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56B1 -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 Google Patents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56B1
KR101413056B1 KR1020130034416A KR20130034416A KR101413056B1 KR 101413056 B1 KR101413056 B1 KR 101413056B1 KR 1020130034416 A KR1020130034416 A KR 1020130034416A KR 20130034416 A KR20130034416 A KR 20130034416A KR 101413056 B1 KR101413056 B1 KR 10141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ection
line
lining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동면
정건웅
Original Assignee
(주)나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기술 filed Critical (주)나우기술
Priority to KR102013003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1Methods or apparatus for enlarging or restoring the cross-section of tunnels, e.g. by restoring the floor to its original leve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stalling an express railroad in a subway railroad in service for extending a railroad passing through a tunnel type section of a subway. The method for installing an express rail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hole excavation step (S10) for forming a vertical hole on one side of a pilot tunnel area; a pilot tunnel excavation step (S20) for excavating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hole formed by the vertical hole excavation step; an adit excavation step (S30); a partial demolition of an existing tunnel lining and column installing step (S40) for installing a first column and a second column next to the first column; a pilot tunnel top excavation step (S50); a bottom excavation step (S60); a complete demolition of the existing tunnel lining and column installing step (S70); and a pilot tunnel lining placing step (S80).

Description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in a subway line,

본 발명은 지하철 선로의 확장을 위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철 선로를 운행하는 일반적 완행 선로에서 지하철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급행 열차 선로를 확보하기 위한 선로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tending a subway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 installation method for securing an expressway line without obstructing the operation of a subway line in a general line running on a subway line.

도시의 발달과 함께 승객의 이동을 도우면서도 도시 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지하철을 개설하여 운행되어 왔으며 지하철의 선로 연장 및 새로운 지하철의 선로 개설 등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city, the subway has been in operation to help passengers' movements, but not to hurt the appearance of the city. The extension of subway lines and the opening of new subway lines are steadily progressing.

최근에는 주로 출/퇴근 시간 때나 인파가 많이 몰리는 역사 또는 일정 노선을 따라 설치되어진 역사에 정차하지 않고 정하여진 곳에서만 정차하여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급행 전동차(이하 급행 열차라 함)가 신설되어 운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n express railway tra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press train") has been newly constructed and operated for stopping only at a predetermined place without stopping in the history established along the historical or scheduled route, .

이러한 급행 열차의 신설을 위해서는 통상 기존에 설치되어져 있던 선로와 별개로 다른 선로를 개설하여 플랫폼을 가운데 두고 급행과 완행 열차가 운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플랫폼을 양측으로 설치 한 후 급행과 완행이 병행하며 운행되도록 하는 경우 등, 설치되는 선로의 현장 여건 등에 따라 새롭게 선로를 개설하거나 또는 플랫폼의 설계 변경 등을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create such express trains, it is usually necessary to open another railway line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railway line, to make express and local trains run through the platform, or to install the platform on both sides, ,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by opening a new line or changing the design of the platform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installed track.

그러나, 이러한 선로 개설 등은 지상의 선로에서는 비교적 공정이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지하에 설치된 지하 선로에서 급행과 완행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그 작업이 어렵고 열차의 운행을 방해하거나 또는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상존한다.
However, the opening of such a line can facilitate the process and the operation relatively in the ground track,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parallel operation in the underground lin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and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train 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 There are problems that threaten.

공개특허 10-2012-0098710 (2012. 09. 05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98710 (published on September 05, 2012) 특허등록 제10-0626328호 (2006. 09. 20 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0-0626328 (2006. 09. 20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운행 중인 지하철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급행 및 완행 열차의 동시 운행이 가능하도록 지하철의 선로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급행 선로 설치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pose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which enables the extension of a subway line so that an express and an oncoming train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ubway in operation. ha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하철의 터널식 구간내를 통과하는 선로를 확장하기 위한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on a subway line for extending a line passing through a tunnel section of the subway,

터널식 구간내를 지나가는 선로 구간을 이루는 터널의 일측으로 수직구를 형성하는 수직구 굴착단계(S10)와, (S10) of forming a straight hole at one side of a tunnel forming a line section passing through a tunnel type section,

상기 수직구 굴착단계에 의해 형성된 수직구 하단측을 터널 굴착하는 파일럿 터널 굴착단계(S20)와, A pilot tunnel excavating step (S20) of excavat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hole formed by the vertical hole excavating step,

상기 파일럿 터널 굴착 단계에 의해 굴착 된 파일럿 터널과 기존 터널간을 부분적으로 굴착하는 횡갱굴착 단계(S30)와, A tunnel excavation step (S30) for partially excavating a pilot tunnel excavated by the pilot tunnel excavation step and an existing tunnel,

상기 횡갱굴착 단계에 의해 굴착 된 구간으로 표출되는 기존 터널 구간 중에서 일부분의 라이닝을 부분 철거하고 상기 부분 철거된 라이닝 구간으로 제1기둥을 설치한 후, 상기 설치되는 제1기둥에 의해 잔존하는 나머지 라이닝을 철거하여 상기 제1기둥과 연하며 제2기둥을 설치하게 되는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40)와,A part of the lining is partially removed from the existing tunnel section exposed as a section excavated by the transverse excavation step, a first column is installed with the partially removed lining section, and the remaining lining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 (S40) in which the first tunnel is removed and the second tunnel is installed,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부분적으로 횡갱굴착되며 라이닝이 철거되고 기둥이 설치된 영역과 라이닝이 철거되지 않은 모든 영역으로부터 파일럿 터널간으로 상반을 굴착하는 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S50)와, (S50) in which the lining is removed and the upper part is excavated from the area where the column is installed and the area where the lining is not removed from the pilot tunnel, in the pilot tunnel upper excavation step (S50) Wow,

