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759B1 - Ho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o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6759B1 KR101416759B1 KR1020060135560A KR20060135560A KR101416759B1 KR 101416759 B1 KR101416759 B1 KR 101416759B1 KR 1020060135560 A KR1020060135560 A KR 1020060135560A KR 20060135560 A KR20060135560 A KR 20060135560A KR 101416759 B1 KR101416759 B1 KR 101416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value
- value
- home
- stored
- receiv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홈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홈 서버는, 홈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태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 저장된 상태값을 전송하면서,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홈 기기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A home ser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home serv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state values transmitted from the hom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verifying the stored state value while transmitting the stored state values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when there is a state value request from the user interface device . As a result, the state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rovid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홈 서버, 홈 기기, 상태값,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 검증 Home server, home device, status value, user interface device, verification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홈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neral home server control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가 구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ystem having a ho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Drawings]
100 : 홈 기기 200 : 홈 서버100: home appliance 200: home server
210 : 저장부 220 : 제어부210: storage unit 220:
300 : UI 기기 221 : 상태값 판단부300: UI device 221: status value determination unit
223 : 상태값 처리부223: State value processor
본 발명은 홈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기기의 상태값을 검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에 제공하는 홈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ser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ser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verify state values of a home appliance and provide the same to a user interface device.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은 집안과 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홈 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백색 가전으로 불리우던 냉장고나 세탁기 등이 점차 디지털화되고, 가전용 운영 체제 기술과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기술 등이 디지털 가전에 집약되고, 새로운 형태의 정보 가전이 등장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발전하게 되었다.In general, a home network system refers to a network in which various home applian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joy convenient, safe and economical living services at home and outsid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refrigerators and washing machines, which are called white household appliances, are increasingly digitalized. As home system operating technology and high speed multimedia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concentrated on digital appliances and new types of information appliances are emerging, Home network system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공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네트워크,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 그리고 리빙 네트워크로 분류할 수 있다.Such a home network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a data network, an entertainment network, and a living network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여기서, 데이터 네트워크(data network)란 PC와 주변 장치들 간에 데이터 교 환이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구축되는 네트워크 유형을 말하며,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entertainment network)는 오디오나 비디오 정보를 다루는 가전 기기들간의 네트워크 유형을 말한다. 그리고, 리빙 네트워크(living network)는 가전 기기, 홈 오토메이션 그리고 원격 검침과 같이 기기들의 단순한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구축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Here, the data network refers to a type of network constructed for exchanging data 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between a PC and peripheral devices, and an entertainment network is a network between home appliances that handle audio or video information, Type. A living network is a network constructed for simple control of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home automation, and remote meter reading.
이러한, 가정 내에 구성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가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홈 서버와, 가전 기기의 특성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홈 서버의 요구에 응답하는 기능과 자신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갖는 홈 기기로 이루어진다. The home network system configured in the home includes a home serv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ther home appliances or monitoring the status, a function of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the home serv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ome appliances or other factors, And a home appliance having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the home appliance.
도 1은 일반적인 홈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neral home server control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홈 서버는 주기적으로 홈 기기로부터 상태값을 전송받아 저장한다(S10). 그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User Interface) 기기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S20), 저장된 상태값을 전송하게 된다(S30). Referring to FIG. 1, the home server periodically receives and stores state values from a home appliance (S10). Thus, if there is a status value request from a user interface (UI) device (S20), the stored status value is transmitted (S30).
이 때, 캐싱 미스(Caching miss)가 발생하여, 홈 서버에 저장된 홈 기기의 상태값이 실제 홈 기기의 상태값과 다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t this time, a caching miss occurs and a state value of the home device stored in the home server becomes different from a state value of the actual home device.
