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324B1 -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324B1
KR101414324B1 KR1020120156647A KR20120156647A KR101414324B1 KR 101414324 B1 KR101414324 B1 KR 101414324B1 KR 1020120156647 A KR1020120156647 A KR 1020120156647A KR 20120156647 A KR20120156647 A KR 20120156647A KR 101414324 B1 KR101414324 B1 KR 10141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interference signal
processing information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학
양참솔
김재영
서종필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6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접 셀간의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은 랜덤하게 생성된 선처리 정보를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CELLULAR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FOR CONTROLLING INTERCELL INTERFERENCE}
본 발명은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셀간의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은 기지국을 중심으로 셀(cell) 구역을 나누어 주파수를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문제점 중 하나는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기에 단말이 속한 셀 이외에 인접한 셀에서 송신하는 신호로 인하여 발생하는 간섭 신호(interference)이다. 따라서, 셀간 간섭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7052호(공개일 2012년 9월 28일)에는 단말기들이 기지국에 대한 채널과 간섭 채널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프리코더를 계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각 셀에 속한 단말기들의 수가 적은 경우, 기회적 간섭 정렬을 적용하여도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아,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 셀에 속한 단말기들의 수가 적더라도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들이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기가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간섭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랜덤하게 생성된 선처리 정보를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과 공유하는 전력 공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선택부는 인접한 다른 기지국과 공유한 간섭 신호 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력 측정부는 상기 선처리 정보, 상기 선처리 정보의 전송 채널, 및 간섭 신호의 공분산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간섭 신호의 공분산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를 식별하는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후처리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이 수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랜덤하게 생성된 선처리 정보를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의 단말기가 수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들이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기가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간섭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방법은 셀룰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과 기지국들의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이동국(Mod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단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 b에 속한 단말기 k가 수신하는 신호는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109154658-pat00001
이때, H는 기지국 j에서 셀 b에 속한 단말기 k로 보내는 신호의 채널이고, V는 기지국 j에서 사용하는 선처리 행렬일 수 있다. 또한, X는 기지국 j에서 송신하는 신호이고, n은 셀 b에 속한 단말기 k에 발생하는 잡음일 수 있다. 이때, n은 백색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을 따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한 셀 내에 다수의 단말기가 존재하고, 각각의 단말기는 자신이 속한 셀의 기지국 이외에 인접한 셀의 기지국에 의해,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은 셀 경계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단말이 속한 셀 이외에 인접한 셀에서 송신하는 신호로 인하여 발생하는 간섭 신호(interference)로 인하여 사용자 단말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가 감소하는 셀간 간섭 현상(Intercell interference)이 발생할 수 있다.
간섭 정렬 방법(Interference alignment)은 셀간 간섭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한가지이다. 간섭 정렬 방법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자유도(Degree of freedom)의 절반에 해당하는 공간에 간섭 신호를 정렬하고,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공간에 송신 신호를 위치시킴으로써, 수신단에서 송신 신호와 간섭 신호를 구분해낼 수 있다. 이때, 간섭 정렬 방법으로 신호와 간섭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서, 송신단에서는 선처리 행렬(Precoding matrix)를 이용하고, 수신단에서는 후처리 행렬(Postprocessing matrix)를 이용한다. 선처리 행렬은 각각의 송신단에서 보내는 신호가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때, 한 공간에 정렬되어, 신호와 간섭이 구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호 처리 행렬이고, 후처리 행렬은 한 공간에 정렬된 신호와 간섭을 구분해서, 간섭은 제거하고, 신호를 추출해 내는 신호 처리 행렬이다. 그러나, 간섭 정렬 방법은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모든 채널 값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제약 사항이 있었다.
