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547B1 -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547B1
KR101416547B1 KR1020140019829A KR20140019829A KR101416547B1 KR 101416547 B1 KR101416547 B1 KR 101416547B1 KR 1020140019829 A KR1020140019829 A KR 1020140019829A KR 20140019829 A KR20140019829 A KR 20140019829A KR 101416547 B1 KR101416547 B1 KR 10141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ortant
files
decryption
computer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01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2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cryptographic circuits
    • G06F21/725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cryptographic circuits operating on a secure reference time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은, 휴면 상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단계; 저장된 파일들 중 중요 파일로 설정된 파일들을 암호화하는 단계; 및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중요 파일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요 파일들을 자동으로 암호화하고, 다시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면 자동으로 복호화함으로써,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Method for automatic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important file}
본 발명은 파일 암복호화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중요 파일에 대한 자동 암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보안에 취약한데, 예를 들어 악성 코드가 실행되어 중요 파일(예를 들어,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 등)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정당한 사용 권한을 가진 자가 사용하다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접근 권한이 없는 타인에 의해 비밀 정보나 사생활 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거나, 도난된 개인용 컴퓨터에서 정보가 노출되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사례에 대처하기 위해, 정당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작업 공간에 있을 때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외의 환경에서는 중요 파일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6428 (공개일자 2012년08월03일)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잠금 보안 방법 및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요 파일들을 자동으로 암호화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를 수행하는 상황 또는 중요 파일에 대한 외부 접근 현황 등에 따라 암호화 또는 복호화 수준을 달리하는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휴면 상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단계; 저장된 파일들 중 중요 파일로 설정된 파일들을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중요 파일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휴면 상태는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되는 상황, 로그오프되는 상황, 절전모드가 실행되는 상황,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잠금모드가 실행되는 상황 중 어느 하나이며, 각 상황에 따라 상기 암호화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상황에 따라 상기 복호화를 위한 사용자의 복호키 입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파일이 암호화된 상태에서 상기 중요 파일에 대해 접근하는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력이 발생되면, 사용자로부터 복호키가 입력되어야만 상기 중요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휴대단말로 상기 이력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복호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파일을 암호화하는 단계는, 중요 폴더가 존재하면, 상기 중요 폴더를 압축한 중요압축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중요 폴더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요압축파일을 상기 중요 파일로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개인 단말로부터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휴면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중요 파일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되, 상기 개인 단말은 특정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출입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휴면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중요 파일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되, 출입관리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의 사용자에 대한 출입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외부로 진출하는 경우 상기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파일을 복호화하는 단계는 중요 파일들 각각의 사용률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률에 따라 각 중요 파일들의 자동 복호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요 파일을 복호화하는 단계는 중요 파일들 각각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자동 복호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요 파일들을 자동으로 암호화하고, 다시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면 자동으로 복호화함으로써,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를 수행하는 상황 또는 중요 파일에 대한 외부 접근 현황 등에 따라 암호화 또는 복호화 수준을 달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를 위한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상태의 종류별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도시한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요 파일의 접근 현황에 의한 중요 파일의 복호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복호키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중요 파일의 복호화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 의한 컴퓨터에서의 중요 파일 자동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를 위한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는 휴면 상태로의 전환을 인식한다(S10). 휴면 상태는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상황, 로그오프(log off)되는 상황, 절전모드가 실행되는 상황,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잠금모드(예를 들어 잠금 해제를 위해서는 비밀번호를 입력)가 실행되는 상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휴면상태라 정의한다.
컴퓨터는 휴면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중요 파일로서 미리 설정된 파일들을 암호화한다(S20). 중요 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일일이 선택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최근 사용 파일, 개인정보가 포함된 파일 등으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는 폴더 단위로도 중요 파일들을 설정할 수 있는데, 쉽게 말해 특정 폴더를 중요 폴더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해당 중요 폴더를 압축한 중요압축파일을 생성하여 중요 파일로서 처리하고, 그 원본 폴더는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중요 파일로서 설정하고자 하는 파일이 있다면, 해당 파일을 중요 폴더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어 중요 파일의 설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상황에서는 자동으로 중요한 파일들을 암호화함으로써, 컴퓨터의 도난 또는 악성 프로그램에 의해 중요파일이 외부로 유출되더라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는 휴면 상태가 종료되고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암호화하였던 중요 파일들을 복호화한다(S40).
