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970B1 -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970B1
KR101415970B1 KR1020110108325A KR20110108325A KR101415970B1 KR 101415970 B1 KR101415970 B1 KR 101415970B1 KR 1020110108325 A KR1020110108325 A KR 1020110108325A KR 20110108325 A KR20110108325 A KR 20110108325A KR 101415970 B1 KR101415970 B1 KR 10141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hot water
storage tan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065A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김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근 filed Critical 김홍근
Priority to KR102011010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8Combinations of steam boilers with other apparatus
    • F22B33/185Combinations of steam boilers with other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a steam accumu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메인 저수탱크와, 메인 저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메인 저수 탱크내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메인 저수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시설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해 설치된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온수를 메인 저수탱크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된 난방수 공급부와,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보조 공급부와, 보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가열부를 경유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팀생성관과, 스팀 생성관에서 생성된 스팀을 시설하우스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팀 공급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에 의하면,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금속몰드체를 통해 축열 및 방열되도록 하면서 온수 및 스팀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화되면서도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면서도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작동 중지시의 온도 하강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warm water and wind supplier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온풍과 온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과 같은 시설하우스 내에서 계절에 관계 없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시설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난방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시설하우스의 난방장치는 온수 보일러에서 생성된 온수를 시설하우스 내부를 순환하도록 배관하여 난방하거나, 열교환기를 통해 온풍을 생성할 수 있는 방식 또는 시설하우스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난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온수만을 순환시키는 방식은 내부 공기가 가열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온수가 순환되는 배관과의 거리에 따라 온도 편차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온풍을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 내부가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보일러 방식의 경우 연료의 고갈 또는 작동에러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보일러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축열 능력이 적어 온도 하강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면서도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난방을 위한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 작동 중지시의 온도 하강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면서도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난방을 위한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 작동 중지시의 온도 하강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은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메인 저수탱크와; 상기 메인 저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저수 탱크내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메인 저수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시설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해 설치된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온수를 상기 메인 저수탱크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된 난방수 공급부와;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보조 공급부와; 상기 보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팀생성관과; 상기 스팀 생성관에서 생성된 스팀을 시설하우스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팀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메인 저수탱크 내에 침수될 수 있게 상기 메인 저수 탱크의 저수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금속소재로 몰드형태로 형성된 금속몰드체와; 상기 금속몰드체에 삽입되어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금속몰드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생성관은 상기 금속몰드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히터를 나선형태로 권회되게 삽입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코일관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금속 몰드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장착홈에 복수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조공급부는 물 30 내지 40부피%에 공기 60 내지 70부피%로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된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몰드체는 알루미늄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시설하우스내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시설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스팀생성관과 접속된 중계관과; 상기 중계관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분기된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종단에서 공급된 스팀을 제1방향을 향해 토출하도록 설치된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들을 통해 토출된 스팀의 순환을 위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시설하우스에 설치된 송풍기;를 구비한다.
상기 난방수 공급부는 상기 시설하우스의 측면에 상기 온수공급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시설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보조 공급부는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배출관과 상기 스팀생성관 사이에 접속되며 내부에 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된 부분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공기 혼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펌프는 상기 메인 저수탱크내에 저수된 물을 펌핑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에 의하면,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금속몰드체를 통해 축열 및 방열되도록 하면서 온수 및 스팀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화되면서도 시설하우스 내부의 습도를 유지하면서도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작동 중지시의 온도 하강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을 나타내 보이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혼합부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상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공급부의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의 제어계통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을 나타내 보이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100)은 메인 저수탱크(110), 가열부(130), 난방수 공급부(150), 보조 공급부(170), 스팀 생성관(181) 및 스팀공급부(190)를 구비한다.
메인 저수탱크(110)는 내부에 저수공간(112)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저수탱크(110) 내에는 후술되는 금속몰드체(132)가 내장되어, 금속몰드체(132)와 저수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관은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였다.
가열부(130)는 메인 저수탱크(110)의 저수공간(112) 내에 설치되어 메인 저수 탱크(110)내에 담수된 물을 가열한다.
가열부(130)는 금속몰드체(132), 히터(134)를 구비한다.
