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426B1 -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426B1
KR101414426B1 KR1020120112713A KR20120112713A KR101414426B1 KR 101414426 B1 KR101414426 B1 KR 101414426B1 KR 1020120112713 A KR1020120112713 A KR 1020120112713A KR 20120112713 A KR20120112713 A KR 20120112713A KR 101414426 B1 KR101414426 B1 KR 10141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area
node
in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6723A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명 filed Critical 이동명
Priority to KR102012011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426B1/en
Publication of KR2014004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싱크 노드와 거리가 멀어서, 싱크 노드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각각 중계기 없이 센서 노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달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을 제시한다. 그 네트워크 및 방법은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과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센서 노드로부터 온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싱크 노드를 포함하고, 센서 노드들은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과, 데이터를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직접 영역과 간접 영역이 서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이 서로 구분되도록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간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들은 상호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공유된 데이터는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된다.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are proposed, which transmit data sensed by sensor nodes to a sink node without a repeater when the data node can 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ink node due to its distance from the sink node. The network and method include a sink node that spatially separates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coupled with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and collect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to the sensor node. The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recognizes the data directly is the direct area. The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oes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is placed in the indirect area. The direct area and the indirect are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indirect area share the data by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a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device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크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노드(sensor node)와 게이트 웨이(gate way) 사이에 거리가 먼 경우 센서 노드에서 수집한 정보를 원활하게 게이트 웨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ly connecting information collected by a sensor node to a gateway when a distance between a sensor node and a gate way is lo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최근 들어 컴퓨터 무선 센서 네트워킹 기술의 발전 및 대중적인 보급에 힘입어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센싱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의 생활 주변 곳곳에 내장된 보이지 않는 컴퓨터와 센서가 서로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센싱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텍스트 및 상황에 대한 인식을 통해 우리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국내공개특허 제2006-0061112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y are attract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computer wireless sensor networking technology.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is basically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providing all the sensing data desired by the user whenever and wherever. In other words, invisible computers and sensors embedded in various places around our lif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sense various data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to us through recognition of context and situation based on the data. Such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61112.

도 1의 종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크워크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일반적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1)를 기반으로 연결된 센서 노드(S1~Sn) 및 센서 노드(S1~Sn)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싱크 노드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로 이루어진 게이트 웨이(3) 및 인터넷 또는 웹 상의 사용자 응용 시스템(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게이트 웨이(3) 또는 응용 시스템(5)을 통해서 센싱된 데이터에 대한 컨텍스트 처리를 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계측, 모바일 처리, 제어 등을 행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conceptual diagram of a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of FIG. 1, in the current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the sensor nodes S1 to Sn connected based o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1 A gateway 3 consisting of a sink node and a gateway system for collecting data of the sensor nodes S1 to Sn and a user application system 5 on the Internet or on the web, Context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sensed data through the application system 5 or measurement, mobile processing, and control are performed based on the context processing.

도 2는 종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네트워크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m a network.

