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57B1 -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 Google Patents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57B1
KR101413057B1 KR1020120128988A KR20120128988A KR101413057B1 KR 101413057 B1 KR101413057 B1 KR 101413057B1 KR 1020120128988 A KR1020120128988 A KR 1020120128988A KR 20120128988 A KR20120128988 A KR 20120128988A KR 101413057 B1 KR101413057 B1 KR 10141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film
bar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347A (ko
Inventor
박기춘
이승호
이성우
장인복
김영창
차선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2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01G2009/1446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프레임과 보강살을 설치한 다음 와이어와 고정나사로 프레임과 보강살을 고정한 다음 비닐을 덮도록 구성함으로써 강풍 등에 의해 파괴 되거나 멸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시설을 크게 만들 수 있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은, 내부에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땅에 박혀 세워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덮어 씌워지는 비가림막과, 상기 비가림막의 외면을 따라 둘러쳐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이 묶여 고정되고 돌림으로써 땅에 박힐 수 있도록 일부분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형 앵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BLIND FOR CONTROLLING RAIN IN CROP CULTIVATION}
본 발명은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프레임과 보강살을 설치한 다음 와이어와 고정나사로 프레임과 보강살을 고정한 다음 비닐을 덮도록 구성함으로써 강풍 등에 의해 파괴 되거나 멸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시설을 크게 만들 수 있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채소, 과일, 화훼 등의 각종 작물을 계절과 상관없이 재배하거나 속성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설치하여 사용한다. 비닐을 작물 위에 설치함으로써 강수와 광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비닐로 밀폐하여 태양에너지는 모두 흡수하되 외부와 공기를 차단하여 그 내부의 온도를 높여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여름철에는 기본적으로 온도가 높기 때문에 강수 조절을 위한 경우나 밤에 기온이 내려가는 것을 대비하여 비닐을 걷거나 다시 덮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비닐 하우를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걷도록 하여 내외부가 서로 연통하여 바람이 통하도록 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경우에 따라 사람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강수와 광량을 조절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비닐하우스 구조물을 살펴보면, 대형의 경우에는 너비와 높이가 상당히 높게 만들어지고, 프레임도 많은 비용을 들여 견고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기계장치를 설치하여 햇빛 가리개를 펼치거나 감도록 한 구조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의 구조물로 작게 제작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대형 구조의 비닐하우스의 적용은 매우 어렵다.
통상 작게 만들어진 작물 재배용 소형 비닐하우스 구조물은 통상 폭 직경이 60cm정도에 이르는 반호형 모양의 프레임에 보강살을 수평으로 여러 개 대고, 비닐을 씌우는 구조이다. 따라서 강풍 등에 의해 반호형 프레임이 뽑혀 날아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 철재로 이루어진 반호형 프레임을 여러 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원래 저비용으로 만든 비닐하우스 구조물이기 때문에 목표에 부합하지 않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37854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는 대신에 그 사이사이에 저렴한 와이어와 고정나사를 추가하여 프레임과 보강살을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3-4배 넓은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지면에 박혀 세워지는 프레임;상기 프레임 상부에 덮어 씌워지는 비가림막;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따라 둘러쳐지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단이 묶여 고정되고 돌림으로써 땅에 박힐 수 있도록 일부분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형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림막은 일부분만 겹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다수개의 긴 필름과, 상기 필름의 접착부분의 일부가 벌어진 틈새가 생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마다 상기 필름에 설치된 스페이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형 앵커의 상면에 와이어가 묶이는 고리가 형성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가림막의 스페이서는 필름과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수직으로 세워져 땅에 박히는 다수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상단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가로대와 세로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봉은 그 상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에 끼워지는 링이 상기 가로대나 세로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에 가로대와 세로대가 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가림막은 일면이 절단되어 통기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중심으로 원뿔형의 반쪽 모양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은 프레임과 보강살을 와이어와 고정나사로 땅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비가림 시설이 강풍 등에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은 와이어와 고정나사에 의해 땅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그 증대된 만큼 설비를 확장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비를 