금속몰드체(132)는 열전도 및 축열능력이 높은 금속소재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몰드체(132)는 메인 저수탱크(110)의 저수공간(112) 내에 침수될 수 있게 메인 저수 탱크(110)의 저수공간(112)보다 작은 크기로 몰드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히터를 수용하는 장착홈(133)이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히터(134)는 금속몰드체(132)의 장착홈(133)에 삽입되게 장착되어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금속몰드체(132)를 가열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히터(134)가 금속 몰드체(132)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장착홈(133)에 장착되어 있고, 적용되는 히터의 개수는 요구되는 난방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또 다르게는 적용되는 난방용량에 따라 금속몰드체(132)를 복수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난방수 공급부(150)는 메인 저수탱크(110)에 저수된 온수를 시설하우스(300)를 난방하기 위해 설치된 온수공급관(155)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온수를 메인 저수탱크(110)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51은 메인 저수탱크(110)에 저수된 온수를 온수 공급관(155)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관이고, 참조부호 153은 온수공급관(155)을 경유한 온수를 메인 저수탱크(110)내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이며, 참조부호 157은 온수를 온수 공급관(155)으로 펌핑하는 펌프(P1)이다.
도시된 예에서 온수 공급관(155)은 시설하우스(300)의 측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시설하우스(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보조 공급부(170)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후술되는 스팀생성관(181)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 공급부(170)는 물을 펌핑하는 펌프(P2)(172)와, 펌프(P2)(172)의 배출관(173)과 후술되는 스팀생성관(181) 사이에 접속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178)가 형성된 공기 혼합부(177)을 구비한다.
펌프(P2)(172)는 원수공급원(171)을 통해 원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2)(172)는 메인 저수탱크(110)내에 저수된 온수를 펌핑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 참조부호 171a는 메인 저수탱크(110)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이다.
공기 혼합부(177)는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177a)가 중앙부분이 좁아지게 형성된 부분에 외기가 혼입될 수 있게 벤츄리 방식의 공기 유입구(178)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공급부(170)는 물 30 내지 40부피%에 공기 60 내지 70부피%로 혼합하여 스팀생성관(181)으로 공급되도록 구축된다.
스팀생성관(181)은 보조공급부(17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가열부(130)의 금속몰드체(132)를 경유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스팀생성관(181)은 공기혼합부(177)의 출력단과 일단이 접속되어 금속몰드체(132) 내부를 경유하여 히터(134)를 나선형태로 권회되게 삽입되되 내부에 공기와 물이 혼합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코일관으로 되어 있다.
스팀생성관(181)의 타단은 스팀공급부(190)와 접속되어 있다.
스팀 공급부(190)는 스팀 생성관(181)에서 생성된 스팀을 시설하우스(300)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팀공급부(190)는 시설하우스(300) 내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시설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스팀생성관(181)과 접속된 중계관(192)과, 중계관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하방으로 분기된 다수의 분기관(194)와, 분기관(194)의 종단에서 공급된 스팀을 제1방향을 향해 토출하도록 설치된 노즐(196)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노즐(196)은 우측방향으로 스팀을 토출하도록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우측 하방으로 스팀을 토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풍기(198)는 노즐(196)들을 통해 토출된 스팀의 순환을 위해 노즐(196)의 스팀 토출방향인 제1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시설하우스(300)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의 제어계통에 대해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난방시스템(100)은 입력부(201), 표시부(203), 수위검출부(205), 보충수 충진부(207), 온도센서(209), 펌프 구동부(211), 히터구동부(213)를 구비한다.
입력부(201)는 시설하우스(300)의 난방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203)는 제어부(220)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수위검출부(205)는 메인 저수탱크(110)내의 수위를 검출하여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보충수 충진부(207)는 제어부(220)에 제어되어 메인 저수탱크(110)내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수공급관(171a)으로부터의 원수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어부(220)에 제어되지 않고 수위검출부(205)의 수위 검출정보에 따라 보충수 충진부(207)가 직접 작동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도센서(209)는 메인 저수탱크(110)의 온수 온도 및 시설하우스(300)의 내부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펌프구동부(211)는 제어부(220)에 제어되어 제어대상 펌프(P1)(P2)(157)(172)의 구동을 제어한다.
