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665B1 -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665B1
KR101415665B1 KR1020100076126A KR20100076126A KR101415665B1 KR 101415665 B1 KR101415665 B1 KR 101415665B1 KR 1020100076126 A KR1020100076126 A KR 1020100076126A KR 20100076126 A KR20100076126 A KR 20100076126A KR 101415665 B1 KR101415665 B1 KR 10141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unit
space
contents
wall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776A (ko
Inventor
신현순
한인탁
이용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074,959 priority Critical patent/US9076243B2/en
Publication of KR2011010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T기술을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디자인하고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저작하여 인테리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디지털 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환경 및 구성원의 특성을 인식하여 인테리어에 필요한 구성원/공간/환경정보를 구축하고, 정보들을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디자인하고 콘텐츠를 생성한 후 생성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인테리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사람이 아닌 인테리어 시스템이 인테리어를 시공해주기 때문에 미래 건축문화의 창조 및 새로운 페러다임의 도래는 물론이고, IT융합 소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기술로 삶의 질 향상과 소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건축 폐기물을 줄일 수 있어 그린환경 구축에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OF DIGITAL INTERI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통해 인테리어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디지털 시공을 수행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S-014-01, 과제명: 센싱기반 감성서비스 모바일 단말 기술개발].
IT 기술의 발달로 생활환경 및 주거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됨에 따라 에너지나 환경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으며, 최근 저 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개인의 감성, 취향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안 인테리어의 빈번한 변화 추구와 고객의 만족을 위한 상가들의 주기적인 리모델링으로 인한 산업/건축 폐기물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고가의 인테리어 비용을 줄여 그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건축(인테리어) 기술 및 건축 소재의 재사용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IT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과 취향에 맞는 공간의 인테리어를 디자인하고,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여 컴퓨팅를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센싱한 후 이를 토대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반으로 IT융합 소재, 예컨대 벽지, 장판, 유리, 조명,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인테리어를 시공함으로써, 건축 폐기물을 줄이고 저가의 비용으로 인테리어를 꾸밀 수 있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은,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과,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에서 수집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과,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된 각각의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객체들에 대한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별 감성 지수를 이용하여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한 후 상기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관리하는 감성 인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감성 인지 관리부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감성 신호를 수집하는 다채널 센서부와, 상기 감성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관리하는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와, 상기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상기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공간 감성 요소 추출부와, 상기 개별 감성 지수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상기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한 후 상기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관리하는 공통 감성 지수 추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센싱을 통해 얻어진 구조 및 구성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모형 및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공간 인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공간 인지 관리부는,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과 구조를 인식하는 공간 구조 인지부와, 상기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사용 용도를 분석하는 공간 용도 인지부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소재들을 인지하는 공간 소재 인지부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높이 및 넓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크기를 인식하는 공간 크기 인지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용도, 구조, 크기, 소재 높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공간 관련 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는 공간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환경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인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환경 인지 관리부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습도를 인지하는 습도 인지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명암을 인지하는 명암 인지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온도 및 계절을 인지하는 온도 및 계절 인지부와, 상기 인지한 습도, 명암, 온도 또는 계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환경 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는 환경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시 필요한 요소들을 구성 및 관리하는 인테리어 요소 관리부와, 상기 요소들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 및 제작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에서 생성 및 제작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장 및 전송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인테리어 요소 관리부는,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용도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용도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소재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소재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연령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연령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성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성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계절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계절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크기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크기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모양 및 구조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모양 및 구조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의 생성에 필요한 인테리어 콤포넌트를 생성하는 인테리어 콤포넌트 생성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별 모양, 표현, 색상 또는 영상을 디자인하는 인테리어 디자인부와,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부에서 디자인된 상기 객체별 디자인 내용을 기반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인테리어 그래픽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포맷을 정의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포맷부와, 상기 정의된 포맷에 의거하여 상기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객체별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 정의된 저작툴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저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인테리어에 필요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에 요청하여 제공받는 인테리어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한 인테리어 콘텐츠 파싱부와, 상기 분석된 인테리어 콘텐츠의 정의 내용에 따라 인테리어 공간의 소재 및 환경을 제어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인테리어 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파싱부는, 상기 수신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디패키타이징하는 디패키타이징부와, 상기 디패키타이징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파싱하는 파싱부와, 상기 파싱된 인테리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메타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를 분석하는 공간 분석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다중 객체를 분석하는 다중 객체 분석부와, 상기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분석하는 인테리어 표현 방법 분석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 다중 객체 및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서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로 맵핑시키는 인테리어 