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712B1 -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712B1
KR101411712B1 KR1020130026546A KR20130026546A KR101411712B1 KR 101411712 B1 KR101411712 B1 KR 101411712B1 KR 1020130026546 A KR1020130026546 A KR 1020130026546A KR 20130026546 A KR20130026546 A KR 20130026546A KR 101411712 B1 KR101411712 B1 KR 10141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hamber
brush
case body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5477A (en
Inventor
다카유키 이치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10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발생시킨 이온을 확실하게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흡입구체(바닥 브러시)(23)는, 흡입구(47)를 구비한 케이스체(31)를 갖는다. 바닥 브러시(23)는, 케이스체(31)의 흡입구(47)에 면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회전 브러시(49)를 갖는다. 바닥 브러시(23)는, 케이스체(31)에 회전 브러시(49)를 회전시키는 전동기(61)를 갖는다. 바닥 브러시(23)는, 케이스체(31)에 이온 발생기(85)를 갖는다. 바닥 브러시(23)는, 케이스체(31)에 전동기(61)에 의해 회전시켜 이온 발생기(85)로부터 발생된 이온을 외부로 송출하는 팬(66)을 갖는다.
An inhaler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capable of securely discharging generated ions to the outside while preventing an increase in size,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inhalation sphere.
The suction sphere (bottom brush) 23 has a case body 31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47. The floor brush 23 has a rotary brush 49 rotatably arranged facing the suction port 47 of the case body 31. The floor brush 23 has an electric motor 61 that rotates the rotary brush 49 on the case body 31. The bottom brush 23 has an ion generator 85 in a case body 31. The bottom brush 23 has a fan 66 for rotating the case body 31 by the electric motor 61 to discharge the ions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85 to the outside.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spher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housing having an inlet,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e suction body.

종래, 예를 들어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호스체와, 이 호스체에 접속되는 연장관과, 이 연장관에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를 구비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canister-type electric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containing an electric blower, a hose bod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n extension pipe connected to the hose body, .

그리고,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바닥 브러시의 선단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에 배치된 집진부에 진애를 포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irt and dust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brush by driving the electric blower to collect dirt and dust on the dust collecting part disposed in the cleaner main body.

그리고,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탈취나 대전에 의한 진애의 부유 및 부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를 청소기 본체에 구비함과 함께, 이 발생시킨 마이너스 이온을 공기 중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풍 팬을 구비한 것이 있다.In such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 order to prevent floating and attaching of dust by deodorization or electrification, an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is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generated negative ions are sent to the air And a blowing fan for blowing air.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8842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88422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6727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67276

그런데, 바닥 브러시를 바닥면 상에서 전후로 주행시켜 청소하면, 바닥 브러시와 바닥면의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바닥면에 진애가 부착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상기와 같은 이온 발생기를 바닥 브러시에 탑재함으로써, 발생시킨 마이너스 이온에 의해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시켜, 바닥면에 대한 진애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floor brush is moved back and forth on the floor surface and cleaned, the dust easily attaches to the floor surface due to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floor brush and the floor surface. Therefore, it is conceivable to mount the ion generator on the floor brush to electrically neutralize the dust by the generated negative ions, thereby preventing the dust from adhering to the floor surface.

그러나, 바닥 브러시에 있어서는, 송풍 팬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비록 송풍 팬을 배치할 수 있었다고 해도 바닥 브러시가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in the floor brush, it is not easy to take a sufficient space for arranging the blowing fan, and even if the blowing fan can be arranged, the floor brush has a problem in that it becomes larg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발생시킨 이온을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halation spher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hich can reliably send generated ions while preventing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는, 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흡입구에 면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와, 이 케이스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청소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케이스체에 배치된 이온 발생기와, 이 케이스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이온을 송출하는 팬을 갖는다.The suction sphere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case body having an inlet, a rotary cleaning body rotatably arranged facing the suction port of the case body, and a drive motor And an ion generator disposed in the case body, and a fan disposed in the case body and configured to rotate by the driving means to discharge ions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또한,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하고 있다.Further, the electric vacuum cleaner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containing an electric blower, and the suction ball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이에 의해,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발생시킨 이온을 확실하게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haler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an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inhalation sphere, which can surely send out the generated ions to the outside, while preventing an increase in size.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의 상측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흡입구체의 도 4의 I-I 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3은 상기 흡입구체를 도 4의 II-II 선을 따르는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4는 상기 흡입구체를 전방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side of a suction spher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of an embodiment is opened. Fig.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uctioning bowl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4;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suctioning bowl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4;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ction sphere from the fron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e suction ball.

이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와, 이 청소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풍로 형성체인 관부(13)를 갖고 있다.5,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1 includ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12, a tube porti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13).

청소기 본체(12)는, 피청소면으로서의 바닥면 상을 선회 및 주행 가능하고, 전동 송풍기(18), 이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제어부, 및 이들 전동 송풍기(18) 및 본체 제어부 등에 급전하기 위한 코드 릴 장치, 혹은 이차 전지 등의 전원부 등을 수용하고 있음과 함께,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도시하지 않은 집진부를 구비하고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2 has an electric blower 18, a main body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18, and an electric blower 18, And a power source unit such as a secondary battery or the like, as well as a dust collecting unit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18.