히터 구동부(220)는 제어부(220)에 제어되어 히터(134)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입력부(201)를 통해 설정된 시설하우스(300)의 내부 유지온도가 유지되도록 히터구동부(213) 및 펌프 구동부(211)를 제어하고, 온도센서(209)로부터 제공되는 시설하우스(3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설정된 온도 허용범위내에서 온도가 조절되도록 히터(H1 내지 H5)(134)들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은 않았지만 시설하우스(300)의 내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가 더 구비되고, 제어부(220)는 입력부(201)를 통해 입력된 목표 습도가 유지되도록 보조공급부(170)의 펌프(P2)(172)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은 온수와 스팀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시설하우스(300)의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목표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공급된 스팀에 의해 습도도 관리가 됨으로써 식생 작물의 생육 환경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금속몰드체(132)를 통해 축열 및 방열되도록 함으로써 열축적 용량이 증가하여 히터의 온/오프에 따른 급격한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공기와 물이 혼합되어 압축상태로 금속몰드체(132)내부에 매입된 스팀생성관(181)을 통해 공급됨으로써 스팀 생성 효율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스팀생성관(181)에서 생성된 스팀을 스팀공급부(190)로의 공급은 차단하고, 스팀 공급 경로를 절환시켜 난방수 공급부(150)의 온수 공급관(155)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팀 절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공급관(155)을 통해서 스팀 또는 온수를 공급하고, 메인 저수탱크(110)에 저수된 온수의 온수공급관(155)으로의 공급은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팀 절환부는 스팀생성관(181)으로부터 스팀 공급부(190)로 이어지는 스팀생성관(181)으로부터 중계관(192) 사이에 설치되어 스팀공급경로를 스팀 공급부(190)와 온수 공급관(155)중 어느 하나로 절환시킬 수 있는 절환 밸브(250)와, 절환밸브(250)와 온수 공급관(155) 사이에 접속된 절환관(260)을 구비하면 된다.
여기서 절환밸브(250)는 제어부(220)에 의해 스팀 토출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력부(201)에는 스팀공급경로를 온수 공급관(155)으로 절환시키는 스팀절환모드 선택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270은 온수 공급 차단밸브이며, 제어부(220)에 제어되는 전자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팀절환모드 선택키에 의해 스팀절환모드시 스팀생성관(181)을 통해 메인 저수탱크(110) 내의 온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도 3의 스팀생성관(181)은 메인 저수탱크(110) 내의 온수와 공기 혼합부(177)를 통과한 공기 혼합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입받을 수 있도록 온수 유입관(미도시) 및 온수 유입관의 스팀 생성관(181)으로의 온수 유입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미도시)를 설치하고, 제어부(220)는 스팀절환모드시 온수 유입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미도시)를 개방시키고 면 된다. 또한, 펌프(157)는 절환관(260)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펌핑할 수 있도록 절환관(260)의 유체 진행 경로 전방에 설치되면 된다.
한편, 시설하우스(300)내로 스팀공급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스팀절환모드 선택키에 의해 스팀이 온수 공급관(155)을 통해 공급되게 하는 경우 온수 공급관(155)을 통한 가열능력을 높일 수 있다.
110: 메인 저수탱크 130: 가열부
150: 난방수 공급부 170: 보조 공급부
181: 스팀 생성관 190: 스팀공급부

Claims (8)

  1. 삭제
  2.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메인 저수탱크와;
    상기 메인 저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저수 탱크내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메인 저수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시설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해 설치된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온수를 상기 메인 저수탱크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된 난방수 공급부와;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보조 공급부와;
    상기 보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팀생성관과;
    상기 스팀 생성관에서 생성된 스팀을 시설하우스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팀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메인 저수탱크 내에 침수될 수 있게 상기 메인 저수 탱크의 저수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금속소재로 몰드형태로 형성된 금속몰드체와;
    상기 금속몰드체에 삽입되어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여 상기 금속몰드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팀생성관은 상기 금속몰드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히터를 나선형태로 권회되게 삽입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형상의 코일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금속 몰드체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장착홈에 복수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조공급부는 물 30 내지 40부피%에 공기 60 내지 70부피%로 혼합하여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몰드체는 알루미늄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시설하우스내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시설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스팀생성관과 접속된 중계관과;
    상기 중계관으로부터 상호 이격되게 분기된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종단에서 공급된 스팀을 제1방향을 향해 토출하도록 설치된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들을 통해 토출된 스팀의 순환을 위해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시설하우스에 설치된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공급부는