도 2에 의하면, 싱크 노드를 중심으로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a)라 하고, 상기 데이터를 중계기(GF1~GFn)를 통하여 인식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b)라고 한다. 즉,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들은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한다. 이때, 직접 영역(a)에 배치된 센서 노드들은 Sa1~San이고,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은 Sb1~Sbn으로 표시된다.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인 Sb1~Sbn은 싱크 노드와 거리가 멀어서, 각각 중계기(GF1~GFn)를 거쳐서 싱크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센서노드와 싱크 노드와의 거리가 멀어서 싱크 노드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각각 중계기를 통하여 전송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중계기를 이용하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비용이 증가하고 그 운영이 복잡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irectly recogniz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s around the sink node is referred to as an area a, and a range in which the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repeaters GF1 to GFn is referred to as an indirect area (b). That is, the data of the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are not directly recognized by the sink node. At this time, the sensor nodes arranged in the direct area (a) are Sa1 ~ San and the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are represented by Sb1 ~ Sbn. The sensor nodes Sb1 to Sbn in the indirect area b are far from the sink node and transmit data to the sink node through the repeaters GF1 to GF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node and the sink node is too long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ink node,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peater. Using the repeater increases the cost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nd complicates its ope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싱크 노드와 거리가 멀어서, 싱크 노드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각각 중계기 없이 센서 노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달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ensed by sensor nodes to a sink node when a data node can not directly communicate with a sink node due to a distance from the sink node, .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 및 상기 센서 노드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온 상기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싱크 노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기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직접 영역과 간접 영역이 서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있는 상기 센서 노드들이 서로 구분되도록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간접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호 무선 통신으로 상기 데이트를 공유하며, 상기 공유된 데이터는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 nodes coupled with a sensor for sensing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and converting the sensor into electrical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ink nod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from the sensor node. In this case, the sensor nodes are arranged in a direct area where the sink node directly recogniz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s, and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can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is an indirect area, And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indirect region share the date with each other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a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본 발명의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간접 영역은 새로운 체계의 고유번호를 가지며, 상호 무선 통신을 하는 확대된 간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대된 간접 영역의 데이터는 상기 간접 영역의 센서 노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접 영역은 복수개의 섹터로 구분되며, 각 섹터별로 상호 무선 통신하며 상기 직접 영역의 센서 노드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간접 영역의 적어도 두 개의 센서 노드에 의해 상기 직접 영역의 하나의 센서 노드에 상기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In the wireless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rect region further comprises an expanded indirect region having a unique number of a new scheme and performing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ata of the enlarged indirect region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of the indirect region . Also, the indirect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nd each sector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an transmit the data to the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Further, the data may be transmitted to one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by at least two sensor nodes of the indirect area.

본 발명의 바람직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싱크 노드와 상기 직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채널 1에 의하고, 상기 간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채널 2에 의하며, 상기 간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와 상기 직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는 채널 3에 의하여 통신하며, 상기 채널 1 내지 채널 3의 주파수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채널 3의 주파수는 상기 채널 1의 주파수 또는 채널 2의 주파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the preferred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ink node and the sensor nodes in the direct area is by channel 1,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is by channel 2,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node in the direct region and the sensor node in the direct region communicate through the channel 3 and the frequencies of the channels 1 to 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ome cases,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3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1 or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2.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킹 방법은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을, 상기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에, 각각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배치한다. 그후, 상기 간접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호 무선 통신으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게 한다. 상기 공유된 데이터는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한다.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싱크 노드에서 취합한다.A wireless networking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networking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combined with a sensor that senses physical and chemical elements and converts them into electrical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re connected, A range directly recognized by the node is set as a direct area, and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can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is assigned to an indirect area with a unique number. Then,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indirect region share the data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sha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And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is collected at a sink node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sensor node.

본 발명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에 따르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센서 노드들 사이는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하고 센서 노드 사이에 통신을 위한 특정 채널을 부여함으로써, 싱크 노드와 거리가 멀어서 싱크 노드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각각 중계기 없이 센서 노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nd the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nodes constituti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provide a specific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odes,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sensed by the sensor nodes to the sink node without using a repeater.