또한, 청소기 본체(12)의 전방부에는, 집진부에 연통됨과 함께 관부(13)의 기단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A main body suction port 19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collecting portion and to connect the base end of the tube portion 13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또한, 관부(13)는, 호스체(21)와, 이 호스체(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연장관(22)과, 이 연장관(2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23)를 구비하고 있다.The tube portion 13 includes a hose body 21 and an extension pipe 22 made of, for example, synthetic resin detachable from the hose body 21, And a bottom brush 23 as a bottom brush.

호스체(21)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부(25)와, 이 호스부(25)의 기단측(하류측)에 설치되고 본체 흡입구(19)에 접속되는 접속관부(26)와, 호스부(25)의 선단측(상류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27)를 갖고 있다.The hose body 21 has a flexible hose portion 25, a connecting pipe portion 26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downstream side) of the hose portion 25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And a handle operating portion 27 provided on the leading end side (upstream side)

손잡이 조작부(27)에는, 연장관(22)의 기단측(하류측)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이 손잡이 조작부(27)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28)가 기단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파지부(28)에는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모드를 본체 제어부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29)이 배치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side (downstream side) of the extension pipe 2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27. [ A gripper 28 gripped by the user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grip operating portion 27. The grip 28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blower 18 in the main controller And a setting button 29 are arranged.

이들 설정 버튼(29)은, 손잡이 조작부(27) 내에 수용된 도시하지 않은 기판 등을 갖는 전기부에 실장되어 있다.These setting buttons 29 are mounted on an electric part having a substrate or the like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handle operating part 27. [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3)는,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 즉 가로로 길게 형성된 케이스체(31)와, 이 케이스체(31)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연장관(22)(도 5)의 선단측(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관(32)을 구비하고 있다.1 to 4, the bottom brush 23 includes a case body 31 formed to be elonga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a horizontally elongated body, And a connection pipe 3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ide (upstream side) of the extension pipe 22 (Fig. 5).

케이스체(3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된 복수의 케이스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케이스체(31) 내부의 전방부에는, 접속관(32)의 상류측(전단측)과 연통되는 흡입실(41)이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The case body 31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ase members formed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 front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ase body 31 is provided with an upstream side A suction chamber 41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chamber 41 is formed in a lengthwise shape in the lateral direction.

이 흡입실(41)의 후방이고 또한 접속관(32)의 양측에 위치하고, 구동실(42)과 제어실(43)이 구획 형성되고, 구동실(42)의 일측방에 전달실(44)이 전후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구획 형성되고, 또한, 흡입실(41)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의 상방에 이온 발생실(45)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A drive chamber 42 and a control chamber 43 are partitioned and the transfer chamber 4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rive chamber 42. The transfer chamber 4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rive chamber 42, And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is formed abov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chamber 41 in the widthwise direction.

그리고, 이 케이스체(31)의 접속관(32)의 전단측(상류단측)의 양측 하부에는, 차륜(46)이 회전 가능하게 복수 배치되어 있고, 이들 차륜(46)에 의해,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가 피청소면 상을 전후 방향 등으로 이동(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바닥 브러시(23)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A plurality of wheels 46 are rotatably dispos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front end side (upstream end side) of the connecting pipe 32 of the case body 31, 31 (bottom brush 23) can move (travel)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r the like. Hereinafter,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fe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loor brush 23.

흡입실(41)은, 케이스체(31)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47)에 의해 하부가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실(41)은, 케이스체(31)의 상부에 형성된 흡진구(48, 48)에 의해 상부가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The bottom of the suction chamber 4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31 (bottom brush 23) by a suction port 47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body 31. The suction chamber 41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31 (the bottom brush 23) by suction ports 48, 48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body 31.

또한, 이 흡입실(41)에는,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49)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In the suction chamber 41, a rotary brush 49 as a rotary cleaning body is rotatably disposed.

흡입구(47)는, 전동 송풍기(18)(도 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 상의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것이며, 흡입실(41)의 하부 전체에 걸쳐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The suction port 47 sucks the dust and dir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18 (Fig. 5) together with the air, and is formed to be long along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chamber 41 have.

또한, 각 흡진구(48)는, 전동 송풍기(18)(도 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바닥 브러시(23)(케이스체(31))의 상방에 위치하는 공기 중의 진애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것이며, 길이 치수가 흡입구(47)의 길이 치수의 1/2보다도 작은 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입실(41)의 전후 방향의 후부 근방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Each of the suction ports 48 is configured to discharge dust or the like in the air located above the bottom brush 23 (housing body 31) by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driving the electric blower 18 (Fig. 5) And has a length dimension smaller than ½ of the length dimension of the suction port 47. The suction chamber 41 is formed at a position near the rear portion of the suction chamber 4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s opened upward have.