    상기 시설하우스의 측면에 상기 온수공급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상기 시설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공급부는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배출관과 상기 스팀생성관 사이에 접속되며 내부에 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된 부분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공기 혼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메인 저수탱크내에 저수된 물을 펌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8.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메인 저수탱크와;
    상기 메인 저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저수 탱크내에 담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메인 저수탱크에 저수된 온수를 시설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해 설치된 온수공급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고, 공급된 온수를 상기 메인 저수탱크내로 회수할 수 있도록 된 난방수 공급부와;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보조 공급부와;
    상기 보조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공기가 상기 가열부를 경유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팀생성관과;
    상기 스팀 생성관에서 생성된 스팀을 시설하우스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팀 공급부; 및
    상기 스팀생성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공급부로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스팀생성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난방수 공급부의 온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경로를 절환할 수 있도록 된 스팀절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KR1020110108325A 2011-10-21 2011-10-21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KR10141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25A KR101415970B1 (ko) 2011-10-21 2011-10-21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25A KR101415970B1 (ko) 2011-10-21 2011-10-21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65A KR20130044065A (ko) 2013-05-02
KR101415970B1 true KR101415970B1 (ko) 2014-07-08

Family

ID=4865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325A KR101415970B1 (ko) 2011-10-21 2011-10-21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558B1 (ko) * 2022-03-02 2022-07-25 주식회사 에어프로텍 터보블로워 열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열교환 온수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67B1 (ko) * 2014-03-31 2014-11-10 바다섬완도영어조합법인 온실용 온풍 공급장치
US11540452B2 (en) * 2016-12-14 2023-01-03 Mankaew MUANCHART Air movement control and air source device for cultivation
KR101983578B1 (ko) * 2018-10-17 2019-05-29 변경호 식물 재배 장치
CN110476672B (zh) * 2019-09-04 2021-03-12 绍兴市质量技术监督检测院 一种绿植温室加温系统
CN111567284A (zh) * 2020-06-10 2020-08-25 泉州台商投资区秋鑫茶业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用大棚供暖系统
CN113348917A (zh) * 2021-06-03 2021-09-07 宁波保税区韬鸿化工科技有限公司 智慧农业用大棚温湿度控制设备
KR102475324B1 (ko) * 2022-07-26 2022-12-07 이송진 물 가열식 전기 온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11Y1 (ko) * 2005-09-05 2005-11-15 윤미진 하우스의 난방 및 습도 조절장치
KR100919263B1 (ko) * 2009-02-17 2009-09-30 이한호 스팀을 이용한 가열 및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농,축산용 하우스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11Y1 (ko) * 2005-09-05 2005-11-15 윤미진 하우스의 난방 및 습도 조절장치
KR100919263B1 (ko) * 2009-02-17 2009-09-30 이한호 스팀을 이용한 가열 및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농,축산용 하우스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558B1 (ko) * 2022-03-02 2022-07-25 주식회사 에어프로텍 터보블로워 열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열교환 온수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65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70B1 (ko) 온수 및 온풍 동시 공급형 농업용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
US8661840B2 (en) Liquid circulation heating system
US20080216821A1 (en) Solar heating systems with integrated circulator control
CN105960566A (zh) 供热水用热交换装置和具有其的供热水装置
JP2009103418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104344555A (zh) 热泵热水器
JP3195434U (ja) ハウス栽培施設の空調・培地温度調節装置
KR20170143058A (ko) 비닐하우스용 난방 시스템
US20210063024A1 (en) Tankless water heater with integrated variable speed pump
CN109564027B (zh) 供热水系统及供热水方法
KR101083895B1 (ko) 태양열과 지열을 이용한 주택 냉난방 및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JP2014054222A (ja) 温室用温度調整システム
US9488384B2 (en) Heat pump water module with condensing coil in water storage tank
KR101746570B1 (ko) 온풍기
KR101547014B1 (ko) 마이크로파 축열식 열풍기
KR101863622B1 (ko) 가습형 온풍기
KR102310938B1 (ko) 열 순환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온수방열 온풍장치
KR101464690B1 (ko) 소형 인버터 전기보일러
WO2008111722A1 (en) Electric boiler
KR20170107234A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및 멸균 시스템
KR20100034112A (ko) 온실용 냉난방기
KR200485974Y1 (ko) 가습형 온풍기
KR101924981B1 (ko) 개선된 난방 장치 및 난방 시스템
KR100930707B1 (ko) 사이클론형 열 발생수단과 보조히터를 이용한 난방장치 및 온수공급 장치
JP2010043770A (ja) 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