시공 제어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인테리어 시공부는,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소재를 제어하는 소재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이미지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명암 및 밝기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명암 및 밝기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습도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습도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인테리어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시공 또는 표현될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생성하는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 상에 제공될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생성하는 벽지 생성부와, 상기 제공되는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이미지 또는 문형 표현과 센싱 및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벽지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상의 사용자 또는 기기들과의 인터랩션을 제공하는 벽지 인터랙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벽지 생성부는,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회로를 삽입하는 제어회로 삽입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이미지, 문형 또는 색체를 디자인하여 표현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표현 객체를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면에 삽입하는 표현 객체 삽입부와, 상기 제어 회로와 상기 표현 객체를 포함하는 벽지 회로를 생성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벽지 회로 인쇄부와, 전도성 섬유 또는 광섬유를 기반으로 벽지면을 구성하는 벽지면 구성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및 환경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벽지 센서를 구성하는 벽지 센서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이용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회로 구성부와, 상기 제조된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겉면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상기 벽지 제어부는,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내의 표현 객체, 제어 회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벽지 센서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벽지 모듈 연결부와, 상기 광섬유로부터의 색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광선 추출부와, 상기 광선 추출부에서 추출된 색체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또는 문형을 표현하기 위한 표현 제어부와, 상기 벽지 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신호 처리 및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벽지 센서 모듈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이용하여 정보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벽지 통신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방열 관리를 위한 열 분배부와,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과 인터랙션을 위한 벽지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견지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통해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각각의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에서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객체들에 대한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개별 감성 지수를 이용하여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을 센싱하여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수집함과 더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모형 및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환경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과 구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사용 용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소재들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높이 및 넓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크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용도, 구조, 크기, 소재 높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공간 관련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습도, 명암, 온도 또는 계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여 상기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의 생성에 필요한 인테리어 콤포넌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별 모양, 표현, 색상 또는 영상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자인된 상기 객체별 디지인 내용을 기반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디자인된 상기 객체별 제어 방법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포맷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정의된 포맷에 의거하여 상기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객체별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 정의된 저작 툴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디패키타이징하는 단계와, 상기 디패키타이징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인테리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다중 객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 다중 객체 및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성이나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인테리어 콘텐츠로 인테리어 시공이 가능한 신개념의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은 물론이고 소재의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건축 폐기물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그린 환경 구축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서브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이 인테리어 공간의 감성을 센싱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인지 관리부가 공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을 센싱 및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이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이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컴퓨팅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플랫폼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구성하기 위한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감성 신호 인식, 공간 환경 인식, 감성 데이터 생성, 감성/환경 분석, 공간 감성 최적화, 공간 구조 인지, 공간 소재 인지, 공간 용도 인지,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감성/콘텐츠 맵핑, 인테리어 시공 및 피드백의 개념 등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는 다중 복합 공간 감성 인식 엔진,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인테리어 콘텐츠 및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반으로 인테리어를 시공하는 인테리어 시공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서브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은 가정 및 사업장, 상가 등의 인테리어 구축 서비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100),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 및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 및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H/W 플랫폼(400) 및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500) 등으로 구성된다.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100)은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및 환경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감성 인지 관리부(120), 공간 인지 관리부(130) 및 환경 인지 관리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성 인지 관리부(120)는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는 객체들에 대한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개별 감성 지수를 이용하여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한다. 여기서,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는 감성 인지 관리부(120)에 의해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감성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감성 인지 관리부(120)는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감성 신호를 수집하는 다채널 센서부(121), 수집된 인테리어 공간의 감성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감성 신호 처리부(122), 신호 처리된 감성 신호를 분석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관리하는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123),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123)에서 관리되는 요소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공간 감성 요소 추출부(124), 개별 감성 지수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한 후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관리하는 공통 감성 지수 추론부(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감성 인지 관리부(120)가 동작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감성을 센싱하고 인지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채널 센서부(121)는 공간의 감성 신호를 센싱(S400)한 후 이를 감성 신호 처리부(122)에 제공하며, 감성 신호 처리부(122)는 센싱된 감성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S402)를 수행하여 공간 감성 요소 추출부(124)에 제공한다.