좀 더 크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일부구성요소인 와이어와 고정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나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일부구성요소인 비가림막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일부구성요소인 프레임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통기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호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땅에 박혀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반호형 프레임(10)들과, 상기 반호형 프레임(10)을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살(20)들과, 상기 반호형 프레임(10)과 같은 궤적을 따라 보강살(20)의 외면을 따라 둘러쳐지는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의 양단이 고정되고 땅에 박혀 고정된 나사형 앵커(40)로 구성된다. 반호형 프레임(10)과 보강살(20)이 전체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설비의 전체 구조가 잘 도시되어 있다. 비닐 비가림막은 벗겨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호형 형태의 반호형 프레임(10)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직으로 세워져 양단 하부가 일정깊이까지 땅속에 박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호형 프레임(10)은 통상 철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반호형 프레임(10)을 얼마나 설치하느냐에 따라 설비의 비용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철재 프레임을 아주 많이 촘촘히 설치하면 안정성이 뛰어나게 되나 비용이 너무 많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쓸모가 없어진다. 각 반호형 프레임(10)은 수평으로 반호형 프레임(10)들을 연결하는 보강살(2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구조이다. 보강살(20)도 철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강살(20)은 반호형 프레임(10)에 용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공지의 다른 결합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강살(20)은 말 그대로 반호형 반호형 프레임(10)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비닐 비가림막(50)을 설치하는 경우 비가림막(50)이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보강살(20)은 모든 반호형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반호형 프레임(10) 구조물이 외력에 대하여 합력으로 버틸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프레임(10)과 보강살(20)은 현장에서 조립할 수도 있으나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제조하여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에는 바로 비가림막 비닐이 설치되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드러나게 된다. 즉 강풍이 발생하는 경우, 비가림막이 바람의 양력을 받게 되고 비가림막이 받는 양력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그 힘은 생각보다 엄청나게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프레임(10)이 뽑히면서 날아가거나 파괴되는 문제점이 드러난다. 프레임(10)과 보강살(20)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닐 비가림막(50)을 씌우기 전에 일정길이마다 프레임(10) 방향을 따라 양 쪽에 나사형 앵커(40)를 땅에 박고 각 나사형 앵커(40)를 와이어(30)로 연결하는 작업을 행한다. 일정간격으로 와이어(30)와 나사형 앵커(40)들이 모두 설치되면 비가림막(50)을 씌워 시설의 구성을 완성하게 된다.
비가림막(50)은 현재 폴리에틸렌 재질의 비닐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도 된다. 비가림막(50)은 덮은 다음에는 맨 아래 보강살(20)에 감아 놓던지, 아니면 집게로 집던지 한다. 물론 바닥까지 내리고 그 위에 돌과 같은 중량물을 놓아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비가림막(50)은 특히 쳐지지 않도록 와이어(30)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프레임(10)을 촘촘히 설치할 필요도 없다.
도 2를 참고하면, 완성된 시설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0)이 땅에 박혀있고, 그 외부에 보강살(20)이 대어 있으며, 그 외측에 프레임(10)과 보강살(20)이 고정되도록 와이어(30)가 각 나사형 앵커(40)에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10)의 경우에는 회전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땅에 박기 위하여 하단부에 나사를 형성할 수 없으나 나사형 앵커(40)의 경우에는 와이어(30)에 의해 이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회전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나사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와이어(30)와 나사형 앵커(4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나사형 앵커(40)는 나사가 형성된 몸체(41)와 머리(42)로 구성되고, 와이어(30)를 머리(42)에 묵어서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가장 간단한 구조이다. 나사형 앵커(40)는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와이어(30)와 나사형 앵커(40)의 또 다른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나사형 앵커(40)는 몸체(41)와 머리(42)로 구성되되, 머리(42) 부분에 고리(43)가 형성된 타입이다. 머리(42) 부분에 고리(43)가 형성되어 와이어(30)를 연결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나사형 앵커(40)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공지의 어떠한 나사 구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시설은 프레임(10)과 보강살(20)의 구조물을 땅에 박아 설치하고, 각각의 위치마다 나사형 앵커(40)를 돌려 박는다. 그 다음 바로 와이어(30)를 나사형 앵커(40)에 연결하고 비가림막(50)을 씌워 시설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비가림막(50)은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걷거나 시설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의 사시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림 시설은 작물 재배지의 상부에 설치된다. 특히 비가림막(120)은 태양광을 적절히 차단하는 동시에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는 상황에 맞게 조절 할 수 있으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거의 비슷한 높이로 설치될 것이다.
