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27B1 -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27B1
KR101413427B1 KR1020120148223A KR20120148223A KR101413427B1 KR 101413427 B1 KR101413427 B1 KR 101413427B1 KR 1020120148223 A KR1020120148223 A KR 1020120148223A KR 20120148223 A KR20120148223 A KR 20120148223A KR 101413427 B1 KR101413427 B1 KR 10141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number
data
space
ecu
b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917A (ko
Inventor
이정훈
김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4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2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ion devices synchronised or initially set up in a particular m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4Bits, or blocks of bits, of the telegraphic message being interchanged i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를 제1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제2 테이블과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제2 ECU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SECURITY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EHICLE NETWORK}
본 발명은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송신측 ECU에서 수신측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중 일부분만을 암호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내에 구비된 복수의 ECU간에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명령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내에 구비된 ECU간에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하여 악의적인 제3자에게 중요 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는 보안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안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내의 ECU간 송수신되는 모든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경우,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까지 모두 암호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시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내에 구비된 복수의 ECU간에 상호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 제3자에게 노출되어도 문제가 없는 메시지 부분과 중요한 메시지 부분을 구별하여, 보안성이 요구되는 메시지 부분만을 손쉽게 암호화할 수 있는 방안의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ECU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종래 기술의 일 예가 한국특허공개 제 10-2011-0057348 호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송신측의 ECU에서 수신측의 ECU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할 때, 전체 메시지 중 보안성이 요구되는 일정 부분만을 선택하여 암호화할 수 있어, 암호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부분의 데이터를 설정된 테이블에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를 제1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제2 테이블과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제2 ECU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로부터 상기 제1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및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으로서, (1)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를 적어도 1 바이트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는 제1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하는 과정; (2)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 (3)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는 과정; 및 (4)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제2 테이블과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제2 ECU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으로서, (1)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로부터 상기 제1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및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하는 과정; (2)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는 과정: 및 (3) 상기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송신측의 ECU에서 수신측의 ECU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할 때, 전체 메시지 중 보안성이 요구되는 일정 부분만을 선택하여 암호화할 수 있어, 암호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난수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부분의 데이터를 설정된 테이블에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ECU와 제2 ECU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테이블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일 실시예와 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ECU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ECU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는 난수 발생부(101), 테이블 생성부(102), 암호화부(103), 통신부(104), 복호화부(105), 데이터 추출부(106) 및 제어부(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난수 발생부(101)는 수신측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한다.
테이블 생성부(102)는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암호화된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 생성부(102)는 생성된 적어도 4개의 난수와 적어도 4 비트로 구성된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각각 설정된 순서대로 매칭시키고,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설정된 테이블에 0 바이트부터 7 바이트까지 총 8개의 바이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최하위 바이트는 0 바이트가 되며, 상술한 최상위 바이트는 7 바이트가 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테이블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및 좌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를 입력한다.
만약, 테이블 생성부(102)에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테이블 생성부(102)는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및 좌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를 입력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N 번째 비트가 입력된 공간에서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테이블 생성부(102)는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매칭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N+1 번째 비트를 입력한다. 이후, 테이블 생성부(102)는 테이블의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입력되지 않는 공간에는 0 및 1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무작위로 입력한다.
암화화부(103)는 발생된 난수를 대칭키 알고리즘 및 비대칭키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한다.
송신측 통신부(104)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체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과 암호화된 난수를 전체 데이터 중 비암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수신측 ECU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전체 데이터가 "A" 데이터라고 가정한다면, 전체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B" 데이터로, 전체 데이터 중 비암호화된 데이터는 "A-B"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가정에서, 송신측 통신부(104)는 "B"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 암호화된 난수 및 "A-B" 데이터를 수신측 ECU로 전송한다.
또한, 수신측 통신부(104)는 송신측 ECU로부터 송신측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전체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과 암호화된 난수를 전체 데이터 중 비암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수신한다. 상술한 가정에서, 송신측 통신부(104)는 "B"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 암호화된 난수 및 "A-B" 데이터를 수신한다.
복호화부(105)는 암호화된 난수를 대칭키 알고리즘 및 비대칭키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복호화한다.
