 12와 도 13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s. 12 and 13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front frame 100,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격자 모양으로 성형되어 사각 형상의 개구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보강판넬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보강판넬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 하거나 차단하는 방음 및 흡음 역할 그리고,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응축수 등)을 흡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ont frame 10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rectangular openings. Although not shown, a reinforcing panel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where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Preferably, the reinforcing panel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or blocking noise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condensed water, etc.)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이중적으로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가조립수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이중적으로 고정 장착된다.The front panel 200 is fixed to the front frame 100 in a double manner. That is, the front panel 200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frame 100 by the assembl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상기 가조립수단은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가(假)조립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다수의 판넬후크(220)와 판넬후크공(130)으로 이루어진다. The gluing and bonding means allows the front panel 200 to be assembled to the front frame 100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panel hooks 220 and a panel hook hole 13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전면판넬(200)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판넬체결부(132)와 판넬체결돌기(222) 그리고, 체결부재(스크류 등)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fixes the front panel 200 to the front frame 100 by a fastening member and includes a panel fastening portion 132 and a panel fastening protrusion 222, (Such as a screw).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판넬후크공(130)이 형성된다. 상기 판넬후크공(1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판넬(200)의 판넬후크(22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판넬후크공(13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다수 형성된다.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panel hook holes 130 are formed in the front frame 100. The panel hook hole 130 is a portion in which the panel hook 220 of the front panel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fastened. The panel hook holes 130 are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front frame 100.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다수의 판넬체결부(132)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측과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상단에 3개 그리고,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하단에 3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하단에도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3개가 형성된다. In the meantime, a plurality of panel fastening parts 132 are formed on the front frame 100. The panel fastening portions 13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frame 100, respectively. That is, the panel fastening part 13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uver mounting hole 102 and at the lower end of the louver mounting hole 10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the front frame 100 has three left and right portion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판넬체결부(132)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판넬체결부(132)의 중앙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판넬체결공(132')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The panel fastening part 132 is a part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penetrates. Accordingly, a panel fastening hole 132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nel fastening part 132 so as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back.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에는 부가체결부(13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형성위치가 상이하다. 즉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하반부 좌우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Further, an additional fastening part 134 is further formed in the front frame 100. The additional fastening part 134 has the same shape as the panel fastening part 132, but is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That is, 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 134 is preferab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frame 100. More specifically, 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s 134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half of the front frame 100, respectively.

상기 부가체결부(134)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판넬(200)의 부가체결돌기(224)와 함께 부가체결수단이 된다. 상기 부가체결수단은 상기 전면판넬(200)의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면에 글라스(glass) 등과 같은 무거운 부품이 더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이러한 부가체결부(134)에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같이 체결부재가 관통하게 된다.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 134 is an additional fastening means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24 of the front panel 200 to be described below. The additional fastening means is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ront panel 200. That is, when the front panel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heavy parts such as glass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front panel 200 is used to more firmly fix the front panel 200 to the front frame 100. 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additional fastening part 134 like the panel fastening part 132.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과 상면 후단에는 프레임체결부(140)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부(140)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프레임체결돌기(37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가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체결부(14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체결부(140)의 중앙부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portions 14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The frame fastening part 14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ame fastening protrusion 370 of the rear frame 300 and is fastened to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frame fastening protrusion 370 and is fastened to the frame fastening part 140, the rear frame 300 and the front frame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 screw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parts 140 to fasten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후단부에는 다수의 체결가이드리브(14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가이드리브(142)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의 조립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가이드리브(142)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틈새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테두리가 삽입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guide ribs 142 protrude inwardly from the rear side end of the front frame 100. The fastening guide ribs 142 guide the assembly of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and have a shape of '?' Or 'a' (as viewed from above). Therefore, the rim of the rear frame 300 is inserted into the clearance between the fastening guide ribs 142 and the front frame 100.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에는 한 쌍의 드레인체결구(14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체결구(144)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a pair of drain fasteners 144 are protruded inward. The drain fasteners 144 protrude in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frame 100 and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have a shape of '┌' or 'a' (as viewed from above).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후단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드레인체결공(144')이 관통 형성된다.The drain fastener 144 is a part for fastening the front frame 100 and the main drain pan 700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mbers. Therefore, a drain fastening hole 144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pass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rain fastening hole 144.

그리고,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내부에는 도시(도 13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체결부(140)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frame fastening part 140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drain fastening part 144.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측면 하단부에는 한 쌍의 베이스체결구(146)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체결구(146)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와 같이 '┌' 또는 'ㄱ'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A pair of base fasteners 146 protrude in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100. The base fastener 146 protrudes in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frame 100 and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base fastener 146 has a shape of '┌' or 'a' as seen from the upper side ).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팬(500)이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후단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베이스체결공(146')이 관통 형성된다.The base fastener 146 is a part for fastening the front frame 100 and the base pan 500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refore, a base fastening hole 146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pass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fastening hole 146.

그리고, 상기 베이스체결구(146)의 내부에도 상기 드레인체결구(144)의 내부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체결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frame fastening part 140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base fastening part 146 as in the case of the drain fastening part 144.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 후단에는 에어가이드체결구(148)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 후단 하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체결구(148)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에어가이드체결공(148')이 관통 형성된다.A plurality of air guide fasteners 148 ar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The air guide fastener 148 is a portion for fastening the upper air guide 800 to the front frame 100. The air guide fastener 148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do. The air guide fastener 148 is formed with an air guide fastening hole 148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passes.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양측단에는 루버설치부(10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부(106)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양단이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반원 형상으로 성형된다. Louver mounting portions 106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uver mounting hole 102, respectively. The louver installation part 106 is a part where both ends of the discharge louver 110 are installed and supported, and is formed into a semicircular shape protruding forward in a round shape.