반복적 간섭 정렬 방법(Iterative interference alignment)은 송신단과 수신단이 모든 채널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지 않고, 부분적인 채널 값만을 이용하여 반복적 연산을 통해 선처리 행렬과 후처리 행렬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적 갑석 정렬 방법은 송신단에서 모든 채널 값을 공유하지 않고도 간섭 정렬이 가능하나, 선처리 행렬과 후처리 행렬이 수렴할 때까지 연산을 반복해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하향 링크(Downlink) 상황에서 반복적 연산량을 경감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먼저, 기지국에서 임의의 빔을 송신하고, 단말기는 단말기가 속한 셀 이외의 셀에서 송신한 간섭 신호에 대해서 상관도(Interference correlation)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단말기는 계산한 상관도를 기지국으로 피드백(feedback)하고, 각각의 기지국에서는 셀에 속한 단말기 중에서, 상관도가 가장 높은 단말기를 선택하고 이들에 대해서 간섭 정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관도가 높은 단말기일수록 적은 회수의 반복 연산 과정을 수행하더라도 수렴하는 선처리 행렬과 후처리 행렬을 계산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간섭 정렬 방법과 반복적 간섭 정렬 방법을 적용한 셀룰러 시스템에 비하여 연산량과 피드백을 경감할 수가 있고, 다수의 단말기 중에서 선택하게 됨으로 얻는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Selection diversity gain)을 얻어, 합용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10)은 제1 기지국(110)의 영역(111) 안에 위치한 제1 단말기(121), 제2 단말기(122), 및 제3 단말기(123)에 선처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지국(130)은 제2 기지국(130)의 영역(131) 안에 위치한 제1 단말기(121), 와 제2 단말기(122)에 선처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선처리 정보는 간섭 신호를 특정 신호 공간에 정렬하기 위해서 송신단에서 신호를 선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선처리 행렬(Precoding matrix)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말기(121), 제2 단말기(122), 및 제3 단말기(123)는 수신한 선처리 정보에 따라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21)와 제2 단말기(122)는 제1 기지국(110)의 영역(111)과 제2 기지국(130)의 영역(131)의 경계에 있으므로, 제1 기지국(110)과 제2 기지국(130)으로부터 선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121)와 제2 단말기(122)는 제1 기지국(110)과 제2 기지국(130) 각각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단말기(121), 제2 단말기(122), 및 제3 단말기(123)는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제1 기지국(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21)와 제2 단말기(122)는 제2 기지국(130)에 대하여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제2 기지국(13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지국(110)는 제1 단말기(121), 제2 단말기(122), 및 제3 단말기(123)로부터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지국(110)은 간섭 신호 전력이 최소인 단말기를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110)은 인접한 제2 기지국(130)과 간섭 신호 전력을 공유하고, 공유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21)는 제1 기지국(11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이 제2 기지국(13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보다 낮고, 제2 단말기(122)는 제1 기지국(11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이 제2 기지국(13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보다 높을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110)은 제2 기지국(130)으로부터 제1 단말기(121)와 제2 단말기(122)의 제2 기지국(13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을 공유 받고, 제1 단말기(121)와 제2 단말기(122)의 제1 기지국(11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지국(110)은 제2 기지국(13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보다 제1 기지국(11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이 낮은 제1 단말기(121)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지국(130)은 제1 기지국(110)과 공유한 간섭 신호 전력에 따라 제1 기지국(11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보다 제2 기지국(130)에 대한 간섭 신호 전력이 낮은 제2 단말기(122)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110)과 제2 기지국(130)은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기지국에 대한 간섭이 적은 단말기를 자신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로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1 기지국(110)은 선택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선택한 단말기는 무선 통신에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신호와 간섭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후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후처리 정보는 수신단에서 수신한 신호들 중에서 원하는 신호와 간섭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서 후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후처리 행렬(Postprocessing Matrix)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단말기들이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단말기가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간섭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신호 공간으로 고정하지 않고 신호 및 간섭 공간을 측정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110)은 선처리 정보 생성부(210), 정보 전송부(220), 전력 수신부(230), 전력 공유부(240), 및 단말기 선택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처리 정보 생성부(210)는 선처리 정보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선처리 정보 생성부(210)는 유니터리 행렬(unitary matrix)로 선택한 선처리 행렬을 선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정보 전송부(220)는 선처리 정보 생성부(210)가 생성한 선처리 정보를 기지국(110)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전송부(220)는 파일롯(pilot)이나 훈련 신호(training signal)을 이용하여 선처리 정보를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230)는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간섭 신호 전력은 선처리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이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일 수 있다. 단말기들이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력 공유부(240)는 전력 수신부(230)가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공유부(240)는 백홀망을 이용하여 인접 기지국과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들의 값을 공유할 수 있다.