공간 감성 요소 추출부(124)는 감성 신호를 분석하여 공간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S404)한 후, 공간을 구성하는 객체의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S406)하여 공통 감성 지수 추론부(125)에 제공한다.
공통 감성 지수 추론부(125)는 공간 감성 요소 추출부(124)로부터 제공받은개별 감성 지수를 기반으로 공간의 감성을 추론할 수 있는 인테리어 공간 내 구성원의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S408)한다. 이렇게 추출된 공통 감성 지수 및 개별 감성 지수는 감성 정보로서,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123)에 의해 관리(S410)된다.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센싱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고, 인식된 모형 및 구조를 이용하여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하여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는 공간 모형 및 구조 인식부(131), 공간의 크기를 인지하는 공간 크기 인지부(132), 공간의 사용 용도를 인지하는 공간 용도 인지부(133), 공간의 소재들을 인지하는 공간 소재 인지부(134), 인지된 요소들인 모형, 구조, 크기, 사용 용도 및 소재들을 분석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용도, 구조, 크기, 소재 높이 및 넓이를 정의하는 공간 구성 요소 분석부(135) 및 인지된 요소들과 정의된 요소들을 관리하는 공간 정보 관리부(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간 인지 관리부(130)가 공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인지 관리부가 공간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다채널 센서부(121)를 통해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센싱(S500)하고, 공간 및 환경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입력 받는다(S502).
그런 다음,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센싱 및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정보를 분석(S504)하여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여 정의하며(S506), 입력된 정보로부터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정보를 분석(S508)하여 공간의 사용 용도를 인식 및 정의한다(S510).
그리고 나서,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센싱된 정보로부터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를 분석하고(S512),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추가될 인테리어 소재를 파악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할 인테리어 소재를 인식 및 정의한다(S514).
이후,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센싱 및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공간의 높이 및 넓이를 분석하고(S516, S518), 인테리어 공간의 크기를 인식 및 정의한다(S520).
그리고 나서, 공간 인지 관리부(130)는 인식 및 정의된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구성 요소를 융합 분석(S522)하여 인테리어 대상에 대한 용도, 구조, 소재, 크기, 높이, 넓이 등을 정의한다(S524).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지 및 정의된 공간 관련 정보들은 공간 정보 관리부(136)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된다(S526).
환경 인지 관리부(140)는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환경 신호를 센싱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공간 내 환경의 습도를 인지하는 습도 인지부(141), 공간의 밝기 및 조도 등을 인지하는 명암 인지부(142), 온도를 인지하는 온도 인지부(143), 계절을 인지하는 계절 인지부(144), 인지된 환경 정보를 관리하는 환경 정보 관리부(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 인지 관리부(140)가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을 센싱 및 인지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을 센싱 및 인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다채널 센서부(121)는 공간의 환경 신호를 센싱하여 환경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S600). 여기서, 감성 인지 관리부(120)의 다채널 센서부(121)에서 센싱된 환경 신호는 공간 및 환경 인식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환경 인지 관리부(14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환경 인지 관리부(140)는 습도 인지부(141)를 통해 공간의 습도를 인지(S602)하고, 명암 인지부(142)를 통해 공간의 명암 및 밝기 정도를 인지한다(S604).
그런 다음, 환경 인지 관리부(410)는 온도 인지부(143)를 통해 공간의 인테리어 이미지, 색체 등에 영향을 주는 온도를 인지하고(S606), 계절 인지부(144)를 통해 계절을 인지한다(S608). 이렇게 인지된 공간의 습도, 명함 및 밝기, 온도, 계절 등의 정보는 환경 정보 관리부(145)에 제공되며, 환경 정보 관리부(145)는 인지된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한다(S610).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은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100)에서 수집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및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을 위한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을 구성 및 관리하는 인테리어 요소 관리부(220), 인테리어 구성 요소들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 및 제작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230), 생성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장 및 전송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관리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요소 관리부(220)는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용도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용도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1)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소재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소재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2)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연령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연령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3)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성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성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4)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계절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계절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5)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크기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크기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6)와, 인테리어에 필요한 요소들 중 모양 및 구조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모양 및 구조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2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230)는 인테리어 콘텐츠의 생성에 필요한 인테리어 콤포넌트를 생성하는 인테리어 콤포넌트 생성부(231)와,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하여 타겟별로 모양, 표현, 색상 또는 영상을 디자인하는 공간 인테리어 요소 맵핑부(232) 및 인테리어 디자인부(233)와, 인테리어 디자인부(233)의 디자인 내용을 기반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인테리어 그래픽부(234)와,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포맷을 정의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포맷부(235)와, 정의된 포맷에 의거하여 상기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236)와, 생성된 객체별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 정의된 저작툴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저작부(2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콘텐츠 관리부(240)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인테리어 DB부(241),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저작툴(242),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장 및 전송을 관할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서버(243), 인테리어 콘텐츠를 사용 가용자에게만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인증부(244) 및 안정된 인테리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인테리어 통신부(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이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이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은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100)으로부터 수집된 인테리어 구성 정보인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및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인테리어 콤포넌트를 구축하여(S800) 공간 구성 객체들에 대하여 타겟별, 예컨대 용도, 소재, 구조, 구형물 등으로 모양, 표현, 색상, 영상 등을 디자인하고(S802), 디자인 내용을 그래픽으로 처리한다(S804).