도 1의 종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네트워크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제1 네트워크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제2 네트워크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제3 네트워크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of Fig. 1;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convention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m a network.
3A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m a first network in FIG. 3A.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second network.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third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루는 센서 노드들 사이는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하고 센서 노드 사이에 통신을 위한 특정 채널을 부여함으로써, 싱크 노드와 거리가 멀어서 싱크 노드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각각 중계기 없이 센서 노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달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직접 영역과 간접 영역을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 사이에 통신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채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 노드 사이의 통신에 특정 채널을 부여하는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nodes constituti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ssign a specific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odes,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directly communicate data with the sink node due to the distance from the sink nod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ensed by sensor nodes to a sink node without a repeater.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sensor node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including a direct area and an indirect area is studied, and a specific channel is assigned to communication between sensor nodes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channels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네트워크(100)를 포함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제1 네트워크(100)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A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including a first networ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form the first network 100 in FIG. 3A.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센서 노드들로 이루어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10)와, 상기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를 취합하는 싱크 노드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로 이루어진 게이트 웨이(20) 및 인터넷 또는 웹 상의 사용자 응용 시스템(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게이트 웨이(20) 또는 응용 시스템(30)을 통해서 센싱된 데이터에 대한 컨텍스트 처리를 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계측, 모바일 처리, 제어 등을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네트워크(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 노드들로 이루어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10)와 게이트 웨이(20)의 싱크 노드를 포함하여 정의한다. 3A and 3B,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sensor network 10 including sensor nodes, a gateway 20 including a sink node and a gateway system for collecting data of the sensor nodes And a user application system 30 on the Internet or the web. The user can perform context processing on the sensed data through the gateway 20 or the application system 30, And the lik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networ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sensor network 10 composed of sensor nodes and a sink node of the gateway 20.

한편, 제1 네크워크(100)에서 싱크 노드를 중심으로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가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a)라 하고, 상기 데이터를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할 수 없는 범위를 간접 영역(b)라고 한다. 예를 들어, 20층 건물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고 1층에 싱크 노드가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지하 1층에서 5층, 그리고 지상 1층에서 10층까지는 싱크 노드가 센서 노드의 데이터를 직접 인식하는 직접 영역(a)이 되고, 지상 11층부터 20층까지는 싱크 노드가 데이터를 직접 인식할 수 없는 간접 영역(b)이 될 수 있다. 이때, 센서 노드는 온도, 습도, 유량, 조도 등의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것을 말한다.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irectly recogniz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s around the sink node in the first network 100 is referred to as a direct area a and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can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B). For example, assuming that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installed in a 20-story building and a sink node is located on the first floor, the sink node transmits the data of the sensor node from the first floor to the fifth floor, The direct area (a) directly recognizable, and the 11th to 20th layers above the ground can be an indirect area (b) in which the sink node can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In this case, the sensor node is a combination of a sensor for sensing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flow rate, and illumination, and converting the sensor into electrical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직접 영역(a) 및 간접 영역(b)에 배치된 센서 노드들은 각각 고유번호(ID)가 부여된다. 즉, 직접 영역(a)에는 n개(n은 정수)의 센서 노드들인 Sa1 내지 San의 각각에 ID를 a1 내지 an으로 부여하여, Sa1(a1) 내지 San(an)과 같이 지정되어 서로 구별한다. 마찬가지로,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은 Sb1(b1) 내지 Sbn(bn)으로 지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직접 영역(a) 및 간접 영역(b)에 존재하는 센서 노드들을 구분하여 각각의 센서 노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네트워크(100)에서 고유번호(ID)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그 특징 중의 하나이다.Each of the sensor nodes arranged in the direct area (a) and the indirect area (b) is assigned a unique number (ID). That is, in the direct area (a), IDs a1 to an are assigned to n (n is an integer) sensor nodes Sa1 to San, respectively, and they are designated as Sa1 (a1) to San . Similarly, the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are designated as Sb1 (b1) to Sbn (bn). In this way, the sensor nodes existing in the direct area (a) and the indirect area (b) can be divided to control each sensor node. That is,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first netwo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using a unique number (ID).

직접 영역(a)에 있는 센서 노드들 Sa1(a1) 내지 San(an)은 채널 1(CH 1)을 통하여 싱크 노드와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다. 한편, 간접 영역(b)에 있는 센서 노드들 Sb1(b1) 내지 Sbn(bn)은 각각의 센서 노드들 사이에 채널 2(CH 2)에 의해 센서 노드들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한다.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들은 싱크 노드와 직접 데이터를 통신하며, 간접 영역(b)의 센서들은 센서 노드들은 센서 노드 사이에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The sensor nodes Sa1 (a1) to San (an) in the direct area a directly exchange data with the sink node through the channel 1 (CH1). Meanwhile, the sensor nodes Sb1 (b1) to Sbn (bn) in the indirect region (b)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odes by channel 2 (CH2) between the respective sensor nodes.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n be used as a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sensor nodes of the direct area (a)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ink node, and the sensors of the indirect area (b) have a function of exchanging data between the sensor nodes.

