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71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710B1
KR101414710B1 KR1020070099830A KR20070099830A KR101414710B1 KR 101414710 B1 KR101414710 B1 KR 101414710B1 KR 1020070099830 A KR1020070099830 A KR 1020070099830A KR 20070099830 A KR20070099830 A KR 20070099830A KR 101414710 B1 KR101414710 B1 KR 10141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st
pdu
concatenated
memory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548A (ko
Inventor
박원흠
조현상
송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7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04L67/1008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based on parameters of servers, e.g. available memory or work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burst)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향링크 맵(DL_MAP)을 복호하여 버스트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각 버스트를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별로 복호하는 과정과, 특정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이 속한 버스트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버스트의 연접 카운트(concatenation count)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한 후, 자신의 PDU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PDU에 대해서만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어 전력 및 메모리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버스트 메모리, 메모리 할당, CID, 연접 카운트(concatenation count)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ON BURST MEMO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burst memory)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를 구성하는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의 연접 카운트(concatenation count)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으로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통신 시스템이 있다. 상기 IEEE802.16e 시스템을 구현한 예로는 와이맥스(Wimax)와 와이브로(Wibro) 또는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가 있다.
상기 IEEE 802.16e의 직교 주파수 다중 분할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복신(TDD: Time Division Duplex) 시 스템 규격을 채탁한 모바일 와이맥스의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FCH(101)는 DL-MAP(103, 105) 복호를 위하여 DL-MAP(103, 105)의 데이터 량 및 DIUC(Downlink Interval usage code) 등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DL-MAP(103, 105)은 현재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 즉, 현재 프레임에 각 단말로 할당된 버스트(burst)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버스트에 대한 정보는 버스트 IE(Information Element)라는 정보 제공 단위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버스트 IE는 각 단말이 갖는 고유의 기본 CID(basic Connection ID)를 포함하여 상기 기본 CID에 해당하는 단말만이 해당 버스트를 복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DL_MAP의 버스트 IE에서 상기 기본 CID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즉, 맵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본 CID를 생략한 경우는 해당 프레임을 수신한 모든 단말이 해당 버스트에 대해 물리 계층의 복호를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트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연접(concatenation)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연접 블록은 버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연접 카운트를 가진다. 예를 들어, 특정 버스트의 첫 번째 연접 블록은 해당 버스트의 시작 부분에 해당함을 나타내기 위한 연접 카운트 0을 가진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트는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함) 계층의 데이터 처리 단위인 PDU(Protocol Data Unit)를 여러 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PDU는 일반적인 MAC 헤더(Generic MAC Header; 이하 'GMH'라 칭함)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GMH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CID(Transport CID)를 나타냄으로써, 해당 PDU를 복호할 단말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은 DL_MAP에 해당 버스트에 대한 기본 C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MAC 계층에서 상기 GMH를 복호하여 전송 CID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버스트에 속한 PDU가 자신의 PDU인지 다른 단말의 PDU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신의 PDU로 판단된 PDU만을 복호하고 다른 단말의 PDU는 복호하지 않고 폐기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먼저 DL_MAP 데이터를 복호하여 각각의 버스트에 대한 크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버스트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의 영역을 미리 나누어 각각의 버스트에 할당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자신의 버스트가 연접 블록별로 복호 완료되면, 복호 완료된 버스트들을 상기 미리 할당된 메모리의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단말에서는 버스트 복호 전에 버스트 메모리를 미리 할당함으로써, 기본 CID를 제공하지 않는 버스트를 복호할 경우에도 상기 메모리 영역을 미리 할당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버스트를 이루는 PDU가 자신의 PDU가 아닌 다른 단말의 PDU인 경우에도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단말은 상기 다른 단말의 PDU를 복호하지 않고 폐기시키기 때문에 상기 다른 단말의 PDU로 미리 할당된 메모리 영역은 낭비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 A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경우, 상기 단말 A에 전송될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20Mbps의 버스트가 CID 정보 없이 할당되고, 그 뒤에 상기 단말 A에게 전송될 3Mbps의 버스 트가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 A는 실제로 상기 3Mbps의 버스트만을 복호하여 저장하고 상기 20Mbps의 버스트를 복호하지 않고 폐기시키지만, DL_MAP 복호 시에 상기 20Mbps 버스트와 3Mbps의 버스트 모두에 대해 메모리를 미리 할당되게 된다. 