데이터 추출부(106)는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추출부(106)는 복호화된 적어도 4개의 난수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한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06)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테이블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한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06)는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06)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만약, 데이터 추출부(106)에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데이터 추출부(106)는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06)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06)는 암호화된 데이터의 N 번째 데이터가 추출된 공간에서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데이터 추출부(106)는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매칭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암호화된 데이터의 N+1 번째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어부(107)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술한 블록 구성에서, 제어부(107)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의 기능 모두를 제어부(107)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기능 중 일부만을 제어부(107)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ECU와 제2 ECU가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 ECU(201)는 제2 ECU(202)로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 메시지 중 일부분만을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할 때, 전체 메시지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메시지 부분을 2진수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후, 제1 ECU(201)는 변환된 2진수의 데이터의 비트 수만큼 난수를 발생시킨 후, 변환된 2진수의 데이터와 발생된 난수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매칭시킨다. 이후, 제1 ECU(201)는 설정된 테이블에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설정된 순서에 따라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여기서, 테이블이란 차량 내에 구비된 모든 ECU에서 공통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로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이블은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제1 공간 내에는 1 비트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8개의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제2 공간의 위치 번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간 중 첫 번째로 위치한 제1 공간 내에 첫 번째로 위치한 제2 공간부터 10진수의 숫자가 차례로 반복되어 부여된다.
제2 ECU(202)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설정된 테이블에 입력한 제1 ECU(201)는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테이블의 빈 공간에 0 및 1 중 어느 하나의 비트를 임의적으로 입력한다. 이후, 제1 ECU(201)는 제2 ECU(202)와 사전에 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여,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과 암화화된 난수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중 비암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제2 ECU(202)로 전송한다. 이후, 제2 ECU(202)에서는 제1 ECU(201)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난수와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ECU(201)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ECU(202)는 사전에 정의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제1 ECU(201)에서 데이터를 입력한 과정과 반대 과정으로 제1 ECU(201)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종래의 차량내에 구비된 ECU간에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하여 악의적인 제3자에게 중요 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는 보안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안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내의 ECU간 송수신되는 모든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경우,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까지 모두 암호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시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ECU(201)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부분만 암호화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켜줌은 물론 시간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된 테이블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일 실시예와 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차량 내의 복수의 ECU 중 제1 ECU에서 제2 ECU로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특정 메시지 중에는 암호화하고자 하는 메시지 부분이 존재하고, 암호화하고자 하는 메시지 부분이 십진수인 "26"이며, 제1 ECU에서 발생시킨 난수는 "84132704"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테이블은 0 바이트부터 7 바이트까지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각각의 바이트에는 8 비트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이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는 0부터 9까지의 위치 번호가 순차적 및 반복적으로 부여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제1 ECU는 "26"이라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제2 ECU로 전송하기 위하여, 십진수인 "26"을 "00011010"이라는 이진수 형태로 변환한다. 이후, 제1 ECU는 "00011010"의 데이터를 제3자가 인식할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만큼의 "84132704"라는 난수를 무작위로 발생시킨다. 난수를 발생시킨 제1 ECU는 발생된 난수를 4 자리씩 분리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4 비트씩 분리한다. 예를 들면, 제1 ECU는 발생된 난수를 "8413"과 "2704"로 4 자리씩 분리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0001"과 "1010"으로 4 비트씩 분리한다.
이후, 제1 ECU는 발생된 난수와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각각 설정된 순서대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면, 제1 ECU는 "난수 8과 데이터 0", "난수 4와 데이터 0", "난수 1과 데이터 0" 및 "난수 3과 데이터 1"을 매칭시키고, "난수 2와 데이터 1", "난수 7과 데이터 0", "난수 0과 데이터 1" 및 "난수 4와 데이터 0"을 매칭시킨다.
이후, 제1 ECU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설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테이블에 0 바이트부터 7 바이트까지 총 8개의 바이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최하위 바이트는 0 바이트가 되며, 상술한 최상위 바이트는 7 바이트가 된다. 이후, 제1 ECU에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1 ECU는 테이블에 표시된 0 바이트 내지 7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에 표시된 최상위 바이트가 7 바이트라면, 제1 ECU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인 "8"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인 "7"을 차감한 후, 테이블에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1"이라는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의 위치(1 바이트, 301)를 검색한다.