따라서, 각 흡진구(48)는, 흡입실(41)을 개재하여 흡입구(47)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각 흡진구(48)는, 흡입실(41) 내의 진공도가 필요 이상으로 저하되지 않도록 슬릿 형상으로 약간 개구되어 있다.Therefore, each of the suction ports 48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47 via the suction chamber 41. Each suction opening 48 is slightly opened in a slit shape so that the vacuum degree in the suction chamber 41 is not lowered more than necessary.

또한, 회전 브러시(49)는, 길이 형상으로 형성된 축부(51)와, 이 축부(51)의 양단부에 압입된 지지판으로서의 대략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52, 52)를 구비하고, 흡입구(47)에 면하고 있다.The rotary brush 49 is provided with a shaft portion 51 formed into a long shape and bearing portions 52 and 52 which are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which are press-fitted into both end portions of the shaft portion 51. The rotary brush 49 has a suction port 47, .

축부(51)는, 회전 브러시 조립이라고도 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혹은 합성 수지 등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로부터 돌출된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이 베어링부(52)에 삽입 관통되어 이들 베어링부(52)의 외부에 돌출되어, 케이스체(31)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The shaft portion 51 is also referred to as a rotary brush assembly. The shaft portion 5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by a metal such as aluminum or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The shaft portion (not shown) protruding from both ends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 52 A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se bearing portions 52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by bearings (not shown) fixed to the case body 31.

또한, 이 축부(51)의 외주에는, 양단 사이에 걸쳐, 복수의 홈부(56)가 주위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들 홈부(56)에는 청소 부재(57)의 기단측이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56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portion 51 and the base end side of the cleaning member 57 is provided in these grooves 56.

각 홈부(56)는, 축부(51) 주위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축부(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360° 비틀려 있다.Each of the groove portions 56 is formed around the shaft portion 51 in a spiral shap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groove portion is bent 360 degrees from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51 to the other end thereof.

또한, 각 청소 부재(57)는, 예를 들어 복수의 모 브러시(57a)를 벽 형상으로 구비하고 있고, 이 모 브러시(57a)가 나선 형상으로 되도록 축부(5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청소 부재(57)는, 모 브러시(57a)의 선단측이 흡입구(47)로부터 외부(하방)로 돌출되어 있다.Each of the cleaning members 57 has a plurality of brushes 57a in a wall shape and is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51 so as to have a helical shape. Each cleaning member 57 has its tip end protruded outward (downward) from the suction port 47.

또한, 구동실(42)은, 흡입실(41)에 대하여 기밀 또는 실질적으로 기밀하게 격리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실(42)에는, 회전 브러시(49)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동기(61)가 수납되어 있다.The drive chamber 42 is hermetically or substantially airtightly sealed to the suction chamber 41. The drive chamber 42 houses an electric motor 61 as a drive means for rotating and rotating the rotary brush 49.

이 전동기(61)는, 예를 들어 대략 원기둥 형상 등의 구동 수단 본체인 전동기 본체(63)와, 이 전동기 본체(63)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64)을 갖고 있으며, 회전축(64)의 일단측(도 1에 있어서 전동기(61)의 우측)에 회전체인 풀리(65)가 설치되고, 회전축(64)의 타단측(도 1에 있어서 전동기(61)의 좌측)에 팬(66)이 설치되어 있다.The electric motor 61 has an electric motor main body 63 as a driving means body such 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rotating shaft 64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A pulley 65 as a rotating body is provided on one end side (the right side of the electric motor 61 in Fig. 1) and a fan 66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the left side of the electric motor 61 in Fig. 1) Is installed.

또한, 이 구동실(42)은, 케이스체(31)의 후부에 형성된 연통 개구(67)를 통하여 바닥 브러시(23)(케이스체(31))의 후방측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음과 함께, 흡입실(41)의 상부로 신장되는 풍로부(68)를 통하여 이온 발생실(45)과 연통되어 있다.The drive chamber 42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rear side of the bottom brush 23 (case body 31) through a communication opening 67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body 31, And communicates with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through an air passage portion 68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chamber 41.

그리고, 전동기(61)는, 전동기 본체(63)의 외주에 설치된 한 쪽 및 다른 쪽 지지체(71, 72)를 개재하여 구동실(42)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전동기(61)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약 5000회전/분으로 구동된다.The electric motor 61 is held in the drive chamber 42 via one and the other of the support members 71, 72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 motor 61 is driven at, for example, about 5,000 rpm.

한쪽 지지체(71)는,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탄성(가요성) 및 통기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의 축방향의 중앙부 부근의 외주를, 지지체(71)의 내주측에서 보유 지지함과 함께, 지지체(71)의 외주측은 구동실(42)의 내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The one support 7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by a flexible member such as a sponge or the like and a member having air permeability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haft 61 of the electric motor 61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of the electric motor 6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upport body 71 is hel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 chamber 42. The support body 71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side of the support body 71,

다른 쪽 지지체(72)는, 예를 들어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가요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의 축방향의 일단(좌측)측의 외주를 지지체(72)의 내주측에서 보유 지지함과 함께, 지지체(72)의 외주측은 구동실(42)의 내면에 기밀하게 압접되어 있다.The other support 7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by a member having elasticity (flexibility) such as rubber or elastomer for example. The electric motor 61 (the motor main body 63 of the electric motor 61)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ing body 72 is hermetically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ing chamber 42 whi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one end (left side) in the axial direction is held on the inner periphery side of the supporting body 72.