단말기 선택부(250)는 기지국(110)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선택부(250)는 전력 수신부(230)가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 및 전력 공유부(240)가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공유 받은 간섭 신호 전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선택부(250)는 기지국(110)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 중에서 간섭 신호 전력이 최소가 되는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선택부(250)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기지국(110)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9154658-pat00002
이때, 정보 전송부(220)는 단말기 선택부(250)가 선택한 단말기에게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전력 수신부(230)는 단말기 선택부(250)가 선택한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기(300)은 정보 수신부(310), 전력 측정부(320), 전력 전송부(330), 및 후처리 정보 생성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310)는 기지국(110)로부터 선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측정부(320)는 정보 수신부(310)가 수신한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측정부(320)는 선처리 정보, 상기 선처리 정보의 전송 채널, 및 간섭 신호의 공분산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공분산 정보는 공분산 행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측정부(320)는 간섭 신호의 공분산 행렬(interference covariance matrix)의 d개의 최소 고유 값의 합으로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셀b에 속한 단말기 k가 기지국 j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간섭 신호의 공분산 행렬 Q는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109154658-pat00003
그리고 전력 측정부(320)는 간섭 신호의 공분산 행렬에 고유 값 분해(eigenvalue decomposition)를 하여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측정부(320)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b셀에 속한 단말기 k가 기지국 j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간섭 신호 전력 L을 측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9154658-pat00004
이때, λ(?)는 행렬의 고유 값 분해를 통해 얻은 고유 값(eigenvalue)일 수 있다.
전력 전송부(330)는 전력 측정부(320)가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0)이 단말기(300)을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로 선택하여 단말기(330)가 기지국(1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후처리 정보 생성부(340)는 간섭 신호의 공분산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를 식별하는 후처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후처리 정보에 포함되는 후처리 행렬은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된 d개의 작은 고유 값에 해당되는 고유 벡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처리 정보 생성부(340)는 기지국 j가 선택한 단말기 k에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후처리 행렬로 사용할 간섭 억제 행렬 U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2109154658-pat00005
이때, m은 U의 열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이며, 1부터 d까지의 정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410)에서 기지국은 선처리 정보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유니터리 행렬(unitary matrix)로 선택한 선처리 행렬을 선처리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420)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게 단계(410)에서 생성한 선처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파일롯(pilot)이나 훈련 신호(training signal)을 이용하여 선처리 정보를 단말기들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제1 단말기는 단계(420)에서 수신한 선처리 정보에 따라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단계(435)에서 제2 단말기는 단계(420)에서 수신한 선처리 정보에 따라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430)와 단계(435)에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간섭 신호의 공분산 행렬에 고유 값 분해를 하여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제1 단말기는 단계(430)에서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는 단계(435)에서 측정한 간섭 신호 전력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기지국은 단계(440)에서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을 인접 기지국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계(440)에서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을 인접 기지국에 전송하고,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이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460)에서 기지국은 단계(440)에서 수신한 간섭 신호 전력, 및 단계(450)에서 공유한 간섭 신호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기지국은 제1 단말기를 선택하였으나, 간섭 신호 전력에 따라 제2 단말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470)에서 기지국은 단계(460)에서 선택한 제1 단말기에게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480)에서 제1 단말기는 무선 통신에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신호와 간섭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후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간섭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신호 공간으로 고정하지 않고 신호 및 간섭 공간 측정하여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들이 각 기지국에서 송신한 신호에 대하여 다른 기지국에서 송신한 신호를 간섭 신호 전력(leakage interference power)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도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기지국
250: 단말기 선택부
300: 단말기
320: 전력 측정부
340: 후처리 정보 생성부

Claims (12)

  1.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랜덤하게 생성된 선처리 정보를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에 의한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과 공유하는 전력 공유부;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 및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공유 받은 간섭 신호 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말기 선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 중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는 간섭 신호를 식별하는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반면에,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후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기지국.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은,
