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29B1 -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29B1
KR101413029B1 KR1020127001408A KR20127001408A KR101413029B1 KR 101413029 B1 KR101413029 B1 KR 101413029B1 KR 1020127001408 A KR1020127001408 A KR 1020127001408A KR 20127001408 A KR20127001408 A KR 20127001408A KR 101413029 B1 KR101413029 B1 KR 10141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link
data unit
link control
service data
contro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358A (ko
Inventor
용강 왕
헤 왕
종지 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3008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을 제안한다. 하나의 확장 비트에 대응하는 하나의 길이 표시자를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결정함으로써, 각각의 RLC SDU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바이트 정렬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이한 길이 분포를 갖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상이한 길이 표시자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고정되고, 따라서 특정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서 연속하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기지국과 정확하게 수신하는 다른 기지국들 간의 동기화는 여전히 달성된다.

Description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WNLINK DATA SYNCHRONIZATION IN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EMBMS)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특히,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 36.300의 SYNC 프로토콜에 제안된 요건들은 다음과 같다: eMBMS 송신에서, eNodeB, 즉 기지국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RLC SDU, Radio Link Control Service Data Unit, 이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라고도 함)의 손실의 검출 및 연속하는 패킷들 손실의 경우에도 다른 기지국들과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ARQ 에러 정정 메커니즘이 없는, 비확인 모드(UM; Unacknowledge Mode)가 eMBMS 송신에서 채용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송신 윈도우에서 전송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시퀀스 번호 및 각각의 패킷에 대해 그 전에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 때문에, 기지국은 얼마나 많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손실되었는지 및 게이트웨이로부터 eNodeB 인터페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에서 연속하는 패킷들의 손실이 발생하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길이를 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을 손실하지 않는 다른 기지국들과의 데이터 송신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손실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송신 블록, 즉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RLC PDU, Radio Link Control Packet Data Unit, 이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라고도 함)에 삽입된 후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상기 요건들에 따라, 소정의 수의 상기 손실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길이 분포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8년 12월 3GPP TS 36.322 V8.4.0에 개시된 무선 링크 제어 비확인 모드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RLC UMD PDU,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또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RLC PDU 또는 PDU라고도 함) 포맷에서, 두 개의 연속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하여,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헤더의 크기는 상기 두 개의 연속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크기 분포에 의존한다. 도 1에 도시된 포맷에서, 각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무선 링크 제어 헤더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필드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헤더는 FI(Framing Info) 필드, SN(Sequence Number) 및 SN의 확장 비트, 상기 데이터 필드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에 대응하는 길이 표시자, 및 상기 길이 표시자의 확장 비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어야만 길이 표시자 및 상기 길이 표시자의 확장 비트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필드의 최종 서비스 데이터 유닛 또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세그먼트에 대해, 어떠한 길이 표시자 또는 대응하는 확장 비트도 할당되지 않는다.
도 1의 포맷에 따라, 제 1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제 1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되면, 제 2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상기 제 1 세그먼트가 상기 제 1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두 세그먼트들을 갖고, 상기 제 2 세그먼트는 제 2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되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2 바이트의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가 있을 수 있다.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단지 2개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채워지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2 바이트이다.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제 1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세그먼트로 채워지고, 제 2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 제 1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2 세그먼트 및 제 2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으로 채워지면, 상기 제 2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상기 두 개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에 대해 3 바이트이다.
두 개의 연속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가 상기 두 개의 연속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길이에 의존하기 때문에, 두 개의 연속하는 패킷들이 손실되면, 다수의 기지국들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의 동기화 손실을 야기하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두 개의 연속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를 알 수 없고, 상기 두 개의 연속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정확하게 채울 수 없다.
배경 기술에 언급된 문제들에 대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다. 각각의 RLC SDU의 길이 표시자 및 확장 비트는 각각의 길이 표시자가 하나의 확장 비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길이 표시자를 결정함으로써 바이트 정렬되고,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상기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고, 각각의 길이 표시자는 확장 비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바이트 정렬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고, 각각의 길이 표시자는 확장 비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바이트 정렬된다.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결정 유닛;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유닛; 및 상기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각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고정되고, 따라서, 특정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에서 연속하는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기지국과 정확하게 수신하는 다른 기지국들 간의 동기화가 여전히 달성된다.