상기 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에 의해 모든 구간의 상반 굴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잔존하는 하반 영역을 모두 굴착 처리하는 하반굴착단계(S60)와, A lower tunnel excavation step (S60) for excavating all of the remaining lower part area by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ismantling step and column installing step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art excavation of all sections is completed by the pilot tunnel upper excavation step,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서 잔존하고 있는 나머지 기존 터널의 라이닝을 모두 철거하고 제3기둥과 제4기둥을 제2기둥과 연하여 순차 설치하게 되는 기존 터널 라이닝 완전 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70)와, Removal of existing tunnel lining part and removal of all remaining lining of existing tunnel in the column installation step and complete installation of existing tunnel lining and column installation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columns are installed sequentially with the second column (S70)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완전 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기존 터널과 접하는 일측의 파일럿 터널이 완성된 상태에서 파일럿 터널 내주면으로 라이닝을 타설하게 되는 파일럿 터널 라이닝 타설단계(S80)와,A pilot tunnel lining placement step (S80) in which the lin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ot tunnel in a state where the pilot tunnel on one side contacting the existing tunnel is completed by the existing tunnel lining complete pole installation step,

상기한 S10 내지 S80의 단계에 의해 기존 터널의 일측에 대한 파일럿 터널 시공이 완료된 후, 상기 기존 터널의 타측으로 상기 S10 내지 S80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기존 터널 양측으로 각각 파일럿 터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양측 파일럿 터널을 따라 선로를 확보하고 플랫폼을 설치 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을 제시한다.
After the pilot tunnel construction for on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is completed by the steps of S10 to S80, the steps of S10 to S80 are sequentially performed to the other side of the existing tunnel to make pilot tunnels to both sides of the existing tunnel And then installing and constructing a platform along both pilot tunnel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on a subway line in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운행중인 선로에서의 타 열차 등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급행 열차 선로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역사에서의 선로 확장 공기의 단축 및 공사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n express railway lin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other trains, etc. in the railway in operation,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shortening of line extension air and the construction cost in the existing history The effec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 방법을 흐름순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급행열차 선로 확보를 위한 영역 일측으로 수직구를 굴착하는 예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3은 도 2에 의한 수직구 형성 후 파일럿 터널 굴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의한 파일럿 터널 굴착 후 기존 터널측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횡갱굴착을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한 부분적 횡갱굴착 시공 후 기존 터널의 라이닝 부분을 일부 부분철거하고 제1기둥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6은 도 5에 의해 기존 터널 라이닝 일부분을 부분 철거한 뒤, 제1기둥을 세운 상태에서 접하는 측으로 제2기둥을 연하여 설치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7은 도 6에 의한 부분적으로 횡갱굴착되며 라이닝이 철거되고 제1,2기둥이 설치된 영역과 라이닝이 철거되지 않은 모든 영역으로부터 파일럿 터널간으로 상반을 굴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8은 도 7에 의한 상태에서,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잔존하는 하반 영역을 모두 굴착 처리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기존 터널 라이닝을 모두 철거하고 벽체를 이루기 위한 제3,4기둥의 설치 시공이 모두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1은 도 10에 의한 상태에서 파일럿 터널에 라이닝을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2는 도 2 내지 도 11에 의해 기존 터널 좌측으로 파일럿 터널 시공이 완성된 후, 기존 터널 우측으로 수직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상대식 정거장에서 급행열차 선로 확장이 이루어진 상태의 개괄적 도면
도 14는 도 13에 의한 터널 정거장 확장구간(L1)에서 기존 터널 양측의 일부 라이닝을 조각하여 부분 철거된 라이닝 영역으로부터 외부측을 굴착 처리하며 기둥을 설치 및 단면을 라이닝 처리하여 굴착 터널 측면으로 플랫폼을 설치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해 본선 확장구간에서 급행열차 선로 개설이 완성된 상태의 확장 선로를 나타낸 개괄적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본선 확장 구간을 지난 후 개착 타입 터널을 이루는 병합구간에서의 연장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 시공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상대식 정거장 타입에서 플랫폼이 양측에 존재하고 그 사이로 열차가 지나가는 본선이 집중되어 있는 상태의 역사에서, 급행열차가 운행되며 정차되기 위한 선로를 확장하는 형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서, 섬식 정거장 타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행 열차 선로 확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low order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excavating a vertical hole on one side of an area for securing an express train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ilot tunnel excavation state after the formation of a perpendicular hole according to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nnel tunnel is excavated at regular intervals after the pilot tunnel excavation according to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ing portion of an existing tunnel is partially removed and a first column is installed after the construction of a partial subway excavation according to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outline of a state in which a part of an existing tunnel lining is partly demolished according to FIG. 5 and then a second column is opened to a side contacting the first column in a standing state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ection is excavated from the area where the lining is demolish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are installed and the area where the lining is not demolished,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lower half region is excavated by the existing tunnel lining portion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s in the state of FIG.
9 to 1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ll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third and fourth columns for removing the existing tunnel lining and forming the wall are completed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ing is laid in a pilot tunnel in a state according to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ep of forming a straight hole to the right of the existing tunne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ilot tunnel construction to the left of the existing tunnel by FIGS. 2 to 11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press train line is expanded at a relative sta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of installing and installing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ended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express train line is completed in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re performed using an extended pre-cast structure in a merging section forming an open-type tunnel after a main-line extending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rm in which the express train is operated and the line for stopping is extended in the history of the state where the platform exists on both sides and the main line passing through the train is concentrated in the relative station type
Figs. 18 to 20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expanding an express train l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sland-type station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대식 정거장이 있는 장소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과 섬식 정거장이 있는 장소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on a subway line in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in a place having a counter station and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in a place having a island station ,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1st 실시예Example

먼저 상대식 정거장 타입의 지하철 역사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express line in the subway history of the relative station type will be described.