즉, 홈 서버가 저장하고 있는 홈 기기의 상태값을 신속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 제공할 수는 있지만, 실제 홈 기기의 상태값과 다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상태값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That is, although the state value of the home device stored in the home server can be quickly provided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a problem different from the state value of the actual home device may occur, so a method for providing a more accurate state value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기기의 상태값을 검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홈 기기의 상태값을 제공할 수 있는 홈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server capable of verifying the state value of the home appliance and providing the state value of the home appliance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기기 및 상기 홈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와 연결된 홈 서버는 상기 홈 기기로부터 전송된 상태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 상기 저장된 상태값을 전송하면서, 상기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ome server connected to a user interface device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home device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state values transmitted from the home device,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stored status value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when the status value is requested from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verifying the stored status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기기로 상태값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상태값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상태값과 상기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상태값 판단부, 및, 판단 결과, 상기 저장된 상태값과 상기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상태값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 재전송하는 상태값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requests a state value from the home appliance, and when the requested state value is received, a state value determin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tored state value matches the received state value, And a status value processor for retransmitting the received status value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if the stored status value does not match the received status value.
또한, 상기 상태값 처리부는 판단 결과, 상기 저장된 상태값과 상기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상태값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status value processor may update the status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tatus value if the stored status value does not match the received status valu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기기 및 상기 홈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가 연결되며, 상기 홈 기기의 상태값이 저장된 홈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 상기 저장된 상태값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ho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interface device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home device are connected, and a control method of a home server in which state values of the home device are stored, Transmitting the stored state value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if there is a request, and verifying the stored state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홈 기기로 상태값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상태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상태값과 상기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저장된 상태값과 상기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상태값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verifying step may include: requesting a state value from the home appliance, receiving the requested stat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stored state value matches the received state value, And retransmitting the received status value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if the stored status value does not match the received status valu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가 구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ystem having a hom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기기(100), 홈 서버(2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이하, 'UI(User Interface) 기기'라고 칭함:300)를 포함한다.2, the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홈 기기(100)는 자신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값을 홈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태값은 주기적으로 홈 서버(200)로 전송되며, 홈 서버(200)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상태값을 홈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여기서, 홈 기기(100)의 상태값을 예를 들면, 에어컨에 대한 상태값은 주소, 운전모드, 희망온도, 및 실내온도에 대한 값 등이 될 수 있고, 세탁기에 대한 상태값은 주소, 세탁시간, 헹굼휫수, 남은 시간에 대한 값 등이 될 수 있고, 및, 전등에 대한 상태값은 주소 및 전원상태에 대한 값 등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ate value for the air conditioner may be an address, an operation mode, a desired temperature, a value for a room temperature, etc., and a state value for the washing machine may be an address, The time, the rinse number, the value for the remaining time, and so on, and the status value for the lamp may be a value for the address and power state, and so on.
이러한, 홈 기기(100)는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가스밸브제어장치, 자동 도어 장치, 전등 등과 같은 제품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홈 서버(200)는 저장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The
홈 서버(200)는 홈 기기(100)로부터 상태값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홈 기기(100)로 상태값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200)는 UI 기기(300)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 UI 기기(300)로 상태값을 전송할 수 있다.The
저장부(2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10)는 홈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상태값을 저장할 수 있다.The
그리고, 저장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홈 기기(100)의 상태값을 업 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이때, 저장된 홈 기기(100)의 상태값은 홈 기기(100)에 대한 고유 주소정보를 포함하며, 홈 기기(100)는 가정에 따라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홈 기기(100)별 상태값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홈 기기(100)의 상태값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Since the state value of the
제어부(2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UI 기기(300)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 UI 기기(300)로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태값을 전송하면서,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The
UI 기기(300)는 홈 서버(200)로 상태값을 요청하며, 요청한 상태값을 홈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에, UI 기기(300)는 전송된 홈 기기(100)의 상태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UI 기기(300)는 PDA, 개인용 컴퓨터(PC), 월패드(Wall PAD), 홈패드(Home PAD) 등과 같은 컨트롤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The
또한, UI 기기(300)는 홈 서버(200)로부터 홈 기기(100)의 상태값을 2회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상태값 요청 후 즉시 상태값을 전송받고, 순차적으로 다음 상태값을 재전송받을 수 있다. 이것은 최초 전송받은 상태값이 오류값인 경우를 의미한다.Also, the
이때, UI 기기(300)는 최초 전송된 상태값을 표시하고, 다음에 상태값을 재전송받으면 최초 상태값을 다음 상태값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홈 서버(200)가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하는 것으로 설 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변형예로 UI 기기가 홈 서버로부터 제1차/제2차상태값을 전송받아 검증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여기서, 제1차 상태값은 홈 서버에 저장된 상태값을 의미하며, 제2차 상태값은 홈 기기로 요청하여 수신된 상태값을 의미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구체적으로는, UI 기기는 홈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제1차 상태값과 제2차 상태값을 비교 판단한다. Specifically, the UI device compares the first state value received from the home server with the second state value.