    상기 선처리 정보, 상기 선처리 정보의 전송 채널, 및 상기 간섭 신호의 공분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간섭 신호의 공분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식별하는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기지국.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이 수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랜덤하게 생성된 선처리 정보를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선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에 의한 간섭 신호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섭 신호 전력을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신호 전력 및 상기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공유 받은 간섭 신호 전력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들 중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의 영역 안에 위치한 단말기들 중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는 간섭 신호를 식별하는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반면에,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기는 상기 후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후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삭제
KR1020120156647A 2012-12-28 2012-12-28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41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47A KR101414324B1 (ko) 2012-12-28 2012-12-28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47A KR101414324B1 (ko) 2012-12-28 2012-12-28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324B1 true KR101414324B1 (ko) 2014-07-04

Family

ID=5174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647A KR101414324B1 (ko) 2012-12-28 2012-12-28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3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5555A1 (en) * 2008-08-05 2010-0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cell cooperation techniques
US20110081865A1 (en) * 2009-10-05 2011-04-0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20110194649A1 (en) * 2006-02-14 2011-08-1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 of Precoding with a Codebook for a Wireless System With Multiple Transmission Ranks and a Quantized Beamforming Matrix
US20120201152A1 (en) * 2010-08-03 2012-08-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4649A1 (en) * 2006-02-14 2011-08-1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 of Precoding with a Codebook for a Wireless System With Multiple Transmission Ranks and a Quantized Beamforming Matrix
US20100035555A1 (en) * 2008-08-05 2010-0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cell cooperation techniques
US20110081865A1 (en) * 2009-10-05 2011-04-0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US20120201152A1 (en) * 2010-08-03 2012-08-0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hannel hardening and favorable propagation in cell-free massive MIMO with stochastic geometry
US10985829B2 (en) Be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454560B2 (en) Be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usaladharma et al. Interference and outage analysis of random D2D networks underlaying millimeter-wave cellular networks
CN113424459B (zh) 用于设备通信的波束管理方法和装置
EP2965452B1 (en) Channel esti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Liu et al. Capacity improvement for full duplex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nderlaying cellular networks
Arvinte et al. Beam management in 5G NR using geolocation side information
Athanasiadou et al. Automatic location of base-stations for optimum coverage and capacity planning of LTE systems
Chen et al. Study of relay selection in a multi-cell cognitive network
Taranetz et al. A circular interference model for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Ozyurt et al. CoMP-JT scheme for D2D communication in industrial LiFi networks
CN110535579B (zh) 下行数据的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KR101414324B1 (ko)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셀룰러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Hassan et al. Cooperative beamforming for cognitive-radio-based broadcasting systems in presence of asynchronous interference
Guidotti et al. Simplified expression of the average rate of cellular networks using stochastic geometry
KR101208083B1 (ko) 2계층 네트워크에서 다운링크 빔 형성 장치 및 방법
Mungara et al. Fog massive MIMO with on-the-fly pilot contamination control
Yi et al. Exploiting multiple access in clustered millimeter wave networks: NOMA or OMA?
Kusaladharma et al. Exact Outage Analysis for Stochastic Cellular Networks under Multi-User MIMO
Zhao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multiple antenna asynchronous cognitive MAC protocol in cognitive radio network for IT convergence
Lam Performance analysis of fractional frequency reuse in random cellular networks
KR101711158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인접 셀간 간섭 제어 방법
Miridakis et al. All cognitive MIMO: New multiuser detection approach with different priorities
Yang et al. Interference Management in Underlay In-band D2D-Enhanced Cell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