즉, 상기 단말이 실제로 버스트 저장을 위해 필요로 하는 메모리는 3Mbps이지만, 총 23Mbps의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게 됨으로써, 20Mbps의 메모리 영역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단말에서는 기본 CID가 없는 버스트에 대해 메모리 영역을 미리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 자신의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에 대해서도 메모리가 할당되어 상기 메모리가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curst memory) 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신 프레임에 고유의 CID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버스트 메모리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를 구성하는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의 연접 카운트(concatenation count)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burst) 메모리 할당 방법은, 하향링크 맵(DL_MAP)을 복호하여 버스트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각 버스트를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별로 복호하는 과정과, 특정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이 속한 버스트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burst) 메모리 할당 장치는, 하향링크 맵(DL_MAP)에 포함된 버스트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스케줄러와, 각 버스트를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별로 복호하는 복호부와, 특정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될 시, 상기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이 속한 버스트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하는 주소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신 프레임에 고유의 CID가 존재하지 않을 시, 버스트의 연접 카운트(concatenation count)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한 후, 자신의 PDU(Protocol Data Unit)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할당된 메모리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PDU에 대해서만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어 전력 및 메모리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수신 프레임에 고유의 CID가 존재하지 않을 시, 버스트를 이루는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의 연접 카운트(concatenation count)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LLR(Log Likelihood Ratio) 스케줄러(501), LLR 메모리(503), 복호부(505), 출력 버퍼(507), 주소 생성부(509), 버스트 메모리(511), 스케줄러(513), CID 처리부(5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LR 메모리(503)는 LLR 생성기(미도시)에서 생성된 LLR값을 저장하여 상기 LLR 스케줄러(5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LLR값을 상기 복호부(505)로 제공하고, 상기 복호부(505)는 CTC(convolutional turbo code)복호 혹은 CC(convolutional code)복호를 통해 상기 LLR값들을 복호하여 기지국에서 송신한 정보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출력 버퍼(507)는 상기 복원된 정보 비트열을 임시 저장하고, 상기 CID 처리부(515)의 제어에 의해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버스트 메모리(511)로 출력한다.
상기 주소 생성부(509)는 스케줄러(513)로부터 버스트에 대한 정보(예: 버스트 크기)를 제공받은 후, 특정 버스트의 첫 번째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되면, 상기 제공받은 버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트 메모리(511)에 상기 특정 버스트 를 저장하기 위한 주소를 생성한다. 즉, 상기 주소 생성부(509)는 연접 카운트가 0인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되면, 상기 연접 블록에 해당하는 버스트의 크기를 참조하여 상기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접 카운트(ctc0_feccnt)(601)가 0이고 버스트 ID(ctc0_burst_id)(603)가 1인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된 경우, 상기 연접 카운트 0은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므로, 상기 ID가 1인 버스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저장 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시작 주소(Start_address)(605)와 종료 주소(End_address)(607)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주소 생성부(509)는 상기 CID 처리부(515)로부터 상기 연접 블록이 자신의 PDU(Protocol Data Unit)인지 다른 단말의 PDU인지 여부와 해당 PDU의 크기를 제공받고, 상기 자신의 PDU일 경우 상기 자신의 PDU가 상기 버스트 메모리(513)에서 상기 생성된 주소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다른 단말의 PDU일 경우 상기 생성된 종료 주소에서 해당 PDU의 크기만큼을 차감하여 상기 종료 주소를 갱신하고, 상기 해당 PDU는 복호하지 않고 폐기한다. 이에 따라, MAC 단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버스트 크기는 상기 다른 단말의 PDU 크기를 제외한 크기가 된다.