그리고, 이러한 루버설치부(106)의 내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의 루버회전축(111)이 삽입되는 루버설치홈(108)이 측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루버설치홈(108)은 상기 한 쌍의 루버설치부(106)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2개의 루버설치홈(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방은 개구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루버회전축(11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A louver mounting groove 108 into which the louver rotating shaft 111 of the discharging louver 11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s formed laterally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uver mounting portion 106. The louver mounting grooves 108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louver mounting portions 106. The front of at least one of the two louver mounting grooves 108 is open so that a louver rotating shaft 111) to facilitate installation.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루버설치부(10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루버(1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루버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A louver motor (not shown)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to the discharge louver 110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a pair of louver mounting portions 106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uver mounting hole 102.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중앙 부분에는 루버지지대(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대(150)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형성된다.A louver support 150 is integral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uver mount 102. The louver support 150 suppor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louver 110 and is formed up and down.

상기 루버지지대(150)는 상기 루버설치구(102)의 상하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부(152)와, 상기 연결부(152)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1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154)의 상단과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의 홈전면(114')과 홈저면(114")에 접촉하여 상기 토출루버(110)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게 된다.The louver supporter 150 includes a connection part 152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uver installation hole 102 and a stopper part 154 extending forward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52.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portion 154 are in contact with the groove front surface 114 'and the groove bottom surface 114' 'of the discharge louver 110 to be described below to control the rotation range of the discharge louver 110 .

상기 스토퍼부(154)의 선단에는 루버지지홀(15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루버지지홀(156)은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의 중앙지지축(115)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A louver support hole 156 is formed through the distal end of the stopper portion 154. The louver support hole 156 is a portion in which the center support shaft 115 of the discharge louver 11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supported.

도 14와 도 15에는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S. 14 and 15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front panel 200,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 테두리에는 다수의 판넬후크(22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판넬후크(220)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판넬후크공(1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서로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판넬후크(220)는 상기 판넬후크공(130)의 형성위치 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갯수가 각각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plurality of panel hooks 220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edge of the front panel 200. The panel hooks 220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anel hook holes 130 formed in the front frame 100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number of the panel hooks 2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 panel hook holes 130 are form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판넬후크(220)는 '¬' 형상(측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된다. 즉, 선단부가 상대적으로 더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판넬후크(220)가 상기 판넬후크공(130)에 삽입된 다음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Further, the panel hook 220 is formed in a shape (viewed from the side). That is, the distal en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cross sectional area so that the panel hook 220 can not be easily detach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panel hook hole 130.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에는 판넬체결돌기(222)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돌기(222)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와 더불어 고정수단이 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측부분과 하단에 각각 다수 형성된다. A plurality of panel fastening protrusions 222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0. The panel fastening protrusions 222 serve as fastening means together with the panel fastening portions 132 and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panel 200, respectively.

상기 판넬체결돌기(222)는 상기 판넬체결부(132)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출구(210)의 상하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3개씩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넬(200)의 하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된다. 상기 판넬체결돌기(222)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돌기가 상기 판넬체결부(132)를 관통한 다음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판넬체결돌기(222)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돌기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The panel fastening protrusions 222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anel fastening portions 132. Specifically, three panel fastening protrusions 222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charge ports 2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ee panel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anel fastening protrusion 222 is a portion where a fastening protrusion such as a screw passes through the panel fastening part 132 and then fastened. Accordingly, the panel fastening protrusion 222 is formed with a screw groove into which a fastening protrusion such as a screw is screwed.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에는 부가체결돌기(22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부가체결돌기(224)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가체결부(134)와 함께 부가체결수단이 되는 것으로, 이러한 부가체결돌기(224)는 상기 판넬체결돌기(222)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부가체결부(134)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부가체결돌기(224)에 나사체결된다.Further, an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2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0. The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24 is an additional fastening means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 134 described above. The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24 has the same shape as the panel fastening protrusion 222. Therefore, the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 134 is screwed to the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24.

상기 부가체결돌기(224)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가체결부(1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의 중앙부분 좌우 측단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The additional fastening protrusion 224 is formed in a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fastening portion 134 described above. That is, two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0, respectively.

상기 토출구(210)의 테두리에는 토출울타리(23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울타리(230)는 상기 토출구(210)의 테두리를 따라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토출울타리(230)는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루버설치구(10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A discharge fence (23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 (210). The discharge fence 230 protrudes rearward along the rim of the discharge port 210. When the front panel 200 is fastened to the front frame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sphere 102.

상기 토출울타리(230)의 측면에는 간섭방지홈(232)이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홈(232)은 상기 토출울타리(230)가 상기 루버설치구(102)로 삽입 설치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루버회전축(111)이 수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An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23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fence 230 so as to open rearwar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groove 232 is a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louver rotating shaft 111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discharging fence 230 is inserted into the louver mounting hole 102.

도 16과 도 17에는 상기 토출루버(110)의 전방 및 후방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6 and 1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the discharge louver 110, respectively.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루버(110)의 양 측면에는 루버회전축(111)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루버회전축(111)은 상기 토출루버(1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상기 루버설치부(106)의 루버설치홈(108)에 삽입 설치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discharge louver 110, a louver rotating shaft 111 is laterally protruded. The louver rotating shaft 111 is inserted into the louver mounting groove 108 of the louver mounting portion 106 as a rotation center of the discharge louver 110.

상기 토출루버(110)에는 다수의 토출리브(112)가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토출유로(11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루버(110)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루버중앙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루버중앙홈(114)은 상기에서 설명한 루버지지대(15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A plurality of discharge ribs 112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the discharge louver 110 to form a plurality of discharge flow paths 113.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louver 110, a louver central groove 114 opened rearward is formed. The louver center groove 114 is a portion in which the louver support 150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따라서, 상기 토출루버(1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루버지지대(150)가 루버 중앙홈(114)의 홈전면(114')과 홈저면(114")에 각각 부딪히게 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Accordingly, as the discharge louver 110 rotates, the louver supporter 150 hits the groove front 114 'and the groove bottom 114' 'of the louver central groove 114, respectively, do.