이에 따라,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 Sb1(b1) 내지 Sbn(bn)의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 Sb1(b1) 내지 Sbn(bn)의 데이터는 직접 영역(a)에 있는 임의의 센서 노드에 전달된다. 이는 종래에 중계기를 통하여 싱크 노드에 전달하는 방식과 달리 센서 노드 사이의 통신에 의해 간접 영역(b)의 센싱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달하는 것이다. 예컨대,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 Sb1(b1)에는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 Sb1(b1) 내지 Sbn(bn)의 데이터를 상호간의 무선 통신에 의해 공유하고 있다. 센서 노드 Sb1(b1)의 데이터를 직접 영역(a)에 있으면서 센서 노드 Sb1(b1)에 인접한 센서 노드인 Sa1(a1)에 채널 3(CH 3)으로 전달하면, 상기 데이터는 싱크 노드에 보내져 간접 영역(b)의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ata of the sensor nodes Sb1 (b1) to Sbn (bn) in the indirect region (b) can be shared with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us, the data of the sensor nodes Sb1 (b1) to Sbn (bn) in the indirect region (b)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s in the region (a). This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ansmitting to a sink node through a repeater, which transmits sensing data of an indirect area (b) to a sink nod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sensor nodes. For example, data of the sensor nodes Sb1 (b1) to Sbn (bn) in the indirect region (b) are shared by the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ensor node Sb1 (b1) in the indirect region (b). When the data of the sensor node Sb1 (b1)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Sa1 (a1) adjacent to the sensor node Sb1 (b1) in the region (a) to the channel 3 (CH3), the data is sent to the sink node, The data of the area (b) can be confirmed at the sink node.

한편, 간접 영역(b)과 직접 영역(a) 사이에 채널 3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센서 노드는 사전에 미리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1 내지 채널 3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채널 사이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채널 3은 고유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설계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하여 채널 1 또는 채널 2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가 서로 다른 채널을 부여하면, 채널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어, 센서 노드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가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nsor node which exchanges data between the indirect region (b) and the direct region (a) through the channel 3 can be specified in advance. Here, the channels 1 to 3 use different frequencies to eliminate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n addition, channel 3 may use its own frequency, or may use the same frequency as channel 1 or channel 2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network design. If channe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re assigned as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s from being damaged.

또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네트워크(100)에 대하여 센서 노드들이 Sb1(b1) 내지 Sbn(bn)으로 설정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간접 영역은 Sb1(b1) 내지 Sbn(bn)보다 더욱 확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대된 간접 영역은 새로운 체계의 고유번호를 부여받고 제1 네트워크(100)의 간접 영역(b)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호 무선 통신을 하며, 확대된 간접 영역의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100)의 센서 노드(예컨대 Sb1(b1))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1 네트워크(100)는 센서 노드에 의해 센싱되는 영역을 원하는 영역까지 확대할 수 있다. In the figure, the sensor nodes are set to Sb1 (b1) to Sbn (bn) with respect to the first netwo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indirect region is further enlarged than Sb1 (b1) to Sbn (bn) . Specifically, the enlarged indirect area is given a unique number of the new system and mutually wirelessly communic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indirect area (b) of the first network 100, and the data of the enlarged indirect are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100 (E.g., Sb1 (b1)). In this way, the first netwo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area to be sensed by the sensor node to a desired area.

