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04B1 -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 Google Patents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04B1
KR101415304B1 KR1020120084595A KR20120084595A KR101415304B1 KR 101415304 B1 KR101415304 B1 KR 101415304B1 KR 1020120084595 A KR1020120084595 A KR 1020120084595A KR 20120084595 A KR20120084595 A KR 20120084595A KR 101415304 B1 KR101415304 B1 KR 101415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lymer
coating layer
filt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402A (ko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102012008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3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부직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Filter having permeability and hydrophobic property}
본 발명은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된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소수성의 폴리머 코팅층을 적층한 구조를 적용하여 전체적으로는 폴리머 코팅층의 구멍의 크기 및 분포가 균일해진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면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이동 통신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평판 스피커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전자장치는 액체 또는 먼지 등의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마이크로폰, 신호기, 스피커 또는 버저 등의 음향 변환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위해 전자 장치에는 구멍이나 틈새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들 구멍은 유출물이나 빗물 등과 같은 액체 또는 미세 먼지 및 다른 입자로부터 음향 변환기를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멍에 대한 보조 장벽으로서 음향 변환기와 하우징 사이에 멤브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가 이용된다. 다시 말해, 보호 커버는 원하지 않는 오염물이 장치 내 민감한 부품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향 전달을 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음향 손실에 대한 전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보호 커버 조립체가 이들 오염 보호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낮은 공기 유동 저항을 제공하고, 낮은 음향 손실을 가지며, 오염물이 장치 하우징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커버에 대한 산업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는 부직포, 메쉬 또는 나노 파이버 웹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부직포나 나노 파이버를 적층한 나노 파이버 웹을 사용하는 경우, 부직포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와 분포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시 균일한 품질을 보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쉬를 사용하는 경우 신뢰성 있게 일정한 구멍의 크기를 갖고 일정한 분포를 갖는 장점이 있으나, 메쉬의 구멍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 메쉬의 두께가 얇아져야 하므로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메쉬에 가해지는 수압에 견디기 어렵고, 또한 메쉬의 구멍을 작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 다양한 환경 변화에 따른 충분한 방수 성능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 변화에 따른 충분한 방수 성능을 갖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에 의해 음향 전달의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고 물이 스며들게 하지 않는 성능이 향상된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가 가능한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기기의 내부에 적용 용이한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전면에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부직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전면에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가지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전면에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불소가 함유된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갖는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상기 부직포나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구멍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는 폴리에스터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를 직조하여 구성된 메쉬이고, 상기 폴리에스터 와이어는 모노 필라멘트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와이어는 금속으로 도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펄프 부직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나노 폴리머 파이버이고, 액상의 폴리머가 분사되어 경화 또는 용제의 증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코팅층의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는 액상의 폴리머의 분사(Spin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구멍 내면을 따라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가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는 부직포와 서로 접착되거나, 폴리머 코팅층과 서로 접착되어 적층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상기 부직포 또는 상기 폴리머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중앙 부위를 제외한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된 상기 베이스나 상기 폴리머 코팅층에는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가 코팅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는 정전기 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며, 이동통신기기의 음향 전달을 위한 개구에 설치되거나, 이동통신기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자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감쌀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는 롤(Roll) 상태로 제조되어 칼날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와 부직포 또는 폴리머 코팅층이 적층 구조를 갖는데, 베이스에서 구멍의 크기가 균일하고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폴리머 코팅층에서 구멍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분포가 불균일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적층 구조에서는 구멍이 비교적 균일한 크기를 갖고 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직포 또는 폴리머 코팅층이 소수성을 갖고 있어 방수 능력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머 코팅층에 비해 베이스의 기계적 강도가 크기 때문에 필터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한다.
또한, 베이스, 부직포 또는 폴리머 코팅층 중 어느 하나가 전기 전도성 또는 전기 반도전성이므로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로 균일한 크기의 구멍과 균일한 개수의 구멍을 사용하여 음향 전달의 품질 및 방수 효과가 균일하다.
또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이동통신기기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스피커 및 리시버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과 (b)는 각각 본 발명의 필터의 사용을 보여주는 일 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필터(100)는 베이스(110)와 그 위에 적층되는 부직포 또는 폴리머 코팅층(12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균일한 크기의 구멍(114)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다공망 구조를 가지며, 구멍(11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원형 또는 사각형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리머 수지는 전기적으로 절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110)가 균일한 크기의 구멍(114)이 균일하게 분포된 다공망 구조이므로 통기성이 우수하고 음향 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되어 소수성에 의해 액체의 통과를 어렵게 한다.