따라서, 다른 쪽 지지체(72)는,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의 외주에 있어서, 구동실(42)을 좌우 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으로 되어 있다.The other support 72 is a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drive chamber 42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ic motor 61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of the electric motor 61).

이들 한 쪽 및 다른 쪽 지지체(71, 72)에 의해, 전동기(61)는 케이스체(31)(케이스체(31)의 구동실(42))에 대하여 방진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 고정되어 있다.The electric motor 61 is hel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protected against the case body 31 (the driving chamber 42 of the case body 31) by these one and the other supports 71 and 72.

풀리(65)는, 회전축(64)의 일단(우측)측과 함께 전달실(44) 내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이 풀리(65)의 외주에는, 회전 브러시(49)의 한쪽 베어링부(52)와의 사이에, 전달 수단으로서의 타이밍 벨트(73)가 감아 걸려 있다.The pulley 65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ey 65 and is connected to one bearing portion 52 of the rotary brush 49, A timing belt 73 as a transmission means is wrapped around.

이로 인해, 전동기(61)의 회전에 의해 회전 브러시(49)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 result, the rotating brush 49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61.

또한, 이 전동기(61)는, 접속관(32)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12)측으로부터 급전되어 있고, 예를 들어 회전 브러시(49)를 전방을 향하여, 즉 상부가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방향(하부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바닥 브러시(23)(케이스체(31))의 전진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이 제어된다.The electric motor 61 is supplied from the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2 through the connecting pipe 32. The electric motor 61 is driven by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2 side to the front side of the rotary brush 49,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move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brush 23 (case body 31) advances.

팬(66)은, 전동기(61)의 회전으로, 연통 개구(67)를 통하여 바닥 브러시(23)(케이스체(31))의 후방측의 외부로부터 공기(외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에 의해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를 냉각함과 함께, 이 공기를, 풍로부(68)를 통하여 이온 발생실(45)로 송출하는 송풍 팬(축류 팬)이다.The fan 66 sucks air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of the rear side of the bottom brush 23 (housing body 31)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67 by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61, Is a blowing fan (axial fan) for cooling the electric motor 61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of the electric motor 61) and for sending the air to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through the air passage portion 68 .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풀리(65)와 팬(66)은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동일한 회전 수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회전축(64)의 타단(좌측)측을 기어 등의 동력 전달부를 개재하여 팬(66)에 접속함으로써, 팬(66)의 회전 수 및 회전 방향을 풀리(65)와 임의로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lley 65 and the fan 66 are configured to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and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the other end (left side) of the rotating shaft 64 may be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make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an 66 different from that of the pulley 65 by connecting to the fan 66 intervening therebetween.

연통 개구(67)에는, 구동실(42)의 내측에 구동실 필터(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 개구(67)에는, 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의 외주가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A drive chamber filter (75) is provided inside the drive chamber (42) in the communication opening (67).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of the electric motor 61 is located opposite to the communication opening 67. [

풍로부(68)는, 구동실(42)에 있어서의 접속관(32)측의 위치로부터, 이온 발생실(45)의 일방측의 위치로 경사 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이 풍로부(68)는, 팬(66)에 의해 송출되는 공기의 상류측인 구동실(42)측으로부터 공기의 하류측인 이온 발생실(45)측으로, 서서히 풍로 면적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air passage portion 68 extends in an oblique shape from a position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tube 32 in the drive chamber 42 to a position on one side of the ion generation chamber 45. The air passage portion 68 is formed such that the air passage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drive chamber 42 side upstream of the air delivered by the fan 66 to the ion generation chamber 45 side downstream of the air .

제어실(43)은, 제어실(43)의 전방부에 형성한 연통 개구부(77)를 개재하여 흡입실(41)에 연통되어 있다. 이 연통 개구부(77)는, 케이스체(31)의 전달실(44) 형성 위치(우측)와 반대측 위치(좌측)에 형성되고, 회전 브러시(49)의 다른 쪽(좌측)의 베어링부(52)와 대향하고 있다.The control chamber 43 i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chamber 41 via a communication opening 77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rol chamber 43. The communication opening portion 77 is formed at a position (left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 (right side) where the transfer chamber 44 is formed in the case body 31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left) bearing portion 52 ).

이 연통 개구부(77)에는, 제어실(43)의 내측에 제어실 필터(7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실(43) 내에는, 전동기(61)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81)과, 바닥 브러시(23)(케이스체(31))가 바닥면 위에 놓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지 검출 수단인 안전 장치(82)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In the communication opening 77, a control chamber filter 78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 chamber 43. The control chamber 43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81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61 and the like and a control mean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loor brush 23 (case body 31) And a safety device 82, which is a means.