상기 루버중앙홈(114)의 좌측면(도 17에서는 우측면)에는 중앙지지축(11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앙지지축(115)은 상기 루버회전축(11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루버지지대(150)의 루버지지홀(156)에 삽입된다.A center support shaft 115 protrudes from the left side surface (right side in FIG. 17) of the louver center groove 114. The center support shaft 115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louver rotation axis 111 and is inserted into the louver support hole 156 of the louver support 150 described above.

도 18과 도 19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부 및 하부 구성이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18 and 19, the upper and lower configurations of the main drain pan 700 are respectively shown in a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드레인팬(700)은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ain drain pan 700 has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outer shape and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so that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바닥구획리브(702)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bottom partition ribs 70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as shown in FIG. The bottom partition ribs 702 form a plurality of cha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can flow.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바닥구획리브(7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bottom dividing ribs 702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bottom dividing ribs 702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drain pan 700 And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

이러한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열교환기(86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86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bottom partition rib 702 prevents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provided on the main drain pan 700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two-heat exchanger 860 and dropped can easily flow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

한편, 상기 바닥구획리브(702)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전면 및 측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좌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응축수의 유동을 가이드하게 된다.The bottom partition rib 702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main drain pan 700. That is, a leftwardly inclined shape, to guide the flow of the condensed water.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다수의 바닥응축수홀(7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바닥응축수홀(704)은 상기 제2열교환기(86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In the main drain pan 700, a plurality of bottom condensed water holes 704 are vertically formed. The bottom condensed water hole 704 allow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to move downward of the main drain pan 700.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전반부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하우징안착홈(710)이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에 형성되는 상부팬하우징(81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하우징안착홈(710)의 상측에 상기 상부팬하우징(810) 하단이 수용되는 것이다.The main drain pan 700 further includes a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which is recessed downward. The housing seating groove 710 i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upper fan housing 810 formed in the upper air guide 800. Therefore,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an housing 8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an housing 810 is accommod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는 다수의 홈구획리브(712)가 일체로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구획리브(712)는 상기 바닥구획리브(7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홈구획리브(712)도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In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a plurality of groove dividing ribs 712 are integrally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groove dividing rib 71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dividing rib 702. Accordingly, the groove partition ribs 712 are also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또한,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는 홈응축수홀(71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홈응축수홀(714)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닥응축수홀(704)과 같은 형상을 가 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 groove condensate hole 714 is formed in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groove condensate holes 714 have the same shape as the bottom condensate holes 704 described above and perform the same function.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홈응축수홀(714)은,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최하단에 형성된다. 즉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되어 원호(전방에서 볼 때)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제일 낮은 부위에 상기 홈응축수홀(714)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에 고이는 응축수가 하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lurality of groove condensate holes 714 are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housing seating groove 710. That is, the groove condensation hole 714 is formed at the lowest part of the housing mounting groove 710 having an arc-shaped cross-sec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This is to allow 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to be discharged smoothly downward.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에는 응축수낙하가이드(7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응축수홀(704,714)을 통해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저면)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원활하게 바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타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A condensate drop guide 716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condensed water drop guide 716 is for allowing the condensed water moving downward (bottom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to fall directly through the condensed water holes 704 and 714 smoothly. That is, the condensed water mov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does not flow to the other parts, but is directly dropped.

따라서,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는 상기 각각의 응축수홀(704,71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응축수홀(704) 및 홈응축수홀(71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홀(704,714)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condensed water drop guide 71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More specifically, the condensate drop guide 716 extends downward from the respective condensed water holes 704 and 714. That i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condensed water hole 704 and the groove condensed water hole 714, and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densed water holes 704 and 714.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main drain pan 7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components.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컨트롤박스설치구(720)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는 상기 컨트롤박스(870)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컨트롤박스설치구(720)를 상하로 가로질러 상기 컨트롤박스(870)가 설치된다.Specifically, a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720 is formed at a front right portion of the main drain pan 700 so as to open forward. The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720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rol box 870. Therefore, the control box 870 is installed across the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720.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좌측부분에는 덕트회피홈(722)이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진다.A duct avoiding groove 722 is formed at the rear left portion of the main drain pan 700 so as to open rearward. The duct avoiding groove 722 serve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Therefore, the duct avoiding groove 722 has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ading end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우측부분에는 작업구(724)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구(724)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우측모서리가 'ㄴ'자 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으로, 이러한 작업구(724)는 작업자의 작업(애프터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A work hole 724 is formed in a rear right portion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work opening 724 is formed by cutting off the rear right corner of the main drain pan 700 in an '' 'shape. The work opening 724 is provided to facilitate work of the operator (after-sales service, etc.) .

예를 들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 하측에는 상기 압축기(520)가 설치되고, 이러한 압축기(520)에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이 씌워지는데, 이러한 보호캡의 장착을 상방에서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업구(724)를 형성한 것이다.For example, the compressor 520 is install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a protective cap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compressor 520. And the work tool 724 is form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하는 배관통과홈(7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 압축기(520) 및 제2열교환기(86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는 냉매배관에 의해 유동되는데, 이러한 냉매배관이 상기 배관통과홈(726)을 통해 상하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배관통과홈(7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A pipe passage groove 726 through which a refrigerant pipe (not shown) passes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That is, the refrigerant flowing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the compressor 520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flows through a refrigerant pipe composed of a pipe, (726). The pipe passage groove 726 is formed in the shape of '⊂' as viewed from above.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좌측단 선단부에는 코드관통홈(730)이 형성된다. 상기 코드관통홈(7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파워코드(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상부모터(8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등이 통과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코드관통홈(730)은 '⊃'형상(상방에서 볼 때)을 가진다.A cord through-hole 730 is formed in the lef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cord through-hole 730 is a groove through which a power cord (not shown)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power source line that supplies power to the upper motor 820 pass. The cord through-hole 730 has a "⊃" shape (as viewed from above).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에는 전원선통과홈(7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의 좌측에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은 상기 압축기(520) 및 응축수펌프(550) 등으로 공급되는 각종 전원선이 통과하는 곳이다. A power line through-hole 73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That is, the power line penetration groove 732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720. The power line passage groove 732 is a passage through which various power lines supplied to the compressor 520 and the condensate pump 550 pass.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는 상기 전원선통과홈(732)으로 삽입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다시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리브(732')가 더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line penetration groove 732 is formed in a shape of '∩' (as viewed from above), and a power line (not shown) inserted into the power line penetration groove 732 is connected to the tip Further, a departure-preventing rib 732 'for preventing the frontward departure is formed.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면 선단 부근에는 보조홈(73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홈(734)도 상기 전원선통과홈(732)가 같이 다수의 전원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원선통과홈(732)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주로 직류(DC)전원선 등이 통과된다.An auxiliary groove (734) is further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tip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auxiliary groove 734 is for guid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such as the power line passage groove 732 and has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ower line passage groove 732, And so on.