그리고 나서,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은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별 제어 방법을 정의(S806)함과 더불어 인테리어 콘텐츠의 포맷을 정의(S808)하고, 정의된 인테리어 포맷에 의거하여 객체별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한다(S810).
그런 다음,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은 객체별로 생성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 설정된 저작툴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한다(S812).
이후, S812 단계에서 생성된 인테리어 콘텐츠는 인테리어 콘텐츠 서버(243)에 저장되어 관리되며(S814),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인테리어 콘텐츠 통신부(245)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S816).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은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각각의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직접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콘텐츠 시공을 위한 인테리어 콘텐츠 시공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인테리어에 필요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인테리어 콘텐츠 서버(243)로부터 공급받는 인테리어 콘텐츠 수신부(320), 인테리어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한 인테리어 콘텐트 파싱부(330), 분석된 콘ㅌ네츠에 따라 인테리어를 시공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시공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콘텐츠 수신부(320)는 인테리어 콘텐츠 서버(243)로부터 공급받기 위한 인테리어 콘텐츠 서버 연동부(321), 인테리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수신부(322), 수신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저장 관리부(3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테리어 콘텐츠 파싱부(330)는 수신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디패키타이징하는 디패키타이징부(331), 인테리어 콘텐츠를 파싱하는 파싱부(332), 인테리어 콘텐츠의 정의, 규격, 요소, 제어 및 방법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메타데이터 분석부(333),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에 대한 소재를 분석하는 공간 소재 분석부(334), 공간의 다중 객체를 분석하는 공간 다중 객체 분석부(335),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분석하는 표현 방법 분석부(336) 및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컴퓨팅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로 맵핑시키는 인테리어 시공 제어 분배부(33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테리어 콘텐츠 시공부(340)는 인테리어 소재를 제어하는 소재 제어부(341), 인테리어 이미지를 제어하는 이미지 제어부(342), 인테리어 시공 시에 필요한 문자를 제어하는 문자 제어부(343), 인테리어 시공 시 명암 및 밝기 등을 제어하는 명암/밝기 제어부(344), 온도, 습도 등을 제어하는 온도 및 습도 제어부(345, 346),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인테리어 제어 인터페이스부(33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이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컴퓨팅 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이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를 컴퓨팅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시공 명령이 수신되면(S900),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은 인테리어 콘텐츠 서버(243)와 연동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다(S902, S904).
그런 다음,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은 인테리어 콘텐츠를 파싱하여(S906) 파싱된 데이터를 분석한다(S908).
그리고 나서,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300)은 분석된 인테리어 콘텐츠에 따라 인테리어 공간의 인테리어를 객체별로 시공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S910), 인테리어 시공 엔진인 인테리어 콘텐츠 시공부(340)를 구동시킨다(S912).