그리고, 이 제어실(43)은, 흡입실(41)의 상부로 신장되는 연통 풍로부(83)를 개재하여 이온 발생실(45)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어실(43)은, (연통 풍로부(83) 및 이온 발생실(45)을 개재하여) 구동실(42)과 연통되어 있다.The control chamber 4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through a communication air passage portion 83 extending upward from the suction chamber 41. Therefore, the control chamber 4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ive chamber 42 (via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portion 83 and the ion generation chamber 45).

제어 수단(81)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이며, 접속관(32)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12)측으로부터 급전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81)은, 전동기(61) 및 안전 장치(82)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control means 81 is, for example, a microcomputer, and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from the cleaner main body 12 side via the connecting pipe 32. The control means 8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61 and the safety device 82 and the like.

연통 풍로부(83)는, 제어실(43)의 접속관(32)측의 위치로부터, 이온 발생실(45)의 타방측의 위치로 경사 형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 풍로부(83)는, 팬(66)에 의해 송출된 공기의 상류측인 이온 발생실(45)측으로부터 공기의 상류측인 제어실(43)측으로, 서서히 풍로 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portion 83 extends in an oblique shape from the position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32 of the control chamber 43 to the pos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portion 83 is formed such that the air passage area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side upstream of the air delivered by the fan 66 to the control chamber 43 side upstream of the air .

이온 발생실(45)은, 흡입실(41)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흡입실(41)에 대하여 기밀 또는 실질적으로 기밀하게 격리되어 있다.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is located above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chamber 41 and is hermetically or substantially airtightly isolated from the suction chamber 41.

이온 발생실(45)에는, 이온 발생기(85)가 수납되어 있다. 이온 발생기(85)는,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하기 위한 이온 I를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시키는 전극(85a)을 갖고, 제어 수단(8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 제어 수단(8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In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an ion generator 85 is accommodated. The ion generator 85 has an electrode 85a for generating ions I for electrically neutralizing dust, for example, by corona discharge. The ion generator 8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81, As shown in Fig.

또한, 이온 발생실(45)은, 전방을 향하여 케이스체(31)의 상측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부, 즉 흡진구(48, 48) 사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온 방출 구멍인 복수의 배출 구멍(86)에 의해 케이스체(31)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46 which are ion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case body 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between the suction ports 48, And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31 by a hole 86.

즉, 복수의 배출 구멍(86)에 의해, 이온 발생기(85)에 의해 발생된 이온 I는, 케이스체(31)의 전방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86 are configured so that the ions I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85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31.

또한, 이온 발생기(85)는,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할 수 있으면 마이너스 이온, 플러스 이온 중 어떤 이온을 발생시켜도 좋지만, 일반적으로 진애는 플러스로 대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마이너스 이온 발생기로 한다.The ion generator 85 may generate any of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as long as the dust can be electrically neutralized. Generally, dust is charged positively in many case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Negative ion generator.

이어서, 상기 일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시에는,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에 호스체(21)의 접속관부(26)를 접속하고, 호스체(21)의 손잡이 조작부(27)에 연장관(22)을 접속하고, 연장관(22)에 바닥 브러시(23)의 접속관(32)을 접속한다.1 to 5, at the time of cleaning, the connection pipe portion 26 of the hose body 21 is connected to the main intake port 19 of the cleaner main body 12, The extension pipe 22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7 and the connection pipe 32 of the floor brush 23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2. [

이 결과, 바닥 브러시(23)가, 연장관(22), 호스체(21), 본체 흡입구(19) 및 집진부를 개재하여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된다.As a result, the floor brush 2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18 via the extension pipe 22, the hose body 21,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사용자는, 전원부에 의해 급전 가능한 상태로 한 후, 파지부(28)의 원하는 설정 버튼(29)을 조작함으로써, 본체 제어부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원하는 동작 모드에서 기동시킴과 함께, 제어 수단(81)이 이온 발생기(85)를 구동시켜 전극(85a)에서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I를 발생시킨다.The user operates the desired setting button 29 of the gripper 28 to start the electric blower 18 in the desired operation mode through the main body control unit after the power supply unit is enabled to feed the electric power, The ion generator 81 drives the ion generator 85 to generate the ions I by the corona discharge at the electrode 85a.

또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부압이 집진부, 본체 흡입구(19), 호스체(21), 연장관(22) 및 바닥 브러시(23)에 순차 작용함과 함께, 이온 발생기(85)에 의해 발생한 이온 I가 이온 발생실(45) 내에 충만하고, 그 일부가 배출 구멍(86)으로부터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외부, 즉 외기로 배출된다.A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the hose body 21, the extension pipe 22 and the bottom brush 23 in succession by the drive of the electric blower 18 and the ion generator 85, The ions I generated by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are filled in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and a part thereof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86 to the outside of the case body 31 (bottom brush 23)

배출된 이온 I는, 바닥면 및 케이스체(31)의 외면 등에 부착된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함으로써, 이들 진애는, 대전에 의해 바닥면 및 케이스체(31)의 외면 등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The discharged ions I are electrically neutralized on the bottom surface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body 31, and these dusts are har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body 31 by charging.