이후, 제1 ECU는 검색된 1 바이트(301)를 시작 바이트로 설정한 후, 1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여덞 번재 위치 번호)부터 좌측 방향(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제1 ECU에서 검색을 하는 설정된 방향이 우측 방향이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제1 ECU는 검색을 시작하는 시작 바이트의 최하위 비트부터 최상위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까지 검색한 결과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다시 최하위 바이트의 최하위 비트부터 우측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이동하는다는 의미이다.
만약, 제1 ECU에서 검색을 하는 설정된 방향이 좌측 방향이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제1 ECU는 검색을 시작하는 시작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부터 최하위 바이트의 최하위 비트까지 검색한 결과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다시 최상위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부터 좌측 방향으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이동하는다는 의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 바이트(301)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가 "8"이므로,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없이, 첫 번째 난수의 숫자인 "8"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302)에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데이터인 "0"을 입력한다.
만약, 제1 ECU에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설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테이블에 포함된 8개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제1 ECU에서 검색을 하는 설정된 방향이 우측 방향이고,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가 16 바이트라면, 제1 ECU는 테이블에서 "8"이라는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의 위치를 검색한다. 이후, 제1 ECU는 검색된 8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인 "8"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데이터인 "0"을 입력한다.
이후, 제1 ECU는 테이블에 "0"이라는 데이터가 입력된 공간("8"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2)에서 두 번째 난수인 "4"라는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제1 ECU에서 검색하는 설정된 방향이 우측 방향이라고 가정해 보면, 제1 ECU는 "0"이라는 데이터가 입력된 공간(302)에서 "4"라는 위치 번호(303)가 검색될 때까지 우측으로 이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ECU는 "0" 이라는 데이터가 입력된 공간(302)에서 우측으로 6공간을 이동하면, "4"라는 위치 번호(303)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제1 ECU는 "4"라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303)에 두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데이터인 "0"을 입력한다. 같은 방법으로 세 번째 및 네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데이터인 "0"과 "1"을 각각 "1" 및 "3"이라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304, 305)에 입력한다.
이후, 제1 ECU는 데이터가 입력된 공간(302 내지 305)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0" 또는 "1"의 비트 중 어느 하나의 비트를 임의적으로 채워 넣어 모든 공간에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을 완성한다.
또한, 제1 ECU는 발생된 "2704"의 난수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데이터인 "1", "0", "1" 및 "0"을 각각 2 바이트 내의 "2", 3 바이트 내의 "7" 및 "0", 4 바이트 내의 "4"라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306 내지 309)에 입력한다.
여기서, 제1 ECU는 전송하고자 하는 "00011010"의 데이터를 테이블에 "0001" 및 "1010"의 8비트의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후에 제2 ECU로 전송할 수도 있고, 테이블에 "0001"의 4 비트의 데이터 및 "1010"의 4 비트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한 후에 제2 ECU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1 ECU와 제2 ECU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송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4 비트로 설정된 경우, 제1 ECU는 4 비트의 데이터 별로 테이블에 입력하고, 송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8 비트로 설정된 경우, 제1 ECU는 8 비트의 데이터 별로 테이블에 입력한다.
제2 ECU에서는 제1 ECU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난수와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먼저, 제2 ECU는 대칭키 알고리즘 및 비대칭키 알고리즘 중 사전에 정의된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한다. 즉, 제1 ECU에서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한 경우, 제2 ECU에서는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한다.
같은 의미로, 제2 ECU에서 비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한 경우, 제2 ECU에서는 비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화화된 난수를 복호화한다. 따라서, 제1 ECU 및 제2 ECU에서는 사전에 정의된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한다.
이후, 제2 ECU는 제1 ECU로부터 수신한 난수가 "84132704"라는 것을 확인한 후,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상술한 데이터 입력 방식과 반대 과정으로 데이터를 추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에 표시된 최상위 바이트가 "7"이므로, 제2 ECU는 첫 번째 난수의 숫자인 "8"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인 "7"을 차감한 후, 테이블에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1"이라는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의 위치를 검색한다.