상대식 정거장 타입의 지하철 역사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은 통상의 평면 구조를 갖게 되는데, 2열의 본선 구조를 갖는 역사에 열차가 정차하여 승객을 승하차 시키는 플랫폼으로부터 본선을 지나며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과 본선확장구간(L2)을 통해 급행 또는 완행의 선택 운행이나, 급행 열차가 본선 구간을 지나면서 본선 확장구간(L2)으로 진입하기 전에 선로를 변경하여 본선 확장구간(L2)에서 승객들을 플랫폼을 통해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본선 선로를 통해 그대로 역사를 통과하며 운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lative station type subway history has a normal plan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n which a train stops in a history having two lines of main line structure, passes through a main line from a platform for getting a passenger on and off, (L2), or before the express train passes through the main line section to enter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the passengers are moved to the platform in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Or through the main line to pass through history.

이를 위해 구간에서의 선로 확장 과정이 다소 상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본선 확장구간(L2)에서의 선로 확장을 위한 급행 선로 설치 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인 설명을 한다.
For this purpose, the line extension process in the section may be somewhat diff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phasis will be given to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for extending a line in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직구 굴착단계(S10), 파일럿 터널 굴착단계(S20), 횡갱굴착 단계(S30),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40), 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S50), 하반굴착단계(S60), 기존 터널 라이닝 완전 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70), 파일럿 터널 라이닝 타설단계(S80)를 거쳐 기존 터널과 인접하는 한 측의 파일럿 터널 시공이 완성된 후 타측으로도 상기한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완성된 형태의 급행 선로 확장을 위한 선로 설치를 완성할 수 있다.
For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tunnel tunnel excavation step (S20), a subduction excavation step (S30), an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 (S40), a pilot tunnel upper excavation step (S50) After completion of the lower tunnel excavation step (S60), the existing tunnel lining complete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 (S70), the pilot tunnel lining installation step (S80), and the pilot tunnel construction adjacent to the existing tunnel is completed, Step can be repeated to complete the line installation for the expansion of the completed type of express line.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급행 선로 확장시 상대식 정거장에 실시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상대식 정거장이라는 것은 승객이 열차를 승하차 하기 위한 플랫폼이 선로를 두고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In order to be implemented in a relative-type station when the expressway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 "relative-station" means a form in which a platform for the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the train is constituted on both sides of the railway.

이와 같은 상대식 정거장을 이루는 선로에서의 급행 열차 선로 확장을 위해서, 도 2 에서 보는 것처럼 먼저 기존 터널(1) 일측(도면에서는 좌측에 해당됨)으로 이격되는 위치상으로 수직구(100)를 굴착 형성하게 된다.(수직구 굴착단계-S10).In order to extend the express train line in the relative stationary line, as shown in FIG. 2, the straightener 100 is first excavated and form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A straight-hole drilling step-S10).

상기한 수직구(100)는 수직파일(110)을 설치한 다음, 흙을 파내는 굴토 작업을 수행하고, 수직구(100) 상방측 지면상으로 통행하는 차량의 원할 한 이동을 위해 복공판(도면부호 미기재)을 깔아, 설치할 때 수직하중을 받쳐 주도록 하고, 수직파일(110)을 횡단하는 버팀보(120)를 다수개 설치 시공하여 상기 수직파일(110)이 지중에 박혀진 후에는 굴착 된 측벽에서 발생 되는 외력에 의한 측압을 받쳐 주도록 한다.After the vertical file 110 is installed, the vertical member 100 performs a hoisting operation for digging up the soil, and a flat plate (not shown) for the smooth movement of the vehicle passing on the upper side ground surface, A plurality of paddles 120 are installed on the vertical piles 110 so as to support the vertical piles 110 when the vertical piles 110 are installed and the vertical piles 110 are embedded in the ground, So as to support the side pressure by the external force.

이러한 수직구(100)의 설치 시공 과정은 통상의 기술적 사상을 갖는 자에 의해 공공연히 실시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by a person who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한편 상기 수직구(100)는 본선이 확장되는 구간으로 진입하는 초입에 설치되어야 하며, 본선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시공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ight-hand straightener 100 should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where the main line extends, and should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line.

본 발명에서는 본선 즉 복선이 지나가는 선로로부터 확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3 에서 보듯이 본선으로부터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으로 이어진 후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로부터 본선확장구간(L2)를 거쳐, 병합구간(L3)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xtend from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main line, that is, a double line, as shown in FIG. 13, the main extension line L1 is extended from the main line to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1 through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Section L3.

여기서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과 본선확장구간(L2)은 터널식으로 선로를 확장하여야 하고, 병합구간(L3)으로 진입하는 구간에서는 개착타입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Here,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1 and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are to be extended by the tunnel type, and the tunnel type extension section L1 and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are formed as the open type in the section entering the merging section L3.

한편 상기와 같이 수직구 굴착단계(S10)에 의해 본선확장구간(L2) 초입에 수직구(100)의 설치 시공이 완성된 형태가 도 2 와 같은데, 이 상태에서 수직구(100) 하단으로부터 파일럿 터널(200)을 굴착 시공하게 된다(도 3 참조 / 파일럿 터널 굴착단계-S20).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straightness 100 is completed at the beginning of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by the vertical straightening process S10 as shown in FIG. The tunnel 200 is excavated and constructed (see FIG. 3 / pilot tunnel excavation step -S20).

또한 상기 수직구 굴착단계(S10)는 기존 터널(1)의 일측에 대하여 확장 공사가 마무리된 후, 기존 터널(1)의 타측(도면상 보았을 때 우측)에서도 동일하게 수직구(100)를 형성하게 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tep S10 of drilling a straight pipe may be performed by forming a straight hole 100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existing tunnel 1 after completion of the extension work on on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Of course.