또한,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 위에 놓고 전후로 주행시킴으로써, 흡입구(47)로부터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함과 함께, 흡진구(48, 48)로부터 공기 중의 진애 및 이온 발생기(85)에 의해 발생된 이온 I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The dust and dirt in the air and the ion generator 85 are discharged from the suction ports 48 and 48 while the user draws the dust and dirt from the suction port 47 together with the floor brush 23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ravels back and forth. And the ion I generated by the ai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바닥 브러시(23)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된 진애는, 접속관(32), 연장관(22), 호스체(21), 본체 흡입구(19)를 통하여 집진부에 흡입된다. 이때, 흡입된 이온 I에 의해 회전 브러시(49), 접속관(32), 연장관(22), 호스체(21) 및 본체 흡입구(19) 등의 각 부에 부착된 진애가 전기적으로 중화됨으로써, 미세한 진애(미세 먼지)가 박리되기 쉬워진다.Dust sucked together with air from the floor brush 23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part through the connecting pipe 32, the extension pipe 22, the hose body 21, and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At this time, dusts attached to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rotary brush 49, the connecting pipe 32, the extension pipe 22, the hose body 21, and the main body suction port 19 are electrically neutralized by the sucked ions I, Fine dust (fine dust) is liable to peel off.

집진부에 흡입된 진애는 공기와 분리되어 포집되고, 진애와 분리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18)에 흡입되어 전동 송풍기(18)를 냉각한 후, 배기풍으로 되어, 청소기 본체(12)의 외부로 배기된다.The air drawn into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s separated and collected from the air and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s sucked into the electric blower 18 to cool the electric blower 18, .

또한, 청소 시에,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종류가 플로어링인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설정 버튼(29)을 조작하여 회전 브러시(49)를 회전 구동시킨다.Further, at the time of cleaning,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flooring, the setting button 29 is operated to rotate the rotary brush 49 as necessary.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81)을 통하여 전동기(61)를 구동시키면, 전동기(61)의 회전축(64)의 일단측에 접속된 풀리(65)에 타이밍 벨트(73)를 개재하여 접속된 회전 브러시(49)가 흡입실(41) 내에서 전방으로 회전한다. 또한, 전동기(61)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64)의 타단측에 접속된 팬(66)이 회전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electric motor 61 is driven through the control means 81,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pulley 65 connected to the one end side of the rotary shaft 64 of the electric motor 61 via the timing belt 73 The brush 49 rotates forward in the suction chamber 41. [ Further, by driving the electric motor 61, the fan 66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64 rotates.

회전 브러시(49)는, 각 청소 부재(57)의 각 모 브러시(57a)에 의해 바닥면의 진애를 쓸어낸다. 또한, 팬(66)은, 회전에 의해 부압을 발생시켜, 연통 개구(67)로부터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The rotary brush 49 sweeps the dust on the floor surface by the respective brushes 57a of the cleaning members 57. [ The fan 66 generates a negative pressure by rotation and sucks air outside the case body 31 (bottom brush 23) from the communication opening 67.

흡입한 공기는, 구동실 필터(75)를 통하여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에 분사되어 이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를 냉각하면서, 팬(66)에 의해 풍로부(68)를 통하여 이온 발생실(45)로 보내진다.The sucked air is injected into the motor main body 63 of the motor 61 (the motor 61) through the drive chamber filter 75 and the motor main body 63 of the motor 61 (the motor 61) And is sent to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through the air passage portion 68 by the fan 66 while cooling.

따라서, 이 보내진 공기에 의해, 이 이온 발생실(45) 내에 충만되어 있는 이온 I가 이 이온 발생실(45) 내의 공기와 함께 배출 구멍(86)으로부터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외부로 강제적이면서 또한 계속적으로 송출된다.The ion I filled in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86 to the case body 31 (the bottom brush 23) together with the air in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 And is transmitted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또한, 이온 발생실(45) 내의 이온 I의 일부는, 연통 풍로부(83)를 통하여 제어실(43)에 보내어져 제어실(43) 내에 충만하여, 제어 수단(81) 및 안전 장치(82) 등에 진애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한다.A part of the ions I in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is sent to the control chamber 43 through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portion 83 to be filled in the control chamber 43 and is supplied to the control means 81 and the safety device 82 Thereby suppressing the adhesion of dust.

계속해서, 제어실 필터(78)를 통과하여 연통 개구부(77)로부터 흡입실(41)로 송출되면,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흡입실(41) 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의 접속관(32)으로 유입한다.Subsequently,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control chamber filter 78 and is sent from the communication opening 77 to the suction chamber 41,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e of the electric blower 18 causes the inside of the suction chamber 41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connecting pipe 32 at the center portion.

이때, 이온 I가 흡입실(41)의 내벽 및 회전 브러시(49)에 부착된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하여, 이들 흡입실(41)의 내벽 및 회전 브러시(49)에 부착된 진애를 박리되기 쉽게 한다.At this time, the ions I electrically neutralize the dust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chamber 41 and the rotary brush 49, and the dust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chamber 41 and the rotary brush 49 is easily peeled off do.