따라서 사용자는 이전에 사용했던 바와 같이 그대로 복호화된 중요 파일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활성 상태로의 전환 시,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 방식과 같은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엔 모든 중요 파일들이 자동으로 복호화(이하 자동 복호화라 칭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절차 없이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암호키 입력에 의해서만 중요 파일들이 복호화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면 상태의 종류별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면 상태의 종류에 따라 로그인 여부(즉, 사용자 인증 절차 여부), 암호화 수준 및 자동 복호화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원 오프에 의해 휴면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암호화 수준을 낮게(하 등급) 설정하고, 전원이 인가되어 시스템이 동작하여 로그인이 성공되면 중요 파일에 대한 자동 복호화가 진행된다.
또는 절전모드가 실행되어(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실행될 수 있음) 휴면 상태로 전환되면, 암호화 수준이 높게 설정(상 등급)되고, 자동 복호화는 실행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복호키를 입력해야만 중요 파일의 복호화가 진행된다. 일례에 따르면 복호키는 매번 변하도록 암호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 복호화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엔 컴퓨터는 해당 암호키를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휴대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암호키를 이용하여 중요 파일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잠금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엔, 해당 잠금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로그인 절차가 수행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암호화 수준은 중간수준 이하로 설정되고 또한 복호화는 자동 복호화로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암호화 수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일례에 따르면 복호키의 데이터량에 따라 그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쉬운 예로, 암호화 수준이 하 등급인 경우엔 4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에 의한 복호키가 설정되고, 암호화 수준이 상 등급인 경우엔 10자리 이상의 복호키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요 파일의 접근 현황에 의한 중요 파일의 복호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복호키 알림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요 파일이 암호화된 이후(S310), 암호화된 중요 파일에 대한 접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쉬운 예로, 악성 코드가 실행되어 중요 파일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이를 탐지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하나 더 들자면, 암호키의 입력에 의한 복호화 절차 없이, 누군가가 중요 파일을 복사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는 것이다.
컴퓨터는 중요 파일에 대한 접근이 발생하면, 해당 접근 이력을 저장하고, 자동 복호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엔 그 자동 복호화 기능을 오프(off)한다(S330). 즉, 컴퓨터는 복호키의 입력에 의해서만 중요 파일을 복호화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자동 복호화 기능의 오프는 접근 이력을 가진 중요 파일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어떠한 중요 파일에 대한 접근인지에 상관없이 모든 중요 파일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는 이력 정보 및 암호화된 중요 파일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키를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전송한다(S340).
이렇게 사용자의 휴대단말에 수신되어 표시되는 복호키 알림 메시지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화면 일측에는 중요 파일에 대한 접근 이력(410)이 표시되고, 다른 일측에는 암호화된 중요 파일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키(420)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에서도 자신의 컴퓨터에 대한 접근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 복호화 기능이 오프됨에 따라 수동으로 복호화를 진행하기 위한 복호키를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다른 예에 따르면, 복호키는 가변되지 않고 항상 동일한 키가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엔 반드시 복호키를 전송할 필요는 없다.
지금까지는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모든 중요 파일들에 대해 바로 복호화를 진행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너무 많은 중요 파일들의 복호화가 한꺼번에 진행되면 처리 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일부만을 복호화하거나 서로 다른 시점에 중요 파일들을 복호화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된 중요 파일의 복호화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터는 활성 상태로의 전환이 인식되면(S510), 암호화된 중요 파일들 각각의 사용률 또는 우선순위를 확인한다(S520).
생성된 날짜에 비례하여 사용된 시간,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 횟수 등이 사용률로서 설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상기한 사용률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사용률이 높을수록 우선순위는 높게 설정됨), 또는 중요 파일로 설정된 기간에 따라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는 확인된 중요 파일들의 사용률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중요 파일들 각각의 자동 복호화 여부 또는 복호화 시점을 결정한다(S530).