한편 전술한 것처럼 기존 터널(1)의 일측으로 수직구(100) 설치가 완료된 후 파일럿 터널(200)의 굴착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 4 에서와 같이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간을 횡갱굴착 하는 횡갱굴착 단계(S30)를 거치게 된다. 4, after the pilot tunnel 200 is comple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straight tunnel 100 to on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tunnel 200, as shown in FIG. 4, (S30), in which the tunnel 1 is excavated through a tunnel.

상기 횡갱굴착 단계(S30)에서는,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0)간을 부분 연결하기 위해 부분 굴착하도록 하였다.(도 4 참조)In the above-described excavation step (S30),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10 are partially excavated in order to partially connect them (see FIG. 4).

따라서 이와 같은 부분 굴착에 의해 횡갱굴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4 에서 보듯이 부분적으로 기존 터널(1)과 측면으로 연결되도록 횡갱 굴착하게 되도록 하여 기존 터널(1)의 외면이 외부로 표출된다. (횡갱굴착 단계-S30)
Therefore, when the excavation is performed by such partial excava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isting tunnel 1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4, by partially excavating the tunnel 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Excavation step of submarine-S30)

상기와 같이,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간을 부분적으로 횡갱굴착하여 표출되는 기존 터널(1) 구간 중에서 일부분의 라이닝을 부분 철거한 후 도 5 에서와 같이 제1기둥(10)을 설치하게 된다. 5, a part of the lining is partially removed from the section of the existing tunnel 1 that is partially excavated between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1, .

한편 이와 같이 제1기둥(10)이 설치된 상태에서, 횡갱굴착 단계(S30)에 의해 외부로 표출되어 있는 기존 터널(1)의 라이닝을 모두 철거한 다음 상기 제1기둥(10)과 접하는 제2기둥(20)을 도 6 에서와 같이 설치 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pillar 1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lining of the existing tunnel 1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excavation step S30 is removed, and then the second tunnel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illar 10, The column 20 is installed and installed as shown in FIG.

아직 이 과정에서는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간의 모든 구간은 횡갱굴착 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40)
In this process, all the sections between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1 are in a state where the tunnel is not excavated. (Removal of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and installation of the column-S40)

한편 이 상태에서,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40)에 의해 부분적으로 횡갱굴착되며 라이닝이 철거되고 제1,2기둥(10,20)이 설치된 영역과 라이닝이 철거되지 않은 모든 영역으로부터 파일럿 터널간으로 상반을 굴착하는 과정을 거친다(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S50).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is demolished and partially excavated by the pole installation step (S40), the lining is removed, and the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10 and 20 are installed and all the areas where the lining is not removed (Pilot tunnel upper excavation step-S50).

상반 굴착에 의해 기존 터널(1)과 파일럿 터널(200)간의 상방측은 모두 굴착되어 연결되는 상태에 있게 되고, 하방측은 굴착 되지 않은 영역이 잔존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The upper side between the existing tunnel 1 and the pilot tunnel 200 is both excavated and connected by the opposite excavation and the unbrained area is left on the lower side.

상기와 같은 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S50)를 거쳐 기존 터널(1) 측면과 파일럿 터널(200)간의 상반측 모든 구간의 상반 굴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40)에 의해 잔존하는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간 하반 영역을 모두 굴착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하반굴착단계-S60)In the state where the upper half excavation of all the upper half sides between th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and the pilot tunnel 200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ilot tunnel upper half excavation step S50,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 S40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lower half region between the existing tunnel 1 and the existing tunnel 1 are subjected to excavation processing. (Lower Excavation Step-S60)

이 상태는 도 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간 상호 완전하게 연결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기존 터널(1)의 영역을 따라 부분적으로 라이닝이 잔존하는 상태에 있다.
8,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1 are complete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lining remains partially along the area of the existing tunnel 1,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존 터널(1) 일측면으로 부분 영역에 잔존하는 라이닝은 모두 철거한 상태에서 제3기둥(30)과 제4기둥(40)을 상기한 제2기둥(20)과 연하며 순차 설치되도록 하여, 기존 터널(1)과 파일럿 터널(200)간을 구획하게 되는 제1,2,3,4기둥(10,20,30,40)에 의해 완성된 벽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기존 터널 라이닝 완전 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70)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column 30 and the fourth column 4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lumn 20 in the state where the lining remaining in the partial region is removed from the first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The walls formed by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illars 10, 20, 30, and 40 partitioning between the existing tunnel 1 and the pilot tunnel 200 can be formed (Existing tunnel lining complete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S70)

이 상태가 도 11 에서 보는 것과 같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기존 터널 라이닝을 모두 철거하고 벽체를 이루기 위한 제3,4기둥(30,40)의 설치 시공이 모두 완성된 후, 파일럿 터널(200) 내주면으로 라이닝을 타설 처리하는 단계(S80)을 거치게 되어, 기존 터널(1)을 중심으로 도면상 좌측에 열차가 통행할 수 있는 선로 개설을 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1, after all of the existing tunnel lining has been removed and 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third and fourth columns 30 and 40 for forming the wall have been complete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ilot tunnel 200 (Step S80) of placing the lining on the left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tunnel 1, thereby securing an area for opening a line through which the train can pass.

한편, 상기한 각 단계를 거쳐 기존 터널(1) 일측으로 파일럿 터널(200)을 개설한 다음, 기존 터널(1)의 타측으로도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작업 수순에 의해 파일럿 터널(200)를 개설하며 기둥(10,20,30,40) 들에 의해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간 구획하기 위한 벽체를 형성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도 15 에서와 같은 형태의 3-아치 형태의 터널이 형성된다.After the pilot tunnel 200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through the above steps, the pilot tunnel 200 is opened at the other side of the existing tunnel 1 by the same operation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The columns 10, 20, 30 and 40 form walls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1, so that a three-arch tunnel of the form as shown in FIG. 15 is formed do.