이에, 제1차 상태값과 제2차 상태값이 일치하는 경우, 제1차 상태값을 표시한다. 한편, 제1차 상태값과 제2차 상태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차 상태값을 표시할 수 있다.Thus, when the first state value and the second state value coincide, the first state value is dis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state value and the second state value do not match, the second state value can be displayed.
UI 기기의 상술한 동작은 아래의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UI devic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following algorithm.
『int[] cacheStatus = new int[deviceCount]; "Int [] cacheStatus = new int [deviceCount];
int[] realStatus = new int[deviceCount];int [] realStatus = new int [deviceCount];
boolean[] displayed = new boolean[deviceCount]; boolean [] displayed = new boolean [deviceCount];
for(int i=0;i<deviceCount;i++) // 홈 기기의 개수만큼 상태값 표시i <deviceCount; i ++) // display the status value as many as the number of home appliances
{{
displayed = true; // 표시 여부 저장 displayed = true; // Save visibility
displayed(cacheStatus[i]); // 상태값 표시 displayed (cacheStatus [i]); // display status value
}}
if (cacheStatus[i]!=realStatus[i]) // 제1차 상태값과 제2차 상태값이 다른 경우if (cacheStatus [i]! = realStatus [i]) // If the first state value and the second state value are different
{{
cacheStatus[i]=realStatus[i]; // 제1차 상태값을 제2차 상태값으로 변경cacheStatus [i] = realStatus [i]; // Change the first state value to the second state value
if (displayed == true) // 상태값이 표시된 경우if (displayed == true) // if the status value is displayed
{displayed(cacheStatus[i]);} // 변경된 상태값 표시{displayed (cacheStatus [i]);} // Display changed status values
} 』 } "
여기서, cacheStatus는 제1차 상태값, realStatus는 제2차 상태값, deviceCount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홈 기기의 개수를 의미한다. Here, cacheStatus is a primary state value, realStatus is a secondary state value, and deviceCount is the number of home appliances residing on the home network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상태값 판단부(221) 및 상태값 처리부(223)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UI 기기(300)로부터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 UI 기기(300)로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태값을 전송한다. 3 and 2, the
그리고, 제어부(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할 수 있다. The
즉, 상태값 판단부(221)는 홈 기기(100)로 상태값을 요청하고, 요청된 상태값이 수신되면, 저장된 상태값과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state
상태값 처리부(223)는 상태값 판단부(22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태값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태값 처리부(223)는 저장된 상태값과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상태값을 UI 기기(300)로 재전송할 수 있다.The state value processing unit 223 can process the state valu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ate
또한, 상태값 처리부(223)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태값을 수신된 저장값으로 업테이트할 수 있다.The status value processing unit 223 may update the status value stored in the
제어부(200)의 상술한 동작은 아래의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int[] cacheStatus = new int[deviceCount]; "Int [] cacheStatus = new int [deviceCount];
int[] realStatus = new int[deviceCount];int [] realStatus = new int [deviceCount];
List conflict = new List();List conflict = new List ();
sendData(cacheStatus); // 저장된 상태값 UI 기기로 전송sendData (cacheStatus); // Saves the saved state values to the UI device
RequestRealData(); // 홈 기기로 상태값 요청RequestRealData (); // Request status values from your home device
for (int 1=0;i<deviceCount;i++) // 홈 기기의 개수만큼 상태값을 비교i <deviceCount; i ++) // compare the state values by the number of home devices
{ if (cacheStatus[i]!=realStatus[i]) // 저장된 상태값과 수신된 상태값이 다른 경우{if (cacheStatus [i]! = realStatus [i]) // If the stored state value is different from the received state value
{cacheStatus[i]=realStatus[i]; // 저장된 상태값을 수신된 상태값으로 업데이트 {cacheStatus [i] = realStatus [i]; // Update saved state value to received state value
addList(realStatus[i]); // 재전송할 상태값 추가 addList (realStatus [i]); // Add state value to retransmit
} }
}}
rsend (conflict); // 상태값 재전송』rsend (conflict); // Resend state value "
여기서, cacheStatus는 홈 서버(200)에 저장된 상태값, realStatus는 홈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상태값, deviceCount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홈 기기의 개수를 의미한다. Here, cacheStatus is a state value stored i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홈 서버는 홈 기기로부터 상태값을 전송받는다(S410). 이 때, 홈기기의 상태값은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소정의 리스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home server receives a status value from a home appliance (S410). At this time, the state value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eriodically transmitted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list form.