베이스(110)는 모노 필라멘트로 된 폴리에스터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 등의 와이어(112)를 직조하여 구성된 메쉬일 수 있으며, 전자파 차폐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해 폴리에스터 와이어는 금속으로 도금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강도가 좋고 사용 온도를 높은 경우 베이스(110)는 금속 박막에 원형의 구멍을 형성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구멍 수가 많으면 방수 효과는 좋으나 통기성은 떨어진다. 바람직하게, 베이스(110)가 직조를 한 메쉬인 경우 메쉬의 구멍 수(mesh count)는 130 mesh 내지 450 mesh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이스(110)의 두께는 폴리머 코팅층(12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필터(100)의 두께는 0.02㎜ 내지 0.9㎜이다.
베이스(110)에 형성된 구멍(114)의 내면에는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될 수 있는데, 가령 베이스(110)를 함침하여 코팅될 수 있다. 구멍(114)의 내면에 코팅된 불소함유 폴리머 수지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필터(100)를 통해 액체는 통과하지 않으면서 음향 전달이 용이한 정도이다.
이와 같이 구멍(114)의 내면에 불소함유 폴리머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구멍(114)의 내면이 매끄럽게 되어 공기 흐름 저항이 낮아져 음향의 통과가 잘 되고, 불소가 함유되기 때문에 소수성이 향상되어 액체의 통과를 어렵게 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110)는 두께가 균일하고 가령 0.01㎜ 내지 0.8㎜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베이스(110)에는 전기전도성이나 전기 반전도성 파우더가 분산되어 전기전도성이나 전기 반전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전기전도성이나 전기 반전도성을 갖는 경우 정전기 방지나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베이스(11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부직포나 폴리머 코팅층(120)이 적층된다.
부직포(120)의 경우, 폴리머 파이버(122)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124)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직포(120)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펄프 부직포일 수 있다.
폴리머 코팅층(120)의 경우 두 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첫째,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124)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가지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되거나, 둘째,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124)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갖는다.
즉, 폴리머 파이버 자체가 불소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데,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형성한 후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로 코팅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폴리머 파이버는 나노 폴리머 파이버일 수 있다.
폴리머 코팅층(120)이 미세 직경을 갖는, 예를 들어 나노 파이버로 제조된 경우 또는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원가 절감을 위해 그리고 균일한 구멍의 제공을 위해 폴리머 코팅층(120)의 두께는 베이스(110)의 두께보다 얇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베이스(110)의 기계적 강도는 부직포(120) 또는 폴리머 코팅층(120)보다 크기 때문에 수압이 가해졌을 때 견디는 힘이 좋고 균일한 구멍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통기성 및 방수성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머 코팅층(120)은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122)가 얽히고 적층되어 폴리머 파이버 웹(web)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한 겹 또는 여러 겹이 겹쳐 두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불균일한 크기의 미세 구멍(124)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
폴리버 파이버(122)가 불소를 함유한 경우, 신축성과 탄성이 좋은 소수성의 불소 실리콘 고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불소를 함유한 불소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한 것처럼,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부직포,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가지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 또는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파이버에 의한 웹 구조를 폴리머 코팅층에 의해 탄성이 향상되고, 미세 구멍(124)에 의한 구조적 특성과 불소 재질의 사용에 의해 소수성이 향상된다.