이러한 과정을 거쳐 3-아치 형태의 터널이 완성되면, 상기한 파일럿 터널(200)측으로 각각 승강장인 플랫폼과 열차가 통과하기 위한 선로를 개설하여 완성하게 된다.When the three-arch tunnel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 platform for the platform and a train for passing the train are provided on the pilot tunnel 200 side.

상기한 단계에 따른 본선의 확장 시공 방법에 의해, 급행 선로 설치가 완성되면 해당 역사에서 급행 열차가 정차하여 승객들을 승하차 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선로를 지난 후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에서 선로 변경하여 본선 확장구간(L2)에서의 파일럿 터널(200)로 진입하며 본선 확장구간(L2) 플랫폼에서 승객을 승하차 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 완행 열차는 기존 선로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을 통해 승객들의 승하차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express line is completed by the extension method of the main line according to the above step, in order to get on and off the passengers by the stop of the express train in the history, after the existing line is passed, the line is changed in the extension section (L1) The user can enter the pilot tunnel 200 in the section L2 and allow the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the platform in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The normal oncoming train can passengers can get on and off through the platform installed in the existing line section .

한편, 전술한 선로 확장 방법에서 터널정거장확장이 필요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line expans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tunnel station.

도 13 에서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으로 명명하며, 상기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은 급행 열차가 역사안으로 진입한 상태에서 파일럿 터널(200) 구간으로 선로 변경하기 위한 구간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period L1 is a section for changing the line to the pilot tunnel 200 in the state where the express train enters the history.

이러한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의 경우 선로확장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전술한 본선 확장구간(L2)에서의 선로 확장 방법과는 다르게 구성되도록 하였다.In the case of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1), the line extension is requir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ine extension method in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먼저, 기존 터널(1) 양측의 일부 라이닝을 조각하여 부분 철거하게 되는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 철거 단계(S1)를 거친 후, 부분 철거된 라이닝 영역으로부터 외부측을 굴착 처리하며 그 굴착된 영역과 기존 터널(1) 경계로 기둥을 설치하는 굴착 및 기둥설치 단계(S2)와, 상기 굴착된 단면을 라이닝 처리하여 굴착 터널을 마감처리하는 굴착 단면 라이닝 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굴착 터널측으로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선로를 개설하고 굴착 터널 측면으로 플랫폼을 설치 시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도 14 참조)
First, after a part of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S1), which is partly demolished by engraving a part of the lining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tunnel (1), is excavated from the partially demolished lining area, (1) a step of installing a column at a boundary (S2), a step of lining an excavated section to finish the excavated tunnel by lining the excavated section, And a platform is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xcavation tunnel (see Fig. 14)

이러한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에서의 선로 확장에 의해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선로는 전술한 본선 확장구간(L2)측과 기존 터널(1)측으로 각각 선로가 개설 가능하게 되고, 본선을 통해 진입하는 열차가 급행일 경우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에서 선로를 변경하여 상기 본선 확장구간(L2)으로 이어지는 파일럿 터널(200)측으로 진입된 후 정차 하게 되고, 일반 완행 열차는 본선의 기존 플랫폼에서 승객을 승하차 시킨 후 선로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직진하며 본선 확장구간(L2)과 병합구간(L3)을 통과하게 된다.
The line that is branched from the main line by the line extension in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1 can open the line to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and the existing tunnel 1 respectively, The route is changed to the pilot tunnel 200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and then stopped. The general local train is operated by the passenger on the main platform And passes straight through the main extension section L2 and the merge section L3 without changing the track.

여기서 상기 병합구간(L3)은 파일럿 터널(200)과 기존 터널(1)로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을 통해 각각 분기 되며 설치된 선로가 병합되는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병합구간(L3)은 주로 개착식 타입의 터널 구간이 적용된다. The merging section L3 may be understood as a section in which the lines are branched and merged through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1 to the pilot tunnel 200 and the existing tunnel 1, Is mainly applied to an open type tunnel sec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본선확장구간(L2)으로부터 병합구간(L3)으로 선로가 병합 되는 구간에서는 기둥이 설치되어서는 안되는 구간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should not be installed in the section where the line is merged from the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2 to the merge section L3.

이를 위해 병합구간(L3)은 개착 타입의 터널 시공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먼저 병합구간(L3) 영역으로 수직화일을 박은 후 토사를 굴착하며 상방측으로 복공판과 수직화일을 횡단하는 다수의 버팀보를 형성하게 된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rging section L3 adopts an open type tunnel construction method. First, a vertical file is inserted into the merging section L3 and then a plurality of struts .

이 상태에서 도 1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 측면을 철거하면서 상부측 프리캐스트를 지지하기 위한 임시기둥(21)을 각각 설치한 다음,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연장터널을 형성하기 위한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현장에서 타설 시공하고, 상기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에 플랫폼을 형성 시공한 다음, 상기 임시기둥(21)을 철거하여 완성된 병합구간(L3)의 터널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state, provisional columns 21 for supporting the upper side precast are removed while removing the side surface of the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as shown in FIG. 16, and then the two sides of the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And a platform is formed in the extended precast structure 3, and then the temporary post 21 is removed to complete the completed pre-cast structure 3, A tunnel of the merging section L3 can be obtained.

한편, 도 17은 상대식 정거장 타입에서 플랫폼이 양측에 존재하고 그 사이로 열차가 지나가는 본선이 집중되어 있는 상태의 역사에서, 급행열차가 운행되며 정차되기 위한 선로를 확장하는 형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 17 is a general diagram showing a form in which a train is operated and a line is stopped to be extended in a history in which the platform exists on both sides and the main line passing through the train is concentrated in the relative station type .