상기 보조홈(7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지며, 우측단에는 삽입된 전원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직류선이탈방지리브(734')가 형성된다. The auxiliary groove 734 is formed in a '⊂' shape (as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the figure, and a DC line separation preventing rib 734 'is formed at the right end to prevent the power lin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groove 734.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의 결합을 위한 드레인체결부(736,737,739)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체결부(736,737,739)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전방드레인체결부(736)와, 상기 메인드레인 팬(70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후방드레인체결부(737), 그리고 우측드레인체결부(739)로 이루어진다. The main drain pan 700 is formed with drain coupling portions 736, 737 and 739 for coupling with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drain coupling portions 736, 737 and 739 include a front drain coupling portion 736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drain fan 700 and a rear drain coupling portion 737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drain fan 700, And a right-side drain coupling portion 739.

상기 전방드레인체결부(736)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드레인체결부(737)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 중앙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방드레인체결부(736)와 후방드레인체결부(737)의 중앙에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드레인체결공(738)이 관통 형성된다.The front drain coupling portion 736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the rear drain coupling portion 737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a rear center portion of the main drain pan 700 . A drain coupling hole 738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passes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drain coupling portion 736 and the rear drain coupling portion 737 as described above.

상기 우측드레인체결부(739)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부분에는 3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단과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우측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상기 우측드레인체결부(739)에도 상기 드레인체결공(738)과 같은 우측드레인체결공(739')이 관통 형성된다.Three of the right drain coupling portions 739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That is, the right side drain pan 70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at the righ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respectively. And a fastening hole 739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우측모서리에는 앵글홀(74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앵글홀(740)은 상기에서 설명한 지지앵글(58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앵글홀(740)은 상기 지지앵글(580)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앵글(580)은 상기 앵글홀(74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An angle hole 740 is formed through the right end edge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angle hole 740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support angle 580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Therefore, the angle hole 740 has a shape (viewed from abov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angle 580. The support angle 580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angle hole 740.

그리고,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 우측단 부근에는 브레이스지지부(742)가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스지지부(742)는 상기 브레이스(570)의 상단이 체결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도 19에서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쌍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며, 서로 대칭되는 '└'과 '┘' 형상(도 19의 상방에서 볼 때)을 가진다.A brace supporting portion 742 is formed near the right bottom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brace supporting portion 742 is a por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brace 570 is fastened and supported and protrudes downward (upward in FIG. 19)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is formed as a pair.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the figure, and have a shape of '└' and a shape of '┘' (as viewed from above in FIG. 19) symmetrical to each other.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좌우 측면 선단 부근에는 프레임체결홈(74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은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frame coupling grooves 744 are formed near the left and right side front ends of the main drain pan 700, respectively. The frame fastening groove 744 is formed by a screw groove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fastened to fix the main drain pan 700 to the front frame 100.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드레인체결구(144)의 드레인체결공(14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screw)가 상기 드레인체결공(144')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체결홈(744)에 체결되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frame fastening groove 7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ain fastening hole 144 'of the drain fastening hole 144 formed in the front frame 100. Accordingly, when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frame fastening groove 744 through the drain fastening hole 144 ', the tip of the main drain pan 700 is fixed to the front frame 100.

도 20과 도 21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보조드레인팬(75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20 and 21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집수시키고, 다시 집수 된 응축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서 낙하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provided below the main drain pan 700, and collect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510 and 860 ,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again fall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따라서,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는, 집수 된 응축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낙하공(7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낙하 공(7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나란히 이격 형성된다.Accordingly,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op holes 752 through which the collected condensed water is guided to fall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he drop holes 752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 plurality of drop holes 752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다수의 낙하공(752)은, 복수의 열(列)로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낙하공(752)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 우측부분에 전후로 나란히 형성되는데, 2열로 형성된다. 물론, 1열로 형성되거나 3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plurality of drop holes 752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That is, the plurality of drop holes 752 are form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Of course, it may be formed in one column or three or more columns.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되면, 상기 다수의 낙하공(752)은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측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낙하공(752)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면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낙하공(752)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면을 통해 흘러내리면서 증발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installed, the plurality of drop holes 752 are positioned above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More specifically, the drop hole 752 is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falling downward through the drop hole 752 flows down through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evaporates.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저면에는 낙하안내리브(75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낙하안내리브(754)는, 상기 낙하공(752)을 통해 보조드레인팬(75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한 응축수의 낙하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낙하공(75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 drop guide rib 754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falling guide rib 754 guides downward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passed down through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rough the drop hole 752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drop hole 752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한편,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보조드레인팬(750) 내부로 집수 된 응축수가 상기 낙하공(752)으로 안내되도록, 측단으로부터 상기 낙하공(752) 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진다.Meanwhile,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formed to be inclined. That i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provided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ide end toward the drop hole 752 so that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guided to the drop hole 752.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드레인안내면(76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가 유입되어 안내되는 면이다.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stepped to form a drain guide surface 760. Therefore, the drain guide surface 760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drain guide surface 760 is a surface to which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base pan 500 flows and is guided.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에는 다수의 드레인가이드홈(762)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은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으로 공급되는 응축수가 보조드레인팬(750) 바닥면(750a)으로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drain guide grooves 762 are downwardly formed in the drain guide surface 760. The drain guide groove 762 guides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to the drain guide surface 760 to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의 바닥면은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의 바닥면은, 상기 낙하공(752)이 형성된 방향(도 20에서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에 의해 응축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일어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guide groove 762 is sloped to the left.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guide groove 762 is inclined so that its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p hole 752 is formed (left side in FIG. 20). Accordingly, the flow of the condensed water smoothly occurs due to such inclination.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좌측면(750b)에는 드레인회피구(764)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회피구(764)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좌측면(750b) 일부가 절개된 것으로, 이는 보조드레인팬(750)과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결합할 때,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우징안착홈(71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 drain avoidance port 764 is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750b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drain avoiding opening 764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left side surface 750b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so that when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the main drain pan 700 are coupled,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of the fan 700.