베이스(110) 위에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의 폴리머 코팅층(120)은 액상의 폴리머를 분사(spining)하여 형성할 수 있고, 폴리머 파이버(122)는 액상의 폴리머가 분사되어 경화 또는 용제의 증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 파이버(122)의 재료가 불소 고무 또는 불소 실리콘 고무인 경우 폴리머 파이버(122)의 두께가 얇고 용제가 포함되어 가령 80℃ 내지 200℃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경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를 사용한 베이스(110) 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더 높은 경화 온도가 필요한 경우 베이스(110)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상의 폴리머를 분사하고 용제를 증발시키거나 경화하여 폴리머 파이버(122)를 만들고 이를 적층하여 폴리머 파이버 웹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겹치는 폴리머 파이버끼리는 서로 접착되고, 또한 베이스(100)는 부직포 또는 폴리머 코팅층(120)과 서로 접착되어 적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필터(100)를 휘거나 할 때 분리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110)의 한 면에 폴리머 코팅층(120)이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110)의 양면에 폴리머 코팅층(120)을 적층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100)의 양면에서 유입되는 물이나 먼지 등을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필터(100)의 특성에 대해서는 공기 흐름 저항, 물 유입 압력 측정 및 먼지 보호 테스트 등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공기 흐름 저항은 음향 저항도와 직접 상호 관련이 있는데, Rayl은 공기 흐름에 대한 샘플의 저항 측정 단위로, 가령 일정한 직경의 샘플을 통한 공기 압력의 저하(ΔP)를 고정된 공기 흐름 속도에서 측정하고, 압력 저하는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Rayl 단위로 변환할 수 있다.
저항(Rayls) = ΔP·샘플의 면적/유동속도
베이스(110)의 구멍(114)의 크기는 2㎛보다 크게 형성되어 500 Rayls보다 작은 공기 유동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유입 압력은 샘플을 통한 물 침입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으로, 한쪽에서 샘플의 일부를 물과 함께 가압하고, 반대쪽에는 pH 테스트 종이를 물 유입 증거에 대한 표시기로서 기능하도록 배치한다. 이후, pH 테스트 종이에서 색상 변화가 인지될 때까지, 작은 압력 증분으로 샘플을 가압하여 유입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 코팅층(120)의 미세 구멍(124)의 크기는 필터(100)를 1m 깊이의 물에 넣었을 때 수압에 의해 물이 침투되지 않는 정도이다.
먼지 보호 테스트는 국제 전자 기술 위원회(IEC) 공보 문헌 60529, 2.1판(2001-02)의 섹션 5.2에 기재된 절차를 사용한다.
도 3(a)과 (b)는 각각 본 발명의 필터의 사용을 보여주는 일 예이다.
여기서, 필터(100)는 롤(Roll) 상태로 제조되어 칼날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와 폴리머 코팅층(120)이 적층되어 구성된 필터에서, 폴리머 코팅층(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 점착테이프(130)가 점착되고 그 위 전면에 이형시트(140)가 점착되어 보호 커버를 구성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폴리머 코팅층(120) 위에 양면 점착테이프(130)를 부착하였으나 폴리머 코팅층(120)을 작게 형성하여 폴리머 코팅층(120)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양면 점착테이프(130)가 점착되는 베이스(110) 또는 폴리머 코팅층(120)의 부위에는 불소함유 폴리머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통상,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에는 점착테이프가 잘 붙지 않기 때문에 점착테이프가 위치할 자리에는 마스킹 테이프(Masking tape)를 사용하여 불소가 포함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 또는 방사되지 않도록 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양면 점착테이프가 부착되며 양면 점착테이프는 대향하는 기구물, 가령 하우징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이형시트(140)의 일측에는 탭(142)이 돌출되어 이형시트(140)를 양면 점착테이프(130)로부터 제거할 때 파지하기 쉽게 한다.
도 3(b)을 참조하면, 가령 휴대폰에 장착된 스피커나 리시버에 대응하여 하우징(10)에는 개구, 즉 입출력 홀(12)이 형성되는데, 입출력 홀(12)의 내측에 보호 커버 조립체가 설치된다.
즉, 보호 커버 조립체의 이형시트(140)가 제거되고, 폴리머 코팅층(120)의 가장자리에 점착된 양면 점착테이프(130)가 하우징(10)에 점착된다.
상기한 것처럼, 베이스(110)나 폴리머 코팅층(120)이 탄성과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하우징(10)에 탄성적으로 점착할 수 있으며, 양면 점착테이프(130)에 의해 대상물인 하우징(10)에 점착하기 용이하다.
폴리머 코팅층(120)이 입출력 홀(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외부의 액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20)은 폴리머 코팅층(120)의 미세 구멍(124)을 통과하지 못하여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반면,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스피커(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베이스(11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된 구멍(114)과 폴리머 코팅층(120)에 형성된 미세 구멍(124)을 통하여 원활하게 출력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필터(100)가 정전기 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거나 이동통신기기의 음향 전달을 위한 개구에 설치되는 용도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로, 필터(100)는, 이동통신기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의 침수에 예민한 전자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감싸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100)는 전기적으로 절연이다.