상기한 도 17 에서는 역사로 진입하는 본선구간(L4)으로부터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분기되는 분기구간(L5)을 거친 후, 확장구간(L6)을 형성하고 이어서 병합구간(L7)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In FIG. 17, the extended section L6 is formed after passing through the branch section L5 where the express train and the local train branch from the main line section L4 entering the history, and then divided into the merge section L7 have.

이러한 각 구간에서의 선로 확장을 위한 터널 타입 또는 개착 타입 구간에서의 터널 확장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선택 채용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된다.
The tunnel extension method for the line extension in each section and the tunnel extension method in the open type section can be selected and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method.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상대식 정거장 타입과는 다르게 섬식 정거장 타입에서도 그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Unlike the relative-type station ty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island-type station type.

섬식 정거장이라는 것은 통상적으로 승강장 즉 플랫폼이 가운데에 설치되어 열차가 플랫폼을 사이에 두고 상행과 하행선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의미한다.The island station is usually a platform where the platform is installed in the center, and the train is divided into the up and down lines between the platforms.

이러한 섬식 정거장 타입에서는, 본선이 각각 분리되어 개착 타입에 의한 단선 병렬 터널 방식으로 선로가 개설되고, 플랫폼 구간에서는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이동의 자유성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타입 형태로 터널이 구축되는 것이 통상적이라 할 수 있다.In the island-type station type, the main lin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line is opened by a single-line parallel tunnel method by an installation type. In the platform section, a tunnel is formed in a precast type for securing freedom of movement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It can be said that it is usual.

상기한 섬식 정거장 타입에서, 급행 열차의 운행을 위한 선로 확장을 위해서는 도 18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선구간(L4)과 분기구간(L5) 및 확장구간(L6)으로 이루어진 후 재차 좁혀지는 형태의 병합구간(L7)에 이어서 본선구간(L4')로 구분될 수 있다.In the island type station type, in order to extend a line for operating an express train, a line segment consisting of a main line segment L4, a branch segment L5, and an extended segment L6, as shown in Fig. 18, Can be divided into a main line section L4 'following the main line section L7.

여기서 상기 본선구간(L4)는 단선 병렬터널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Here, the main line section L4 is a single line parallel tunnel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단선 병렬터널에서의 본선구간(L4)은 개착 타입의 프리캐스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각각의 단선 터널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본선구간(L4)으로부터 급행열차의 선로를 변경하기 위해 분기구간(L5)으로 진입되도록 하기 구간에서는, 수직화일을 박은 후 토사를 굴착하며 상방측으로 복공판과 수직화일을 횡단하는 다수의 버팀보와 수직보강재, 수평보를 형성하며 굴착하게 된다.The above-mentioned main line section L4 in the single-line parallel tunnel is constituted by a pre-cast type pre-cast structure and is constituted by respective single-line tunnels. In order to change the line of the express train from the main line section L4, ), The vertical file is cut and the soil is excavated, and a plurality of struts, a vertical stiffener, and a horizontal beam are travers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minating plate and the vertical file to be excavated.

이와 같이 굴착 시공되는 분기구간(L5)에서 단선 터널을 이루는 단선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의 일측을 철거하고, 철거된 부위와 연하여 연결되는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현장 타설하여 선로 개설에 의해 복선 터널을 형성하게 된다. One side of the single-wire tunnel precast structure 2 'constituting the single-wire tunnel is demolished in the excavated branch section L5, and the extended precast structure 3 connected to the demolished site is laid on- The tunnel will be formed by opening.

한편 상기 분기구간(L5)으로부터 이어지는 확장구간(L6)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는, 개착 타입으로 구성되도록 하는데, 도 19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선을 이루는 터널 외측으로 굴착 시공하여 급행열차 선로 영역 및 플랫폼을 얻기 위해 현장에서 타설 시공되는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의 측면과 연하며 연결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tion extending from the branch section L5 to the extension section L6, which is continued from the branch section L5, as shown in FIG. 19, the excavation is performed outside the tunnel forming the main line to obtain the express train line section and platform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xisting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by using the extended precast structure 3 installed in the site.

이러한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이용한 개착 타입의 급행열차 선로 확장 터널을 위한 시공 방법은 이미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construction method for an open type express train line extension tunnel using the extended precast structure 3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method.

한편, 상기 확장구간(L6)을 거친 후 급행열차 선로와 일반열차 선로가 병합되는 병합구간(L7)의 경우에도 기존의 개착 타입 터널을 이루는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에서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적용하여 시공 가능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merging section L7 in which the express train line and the general train line are merged after the extended section L6, the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which constitutes the conventional open type tunnel, 3) can be applied.

이어서 상기 병합구간(L7)으로부터 본선으로 이루어지는 본선구간(L4')은 단선 병렬박스 형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Next, the main line section L4 'formed from the merge section L7 to the main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form of a single line parallel box.

L1; 터널정거장확장구간 L2; 본선확장구간
L3, L7, L7-1, L7-2, L7-3; 병합구간 L4,L4'; 본선구간
L5; 분기구간
1; 기존 터널 2;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
3; 연장프리캐스트 구조물 10; 제1기둥
20; 제2기둥 21; 임시기둥
30; 제3기둥 40; 제4기둥
100; 수직구 110; 수직화일
120; 버팀보
L1;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2; Main Line Extension Section
L3, L7, L7-1, L7-2, L7-3; Merge sections L4 and L4 '; Main line section
L5; Branch section
One; Existing tunnel 2; Merge Tunnel Precast Structures
3; An extended precast structure 10; The first pillar
20; Second column 21; A temporary pillar
30; Third column 40; The fourth pillar
100; A right leg 110; Vertical file
120; Strap

Claims (4)