본 발명의 제1 네트워크(100)를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을, 상기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에, 각각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배치한다. 그후, 상기 간접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호 무선 통신으로 상기 데이트를 공유하게 하며, 상기 공유된 데이터는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한다.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싱크 노드에서 취합한다.The first networ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sensor networking method. First, a plurality of sensor nod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sensor for sensing physical and chemical elements and converting them into electrical data,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irectly recognizes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ink node and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oes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are assigned to the indirect area with a unique number. Thereafter,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indirect region share the data by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ar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region. And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is collected at a sink node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sensor nod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제2 네트워크(200)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제2 네트워크(200)는 제1 네트워크(100)에 비해 간접 영역(b)에 배치된 센서 노드들을 복수개의 섹터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구성이나 방법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1 네트워크(100)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second network 200. FIG. In this case, the second network 2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method except that the sensor nodes arranged in the indirect area (b)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network 100.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network 100 have the same functions and functio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에 의하면, 제2 네트워크(200)에서 간접 영역(b)은 복수개의 섹터로 분할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섹터(S1, S2)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네트워크(200)가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더 많은 섹터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접 영역(b)의 섹터(S1)의 센서 노드들은 S1b1(b1), S1b2(b2), …, S1bn(bn)으로 표현되며, 섹터(S2)의 센서 노드들은 S2b1(b1), S2b2(b2), …, S2bn(bn)으로 표시된다.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들은 제1 네트워크(100)에서와 같이 채널 2(CH 2)에 의해 섹터별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간접 영역(b)의 섹터 S1의 센서 노드들은 제1 네트워크(10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직접 영역의 센서 노드 중에 하나와 연결되어 섹터 S1의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달한다. 예컨대, 섹터 1의 센서 노드들인 S1b1(b1), S1b2(b2), …, S1bn(bn)의 데이터는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인 Sa1(a1)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기 데이터는 싱크 노드에 전달된다. 동일하게, 섹터 2의 센서 노드들인 S2b1(b1), S2b2(b2), …, S2bn(bn)의 데이터는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인 예를 들어 Sa3(a3)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second network 200, the indirect area b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200 and 200 are represented by two sectors S1 and S2. However, the second network 200 may be divided into more sect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used by the second networ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sensor nodes of the sector S1 of the indirect area b are S1b1 (b1), S1b2 (b2), ... , And S1bn (bn), and the sensor nodes of the sector S2 are represented by S2b1 (b1), S2b2 (b2), ... , And S2bn (bn), respectively. The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perform data communication on a sector-by-sector basis by channel 2 (CH 2) as in the first network 100. The sensor nodes of the sector S1 of the indirect area b are connected to one of the sensor nodes of the direct area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the first network 100 to transmit the data of the sensor nodes of the sector S1 to the sink node. For example, the sensor nodes S1b1 (b1), S1b2 (b2), ..., , And data of S1bn (b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nsor node Sa1 (a1) of the region (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ink node. Similarly, the sensor nodes S2b1 (b1), S2b2 (b2), ... , The data of S2bn (bn) can be directly processed by the sensor node of Sa3 (a3), for example.

본 발명의 제2 네트워크(200)에 의하면, 간접 영역(b)에 센서 노드들이 다량으로 존재하여 이를 한꺼번에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에, 섹터를 나누어서 처리함으로써, 간접 영역(b)에서 센싱된 데이터들을 싱크 노드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네트워크(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영역(b)에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은 도시된 영역보다 보다 확장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표시한 간접 영역(b)보다 확장된 새로운 간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network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and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m all at once, by dividing the sectors, the sensed data in the indirect area (b) It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node.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the first network 100,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can be expanded more than the illustrated area. That is, it may include a new indirect area extended from the indirect area (b) shown in the figur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싱크 노드에 접속하는 복수개의 무선 센서 노드들이 제3 네트워크(300)를 이루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제3 네트워크(300)는 제1 네트워크(100)에 비해 간접 영역(b)에 배치된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으로 직접 영역(a)에 전달하여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네트워크(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1 네트워크(100)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sensor nodes connected to a sink node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hird network 300. In this case, the third network 300 may transmit the data of the sensor nodes disposed in the indirect region b to the region a directly through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as compared with the first network 100, 1 < / RTI >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network 100 have the same functions and functio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에 따르면, 제3 네트워크(300)는 제1 네트워크(100)에 비해 간접 영역(b)에 배치된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으로 직접 영역(a)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 하나에 연결된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의 수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3개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2개이다. 예를 들어,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인 Sa1(a1)에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인 Sb1(b1) 및 Sb2(b2)가 연결되어 통로 L1 및 L2를 이룬다. 5, the third network 300 transmits the data of the sensor nodes disposed in the indirect region b to the region a directly through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compared to the first network 100.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 connected to one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a) is made at least two. Of these, three are preferable, and two are more preferable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Sb1 (b1) and Sb2 (b2), which are the sensor nodes of the indirect region (b), are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Sa1 (a1) of the direct region a to form the passages L1 and L2.