상기 드레인회피구(764)와 마주보는 보조드레인팬(750) 우측면(750c)에도 드레인회피면(76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드레인팬(750) 우측면(750c)의 전반부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드레인회피면(766)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드레인회피면(766)도 상기 드레인회피구(764)와 같이 상기 하우징안착홈(71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A drain avoiding surface 766 is also formed on the right side surface 750c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facing the drain avoidance hole 764. That is, the first half of the right side 750c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sloped to the right to form a drain avoiding surface 766. Such a drain avoiding surface 766 is also formed in the housing 754,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eating groove 710.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커넥터체결부(768)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체결부(768)는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일단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방이 개구된 'U'자 형상을 가진다.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768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768 is a portion to which one end of the condensed water pipe 560 is fastened, and has a U-shaped upper opening.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 선단과 후단에는 드레인후크(77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후크(770)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후크(hook)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A drain hook 770 is formed at the righ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respectively. The drain hook 770 is formed of a hook having a hook shap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상기 드레인후크(770)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1차적으로 가(假)조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드레인후크(770)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형성되는 드레인후크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1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The drain hook 770 serves to primarily assemble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o the main drain pan 700. That is, when the drain hook 770 is inserted and fastened to a drain hook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drain pan 700,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inserted into the main drain pan 700 And is subsequently combined.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의 드레인체결돌기(772,774,77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드레인체결돌기(772,774,776)는 상기에서 설명한 메인드레인팬(700)의 드레인체결부(736,737,739)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fastening protrusions 772, 774 and 776 for fastening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o the main drain pan 70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rain fastening protrusions 772, 774, 776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rain coupling portions 736, 737, 739 of the main drain pan 700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전면(750d)과 후면(750e) 상단에는 전방드레인체결돌기(772)와 후방드레인체결돌기(774)가 각각 전후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전방드레인체결돌기(772)와 후방드레인체결돌기(774)의 중앙부에는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전방드레인체결홈(772')과 후방드레인체결 홈(774')이 각각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 front drain fastening protrusion 772 and a rear drain fastening protrusion 774 protrude forward and rearward from the front surface 750d and the rear surface 750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respectively. A front drain coupling groove 772 'and a rear drain coupling groove 774'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772 and the rear drain coupling protrusion 774,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단에는 3개의 우측드레인체결돌기(776)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우측드레인체결돌기(776) 중앙부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우측드레인체결홈(776')이 형성된다.Three right-side coupling projections 776 ar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t the center of each right-side drain fastening protrusion 776, a right-side drain coupling groove 776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와의 결합을 위한 열교환체결부(780,782)가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전면(750d)에는 전방열교환체결부(78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 후단에는 후방열교환체결부(78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방열교환체결부(780)와 후방열교환체결부(782)에는 체결부재가 관통 가능한 전방열교환체결공(780')과 후방열교환체결공(782')이 각각 형성된다.Heat exchange coupling portions 780 and 782 for coupling wit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re formed in the auxiliary drain pan 750, respectively. A front heat exchange coupling part 780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750d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a rear heat exchange coupling part 78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auxiliary drain fan 750. [ Is formed. A front heat exchange coupling hole 780 'and a rear heat exchange coupling hole 782' are formed in the front heat exchange coupling portion 780 and the rear heat exchange coupling portion 782,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can pass.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저면 우측단(도 21에서는 후단)에는 열교환지지리브(78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지지리브(784)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상단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교환지지리브(784)에 의해 제1열교환기(510)가 지지되어 넘어짐이 방지된다.A heat exchange supporting rib 784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right side end (the rear end in FIG. 21)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heat exchange supporting ribs 784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pper right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s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supporting ribs 784. Therefore,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s supported by the heat exchange supporting ribs 784, so that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s prevented from falling.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좌측단(도 21에서는 선단)에는 다수의 오리피스체결리브(786)가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체결리브(786)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가 상기 하부오리피스(60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plurality of orifice fastening ribs 786 are formed at the left end (the tip end in FIG. 21)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orifice coupling ribs 786 are for coupling the lower orifice 600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상기 오리피스체결리브(786)는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리브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리브 중 하나(도 21에서는 후측의 리브)에는 걸림턱(78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체결리브(786)가 상기 하부오리피스(600) 상면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체결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턱(786')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orifice fastening ribs 786 are formed of a pair of ri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hook 786 'is formed in one of the pair of ribs (the rib on the rear side in FIG. 21). Therefore, when the orifice fastening rib 786 is inserted into the orifice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orifice 600, the fastening rib 786 is not caught by the fastening protrusion 786 '.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냉매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 First, the flow of refrigerant and air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ooling or heating. Here, the case wher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ool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때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20)와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serves as a condens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serves as an evaporator. A refrigerant pipe (not shown) is connected between the compressor 520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유입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 Accordingly, when the gas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520 is compressed and flows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n a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in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do.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 The condensed refrigerant then expands while passing through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nd enters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and evaporates. Therefore, the refrigerant becomes a gaseous state, and at this time also the refrigerant in a liquid state remains, and actually two-phase refrigerant is mixed.