이에 따라, 인테리어 콘텐츠 시공부(340)는 객체 단위로 제어를 수행하는데, 즉 소재별 제어, 용도에 따른 이미지 시공 제어, 문자 삽입 및 표현 제어 등으로 제어하고(S914), 환경 제어를 위해 공간의 명암 제어, 습도 제어, 온도 제어 등을 수행한다(S916).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에서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H/W 플랫폼(400)의 구성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H/W 플랫폼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플랫폼(400)은 각종 센서로부터 공간 및 환경의 신호를 센싱하는 센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401), 인지 엔진 및 시공 엔진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한 실행을 담당하는 메인시그널 프로세서 제어부(402), 저전력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저전력 제어부(403) 및 인테리어 시공 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4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인테리어 콘텐츠로 인테리어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시공에 따른 건축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500)은 인테리이 공간에 시공 또는 표현되는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5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공간의 인테리어에 필요한 소재 중의 하나로 IT융합 스마트카멜레온 벽지를 구성하는 벽지 생성부(510)와 이미지 또는 문형 표현과 센싱 및 통신 등을 하기 위한 벽지 제어부(520)와 사용자 및 기기들과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한 벽지 인터랙션부(5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벽지 생성부(510)는 스마트 벽지 제어를 위한 제어 회로를 생성하여 스마트카멜레온 벽지에 삽입하는 제어회로 삽입부(511),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이미지와 문형 및 색체를 디자인하여 표현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면에 삽입하는 표현객체 삽입부(512), 제어회로, 표현객체를 포함하는 벽지회로를 인쇄하는 벽지회로 인쇄부(513), 광섬유, 예컨대 나노광섬유와 전도성 섬유 등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면을 구성하는 벽지면 구성부(514), 공간 및 환경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벽지센서를 구성하는 벽지 센서부(515),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회로 구성부(516), 제조된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겉면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코팅부(517)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벽지 제어부(520)는 스마트 벽지 모듈, 예컨대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내의 벽지 센서, 표현 객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 제어 회로들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벽지모듈 연결부(521), 광섬유로부터의 색체추출을 위한 광선 추출부(522), 광선색체를 이용한 이미지와 문형 표현을 위한 표현 제어부(523), 벽지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센싱하고 신호 처리 및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벽지센서 모듈 제어부(524),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이용한 정보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벽지통신 제어부(525),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방열관리를 위한 열 분배부(526),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시스템과의 인터렉션을 위한 벽지제어 인터페이스부(5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지 제어부(520) 및 벽지 생성부(510)에 의해서 제작된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을 통해 인테리어 공간 상에 시공 또는 표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을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프로그램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별개인 것으로 설명된 모듈 등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기능상 구별된 것으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한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도 수개의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다른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각각 독립하여서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
200 :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
300 :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
400 :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H/W 플랫폼
500 :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

Claims (23)

  1.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과,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에서 수집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과,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에서 생성된 각각의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객체들에 대한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별 감성 지수를 이용하여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한 후 상기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관리하는 감성 인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인지 관리부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감성 신호를 수집하는 다채널 센서부와,
    상기 감성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관리하는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와,
    상기 감성 센싱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상기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공간 감성 요소 추출부와,
    상기 개별 감성 지수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상기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한 후 상기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관리하는 공통 감성 지수 추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센싱을 통해 얻어진 구조 및 구성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모형 및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공간 인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인지 관리부는,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과 구조를 인식하는 공간 구조 인지부와,
    상기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사용 용도를 분석하는 공간 용도 인지부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소재들을 인지하는 공간 소재 인지부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높이 및 넓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크기를 인식하는 공간 크기 인지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용도, 구조, 크기, 소재 높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공간 관련 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는 공간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환경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인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인지 관리부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습도를 인지하는 습도 인지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명암을 인지하는 명암 인지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온도 및 계절을 인지하는 온도 및 계절 인지부와,
    상기 인지한 습도, 명암, 온도 또는 계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환경 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는 환경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시 필요한 요소들을 구성 및 관리하는 인테리어 요소 관리부와,
    상기 요소들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 및 제작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에서 생성 및 제작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장 및 전송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요소 관리부는,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용도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용도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소재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소재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연령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연령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성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성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계절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계절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크기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크기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와,