또한, 흡진구(48, 48)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실(41) 내에 흡입된 외기 중의 이온 I의 일부는, 회전 브러시(49)의 회전을 따라, 흡입실(41) 내를 회전 브러시(49)의 후방으로부터 상방 및 전방을 통하여 하부 후방으로 운반되고, 흡입실(41) 및 회전 브러시(49)에 부착된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하여 흡입실(41)의 내벽 및 회전 브러시(49)로부터 박리되기 쉽게 한 후, 접속관(32)으로 흐른다.A part of the ions I in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chamber 41 together with the air from the suction ports 48 and 48 is blown into the suction chamber 41 alo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brush 49 by the rotary brush 49 So that the dust and dirt attached to the suction chamber 41 and the rotary brush 49 are electrically neutralized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chamber 41 and the rotary brush 49, And then flows to the connection pipe 32. [

청소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설정 버튼(29)을 조작하여 본체 제어부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킴과 함께, 제어 수단(81)을 통하여 이온 발생기(85)를 정지시킨다. 또한, 전동기(61)(회전 브러시(49) 및 팬(66))가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81)이 전동기(61)(회전 브러시(49) 및 팬(66))도 정지시킨다.When the cleaning is finished, the setting button 29 is operated to stop the motor-driven blower 18 through the main body control unit, and the ion generator 85 is stopped through the control unit 81. Further, when the electric motor 61 (the rotary brush 49 and the fan 66) is driven, the control means 81 also stops the electric motor 61 (the rotary brush 49 and the fan 66) .

이상 설명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바닥 브러시(23)에 설치한 회전 브러시(49)를 회전시키는 전동기(61)에 의해, 이온 발생기(85)에 의해 발생시킨 이온 I를 송출하기 위한 팬(66)을 회전시킴으로써, 팬(66)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 등을 케이스체(31) 내에 별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닥 브러시(23)(케이스체(31))를 대형화하지 않고, 발생시킨 이온 I를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The fan 66 for sending out the ions I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85 is provided by the electric motor 61 that rotates the rotary brush 49 provided on the floor brush 23, It is not necessary to dispose the electric motor or the like for rotating the fan 66 in the case body 31 separately by rotating the bottom brush 23 (housing body 31) Can be reliably transmitted.

특히, 회전 브러시(49)를 전동기(61)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면, 각 청소 부재(57)(각 청소 부재(57)의 모 브러시(57a))와 바닥면의 마찰에 의해 바닥면 및 청소 부재(57)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이 회전 브러시(49)를 전동기(61)에 의해 회전 구동시킨 타이밍에 이온 발생기(85)로부터 발생시킨 이온 I를 이온 발생실(45)로부터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회전 브러시(49)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를 이온 I에 의해 효과적으로 중화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rotary brush 49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motor 61, fric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each cleaning member 57 (the brush 57a of each cleaning member 57) The ions I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85 at the timing of rotating the rotary brush 49 by the motor 61 from the ion generating chamber 45 to the case body 31) (the bottom brush 23),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rotary brush 49 can be effectively neutralized by the ions I.

게다가, 팬(66)의 회전에 의해 흡입한 공기에 의해 전동기(61)(전동기(61)의 전동기 본체(63))를 냉각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전동기(61)의 발열에 의한 효율의 저하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motor 61 (the electric motor main body 63 of the electric motor 61) is cooled by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66, a reduction in the efficiency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61 It can be surely suppressed.

특히, 전기 청소기(11)에 사용하는 회전 브러시(49)는, 전동기(61)에 의해 통상 5000회전/분 정도의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이 전동기(61)의 회전을 이용하여 팬(66)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온 I를 송출하여 전동기(61)를 냉각하는 기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rotary brush 49 used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1 is rotationally driven at a high speed of about 5000 revolutions / minute by the electric motor 61, the rotation of the fan 66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air flow for cooling the electric motor 61 by sending out the ions I.

또한, 이온 발생기(85)에 의해 발생시킨 이온 I의 일부를, 팬(66)의 회전에 의해 이온 발생실(45)로 보내진 공기에 의해 케이스체(31) 내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실(43)로 보내어 진애를 전기적으로 중화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 등에 의해 케이스체(31)가 약간의 간극 등으로부터 진애(미세 먼지)가 제어실(43) 내 등으로 흡입된 경우에도, 이 제어실(43) 내의 제어 수단(81) 및 안전 장치(82) 등에의 진애(미세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A part of the ions I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85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case body 31,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chamber 43 (Fine dust) from the slight gap or the like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chamber 43 or the like due to a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18 or the like by electrically neutralizing the dust, It is possible to suppress dust (fine dust) from adhering to the control means 81 and the safety device 82 or the like in the control room 43 even when it is inhaled.

그리고, 제어실(43)과 흡입실(41)을 연통 개구부(77)에 의해 연통함으로써, 제어실(43)로 보내진 이온 I가 연통 개구부(77)로부터 흡입실(41)로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The control chamber 43 and the suction chamber 41 are communicated by the communication opening 77 so that the ions I sent to the control chamber 43 can be reliably sent from the communication opening 77 to the suction chamber 41 .