이와 같이,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 하나에 연결된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의 수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하면,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와 연결된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 사이의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L1)이 원활하지 않아도 다른 통로(예를 들어 L2)로 우회하여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되므로, 본 발명의 제3 네트워크(300)의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그런데, 직접 영역(a)의 센서 노드인 Sa1(a1)에 간접 영역(b)의 센서 노드인 Sb1(b1) 및 Sb2(b2)가 연결되어 통로의 수는 최소한으로 줄여 네트워크 설계의 복잡성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number of the sensor nodes of the indirect region b connected to one sensor node of the direct region a is at least two, the sensor node of the indirect region b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of the direct region a, Even if the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L1) between the first network 300 and the second network 300 is not smooth, the data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path (for example, L2) and thus the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of the third network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cured. However, the sensor nodes Sb1 (b1) and Sb2 (b2) of the indirect region (b) are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Sa1 (a1) of the direct region a so that the number of the paths is minimized to avoid the complexity of the network design .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10; 무선 센터 네트워크 20; 게이트 웨이
30; 응용 시스템
100, 200, 300;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a; 직접 영역 b; 간접 영역
10; Wireless center network 20; Gateway
30; Application System
100, 200, 300; The first to third networks
a; Direct area b; Indirect area

Claims (10)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 및
상기 센서 노드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온 상기 데이터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싱크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기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직접 영역과 간접 영역이 서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있는 상기 센서 노드들이 서로 구분되도록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간접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호 무선 통신으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며, 상기 공유된 데이터는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되며,
상기 간접영역은 새로운 체계의 고유번호를 가지고, 상호 무선 통신을 하는 확대된 간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대된 간접 영역의 데이터는 상기 간접 영역의 센서 노드로 전송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A plurality of sensor nodes coupled with a sensor for sensing physical and chemical elements and converting the sensor into electrical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d a sink node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node and collect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from the sensor node,
The sensor nodes,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irectly recogniz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s is referred to as a direct area and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oes not directly recognize the data is placed in an indirect area and the direct area and the indirect are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 unique number is assigned to the sensor nodes in the respective regions so that they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indirect region share the data with each oth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hared data is transmitted to a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region,
Wherein the indirect region further comprises an expanded indirect region having a unique number of a new scheme and performing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ata of the enlarged indirect region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of the indirect reg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영역은 복수개의 섹터로 구분되며, 각 섹터별로 상호 무선 통신하며 상기 직접 영역의 센서 노드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The wireless sensor network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irect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each sector, and the data is transmitted to a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영역의 적어도 두 개의 센서 노드에 의해 상기 직접 영역의 하나의 센서 노드에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The wireless sensor network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is transmitted to one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by at least two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노드와 상기 직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채널 1에 의하고, 상기 간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채널 2에 의하며, 상기 간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와 상기 직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는 채널 3에 의하여 통신하며, 상기 채널 1 내지 채널 3의 주파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ommunication between the sink node and sensor nodes in the direct area is by channel 1, communication between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y channel 2, And the sensor nodes in the direct are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hannel 3, and the frequencies of the channels 1 to 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3의 주파수는 상기 채널 1의 주파수 또는 채널 2의 주파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6. The wireless sensor network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3)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1) or the frequency of the channel (2). 물리적, 화학적 요소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센서와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가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노드들을, 상기 센서 노드들이 발신하는 데이터를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는 범위를 직접 영역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싱크 노드가 직접 인식하지 못하는 범위를 간접 영역에, 각각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간접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호 무선 통신으로 상기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데이터는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접 영역에 위치하는 센서 노드에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싱크 노드에서 취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접 영역은 복수개의 섹터로 구분되고, 상기 섹터의 각 섹터별로 상호 무선 통신하며, 상기 직접 영역의 센서 노드에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
A plurality of sensor nod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sensor for sensing physical and chemical elements and converting the sensor data into electrical dat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nsor node directly recognizing data sent from the sensor nodes, Arranging a range in which the sink node does not directly recognize an indirect area with a unique number;
Allowing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indirect region to share the data by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the shared data to a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And
And collecting the data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located in the direct area at a sink node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sensor node,
Wherein the indirect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each sector of the sector, an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영역의 적어도 두 개의 센서 노드에 의해 상기 직접 영역의 하나의 센서 노드에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ata is transmitted to one sensor node of the direct area by at least two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노드와 상기 직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채널 1에 의하고, 상기 간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은 채널 2에 의하며, 상기 간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와 상기 직접 영역에 있는 센서 노드는 채널 3에 의하여 통신하며, 상기 채널 1 내지 채널 3의 주파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ommunication between the sink node and sensor nodes in the direct area is by channel 1, communication between sensor nodes in the indirect area by channel 2, Wherein the node and the sensor node in the direct region communicate by channel 3 and the frequencies of channels 1 through 3 are different.
KR1020120112713A 2012-10-11 2012-10-11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KR101414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13A KR101414426B1 (en) 2012-10-11 2012-10-11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13A KR101414426B1 (en) 2012-10-11 2012-10-11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23A KR20140046723A (en) 2014-04-21
KR101414426B1 true KR101414426B1 (en) 2014-07-04