    상기 필요한 요소들 중 모양 및 구조별 콘텐츠 요소를 관리하는 모양 및 구조별 콘텐츠 요소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의 생성에 필요한 인테리어 콤포넌트를 생성하는 인테리어 콤포넌트 생성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별 모양, 표현, 색상 또는 영상을 디자인하는 인테리어 디자인부와,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부에서 디자인된 상기 객체별 디자인 내용을 기반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인테리어 그래픽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포맷을 정의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포맷부와,
    상기 정의된 포맷에 의거하여 상기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객체별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 정의된 저작툴을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인테리어 콘텐츠 저작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인테리어에 필요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에 요청하여 제공받는 인테리어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분석하기 위한 인테리어 콘텐츠 파싱부와,
    상기 분석된 인테리어 콘텐츠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직접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인테리어 시공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파싱부는,
    상기 수신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디패키타이징하는 디패키타이징부와,
    상기 디패키타이징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파싱하는 파싱부와,
    상기 파싱된 인테리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메타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를 분석하는 공간 분석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다중 객체를 분석하는 다중 객체 분석부와,
    상기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분석하는 인테리어 표현 방법 분석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 다중 객체 및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로 맵핑시키는 인테리어 시공 제어 분배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시공부는,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소재를 제어하는 소재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이미지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명암 및 밝기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명암 및 밝기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습도를 제어하는 인테리어 습도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인테리어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시공 또는 표현될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생성하는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테리어 공간 상에 제공될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생성하는 벽지 생성부와,
    상기 제공되는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이미지 또는 문형 표현과 센싱 및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벽지 제어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상의 사용자 또는 기기들과의 인터랩션을 제공하는 벽지 인터랩션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지 생성부는,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회로를 삽입하는 제어회로 삽입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이미지, 문형 또는 색체를 디자인하여 표현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표현 객체를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면에 삽입하는 표현 객체 삽입부와,
    상기 제어 회로와 상기 표현 객체를 포함하는 벽지 회로를 생성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벽지 회로 인쇄부와,
    전도성 섬유 또는 광섬유를 기반으로 벽지면을 구성하는 벽지면 구성부와,
    상기 인테리어 공간 및 환경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벽지 센서를 구성하는 벽지 센서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이용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회로 구성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겉면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코팅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지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 내의 표현 객체, 제어 회로,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 벽지 센서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벽지 모듈 연결부와,
    상기 전도성 섬유로부터의 색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광선 추출부와,
    상기 광선 추출부에서 추출된 색체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또는 문형을 표현하기 위한 표현 제어부와,
    상기 벽지 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신호 처리 및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벽지 센서 모듈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를 이용하여 정보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벽지 통신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 카멜레온 벽지의 방열 관리를 위한 열 분배부와,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과 인터랙션을 위한 벽지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18.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 또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은 감성 인지 관리부, 공간 인지 관리부 또는 환경정보 관리부를 가진 환경인지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인테리어 콤포넌트 생성부, 인테리어 디자인부, 인테리어 그래픽부, 인테리어 콘텐츠 포맷부, 인테리어 콘텐츠 저작부 또는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은 디패키타이징부, 파싱부, 메타 데이터 분석부, 공간 분석부, 다중 객체 분석부, 인테리어 표현방법 분석부 또는 인테리어 시공 제어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인지 관리부는 공간 구조 인지부, 공간 크기 인지부, 공간 용도 인지부, 공간 소재 인지부 또는 공간 정보 관리부를 포함함- 에 있어서,
    상기 감성-공간-환경 인식 엔진이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통해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이 상기 수집된 감성 정보, 공간 관련 정보 또는 환경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인테리어 시공 시스템이 상기 생성된 각각의 인테리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감성인지 관리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센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을 구성하는 상기 객체들에 대한 개별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감성인지 관리부가 상기 추출된 개별 감성 지수를 이용하여 공통 감성 지수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감성인지 관리부가 상기 개별 감성 지수와 공통 감성 지수를 상기 감성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인지 관리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을 센싱하여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수집함과 더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공간인지 관리부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 및 구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모형 및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환경인지 관리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환경 신호를 센싱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구조 인지부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인테리어 공간의 모형과 구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 용도 인지부가 상기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사용 용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 소재 인지부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소재들을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 