이후, 제2 ECU는 검색된 1 바이트(301) 내의 "8에서 5까지"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인 "8"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302)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인 "0"을 추출한다. 같은 방법으로, 제2 ECU는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데이터인 "0", "0", "0" 및 "1"을 각각 1 바이트 내의 "4", 2 바이트 내의 "1" 및 "3"이라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303 내지 305)에서 추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ECU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ECU는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한다(S401).
이후, 제1 ECU는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을 생성한다(S402).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테이블에 암호화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테이블을 생성한 제1 ECU는 발생된 난수를 제2 ECU와 사전에 정의된 대칭키 알고리즘 및 비대칭키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한다(S403).
최종적으로, 제1 ECU는 제2 ECU에서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여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가 입력된 테이블과 암호화된 난수를 비암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제2 ECU로 전송한다(S40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ECU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ECU는 제1 ECU로부터 제1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중 암호화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및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한다(S501).
이후, 제1 ECU로부터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한 제2 ECU는 암호화된 난수를 제1 ECU와 사전에 정의된 대칭키 알고리즘 및 비대칭키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한다(S403).
최종적으로, 제2 ECU는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한다(S404). 복호화 방식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난수 발생부 102: 테이블 생성부
103: 암호화부 104: 통신부
105: 복호화부 106: 데이터 추출부
107: 제어부 201: 제1 ECU
202: 제2 ECU 301: 1 바이트
302: 8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3: 4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4: 1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5: 3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6: 2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7: 7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8: 0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309: 4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Claims (18)

  1.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를 제1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테이블 생성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제2 테이블과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제2 ECU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은,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공간 내에는 1 비트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8개의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2 공간의 위치 번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간 중 첫 번째로 위치한 제1 공간 내에 첫 번째로 위치한 제2 공간부터 10진수의 숫자가 차례로 반복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 발생부는 적어도 4개의 난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발생된 적어도 4개의 난수와 적어도 4 비트로 구성된 제2 데이터를 각각 설정된 순서대로 매칭시키고,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제1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하여,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테이블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상기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생성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N 번째 비트가 입력된 공간에서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매칭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제2 데이터의 N+1 번째 비트를 입력하고, 상기 제1 테이블의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중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가 입력되지 않는 공간에는 0 및 1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무작위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6.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로부터 상기 제1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및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4개의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적어도 4개의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며,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복호화된 적어도 4개의 난수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하여,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상기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화화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N 번째 데이터가 추출된 공간에서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매칭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제2 데이터의 N+1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10.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으로서,
    (1)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를 제1 테이블에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 만큼의 난수를 발생하는 과정;
    (2)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테이블의 설정된 위치에 입력하여 제2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
    (3)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발생된 난수를 암호화하는 과정; 및
    (4)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가, 상기 제2 테이블과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상기 제2 ECU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은,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공간 내에는 1 비트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8개의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2 공간의 위치 번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간 중 첫 번째로 위치한 제1 공간 내에 첫 번째로 위치한 제2 공간부터 10진수의 숫자가 차례로 반복되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 과정은, 적어도 4개의 난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2)과정은,