비가림막(120)은 프레임 구조물(110) 상부에 놓여 고정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사각틀 모양의 프레임 구조물(110)이 먼저 설치되고, 그 프레임 구조물(110) 상부에 비가림막(120)이 덮이도록 놓여 고정된 다음 날아가지 않도록 앵커조립체(130)가 설치되는 순서에 따라 설치된다. 따라서 앵커조립체(130)만 분리하면 쉽게 비가림막(120)을 떼어낼 수 있어서 작업이 수월하다.
비가림막(120)은 도 6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림막(120)은 긴 리본 모양의 필름(121)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나의 필름(121)은 매우 긴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필름(121)들이 일부분만 겹치도록 구성되어 적층됨으로써 도 7의 단면도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그 겹치는 부분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거리마다 스페이서(122)가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122)가 있는 부분 양쪽으로 공기가 들고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페이서(122)는 작은 긴 봉 모양을 하고 있을 수도 있고, 빨대 모양처럼 빈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잘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122)를 따라 구성하는게 아니라 필름(121) 자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즉 그 필름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다양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필름(121)은 불투명을 사용할 수도 있고, 반투명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물론 각종의 색깔을 넣을 수도 있다.
필름(121)들은 연속적으로 일정한 동일한 방향 규칙에 의해 접합되어 비가림막(20)을 이루기 때문에 빗물이 비가림막(120)에 떨어진 경우에도 마치 기와가 적층된 것처럼 물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고 끝까지 흘러 내려가 밖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가림막(120)이 설치된 경우에는 눈비가 와도 물은 재배지로 떨어지지 아니한다. 더욱이 필름(121)과 필름(121) 사이로 공기가 통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과 같은 경우에도 비가림막(120)이 태양광은 막고 시원한 공기는 통과시키기 때문에 고온에 의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시설의 프레임 구조물(1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110)은 네 개의 수직봉(111), 세 개의 가로대(112), 네 개의 세로대(113)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봉(111)은 시설물의 모서리를 구성한다. 즉 네 곳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그 수직봉(111) 각각 상부에는 조립을 위한 뾰족한 모양의 돌출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111a)에 양끝단 세로대(113)에 형성된 링(113a)이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로대(112)는 수직봉(111)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봉(111)들을 연결한다. 즉 수직봉(111)에 가로대(112)가 조립 또는 용접되어 일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가로대(112) 양단에 링(113a)을 형성하여 돌출부(111a)에 끼워져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양 가로대(112) 사이의 가운데 가로대(112)는 양단에 세로대(113)가 일체로 용접되어 형성되어 있다. 세로대(113)는 양단에 링(113a)을 갖는 양 끝단의 세로대(113) 2개와 가로대(112)에 용접된 2개의 세로대(1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봉(111)과 다수개의 가로세로대(112,113)는 단순히 세로대(113)의 링(113a)을 수직봉(111)의 돌출부(111a)에 끼우면 조립되는 아주 간단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구성을 갖는다.
이렇게 프레임 구조물(110)을 조립한 상태에서 필름(120)을 가로세로대(112,113) 위에 놓고, 다수개의 앵커조립체(110)를 설치하여 고정하면 작업이 마무리된다.
앵커조립체(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모양으로 이루어져 땅에 박히게 되는 나사형 앵커(131)와 상기 나사형 앵커(131)를 서로 잇는 와이어(132)로 구성된다. 와이어는 나사형 앵커(131)의 상부에 조립되는 바, 나사형 앵커(131) 상단에 일부 고리를 형성하고 묶도록 해도 되고, 그 외에 다양한 연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앵커조립체(130)는 그 와이어(132)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형 앵커(131)가 와이어(13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상태에서든지 회전시킬 수 있어서 땅에 박거나 빼기가 매우 용이한 구성을 갖는다.
물론, 상술한 조립 순서와 반대로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림막(120')을 다른 구조를 사용한 것이다. 비가림막(120')에는 일면이 절단되어 통기구멍(121a')을 형성하고 그 구멍(121a')을 중심으로 원뿔형의 반쪽 모양으로 돌출된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비가림막(120')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비가림막(120')을 금형으로 눌러 찍어 만들면 된다. 즉 금형으로 누르게 되면 통기구멍(121a') 부분은 잘려나가게 되고, 돌출부(121')는 늘어나면서 돌출부(121')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비가림막(120')은 통기구멍(121a')을 통하여 통기가 되나 빗물 등은 흘러 내려 내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전번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러한 비가림막(120')은 전번 실시예보다 금형을 이용하여 한번만 찍으면 되기 때문에 그 제작이 훨씬 간편한 이점이 있다.