지하철의 터널식 구간내를 통과하는 선로를 확장하기 위한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및 완행 선로 확장 공법에 있어서,
터널 확장 구간을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과 본선확장구간(L2) 및 병합구간(L3)으로 구분하여, 터널식 구간내를 지나가는 선로 구간 중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을 통과한 후 본선 확장구간(L2)을 이루게 되는 파일럿 터널 영역의 일측으로 수직구를 형성하는 수직구 굴착단계(S10)와,
상기 수직구 굴착단계에 의해 형성된 수직구 하단측을 터널 굴착하는 파일럿 터널 굴착단계(S20)와,
상기 파일럿 터널 굴착 단계에 의해 굴착 된 파일럿 터널과 기존 터널간을 부분적으로 굴착하는 횡갱굴착 단계(S30)와,
상기 횡갱굴착 단계에 의해 굴착 된 구간으로 표출되는 기존 터널 구간 중에서 일부분의 라이닝을 부분 철거하고 상기 부분 철거된 라이닝 구간으로 제1기둥을 설치한 후, 상기 설치되는 제1기둥에 의해 잔존하는 나머지 라이닝을 철거하여 상기 제1기둥과 연하며 제2기둥을 설치하게 되는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40)와,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부분적으로 횡갱굴착되며 라이닝이 철거되고 기둥이 설치된 영역과 라이닝이 철거되지 않은 모든 영역으로부터 파일럿 터널간으로 상반을 굴착하는 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S50)와,
상기 파일럿 터널 상반 굴착단계에 의해 모든 구간의 상반 굴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잔존하는 하반 영역을 모두 굴착 처리하는 하반굴착단계(S60)와,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서 잔존하고 있는 나머지 기존 터널의 라이닝을 모두 철거하고 제3기둥과 제4기둥을 제2기둥과 연하여 순차 설치하게 되는 기존 터널 라이닝 완전 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S70)와,
상기 기존 터널 라이닝 완전 철거 및 기둥 설치단계에 의해 기존 터널과 접하는 일측의 파일럿 터널이 완성된 상태에서 파일럿 터널 내주면으로 라이닝을 타설하게 되는 파일럿 터널 라이닝 타설단계(S80)와,
상기한 S10 내지 S80의 단계에 의해 기존 터널의 일측에 대한 파일럿 터널 시공이 완료된 후, 상기 기존 터널의 타측으로 상기 S10 내지 S80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기존 터널 양측으로 각각 파일럿 터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양측 파일럿 터널을 따라 선로를 확보하고 플랫폼을 설치 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
In the subway line express and on-track line expansion method, which is in operation to extend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tunnel section of the subway,
The tunnel extension section is divided into a tunnel extension section L1, a main extension section L2 and a merging section L3. After passing through the tunnel extension section L1 of the tunnel section and passing through the tunnel extension section L1, (S10) of forming a straight hole at one side of a pilot tunnel region constituting the tunneling tunnel (L2)
A pilot tunnel excavating step (S20) of excavat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hole formed by the vertical hole excavating step,
A tunnel excavation step (S30) for partially excavating a pilot tunnel excavated by the pilot tunnel excavation step and an existing tunnel,
A part of the lining is partially removed from the existing tunnel section which is excavated by the excavation step, and the first column is installed with the partially demolded lining section, and then the remaining lining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emolition and column installation step (S40) in which the first tunnel is removed and the second tunnel is installed,
(S50) in which the lining is removed and the upper part is excavated from the area where the column is installed and the area where the lining is not removed from the pilot tunnel, in the pilot tunnel upper excavation step (S50) Wow,
A lower tunnel excavation step (S60) for excavating all of the remaining lower part area by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ismantling step and column installing step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art excavation of all sections is completed by the pilot tunnel upper excavation step,
Removal of existing tunnel lining part and removal of all remaining lining of existing tunnel in the column installation step and complete installation of existing tunnel lining and column installation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columns are installed sequentially with the second column (S70)
A pilot tunnel lining placement step (S80) in which the lining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lot tunnel in a state where the pilot tunnel on one side contacting the existing tunnel is completed by the existing tunnel lining complete pole installation and pole installation step;
After the pilot tunnel construction for one side of the existing tunnel is completed by the steps of S10 to S80, the steps of S10 to S80 are sequentially performed to the other side of the existing tunnel to make pilot tunnels to both sides of the existing tunnel And installing a platform on the subway line, wherein the line is secured along both pilot tunn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정거장확장구간(L1)은, 기존 터널(1) 양측의 일부 라이닝을 조각하여 부분 철거하게 되는 기존 터널 라이닝 부분 철거 단계(S1)를 거친 후, 부분 철거된 라이닝 영역으로부터 외부측을 굴착 처리하며 그 굴착된 영역과 기존 터널(1) 경계로 기둥을 설치하는 굴착 및 기둥설치 단계(S2)와, 상기 굴착된 단면을 라이닝 처리하여 굴착 터널을 마감처리하는 굴착 단면 라이닝 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굴착 터널측으로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선로를 개설하고 굴착 터널 측면으로 플랫폼을 설치 시공하는 과정을 거쳐 터널정거장을 확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unnel station extension section L1 is formed by removing the existing tunnel lining part demolishing step S1 by engraving a part of the lining on both sides of the existing tunnel 1 and then digging the outer side from the partially demolished lining area (S2) for installing a column at a boundary between the excavated area and the existing tunnel (1), and an excavated section lining step (S3) for finishing the excavated tunnel by lining the excavated section And then extending a tunnel station through a process of installing a platform on the side of the excavation tunnel by opening a line that branches off from the main line toward the excavation tunnel side, and extending the tunnel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구간(L3) 영역으로 수직화일을 박은 후 토사를 굴착하며 상방측으로 복공판과 수직화일을 횡단하는 다수의 버팀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병합구간(L3)을 구성하는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 측면을 철거하면서 상부측 프리캐스트를 지지하기 위한 임시기둥(21)을 각각 설치한 다음,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연장터널을 형성하기 위한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현장에서 타설 시공하고, 상기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에 플랫폼을 형성 시공한 다음, 상기 임시기둥(21)을 철거하여 병합구간(L3)의 터널을 얻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ming a plurality of struts that engage the vertical file in the merging section (L3) area and then excavate the gravel and traverse the vertical file to the upper side,
A temporary post 21 for supporting the upper side precast is removed while removing the side surface of the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constituting the merging section L3 and then the two sides of the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The elongated precast structure 3 is extended from the elongated pre-cast structure 3 to form an elongated tunnel, a platform is formed on the elongated precast structure 3, the temporary column 21 is removed, To obtain a tunnel of the subway line (L3).
지하철의 터널식 구간내를 통과하는 선로를 확장하기 위한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에 있어서,
터널 확장 구간을 본선구간(L4)과 분기구간(L5) 및 확장구간(L6)으로 이루어진 후 재차 좁혀지는 형태의 병합구간(L7)에 이어서 본선구간(L4')로 구분하여, 터널식 구간내를 지나가는 선로 구간 중,
상기 분기구간(L5)은 수직화일을 박은 후 토사를 굴착하며 상방측으로 복공판과 수직화일을 횡단하는 다수의 버팀보와 수직보강재, 수평보를 형성하며 굴착한 후 단선터널을 이루는 단선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의 일측을 철거하고, 철거된 부위와 연하여 연결되는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현장 타설하여 선로 개설에 의해 복선 터널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구간(L6)은 본선을 이루는 터널 외측으로 굴착 시공하여 급행열차 선로 영역 및 플랫폼을 얻기 위해 현장에서 타설 시공되는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단선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의 측면과 연하며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병합구간(L7)은 기존의 개착 타입 터널을 이루는 병합터널 프리캐스트구조물(2)에서 연장프리캐스트구조물(3)을 적용 시공 하여 단선 병렬박스 형태로 이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운행중인 지하철 선로에서의 급행 선로 설치 방법.
A method of installing an express line on a subway line for extending a line passing through a tunnel section of the subway,
The tunnel extension section is divided into a main section L4, a branch section L5 and an extended section L6, followed by a merge section L7 which is narrowed down again, and a main section L4 ' Of course,
The branch section L5 includes a plurality of struts, a vertical reinforcement material, and horizontal beams formed by excavating the gravel after excavating the vertical file and traversing the vertical file to the upper side, and a single-wire tunnel precast structure 2 ') Is removed, and an extended precast structure (3) connected to the demolished part is put in place to form a double tunnel by opening a line,
The extended section L6 is excavat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s forming the main line to obtain an express train line area and a platform. In order to obtain the express train line area and the platform, the extended section precast structure 3, (2 '),
The merging section L7 is formed by applying an extended precast structure 3 in a merged tunnel precast structure 2 constituting a conventional union type tunnel and continuing in the form of a single line parallel box. How to install an express line.
KR1020130034416A 2013-03-29 2013-03-29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KR101413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16A KR101413056B1 (en) 2013-03-29 2013-03-29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16A KR101413056B1 (en) 2013-03-29 2013-03-29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056B1 true KR101413056B1 (en) 2014-07-02