Family

ID=5065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13A KR101414426B1 (en) 2012-10-11 2012-10-11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4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244B1 (en) * 2017-12-27 2019-11-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9842680B (en) * 2019-01-28 2021-10-12 南京钛佳汽车科技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interconnection and intercommunication between external sensors of gatew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01A (en)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path setting in sensor network
KR20090119254A (en) * 2008-05-15 2009-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range queries using partial information in sensor network
KR20110131550A (en) * 2010-05-31 2011-12-07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sensor node among multiple sensor no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501A (en)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path setting in sensor network
KR20090119254A (en) * 2008-05-15 2009-11-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range queries using partial information in sensor network
KR20110131550A (en) * 2010-05-31 2011-12-07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sensor node among multiple sensor n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23A (en)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ya et al. Study on ZigBee technology
US9948349B2 (en) IOT autom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
JP4213176B2 (en) Sensor device, server node, sensor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path construction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oshi et al. Cognitive radio wireless sensor network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research trends
KR10083517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ensor data in the sensor network including pair node
WO2006031547A3 (en)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mesh network
WO2010028149A3 (en) Wireless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ing methods for a building
WO2007058008A1 (en) Radio device and network system
US201601055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Dynamic Instance Hosting Service of Virtual Object
Langar et al. Mobility-aware clustering algorithms with interference constraints in wireless mesh networks
KR101414426B1 (en) Apparatus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the same
CN102469553A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50304833A1 (en) Bluetooth attribute repeater and aggregator
Lu et al. Interference‐aware spectrum handover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CN103299705A (en) Wireless sensor network information swarming
US20060189343A1 (en) Method for forming power-efficient network
Kumar et al. Improved network lifetime and avoidance of uneven energy consumption using load factor
Nawaz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WirelessHART technology for its implementation in dense reader environment
Yang et al. Principl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932922B1 (en) Clustering-based Location Awarenes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1001194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multi-path
JP6906380B2 (en) Route control device, rout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hatter et al. Application of IoT in predictive maintenance using long-range communication (LoRa)
JP6821765B2 (en) Relay device and program
KR100608653B1 (en)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indoors using zigbee radio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