도 1은 관련 기술 분야의 무선 링크 제어 비확인 모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제어 비확인 모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개략도.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삽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손실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발생하는 경우를 처리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경우의 기지국에 의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손실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삽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제어 장치(900)의 구조적 개략도.
본 발명의 특징들, 목적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계 특징들 또는 장치들(모듈들)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개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포맷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2개의 부분들: 무선 링크 제어 헤더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필드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 또는 세그먼트들이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필드의 사이즈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사이즈에 따라 하나의 데이터 필드가 복수의 완전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삽입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하나 또는 두 세그먼트들 및 복수의 완전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삽입되거나, 상기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하나의 세그먼트가 삽입된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개시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데이터 유닛 또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세그먼트는 원소라고도 하는 상기 데이터 필드에 삽입된다.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헤더는 FI 필드, SN 필드 및 상기 SN의 확장 비트 E; 길이 표시자 LIi 및 상기 대응하는 확장 비트 E를 포함한다. 상기 FI 필드는 2개의 비트를 갖고, 제 1 비트는 상기 데이터 필드의 제 1 원소가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세그먼트인지를 나타내고, 제 2 비트는 상기 데이터 필드의 최종 원소가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세그먼트인지를 나타낸다. 각각의 확장 비트 E는 1 비트이다. "1"이 되는 상기 SN 앞의 상기 확장 비트 E는 상기 길이 표시자가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시퀀스 번호 SN 바로 뒤라는 것을 의미하고, SN은 5 비트이고, "1"이 되는 LI1 앞의 상기 확장 비트 E는 상기 길이 표시자가 LI1 바로 뒤라는 것을 의미한다. "0"이 되는 상기 최종 길이 표시자 LIk 앞의 확장 비트 E는 상기 데이터 필드가 LIk 바로 뒤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길이 표시자의 길이는 11 비트이다. 따라서, 각각의 길이 표시자 및 그 대응하는 확장 비트에 대해, 이들은 단지 12 비트만을 점유하고, 바이트 정렬을 위해, 4 비트가 상기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의 각 쌍으로 채워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길이 표시자 LIi의 의미는 상기 데이터 필드의 i번째 원소, 즉 완전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길이 또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세그먼트의 길이를 의미하고, 상기 길이는 바이트 단위이고, 보통 길이 표시자로서 참조된다. 일부 특정한 경우들에서, 상기 길이 표시자의 의미는 상기 데이터 필드의 원소의 길이를 의미하지 않고, 특별한 길이 표시자로서 참조된다. 이는 이하에 더 상세히 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포맷과 달리, 각각의 길이 표시자 뒤에 4 비트의 충전 공간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는 바이트 정렬된다. 바이트-정렬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헤더의 다수의 바이트를 점유하는 각각의 길이 표시자 및 그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는 2 바이트를 점유한다. 도 2의 포맷은 단지 예이고, 상기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에 의해 점유된 바이트들의 수는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흐름은 도 2에 개시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포맷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먼저, 단계 S301에서, 상기 기지국은 하나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하나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단계 S302에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한다.
그 다음, 단계 S30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흐름은 도 2에 개시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포맷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먼저, 단계 S401에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 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단계 S402에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 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음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의 데이터를 그러한 바이트에 삽입하고,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40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흐름은 도 2에 개시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포맷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먼저, 단계 S501에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단계 S502에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길이에 따라 보통 길이 표시자가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S50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삽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과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흐름들에 대해 예시가 만들어진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각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용량은 101 바이트라고 가정되면, 상기 FI 필드 및 상기 SN 필드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는 1 바이트를 점유한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되는 3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길이들은 각각 80, 97 및 97 바이트이다.