전번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앵커 조립체(130)를 사용하여 비가림막(120')을 프레임(110') 밀착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보강살
30 : 와이어 40 : 고정나사
50 : 비가림막

Claims (7)

  1. 내부에 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지면에 박혀 세워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덮어 씌워지는 비가림막;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따라 둘러쳐지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양단이 묶여 고정되고 돌림으로써 땅에 박힐 수 있도록 일부분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형 앵커;를 포함하고,
    상기 비가림막은 일부분만 겹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다수개의 긴 필름과, 상기 필름의 접착부분의 일부가 벌어진 틈새가 생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마다 상기 필름에 설치된 스페이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앵커는 그 상면에 와이어가 묶이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필름과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직으로 세워져 땅에 박히는 다수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상단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가로대와 세로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은 그 상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에 끼워지는 링이 상기 가로대나 세로대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봉에 가로대와 세로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림막은 일면이 절단되어 통기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중심으로 원뿔형의 반쪽 모양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KR1020120128988A 2012-11-14 2012-11-14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KR10141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88A KR101413057B1 (ko) 2012-11-14 2012-11-14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88A KR101413057B1 (ko) 2012-11-14 2012-11-14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47A KR20140062347A (ko) 2014-05-23
KR101413057B1 true KR101413057B1 (ko) 2014-07-01

Family

ID=5089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88A KR101413057B1 (ko) 2012-11-14 2012-11-14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6957A (zh) * 2015-07-14 2015-10-07 刘广会 一种大跨度拱形果蔬种植大棚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703A (zh) * 2016-06-12 2016-10-12 李红光 一种大棚顶板
CN108040701B (zh) * 2017-12-12 2023-09-29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适用于高大作物的自动防雨罩
CN108605581B (zh) * 2018-04-03 2020-04-28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适合避雨栽培的薄膜光伏发电与集雨灌溉系统
CN111742760A (zh) * 2020-06-11 2020-10-09 泰州锦和温室设备有限公司 一种大棚遮阳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736A (ja) * 2002-03-25 2003-10-02 Minoru Kitagawa ロープ係留フック
JP2006121908A (ja) * 2004-10-26 2006-05-18 Yamashita System Zosaku:Kk 農業用木製ハウ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736A (ja) * 2002-03-25 2003-10-02 Minoru Kitagawa ロープ係留フック
JP2006121908A (ja) * 2004-10-26 2006-05-18 Yamashita System Zosaku:Kk 農業用木製ハウ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6957A (zh) * 2015-07-14 2015-10-07 刘广会 一种大跨度拱形果蔬种植大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47A (ko)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057B1 (ko) 작물 재배용 비가림 시설
US201801771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ys for the cultivation of particular fruit bearing vines in unfavourable climatic regions
CN108370770B (zh) 一种杨梅种植大棚
CN104770244A (zh) 一种索膜大棚及其建造方法
NZ532766A (en) Weather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special plant cultures sensitive to moisture
KR101623563B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1851238B1 (ko) 설치가 편리한 에어하우스
CN205052328U (zh) 葡萄大棚及葡萄连栋大棚
US20180106063A1 (en) Trellis anchor base support and trellis anchoring system
CN204579319U (zh) 一种索膜大棚
CN204392972U (zh) 一种遮阳式育苗大棚
CN115226530B (zh) 一种轮作大棚
US4751792A (en) Brackets for a frame for a garden bed
CN216254302U (zh) 一种草莓夏季育苗棚
US20220369574A1 (en) Plant cover with insect resistant bag for enclosing a plant
CN205232982U (zh) 一种蔬菜大棚防风墙
CN105340652A (zh) 易组装植物防冻保护罩
CN205143010U (zh) 轻型满覆土屋面种植装置
CN205337015U (zh) 一种亚热带沿海地区果蔬种植大棚
US20210144933A1 (en) Expandable Greenhouse for Growing Trees and Large Plants
KR101207058B1 (ko) 작물재배용 가림막
CN201222910Y (zh) 可调角度的自动控制防霜设备
CN205357438U (zh) 蔬菜安全保护罩
CN204762494U (zh) 圆拱连栋温室蔬菜大棚
Maughan et al. Low Tunnels A Low-Cost Protected Cultivation O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