여기서, 만일 두 개의 버스트가 동시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주소 생성부(509)는 상기 버스트 메모리(511)의 영역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버스트를 위한 주소는 상기 버스트 메모리(511)의 상위(혹은 시작)부분부터 설정하고 제 2 버스트를 위한 주소는 상기 버 스트 메모리(511)의 하위(혹은 마지막)부분부터 설정하여 각각의 버스트를 저장한다.
상기 버스트 메모리(511)는 상기 주소 생성부(509)에서 생성된 주소에 따라 복호가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스케줄러(513)는 DL_MAP의 복호한 결과를 제공받아 각 버스트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각 버스트의 기본 CID, 버스트 수, 각 버스트의 크기 등과 같은 정보를 상기 주소 생성부(509)로 제공한다.
상기 CID 처리부(515)는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에 해당하는 PDU의 일반적 맥 헤더(Generic MAC Header; 이하 'GMH'라 칭함)에 포함된 전송 CID(transport CID)를 통해 상기 PDU가 자신의 PDU인지 다른 단말의 PDU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PDU의 크기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주소 생성부(509)로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801단계에서 DL_MAP을 복호하여 각 버스트의 기본 CID, 버스트 수, 각 버스트의 크기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한 후, 803단계에서 상기 DL_MAP 복호 결과 해당 버스트를 복호할 단말을 나타내는 고유의 기본 CID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DL_MAP 복호 결과 해당 버스트에 대한 기본 CID가 존재할 시, 상기 단말은 805단계에서 연접 블록별로 버스트를 복호 한 후, 807단계에서 상기 복호된 연접 블록의 연접 카운트를 검사하여 해당 버스트의 첫 번째 연접 블록인지 검사한다. 상기 복호된 연접 블록이 버스트의 첫 번째 블록이 아닐 시, 상기 단말은 상기 805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연접 블록을 계속해서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된 연접 블록이 버스트의 첫 번째 블록일 시, 상기 단말은 809단계에서 상기 DL_MAP 복호 시에 획득된 각 버스트의 크기 중 상기 연접 블록에 해당하는 버스트의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11단계에서 해당 버스트에서 복호가 완료된 데이터에 대해 메모리 주소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813단계에서 해당 버스트에 대한 복호 및 저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해당 버스트에 대한 복호 및 저장이 완료되지 않았을 시 상기 811단계로 진행하고, 해당 버스트가 완료되었을 시 상기 8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DL_MAP 복호 결과 해당 버스트에 대한 기본 CID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815단계에서 연접 블록별로 버스트를 복호 한 후, 817단계에서 상기 복호된 연접 블록의 연접 카운트를 검사하여 해당 버스트의 첫 번째 연접 블록인지 검사한다. 상기 복호된 연접 블록이 버스트의 첫 번째 블록이 아닐 시, 상기 단말은 상기 815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연접 블록을 계속해서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된 연접 블록이 버스트의 첫 번째 블록일 시, 상기 단말은 819단계에서 상기 DL_MAP 복호 시에 획득된 각 버스트의 크기 중 상기 연접 블록에 해당하는 버스트의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821단계에서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에 해당하는 PDU의 GMH(Generic MAC Header)를 분석하고, 823단계에서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PDU가 자신의 PDU인지 다른 단말의 PDU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PDU의 GMH에 포함된 전송 CID(transport CID)를 확인하여 상기 PDU가 자신의 PDU인지 다른 단말의 PDU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PDU가 자신의 PDU일 시, 상기 단말은 825단계에서 복호가 완료된 PDU 데이터에 대한 메모리 주소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하기 829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PDU가 자신의 PDU가 아닐 시, 상기 단말은 827단계에서 상기 PDU의 크기를 확인하여 상기 버스트의 종료 주소를 갱신한 후, 하기 829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PDU가 다른 단말의 PDU일 경우 상기 종료 주소에서 해당 PDU의 크기만큼을 차감하여 상기 종료 주소를 갱신하고, 상기 해당 PDU는 복호하지 않고 폐기한다.