100 바이트 중 20 바이트는 상기 제 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삽입되기 전에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 또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세그먼트들에 의해 점유된다고 가정된다. 80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단지 상기 제 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LI1을 생성하고 LI1을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따라서, 2 바이트는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점유된다. 97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 바이트만이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최종 바이트로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제 3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제일 앞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96 바이트의 나머지 세그먼트를 제 3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고; 그 후, 상기 제 3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2 바이트가 남겨지고, 상기 기지국은 보통 길이 표시자, 즉,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96 바이트의 세그먼트에 대해 "00001100000"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표시자의 값에 대한 개략적인 표가 표 1로 예시된다. 표 1에서, 모든 0값은 보류되고, "11111111110"은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에 대한 값이고, "11111111111"은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에 대한 값이고, "00000000001" 내지 "11111111101"은 보통 길이 표시자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물론,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의 실제 값은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또는 그 세그먼트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도 1 및 표 1은 단지 예시이고, 실제로,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에 대한 값은 실제 서비스 데이터 유닛 및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특정 길이 표시자에 대한 특정 값은 상술된 바와 같이 "11111111110" 또는 "11111111111"로 제한되지 않고,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에 대한 상기 값 이외의 임의의 값들이 상기 특정 길이 표시자들에 대한 값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정확하게 수신할 때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경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되었다. 이용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의 삽입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언팩(unpack)할 수 있다.
길이 표시자에 대한 값 및 의미
설명 응용
00000000000 보류
00000000001 내지 11111111101 보통 길이 표시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또는 그 세그먼트의 길이를 나타냄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11111111110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이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최종 원소가 단지 전체 서비스 데이터 유닛 또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이고, 이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최종 원소의 길이 표시자는 없음을 나타냄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11111111111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제 2 최종 원소가 이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 바이트만이 남겨지고, 상기 나머지 1바이트에 다음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가 삽입되고, 이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제 2 최종 원소의 길이 표시자가 없음을 나타냄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기지국에서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본원에 개시된 패킷 손실은 상기 기지국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지 않거나 부정확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수신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 명백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킷 손실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처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단계 S701에서, 상기 기지국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의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획득한다. 상기 송신 윈도우는 시간 윈도우 또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의 윈도우일 수 있다.
eMBMS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은 SYNC 프로토콜 헤더를 통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상기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3GPP 기구 RAN3 워크샵 제안 R3-091303 "SYNC consideration for eMBMS Rel9"(http://www.3gpp.org/ftp/tsg_ran/WG3_Iu/TSGR3_64/Dosc/ )의 SYNC 프로토콜의 섹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두번째로, 단계 S702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획득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에 따라 임의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되었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손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 및 뒤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의 상기 수신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들 및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에 따라 상기 손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 및 상기 대응하는 손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위치에 확장 비트 및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총 길이의 데이터 및 상기 대응하는 길이 표시자들의 길이의 데이터를 삽입한다.
도 6에 도시된 예가 이어지고, 도 6에 도시된 경우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손실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채우는 예가 도 8에 도시된다.
예로서 eMBMS 송신을 취하면, 하나의 송신 윈도우에서, 제 4 내지 제 6 데이터 유닛들이 손실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기지국은 제 1 내지 제 3 유닛들, 제 7 및 후속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한다. 그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SYNC 프로토콜 헤더의 상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따라 상기 제 4 내지 제 6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안다.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 전에 전송된 상기 제 1 및 제 2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가 X 바이트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 7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제 7 서비스 데이터 유닛 전에 전송된 상기 제 6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가 Y 바이트이고,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길이는 Z 바이트이고, 상기 손실된 제 4 내지 제 6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는 M=Y-X-Z가된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M은 274 바이트라고 가정된다. 3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손실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하나의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는 원리에 따라, 상기 3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헤더 오버헤드는 6 바이트이고,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280 바이트를 채워야 한다. 상기 기지국은 정확하게 수신하는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가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상기 손실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채우고 상기 기지국이 여전히 물리층의 손실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해 무선 리소스들을 할당하지만,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송신은 상기 대응하는 무선 리소스들 상에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 설명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정확하게 수신하는 다른 기지국들은 상기 대응하는 무선 리소스들 상에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한다.
도 9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제어 장치(900)의 구조적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900)는 제 1 결정 장치(901), 생성 장치(902), 삽입 유닛(903), 획득 유닛(904), 및 제 2 결정 장치(90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결정 유닛(905)은 선택적 장치이다.
도 9의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900)의 동작 처리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제 1 결정 유닛(901)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생성 유닛(902)은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결정 유닛(901)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 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 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상기 생성 유닛(902)은 상기 다음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의 데이터를 그러한 바이트에 삽입하고,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결정 유닛(901)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상기 생성 유닛(902)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길이에 따라 보통 길이 표시자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한다.