이러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압축 기(520)에 보내져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accumulator 530 and is then sent to the compressor 520 to complete the circul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한편,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2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Meanwhile,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to perform heat exchange.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22.

우선 방열측(메인드레인팬의 하측 부분)에서의 공기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6081210428-pat00001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하부모터(66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First, the air flow (in the figure, '
Figure 112006081210428-pat00001
'). At this time, the air flow is basically generated by the lower fan 630. That is, when the lower motor 660 is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lower fan 630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lower motor 660 rotates to generate air flow.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다. Therefore, the rear air flows through the lower grill 330 formed at the low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 The air flowing forward through the lower grill 330 is diverted to flow to the left side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2열교환기(86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rises. That is, since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serves as a condenser, heat is received from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and the air is in a high temperature state.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하오리피스공(602)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팬(63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토출된다.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passes through the lower orifice hole 602 and flows into the center of the lower fan 630. The air flowing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fan 630 flows radially by the rotation of the lower fan 630 and is guided by the exhaust guide 650 and discharged upward.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배기안 내수단(400)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The high temperature air guided upward by the exhaust guide 650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exhaust means 400.

다음으로, 흡열측(메인드레인팬의 상측 부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6081210428-pat00002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팬(8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모터(82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상부모터(82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팬(84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Next, the flow of the air that occurs at the heat absorption 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drain pan)
Figure 112006081210428-pat00002
'). At this time, the air flow is basically generated by the upper fan 840. That is, when the upper motor 820 is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upper fan 840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upper motor 820 rotates to generate air flow.

따라서, 외측(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형성된 흡입그릴(310)을 통해 내부(전방)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된다.Accordingly, the outside (indoor space) air flows inward (forward) through the suction grille 310 formed on the upper half of the rear frame 300.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grille 310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320 and the deodorizing filter 322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in the air.

상기 프리필터(320)와 탈취필터(3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320 and the deodorizing filter 322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and heat exchange occurs in this process. That is, since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functions as an evaporator,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상기 상오리피스공(852)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팬(8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The low-temperatur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flows forward through the upper orifice hole 852 and flows into the center of the upper fan 84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upper fan 840 is radially discharged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fan 840, and the air is guided by the upper fan housing 810 to flow upward.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나와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한 다.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의 전방으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토출루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기도 한다.The air flowing upward by the upper fan housing 810 is forwarde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814 of the upper air guide 800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louver 110. [ The low-temperatur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louver 110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discharge port 210 to cool the indoor space. Meanwhile, ai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louver 110 is also diverted by a plurality of ribs formed in the discharge louver 110.

다음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상기 흡입그릴(310)을 체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fastening the suction grille 310 to the rear frame 300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먼저 상기 흡입그릴(310)을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그릴체결돌기(317)가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도록 한다.First, the suction grille 310 is brought close to the rear of the rear frame 300. Then, the grill fastening protrusion 31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grill 310 is inserted into the grill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상기 그릴체결돌기(317)가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을 전방으로 민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에 형성된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에 삽입되면,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1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After the grille fastening protrusion 317 is inserted into the grille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grille 310 is pushed forward. Then, a grill fastening hook 316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grill 310 is inserted into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When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is inserted into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fastening portion 316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장착된 상기 흡입그릴(31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장착의 역순에 의한다.In this manner, the suction grill 310 is mounted on the rear frame 300. In order to separate the suction grille 310 moun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suction grille 310 is revers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즉, 상기 흡입그릴(31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탈거리브(315)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자체 탄성에 의해 좌우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걸림부(316')가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That is, in order to separate the suction grille 310, the removal rib 315 is pulled forward while being held by a hand. As a result,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flows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its own elasticity, so that the retaining portion 316 'of the grill fastening hook 316 moves backward through the grill hook fastening hole 374 .

그런 다음에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그릴체결돌기(317)가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이탈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310)의 분리가 완료된다.Then, the suction grille 310 is lifted upward. The grill fastening protrusion 317 of the suction grill 310 is separated from the grill projection insertion hole 354 and is released upward. By this process, the suction grill 310 is completely separated.

한편,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340)에 손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전방에 서서 들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340)의 내부공간은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간의 인지(둘째 손가락)이 상기 손잡이(340)의 내부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ift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ust raise his / her hand while holding the hand on the pair of handles 34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tand up in front of the above-mentioned air conditioner. That is,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340 is gradually widened toward the rea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human perception (second finger) is positioned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andle 340.

그리고, 상기 손잡이(340)를 상기 손잡이공(342)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양측에서 상기 손잡이(340)를 밀착시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손잡이(340)의 고정리브(348)는 일측(내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이드면(348")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340)를 상기 손잡이공(342)에 밀어넣으면, 이러한 가이드면(348")이 상기 손잡이공(342)의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assemble the knob 340 to the knob hole 342, it is possible to apply the force by pressing the knob 340 on both sides. That is, since the fixing rib 348 of the handle 340 is inclined at one side to form the guide surface 348 '', when the handle 340 is pushed into the handle hole 342, And this guide surface 348 " slides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handle hole 342. [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계속 측방(내측)으로 힘을 가하면, 드디어 상기 고정리브(348)는 상기 손잡이공(342)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이 상기 손잡이(340)의 손잡이홈(349)에 위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340)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Thus,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of the handle 340 in this state, the fixing rib 348 finally moves to the inside of the handle hole 34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ounting of the handle 340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200)을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에서 설명한 가조립수단에 의해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수단을 활용하여 완전히 고정한다.In order to mount the front panel 200 on the front frame 100, first, the front panel 200 is coupled to the front frame 100 by the above-described cooperating means. Then, Make full use of means.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전면판넬(200)을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으로부터 밀착시키면, 상기 다수의 판넬후크(220)가 상기 다수의 판넬후크공(130)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판넬(200)이 가(假)조립된다.A plurality of panel hooks 22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panel hook holes 130 so that the front panel 100 is inserted into the front panel 100. [ 200 are temporarily assembled.