예를 들어, 사용률이 일정수치 이하인 중요 파일들에 대해서는 다시 사용될 확률이 낮으므로, 자동 복호화를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의 접근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률이 일정수치 이하인 중요 파일에 대해서는 휴면 상태로의 전환 이후 활성 상태로의 전환이 일정 횟수 반복된 경우에만 자동 복호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우선순위가 높은 중요 파일은 바로 자동 복호화가 진행되고, 우선순위가 낮은 중요 파일들은 다른 시점(예를 들어, 사용자의 컴퓨터 사용이 일정 시간 이상 수행되지 않는 시점,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점 등)에 자동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컴퓨터 자체에서만 휴면 상태로의 전환에 의해 중요 파일들의 암호화 및 복호화가 진행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의해 휴면 상태로 전환하여 중요 파일들의 자동 암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 의한 컴퓨터에서의 중요 파일 자동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10)는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사용자의 휴대단말(30) 또는 출입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요 파일 자동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단말(30)은 구비된 위치측정 수단(예를 들어, GPS수신기 등)에 의해 수시로 위치를 측정하고, 그 위치가 특정 지역(예를 들어, 컴퓨터(10)가 위치한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한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를 컴퓨터(10)로 전송한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휴대단말(30)을 보유한 상태에서 컴퓨터(10)를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휴대단말(30)이 이를 인식하여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를 컴퓨터(1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10)가 회사와 같은 특정 공간에 구비되는 경우, 그 공간에 출입하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출입관리 시스템(50)은 사용자가 외부로 진출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예를 들어, 출입 관리 카드 또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식 등)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10)로 중요 파일 보호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휴면 상태뿐 아니라, 상기한 휴대단말(30) 또는 출입관리 시스템(50)과 같은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의해 휴면 상태로의 전환 및 중요 파일의 자동 암복호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컴퓨터
30 : 휴대단말
50 : 출입관리 시스템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휴면 상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단계;
    저장된 파일들 중 중요 파일로 설정된 파일들을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면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중요 파일들 각각의 사용률 또는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률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각 중요 파일들의 자동 복호화 여부 또는 자동 복호화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4.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3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40019829A 2014-02-20 2014-02-20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KR10141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29A KR101416547B1 (ko) 2014-02-20 2014-02-20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29A KR101416547B1 (ko) 2014-02-20 2014-02-20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465A Division KR101392756B1 (ko) 2013-11-25 2013-11-25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547B1 true KR101416547B1 (ko) 2014-07-09

Family

ID=5174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829A KR101416547B1 (ko) 2014-02-20 2014-02-20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167A (ja) * 2000-01-20 2001-07-27 Toyo Commun Equip Co Ltd コンピュ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14208A (ko) * 2002-06-26 2007-01-31 인텔 코오퍼레이션 휴면 보호
KR20070098052A (ko) * 2006-03-30 2007-10-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우선순위 알고리즘형 암호화 장치
KR20120086428A (ko) * 2011-01-26 2012-08-03 이무상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잠금 보안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167A (ja) * 2000-01-20 2001-07-27 Toyo Commun Equip Co Ltd コンピュ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70014208A (ko) * 2002-06-26 2007-01-31 인텔 코오퍼레이션 휴면 보호
KR20070098052A (ko) * 2006-03-30 2007-10-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우선순위 알고리즘형 암호화 장치
KR20120086428A (ko) * 2011-01-26 2012-08-03 이무상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잠금 보안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033B2 (en) Secure distributed information system
US9448949B2 (en) Mobile data vault
CN105279449A (zh) 基于上下文的数据访问控制
CN104834868A (zh) 电子数据保护方法、装置及终端设备
EP2835997B1 (en) Cell phone data encryption method and decryption method
CN102334124A (zh) 文件的保护方法及装置
CN104573551A (zh) 一种文件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CN101685425A (zh) 移动存储设备及实现移动存储设备加密的方法
CN106650373A (zh) 一种sim卡信息保护方法及装置
JP7105495B2 (ja) セグメント化されたキー認証システム
KR102192330B1 (ko) 보안단말기를 이용한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1487A (ko) 단말기의 데이터보호 장치 및 방법
CN102831335A (zh) 一种Windows操作系统的安全保护方法和系统
CN105279447A (zh) 数据加密方法、解密方法及装置
KR101485968B1 (ko) 암호화된 파일 접근 방법
KR101416547B1 (ko)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KR101745390B1 (ko) 데이터 유출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392756B1 (ko) 중요 파일 자동 암복호화 방법
WO2017020449A1 (zh) 一种指纹读取方法及用户设备
CN104182706B (zh) 一种移动终端存储卡的保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7370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데이터 보호화 및 추적방법
JP2007241565A (ja) 情報処理装置、装置利用機能制御システムおよび装置利用機能制御プログラム
CN104504306A (zh) 一种对文件进行加密的方法及设备
Chen et al. Tangible security for mobile devices
CN103824029A (zh) 智能卡数据处理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