상기 제 1 결정 유닛(901), 생성 유닛(902), 및 삽입 유닛(903)의 다른 예의 동작 처리가 도 6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송신 용량이 101 바이트라고 가정하면, 상기 FI 필드 및 상기 SN 필드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는 1 바이트를 점유한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되는 3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길이는 각각 80, 97 및 97 바이트이다.
100 바이트 중 20 바이트가 상기 제 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삽입되기 전에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 또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세그먼트들에 의해 점유된다고 가정된다. 상기 제 1 결정 유닛(901)은 80바이트 길이의 제 1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단지 상기 제 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된다고 결정하고, 그 후 상기 생성 유닛(902)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LI1를 생성하고,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LI1를 삽입한다. 따라서, 2 바이트가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서 점유되고, 97 바이트 길이의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상기 제 1 결정 유닛(901)은 1 바이트만이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진다고 결정하고, 그 후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를 상기 제 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최종 바이트에 삽입하고, 상기 생성 유닛(902)은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상기 제 3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맨 앞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삽입 유닛(903)은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96 바이트의 나머지 세그먼트를 상기 제 3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고; 그 후, 상기 제 1 결정 유닛(901)은 2 바이트가 상기 제 3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아있다고 결정하고, 이어서 상기 생성 유닛(902)은 보통 길이 표시자, 즉 상기 제 3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96 바이트의 세그먼트에 대해 "00001100000"을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900)는 다른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길이 표시자들에 대한 값들은 표 1의 예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900)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정확하게 수신할 때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경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상술되었다. 이용자 디바이스는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900)의 삽입 방식에 따라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언팩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서 상기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900)의 처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 제공된다.
먼저, 상기 획득 유닛(903)은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의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획득한다. 상기 송신 윈도우는 시간 윈도우 또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의 윈도우일 수 있다.
eMBMS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획득 유닛(903)은 SYNC 프로토콜 헤더를 통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상기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획득한다.
상기 제 2 결정 유닛(905)은 상기 획득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들에 따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되었으면, 상기 제 2 결정 유닛(905)은 상기 손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 및 뒤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앞의 상기 수신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들 및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에 따라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 및 상기 대응하는 손실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삽입 유닛(903)은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대응하는 위치에 확장 비트 및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총 길이의 데이터 및 상기 길이 표시자의 길이의 데이터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상술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한 구현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들에 의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900: 동기화 제어 장치 901: 제 1 결정 장치
902: 생성 장치 903: 삽입 유닛
904: 획득 유닛 905: 제 2 결정 장치

Claims (14)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고, 각각의 길이 표시자는 확장 비트에 대응하며,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바이트 정렬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 상기 기지국에 의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 정렬을 위해,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 비트의 각 쌍에 대해 충전 공간(filling vacancy)이 삽입되는,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상기 기지국에 의해, 1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다음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의 데이터를 그 바이트에 삽입하고,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상기 기지국에 의해,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길이에 따라 보통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이전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 및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획득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들에 따라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이 손실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된 경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전후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이전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총 길이 및 상기 획득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들에 따라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 및 대응하는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총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기지국에 의해,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총 길이의 데이터, 및 상기 확장 비트와 상기 길이 표시자의 길이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는 시간 윈도우 또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의 윈도우인,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링크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2 바이트를 점유하는,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프레임 정보 필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포함하는,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제어 장치로서,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은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고, 각각의 길이 표시자는 확장 비트에 대응하고,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바이트 정렬되는,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 1 결정 유닛;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단부에 삽입되면,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유닛; 및
    상기 제 1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 정렬을 위해,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길이 표시자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 비트의 각 쌍에 대해 충전 공간(filling vacancy)이 삽입되는, 동기화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 유닛은 또한: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또한: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다음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제 1 바이트의 데이터를 그 바이트에 삽입하고,
    상기 생성 유닛은 또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1바이트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상기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 유닛은 또한:
    상기 제 2 특정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다음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동기화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정 유닛은 또한:
    -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생성 유닛은 또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된 후, 복수의 바이트들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남겨지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종 세그먼트 또는 상기 전체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길이에 따라 보통 길이 표시자를 생성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또한:
    상기 보통 길이 표시자 및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삽입하는, 동기화 제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이전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 및 각각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및
    상기 획득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에 따라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손실된 경우,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전후의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속하는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 이전의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 및 상기 획득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들에 따라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 및 대응하는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총 길이를 결정하는 제 2 결정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삽입 유닛은 또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손실된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총 길이의 데이터, 및 상기 확장 비트와 상기 길이 표시자의 길이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동기화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는 시간 윈도우 또는 무선 링크 제어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의 수의 윈도우인, 동기화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링크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상기 길이 표시자 및 상기 확장 비트는 2 바이트를 점유하는, 동기화 제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프레임 정보 필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 및 상기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확장 비트를 포함하는, 동기화 제어 장치.