그런 다음,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측으로부터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판넬체결부(132)의 판넬체결공(132')을 관통하게 한 다음, 체결부재가 상기 판넬체결돌기(222)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면, 상기 전면판넬(200)이 전방프레임(100)에 완전히 고정된다.Then, after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passes through the panel fastening hole 132 'of the panel fastening part 132 from the rear side of the rear frame 300,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panel fastening protrusion 222, the front panel 200 is completely fixed to the front frame 100.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200)이 무거운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가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판넬(200)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의 과정은 상기 고정수단의 체결과정과 동일하다.When the front panel 200 is heavy, the front panel 20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front frame 100 by using the additional fastening mean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t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means.

다음으로는,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에서의 응축수 유동을 살펴본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에서는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응축수가 생성된다.Next, the flow of condensed 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external air and the internal refrigerant. In this process, moisture in the air condenses to generate condensed water.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제2열교환기(860) 하부로 내려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에 떨어진 응축수는 상기 바닥구획리브(702)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 기 바닥응축수홀(704)을 통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is process falls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860 and fa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condensed water drop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is guided by the bottom partition rib 702 and flows through the main drain pan 700 through the bottom condensed water hole 704 And moves to the lower side.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상면의 응축수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으로도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으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densed 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flows into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as well. That is, since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rain pan 700, part of the condensed water moves to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상기 홈구획리브(71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점점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하부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안착홈(710)의 최하단에 형성된 홈응축수홀(714)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다.The condensed water moved to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is guided by the groove dividing rib 712 and gradually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710. Then, it moves downward through the groove condensate holes 714 form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housing receiving recess 710.

상기 응축수홀(704,714), 즉 상기 바닥응축수홀(704)과 홈응축수홀(714)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의 내면을 따고 흘러내리게 되며, 이윽고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의 하단에 맺힌 다음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낙하가이드(716)로부터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 상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The condensed water holes 704 and 714, that is,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ottom condensed water hole 704 and the groove condensate water hole 714 and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700 is drawn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drop guide 716 And finally falls at the lower end of the condensate drop guide 716 and then drops downward.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condensed water drop guide 716 drops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도 23과 도 24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3 and 2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main drain pan 700.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설치구(720)에는 컨트롤박스(870)가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컨트롤박스(870)에 구비되는 부품은 컨트롤박스(870) 하측으로 돌출되기도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trol box 870 is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720.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control box 87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control box 870.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통과홈(726)에는 냉매배관(746) 이 상하로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작업구(724)는 상기 압축기(5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 상측에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구(724)를 통해 상측에서 보호캡을 끼울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pipe 746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pipe passage groove 726, and the work hole 724 is located above the compressor 520. Therefore, when the protection cap (not shown) is to be mounted on the compressor 520, the operator can insert the protection cap from the upper side through the operation opening 724.

그리고, 상기 덕트회피홈(72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이 상기 배기가이드(650)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이러한 배기안내수단(400)의 전반부가 상기 덕트회피홈(722)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duct avoiding groove 722 is located above the exhaust guide 650. Although not shown, when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guide 650, the front half of the exhaust guiding means 400 is received in the duct avoiding groove 722 will be.

또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과 상기 베이스팬(500) 사이에는 상기 지지앵글(580)이 설치되어 메인드레인팬(700)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앵글(580)은 상기 앵글홀(74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supporting angle 580 is provided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main drain pan 700 and the base fan 500 to support the main drain pan 700. The supporting angle 580 is formed by the angle Hole 740 from above.

도 25에는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installe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연교환체결부(780,782)를 통해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 제1열교환기(510) 상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열교환지지리브(784)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상단이 접하게 되므로, 상기 제1열교환기(510)가 우측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And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at this time,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inserted through the tongue exchange coupling portions 780 and 782 so that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re coupled. At this time, since the right upper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s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supporting ribs 784,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is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right side.

한편,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체결리브(786)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체결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조드레인 팬(750)과 상기 하부오리피스(600)가 서로 결합된다.The plurality of orifice coupling ribs 786 are inserted into orifice fastening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orifice 600 so that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the lower orifice 60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커넥터체결부(768)에는 상기 응축수배관(560)의 상단이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가 펌핑(pumping)되어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유입된다.The upper end of the condensed water pipe 560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768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e condensed water is pumped to the base pan 500 by the condensate pump 550 and then flows in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rough the condensed water pipe 560.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안내면(760)으로 유입되고, 상기 드레인가이드홈(76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으로 흘러가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집수된 응축수도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supplied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through the condensed water pipe 560 flows into the drain guide surface 760 and is guided by the drain guide groove 762, And flows to the surface 750a. 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main drain pan 700 also drop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바닥면(750a)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바닥면(750a)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낙하공(752)으로 이동하여 보조드레인팬(750)을 통과한 다음 하측의 낙하안내리브(754)에 도달하게 되며, 이러한 낙하안내리브(754)에서 낙하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부분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Since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condensed water dropped to the bottom surface 750a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is inclined, the condensed water moves to the drop hole 752,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drain pan 750, Reaches the falling guide rib 754, falls down from the falling guide rib 754, and flows down along the right por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 부분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 발생되는 열과,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증발된다.The condensed water flowing along the right por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flows into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through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510 and the lower grill 330, Lt; / RTI >