Family

ID=5174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416A KR101413056B1 (en) 2013-03-29 2013-03-29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05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66B1 (en) * 2007-01-12 2008-05-22 박재현 2 arch-tunnel with precast concrete suppor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10041866A (en) * 2009-10-16 2011-04-22 (주)한국투아치 2-arch tunnel with extension tu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10103279A (en) * 2010-03-12 2011-09-20 (주)한국투아치 Variable and reinforced type double bore tunnels with extension tu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666B1 (en) * 2007-01-12 2008-05-22 박재현 2 arch-tunnel with precast concrete suppor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10041866A (en) * 2009-10-16 2011-04-22 (주)한국투아치 2-arch tunnel with extension tu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10103279A (en) * 2010-03-12 2011-09-20 (주)한국투아치 Variable and reinforced type double bore tunnels with extension tun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72B1 (en) Subway platform and construct method of subway platform
CN110630283B (en) Three-layer supporting structure suitable for double-arch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258807B1 (en) Tunnel installation method and tunnel installation structure of crossing railroad
CN104632235A (en) Method for expanding excavation of large-diameter shield tunnel for subway station construction through pile arch wall support
KR102158933B1 (en) Hybrid underground station construction method that combines parallel tunnel and open cut method
CN107605490B (en) Single hole large cross-section tunnel double side wall construction conversion process
CN102094649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pace by shield-shallow buried covered excavation composite method
CN104563158B (en) Existing subway station realize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ransfer with new subway station platform layer
CN110486036B (en) Construction method for expanding arch foot primary support arch cover method
CN204457792U (en) A kind ofly dig large diameter shield tunnel with many pilot tunnel methods and the subway station of building
CN104632245A (en) Method using multi-pilot-tunnel expanding excavation large-diameter shield tunnel for building subway station
CN102410031B (en) Underground space structure constructed by pile wall construction method
CN108361036B (en)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that subway station accessory structure is plug-in
CN110499779A (en) A kind of air channe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sharing side wall with subway station
KR101655073B1 (en) Constructing method for 2arch tunnel with perforant-path in middle retaining wall
KR102068441B1 (en) Temporary Strcuture of Underpass Traverse Construction for Traffic Facilities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by This
JP410478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joint structure
KR101413056B1 (en) Express subway lines in service line installation methods
CN114109402B (en) Large-sectio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excavated crossover line implemented by interval tunnel organization
CN105986830A (en) Underground-excavation building method for roadside strip-shaped underground garage
KR101874342B1 (en) Construction of branch tunnel in railway tunnel under service
CN112879033A (en) Crossover section tunnel structure combined with shield tunnel
CN110005416B (en) Construction method for branch pipe gallery tunnel interface section
KR101211689B1 (en) 3-arch tunnel construction method pre-construction center tunnel part
JP700337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