    상기 발생된 적어도 4개의 난수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제1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테이블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상기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제1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첫 번째 난수에 매칭되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의 N 번째 비트가 입력된 공간에서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상기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매칭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제2 데이터의 N+1 번째 비트를 입력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테이블의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 중 상기 제2 데이터의 비트 수가 입력되지 않는 공간에는 0 및 1의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무작위로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5. 적어도 둘 이상의 ECU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으로서,
    (1)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1 ECU로부터 상기 제1 ECU가 전송하고자 하는 제1 데이터 중 암호화하고자 하는 제2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테이블 및 암호화된 난수를 수신하는 과정;
    (2)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ECU 중 제2 ECU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를 복호화하는 과정: 및
    (3) 상기 복호화된 난수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 과정은 적어도 4개의 난수를 수신하고,
    상기 (2) 과정은 상기 적어도 4개의 난수를 복호화하며,
    상기 (3)과정은,
    상기 복호화된 적어도 4개의 난수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큰 숫자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최상위 바이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블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서 상기 최상위 바이트의 숫자만큼 차감한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3)과정은,
    상기 (2) 과정에서 복화화된 첫 번째 난수의 숫자가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최상위 바이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중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바이트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된 바이트 내의 8개의 위치 번호 중 첫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우측 방향으로 또는 여덟 번째 위치 번호부터 시작하여 좌측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모든 바이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첫 번째 난수의 숫자에 해당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의 N 번째 데이터가 추출된 공간에서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동일한 위치 번호가 검색될 때까지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설정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모든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N+1 번째 난수의 숫자와 매칭되는 위치 번호가 부여된 공간에 상기 제2 데이터의 N+1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20120148223A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41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23A KR101413427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23A KR101413427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917A KR20140078917A (ko) 2014-06-26
KR101413427B1 true KR101413427B1 (ko) 2014-07-01

Family

ID=5113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223A KR101413427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04A (ko) * 2014-12-16 2016-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코드를 이용한 차량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37306A (ko)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페스카로 Can 통신 기반 해킹공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3112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페스카로 Can 통신 기반 우회 공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307B1 (ko) 2015-08-27 2017-0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KR102012876B1 (ko) * 2017-07-31 2019-08-21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차종별 송신 암호화 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00A (ja) * 1991-08-20 1993-02-26 Nitsuko Corp データ暗号化方法およびデータ復号化方法
JPH0918473A (ja) * 1995-06-29 1997-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伝送装置
JP2005341528A (ja) 2004-04-28 2005-12-08 Denso Corp 通信システム、鍵配信装置、暗号処理装置、盗難防止装置
KR20090056466A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통신 데이터의 보안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00A (ja) * 1991-08-20 1993-02-26 Nitsuko Corp データ暗号化方法およびデータ復号化方法
JPH0918473A (ja) * 1995-06-29 1997-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伝送装置
JP2005341528A (ja) 2004-04-28 2005-12-08 Denso Corp 通信システム、鍵配信装置、暗号処理装置、盗難防止装置
KR20090056466A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통신 데이터의 보안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04A (ko) * 2014-12-16 2016-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코드를 이용한 차량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179096B1 (ko) 2014-12-16 2020-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코드를 이용한 차량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37306A (ko)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페스카로 Can 통신 기반 해킹공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3112A (ko) 2017-06-30 2019-01-09 주식회사 페스카로 Can 통신 기반 우회 공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917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6915B (zh) 一种数据传输方法、数据发送端及数据接收端
US8989385B2 (en) Data encryption method, data ver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AU663258B2 (en) A method for point-to-point communications within secure communication systems
CN104244237B (zh) 数据发送、接收方法及接收、发送终端和数据收发装置
US20140355757A1 (en) Encryption / decryption of data with non-persistent, non-shared passkey
EP3178190B1 (en) Encoder, decoder and method
KR101413427B1 (ko) 차량용 네트워크의 보안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6599723B (zh) 一种文件加密方法及装置、文件解密方法及装置
CN102437910A (zh) 数据加/解密校验方法及其系统
CN102640448A (zh) 用于在对称加密系统内安全地识别和认证设备的系统和方法
CN102664740B (zh) 一种基于远程授权的招投标文件加解密方法
CN106549939B (zh) 智能门禁系统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3286297B (zh) 无线数据加密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7707562B (zh) 一种非对称动态令牌加、解密算法的方法、装置
CN105357007A (zh) 加密通信方法及通信终端
CN111132148B (zh) 用于智能家电设备配置入网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208028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相关装置及设备
CN110690956A (zh) 双向认证方法及系统、服务器和终端
CN111884802B (zh) 媒体流加密传输方法、系统、终端和电子设备
CN107493171A (zh) 无线射频设备、认证服务器及认证方法
CN106936763A (zh) 数据加密及解密的方法和装置
RU237671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трехфазного шиф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KR100975449B1 (ko) 멀티플 매칭 제어 방법
CN103117850A (zh) 一种基于随机序列数据库的密码系统
JP5411034B2 (ja) データベース暗号化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