이와 같이 필터(100)를 전자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감싸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기기가 잠시 동안 침수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2; 출력 홀
20: 먼지
100: 필터
112: 와이어
114, 124: 구멍
120: 폴리머 코팅층

Claims (24)

  1.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전면에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부직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2.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전면에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가지며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코팅된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3.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 수지가 전면에 코팅된 다공망 구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불소가 함유된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가 얽히고 적층되어 형성되고 불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불균일하게 분포된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를 갖는 폴리머 코팅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상기 부직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두께는 상기 폴리머 코팅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구멍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7.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폴리에스터 와이어 또는 금속 와이어를 직조하여 구성된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와이어는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와이어는 금속으로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머 부직포 또는 펄프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1.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나노 폴리머 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2.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코팅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구멍 내면을 따라 불소가 함유된 폴리머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3.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파이버는 액상의 폴리머가 분사되어 경화 또는 용제의 증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파이버 웹 구조의 폴리머 코팅층은 액상의 폴리머의 분사(Spining)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부직포와 서로 접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적층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폴리머 코팅층과 서로 접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7.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파이버 웹에서 겹쳐진 폴리머 파이버끼리는 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중앙 부위를 제외한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9.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폴리머 코팅층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중앙 부위를 제외한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코팅층의 면에서 상기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만 상기 폴리머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21. 삭제
  22. 삭제
  23.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이동통신기기의 음향 전달을 위한 개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2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이동통신기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자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1020120084595A 2012-08-01 2012-08-01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101415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95A KR101415304B1 (ko) 2012-08-01 2012-08-01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95A KR101415304B1 (ko) 2012-08-01 2012-08-01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402A KR20140017402A (ko) 2014-02-11
KR101415304B1 true KR101415304B1 (ko) 2014-07-04

Family

ID=5026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595A KR101415304B1 (ko) 2012-08-01 2012-08-01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27B1 (ko) * 2019-04-17 2020-06-04 대웅이엔에스 (주) 미세먼지 수집이 용이한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451A1 (fr) * 1997-01-20 1998-07-23 Daikin Industries, Ltd. Media filtrant et unite de filtre a air comprenant ce dernier
KR20040066798A (ko) * 2001-10-29 2004-07-27 닛데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내열성 필터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266406A (ja) 2005-03-24 2006-10-05 Bridgestone Corp 免震すべり支承装置用すべり部材
JP2010088960A (ja) 2008-10-03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ィルタ及び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451A1 (fr) * 1997-01-20 1998-07-23 Daikin Industries, Ltd. Media filtrant et unite de filtre a air comprenant ce dernier
KR20040066798A (ko) * 2001-10-29 2004-07-27 닛데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내열성 필터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266406A (ja) 2005-03-24 2006-10-05 Bridgestone Corp 免震すべり支承装置用すべり部材
JP2010088960A (ja) 2008-10-03 201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ィルタ及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402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624B1 (ko) 통음막과 그것을 구비하는 통음막 부재, 그리고 마이크로폰 및 전자 기기
JP5684793B2 (ja) 防沫性の音響的抵抗性カバー集成体
EP1197119B1 (en) Acoustic protective cover assembly
KR101709353B1 (ko) 메시 층을 포함하는 다층 흡음 구조물
US6932187B2 (en) Protective acoustic cover assembly
EP0609223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filter
US20100276193A1 (en) Magnetic shielding gasket and method of filling a gap in an emi shielded system
CN110971995A (zh) 用于电声换能器和电子设备的防液体封装
KR101370581B1 (ko) 멤브레인 어셈블리
KR102028872B1 (ko) 방수 통음 부재와 이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DK3039955T3 (en) Magnetic field protective and shielding multilayer textile construction
JPH07502940A (ja) 電子機器閉鎖容器のための耐候性電磁障害遮蔽
KR101415304B1 (ko)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101292088B1 (ko) 통기성 및 소수성을 갖는 다층 복합소재
CN213094409U (zh) 一种带有防水透声膜组件的电子设备
WO2023285869A1 (en) Vent assembly
TW201545565A (zh) 喇叭振動片及其難燃處理模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