상기 단말은 829단계에서 상기 버스트에 대한 복호 및 저장 절차가 완료되었는지 검사하여 상기 버스트에 대한 복호 및 저장 절차가 완료되었을 시, 상기 8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며 상기 버스트에 대한 복호 및 저장 절차가 완료되지 않았을 시, 상기 82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버스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GMH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을 위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을 위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연접 블록의 카운트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연속적인 버스트를 위한 메모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9)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burst) 메모리 할당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맵(DL_MAP)을 복호하여 버스트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각 버스트를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별로 복호하는 과정과,
    특정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이 속한 버스트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되는 연접 블록이 자신의 PDU(Protocol Data Unit)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PDU에 속하는 경우, 복호하여 버스트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PDU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성된 종료 주소에서 상기 PDU의 크기를 차감하여 상기 종료 주소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PDU를 상기 버스트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 블록이 자신의 PDU에 속하는지 여부는,
    상기 PDU의 일반적 맥 헤더(Generic MAC Header)에 포함된 전송 CID(transport Connection ID)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 완료 검사는,
    상기 복호 완료된 연접 블록의 연접 카운트를 이용하는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버스트(burst) 메모리 할당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맵(DL_MAP)에 포함된 버스트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스케줄러와,
    각 버스트를 연접 블록(concatenation block)별로 복호하는 복호부와,
    특정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가 완료될 시, 상기 복호가 완료된 연접 블록이 속한 버스트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트 메모리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를 생성하는 주소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되는 연접 블록이 자신의 PDU(Protocol Data Unit)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ID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소 생성부는, 상기 자신의 PDU에 속하는 경우에 해당 PDU가 버스트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신의 PDU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종료 주소에서 해당 PDU의 크기를 차감하여 상기 종료 주소를 갱신하며, 해당 PDU가 폐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ID 처리부는,
    상기 PDU의 일반적 맥 헤더(Generic MAC Header)에 포함된 전송 CID(transport Connection ID)를 이용하여 상기 연접 블록이 자신의 PDU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의 시작을 나타내는 연접 블록의 복호 완료는,
    상기 복호 완료된 연접 블록의 연접 카운트를 이용하는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99830A 2007-10-04 2007-10-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414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830A KR101414710B1 (ko) 2007-10-04 2007-10-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830A KR101414710B1 (ko) 2007-10-04 2007-10-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48A KR20090034548A (ko) 2009-04-08
KR101414710B1 true KR101414710B1 (ko) 2014-07-03

Family

ID=4076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830A KR101414710B1 (ko) 2007-10-04 2007-10-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7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216A (ko) * 2004-11-18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KR20060097508A (ko) * 2005-03-09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영역 할당 및 지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216A (ko) * 2004-11-18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시스템
KR20060097508A (ko) * 2005-03-09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영역 할당 및 지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48A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9444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0164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purious control information
JP5145382B2 (ja) 無線チャンネルでヘッダを復号する方法とシステム
KR101093084B1 (ko) 프레임 집합
EP1803314B1 (en)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s and methods
EP249602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ownlink channel transmission
KR2013009838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20040044478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세그먼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0930265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복호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678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품질 지시자를 이용한 제어 채널 요소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20529179A (ja) 方法及び装置
KR20060028404A (ko) 데이터 프레임 전송 방법 및 패킷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체
KR200700537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및 장치
KR200800519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 기법을 적용하여 방송 채널의 커버리지를 확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07026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서킷모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US20230075613A1 (en) Terminal device
CN110913481B (zh) 数据传输方法及通信装置
KR1008103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모리 제어 방법
CN112602279A (zh) 无线电下行链路信息
WO2009014751A2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group source allocation for reducing signaling overhead
KR1014147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메모리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6888072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210258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CN11175647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5484003A (zh) 数据重传方法、nav值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