UI 기기로부터 홈 기기의 상태값 요청이 있는 경우(S420), UI 기기로 저장된 상태값을 UI 기기로 전송한다(S430).If there is a state value request of the home appliance from the UI device (S420), the state value stored in the UI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UI device (S430).
이때, 저장된 상태값을 UI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병렬적으로 저장된 상태값을 검증한다. 여기서, 검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stored state values are transmitted to the UI device and the stored state values are verified in parallel. Here, the verification method is as follows.
홈 기기로 상태값을 요청하고(S440), 요청된 상태값을 수신한다(S450). 이 후, 저장된 상태값과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The state value is requested by the home appliance (S440), and the requested state value is received (S450).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ored state value and the received state value match.
판단 결과, 저장된 상태값과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된 상태값을 UI 기기로 재전송한다(S4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ed state value does not match the received state value, the received state value is retransmitted to the UI device (S460).
한편, 저장된 상태값과 수신된 상태값이 일치하면,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ored state value matches the received state value, no operation is performed.
이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홈 기기의 상태값을 제공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te value of the home applianc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홈 기기의 상태값을 검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기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홈 기기의 상태값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value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verified and provided to the user interface device, thereby providing a state value of the home applianc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5560A KR101416759B1 (en) | 2006-12-27 | 2006-12-27 | Ho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5560A KR101416759B1 (en) | 2006-12-27 | 2006-12-27 | Ho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0926A KR20080060926A (en) | 2008-07-02 |
KR101416759B1 true KR101416759B1 (en) | 2014-07-09 |
Family
ID=3981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5560A KR101416759B1 (en) | 2006-12-27 | 2006-12-27 | Ho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675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4412A (en) * | 2003-10-09 | 2005-04-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
-
2006
- 2006-12-27 KR KR1020060135560A patent/KR1014167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4412A (en) * | 2003-10-09 | 2005-04-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0926A (en) | 2008-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9023B1 (en) |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 |
US7729282B2 (en) |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 |
CN100483966C (en) |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household system | |
EP1496650B1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 |
CN106648669B (en) | Product equipment remote firmware upgrading method and system | |
US20080027566A1 (en) | Home Network System | |
USRE43677E1 (en) | Apparatus for restoring network information for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6775374B2 (en) | Network device control system, network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 |
US9489836B2 (en) | Control system and passive device control method | |
US20040111501A1 (en) |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EP1447941A2 (en) |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operation history for same | |
KR100421895B1 (en) | method for setting product address of home network system | |
KR101416759B1 (en) | Home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WO2020228413A1 (en) | Communication method for smart household appliance, and smart household appliance | |
CN112311633A (en) |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method, distribution network control device, household appliance and storage medium | |
JP2005202518A (en) | Adaptor | |
KR19990066368A (en) | Integrated operating device of distributed system | |
KR10183168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g object change in home network | |
KR20060076645A (en) | Upgrade system of home network controller | |
KR20020084525A (en) |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0421514B1 (en) | Method for initializing home network system | |
KR20090027092A (en) | Protocol authenticating apparatus for network device | |
KR100360443B1 (en) | System and the method for program download of internet refrigerator | |
JP2019161493A (en) | Connection router determination method and equipment control system | |
CN116724599B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1 Effective date: 20140523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