크기 인지부가 상기 센싱 및 입력된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높이 및 넓이를 분석하여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크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 정보 관리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에 대한 용도, 구조, 크기, 소재 높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공간 관련 정보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관리부가 상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습도, 명암, 온도 또는 계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싱하여 상기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콤포넌트 생성부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의 생성에 필요한 인테리어 콤포넌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디자인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 내 객체별 모양, 표현, 색상 또는 영상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그래픽부가 상기 디자인된 상기 객체별 디지인 내용을 기반으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이 상기 디자인된 상기 객체별 제어 방법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포맷부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에 대한 포맷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생성부가 상기 정의된 포맷에 의거하여 상기 객체들에 대한 인테리어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 저작부가 상기 생성된 객체별 인테리어 콘텐츠를 기 정의된 저작 툴을 이용하여 상기인테리어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패키타이징부가 상기 인테리어 콘텐츠를 디패키타이징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부가 상기 디패키타이징된 인테리어 콘텐츠를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데이터 분석부가 상기 파싱된 인테리어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 분석부가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다중 객체 분석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다중 객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표현 방법 분석부가 상기 인테리어 시공 시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인테리어 시공 제어 분배부가 상기 인테리어 공간의 구조 및 요소들의 소재, 다중 객체 및 인테리어 표현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인테리어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00076126A 2010-03-30 2010-08-06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74,959 US9076243B2 (en) 2010-03-30 2011-03-29 Digital interi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8741 2010-03-30
KR1020100028741 201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76A KR20110109776A (ko) 2011-10-06
KR101415665B1 true KR101415665B1 (ko) 2014-07-07

Family

ID=4502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126A KR101415665B1 (ko) 2010-03-30 2010-08-06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6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503A (ko) 2018-12-18 2020-06-26 엄미란 실내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7802A (ko) 2022-02-25 2023-09-01 로담건축주식회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맞춤형 실내 인테리어 주문 방법
KR102634668B1 (ko) 2023-05-10 2024-02-13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건설 폐기물 발생을 줄이는 건물 리모델링 방법
KR102665885B1 (ko) 2024-02-01 2024-05-14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건설 폐기물 산출에 기초한 건물 리모델링 정보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72B1 (ko) * 2018-04-18 2019-09-05 김재환 전자 벽지 시스템
KR102464663B1 (ko) * 2020-02-21 2022-11-10 정성오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및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980A (ja) * 1995-02-20 1996-08-30 Sekisui House Ltd 住宅の採光変化推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85332B1 (ko) 2007-01-09 2007-12-17 주식회사 우전그린 무드조명벤치
KR100867362B1 (ko) 2008-05-03 2008-11-06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변화형 벽지시스템
KR20090063063A (ko) * 2008-06-05 2009-06-17 조용성 공동주택에 대한 맞춤형 주거환경정보 조회시스템의조회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980A (ja) * 1995-02-20 1996-08-30 Sekisui House Ltd 住宅の採光変化推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85332B1 (ko) 2007-01-09 2007-12-17 주식회사 우전그린 무드조명벤치
KR100867362B1 (ko) 2008-05-03 2008-11-06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변화형 벽지시스템
KR20090063063A (ko) * 2008-06-05 2009-06-17 조용성 공동주택에 대한 맞춤형 주거환경정보 조회시스템의조회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503A (ko) 2018-12-18 2020-06-26 엄미란 실내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7802A (ko) 2022-02-25 2023-09-01 로담건축주식회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맞춤형 실내 인테리어 주문 방법
KR102634668B1 (ko) 2023-05-10 2024-02-13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건설 폐기물 발생을 줄이는 건물 리모델링 방법
KR102665885B1 (ko) 2024-02-01 2024-05-14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건설 폐기물 산출에 기초한 건물 리모델링 정보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76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665B1 (ko) 디지털 인테리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27064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apparatus
JP6671483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Bellido-Outeiriño et al. Streetlight control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over DALI protocol
Casado-Mansilla et al. A human-centric & context-aware IoT framework for enhancing energy efficiency in buildings of public use
Vanus et al.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visualization application software, implemented with wireless control system in smart home care
KR20170126698A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el Campo et al. Virtual Reality and Internet of Things Based Digital Twin for Smart City Cross-Domain Interoperability
CN203759927U (zh) 一种物联网应用教学实验箱
CN115951973B (zh) 模型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Furdík et al. Events processing and device interoperability in a smart office IoT application
US9076243B2 (en) Digital interi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160413A (zh) 控制能量消耗机器的控制系统及其构筑方法
TW201308310A (zh) 電子顯示系統及其畫面顯示方法
CN105190575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Chang et al. Modularized multimedia framework for multi-modal and multi-functional interactions
Ramli et al. Sustainable Smart City Technologies and Their Impact on Users’ Energy Consumption Behaviour
Dickerson et al. Standards for the IoT
Avi et al. An android application and speech recognition-based IoT-enabled deployment using NodeMCU for elderly individuals
KR20190061733A (ko)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7132718B (zh) 一种基于多模态大模型的景区虚拟模型构建系统
Garzón et al. Using space-based downstream services for urban management in smart cities
Pittarello From Building Control to Eco-Feedback: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20170136058A (ko) 양방향 텔레스크린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30068640A (ko) 실감 융합정보 프로파일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