도 26에는 도 2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 상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drain pan 700 in a state as shown in FIG. 25 in a state where the main drain pan 7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이와 같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체결후크와 체결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된다. When the main drain pan 700 is fixed to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s described above, the main drain pan 700 and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re doubly fixed by the fastening hook and the fastening member.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상측으로부터 밀착시키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의 우측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드레인후크(770)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형성되는 드레인후크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가(假)조립이 이루어진다.Specifically, when the main drain pan 7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 drain hook 770 formed at the righ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750, respectively, (Not shown) formed in the base plate 700 to be temporarily assembled.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 메인드레인팬(700)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체결부재(스크류 등)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드레인체결부(736,737,739)를 각각 관통한 다음,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에 형성된 드레인체결돌기(772,774,776)이 드레인체결홈(772',774',776')에 각각 체결되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과 메인드레인팬(70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In this state,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the main drain pan 70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by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at is, after the fastening members (screws or the like) penetrate the drain coupling portions 736, 737, 739 of the main drain pan 700, the drain coupling projections 772, 774, 776 formed in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re inserted into the drain coupling grooves 772 ', 774', and 776 ', respectively, the auxiliary drain pan 750 and the main drain pan 700 are firmly fix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보조드레인팬이, 메인드레인팬과 열교환기 그리고 오리피스와 각각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각 부품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auxiliary drain pan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pan, the heat exchanger and the orifice, respectively.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as a whole is improved because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is firm.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품은 주변 부품과의 결합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보조드레인팬에는, 메인드레인팬에 형성되는 하우징안착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드레인회피구 및 드레인회피면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품의 소형(콤팩트)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has a structure for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when coupled with peripheral components. For example, the auxiliary drain pan is formed with a drain avoidance hole and a drain avoidance surf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drain pan,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duct can be made compact (compact).

Claims (7)

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과,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과,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메인드레인팬;A main drain pan for vertically dividing a space formed by a base frame forming a lower outer appearance, a front frame forming a front outer appearance, a rear frame forming a rear outer appearance,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지지되는 제2열교환기;A second heat exchanger positioned above the main drain pan and having a lower side supported by the main drain pan;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베이스팬에 지지되는 제1열교환기; 및A first heat exchanger located below the main drain pan and a lower side supported by the base fan; And 상기 메인드레인팬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드레인팬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로 안내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요동을 방지하는 보조드레인팬; 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The main drain pan is coupled to the main drain pan at a lower side of the main drain pan and guides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main drain pan to the first heat exchanger. The first condense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eat exchanger, An auxiliary drain pan to prevent it; And an air conditio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드레인팬은,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drain pan 체결후크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이중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the main drain pan is doubly fastened to the main drain pan by a fastening hook and a fasten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보조드레인팬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auxiliary drain pan is formed at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auxiliary drain pa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조드레인팬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체결을 위한 열교환체결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And the auxiliary drain pan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first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조드레인팬의 하면에는,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drain pan,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단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열교환지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공기조화기.And a heat exchange supporting rib which protrudes downward and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 exchanger from the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조드레인팬에는,In the auxiliary drain pan, 상기 메인드레인팬에 형성되는 하우징안착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드레인회피구 및 드레인회피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d a drain avoiding hole and a drain avoiding surface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a housing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drain pa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조드레인팬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가 구비되며;One side of the auxiliary drain pan is provided with an orific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상기 보조드레인팬은, 상기 오리피스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Wherein the auxiliary drain pan is coupled to the orifice.
KR1020060109162A 2006-11-06 2006-11-06 Air conditioner KR101416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62A KR101416988B1 (en) 2006-11-06 2006-11-06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62A KR101416988B1 (en) 2006-11-06 2006-11-06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65A KR20080041065A (en) 2008-05-09
KR101416988B1 true KR101416988B1 (en) 2014-08-07

Family

ID=3964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62A KR101416988B1 (en) 2006-11-06 2006-11-06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2808A (en) * 2017-04-28 2019-10-29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137B1 (en) * 2015-06-10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Air conditioner
EP3104088B1 (en) 2015-06-10 2021-07-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conditioner
KR101716135B1 (en) * 2015-06-10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Air conditioner
KR101716134B1 (en) * 2015-06-10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Air conditioner
KR20190119969A (en) 2018-04-13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able air conditioner improved outlet structure
CN112283928B (en) * 2020-09-27 2021-09-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Water receiving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88A (en) 1999-10-13 2001-04-27 Toyotomi Co Ltd Heat exchanger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20050089443A (en) * 2004-03-0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JP2006234282A (en) * 2005-02-25 2006-09-07 Sharp Corp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88A (en) 1999-10-13 2001-04-27 Toyotomi Co Ltd Heat exchanger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20050089443A (en) * 2004-03-0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JP2006234282A (en) * 2005-02-25 2006-09-07 Sharp Corp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2808A (en) * 2017-04-28 2019-10-29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65A (en) 200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182B1 (en) Air conditioner
KR101416988B1 (en) Air conditioner
US8037707B2 (en) Air conditioner
US7752863B2 (en) Air conditioner
KR101304064B1 (en) Air conditioner
CN100561059C (en) Air-conditioner
KR101335748B1 (en) Air conditioner
EP1876399B1 (en) Air conditioner
EP1876397A2 (en)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 collection via drain pans and evaporative cooling of heat exchanger
KR101316427B1 (en) Air conditioner
KR101315602B1 (en) Air conditioner
KR101384924B1 (en) Air conditioner
KR101322560B1 (en) Air conditioner
KR101235930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41062A (en) Air conditioner
KR101384890B1 (en) Air conditioner
KR101304158B1 (en) Air conditioner
KR101314915B1 (en) Air conditioner
KR20090010420A (en) A exhaust guide device for air conditioner
KR20080041071A (en) Air conditioner
CN100572942C (en) Air-conditioner
KR20080038729A (en) Air conditioner
KR20080041078A (en) Air conditioner
KR20080041064A (en) Air conditioner
KR20080041074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