KR1020127001408A 2009-06-22 2009-06-22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13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9/072383 WO2010148548A1 (zh) 2009-06-22 2009-06-22 控制eMBMS传输中下行数据同步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358A KR20130085358A (ko) 2013-07-29
KR101413029B1 true KR101413029B1 (ko) 2014-08-06

Family

ID=4338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408A KR101413029B1 (ko) 2009-06-22 2009-06-22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99468A1 (ko)
EP (1) EP2448341A4 (ko)
JP (1) JP5489252B2 (ko)
KR (1) KR101413029B1 (ko)
CN (1) CN102318414A (ko)
BR (1) BRPI0924671A2 (ko)
WO (1) WO2010148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266B2 (en) * 2013-09-03 2015-1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determining delay parameters for user data flow synchronization for eMBMS
US9526078B1 (en) 2015-01-26 2016-12-2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synchronize a single frequency network
US10313143B1 (en) * 2015-02-23 2019-06-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buffering in a single frequency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289A (ko) * 2005-05-04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미리 정의된 길이 지시자 정보를 이용해서 무선 자원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39304A (ko) * 2006-10-30 2008-05-07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헤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관련통신장치
US20080232404A1 (en) 2007-03-19 2008-09-25 Lg Electronic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for constant data rate service
WO2008113265A2 (fr) * 2007-03-21 2008-09-25 Alcatel Shanghai Bell Co., Ltd. Procédé, dispositif et station de base pour générer une unité de données de protoco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7589B (en) * 2005-05-18 2009-03-11 Innovative Sonic Ltd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segmen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GB0700750D0 (en) * 2007-01-15 200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CN101242402A (zh) * 2007-02-06 2008-08-13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构成无线链路控制层的协议数据单元的方法和装置
GB0711833D0 (en) * 2007-06-18 2007-07-25 Nokia Siemens Networks Oy A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ervices
KR101606205B1 (ko) * 2008-08-21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보고 유발 방법 및 수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289A (ko) * 2005-05-04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미리 정의된 길이 지시자 정보를 이용해서 무선 자원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39304A (ko) * 2006-10-30 2008-05-07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헤드를 설정하는 방법 및 관련통신장치
US20080232404A1 (en) 2007-03-19 2008-09-25 Lg Electronic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for constant data rate service
WO2008113265A2 (fr) * 2007-03-21 2008-09-25 Alcatel Shanghai Bell Co., Ltd. Procédé, dispositif et station de base pour générer une unité de données de protoc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31131A (ja) 2012-12-06
BRPI0924671A2 (pt) 2016-01-26
JP5489252B2 (ja) 2014-05-14
EP2448341A4 (en) 2016-05-11
US20120099468A1 (en) 2012-04-26
WO2010148548A1 (zh) 2010-12-29
CN102318414A (zh) 2012-01-11
KR20130085358A (ko) 2013-07-29
EP2448341A1 (en)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DU and base station thereof
US11006388B2 (en) Method for content synchronization when broadcast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8005085B2 (en) Method for distribution of data packets in a single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access network node, a base station and a single frequenc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
US7751403B2 (en) Selective combin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623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ransport stream packets
US20090052407A1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mmon to users
EP23205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processing of synchronously transmitted service data
US94446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media broadcast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428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ed mapping of data packets in an atsc data stream
CN109673021B (zh) 业务时延确定方法
KR101413029B1 (ko) Embms 송신에서 다운링크 데이터 동기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27052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EP4189891A1 (en) Communication system
US871809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sequence number, node B and service radio network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