그리고, 이 연통 개구부(77)를 흡입실(41)의 전달실(44) 형성 위치와는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흡입실(41) 내의 이온 I가 접속관(32)에 흡입될 때에, 이 이온 I를 흡입실(41) 및 회전 브러시(49)를 따라 보다 넓은 범위에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By disposing the communication opening 77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transfer chamber 44 is formed in the suction chamber 41,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18 allows the ion in the suction chamber 41 The ions I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wider range along the suction chamber 41 and the rotary brush 49 when the ion I is sucked into the connection pipe 32. [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동실(42)에 연통되는 각종 풍로를 케이스체(31) 내에 형성함으로써, 팬(66)에 의해 케이스체(31) 내의 원하는 개소에 이온 I를 송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various types of air passages communicating with the drive chamber 42 are formed in the case body 31, so that the fan 66 is configured to send the ions I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case body 31 Maybe.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 형상의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23)를 접속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본체(12)에 바닥 브러시(23) 등이 직접 접속되어 이 청소기 본체(12)를 들어 나르면서 청소하는 핸디형 등에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1 is not limited to the canister type but may be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body 12 having a bottom brush 23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2 A floor brush 23 and the lik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to carry and clea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Further,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is embodiment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is new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is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 전기 청소기
12: 청소기 본체
18: 전동 송풍기
23: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
31: 케이스체
47: 흡입구
49: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
61: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동기
66: 팬
85: 이온 발생기
11: Electric cleaner
12: Cleaner main body
18: Electric blower
23: Floor Brush as Suction Sphere
31: Case body
47: inlet
49: rotary brush as rotary cleaning body
61: electric motor as driving means
66: Fans
85: Ion generator

Claims (5)

흡입구를 구비한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상기 흡입구에 면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청소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케이스체에 배치된 이온 발생기와,
상기 케이스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이온을 송출하는 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A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A rotatable cleaning body rotatably disposed on the suction port of the case body,
A drive means disposed in the case body for rotating the rotary cleaning body,
An ion genera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 fan disposed in the housing for discharging ions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by being rotated by the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수단을 냉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The suction inle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means is cooled by rotation of the fa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이온의 일부를 상기 케이스체 내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The suction aspirator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an sends part of the ions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to the inside of the casing.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containing an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제3항에 기재된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containing an electric blower,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KR1020130026546A 2012-03-15 2013-03-13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4117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58928 2012-03-15
JP2012058928A JP5872339B2 (en) 2012-03-15 2012-03-15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477A KR20130105477A (en) 2013-09-25
KR101411712B1 true KR101411712B1 (en) 2014-06-25

Family

ID=4912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46A KR101411712B1 (en) 2012-03-15 2013-03-13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72339B2 (en)
KR (1) KR101411712B1 (en)
CN (1) CN10330079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7467A (en) * 2013-09-25 2014-01-29 吴江市千千和纺织有限公司 Dust sucking device used for spinning
JP6643796B2 (en) * 2014-08-28 2020-02-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body
DE102015108052B4 (en) * 2015-05-21 2020-02-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uction nozzle for the collection of coarse and fine dust
DE102015108051B4 (en) * 2015-05-21 2019-08-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Hard floor nozzle for coarse material and fine dust absorption
DE102015108050A1 (en) * 2015-05-21 2016-11-2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uction nozzle for holding coarse material and fine dust
JP6554334B2 (en) * 2015-06-09 2019-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Suction port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6710513B2 (en) * 2015-10-14 2020-06-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Suction mouth and vacuum cleaner
JP6907985B2 (en) * 2018-03-26 2021-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Suctions and vacuum clean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4215A (en) 2002-11-05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JP2005211185A (en) 2004-01-28 2005-08-11 Sharp Corp Vacuum cleaner and suction port body
KR20080104792A (en) * 2007-05-29 2008-12-03 설숙희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having anion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869A (en) * 1998-09-09 2000-03-28 Hitachi Ltd Vacuum cleaner
JP2003250723A (en) * 2002-03-04 2003-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2004288511A (en) * 2003-03-24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fication removing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39758B1 (en) * 2004-01-29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arpet cleaner
JP4823875B2 (en) * 2006-11-29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suction port
US8214968B2 (en) * 2008-01-17 2012-07-10 Bissell Homecare, Inc. Vacuum accessory tool
DE102008063053A1 (en) * 2008-12-23 2010-07-01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g Cleaning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CN201481320U (en) * 2009-08-20 2010-05-26 雅基实业有限公司 Roller type brush broom with positive and negative ion generators and dust collector head
KR20110067853A (en)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nozz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4215A (en) 2002-11-05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JP2005211185A (en) 2004-01-28 2005-08-11 Sharp Corp Vacuum cleaner and suction port body
KR20080104792A (en) * 2007-05-29 2008-12-03 설숙희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having anion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00793A (en) 2013-09-18
CN103300793B (en) 2016-12-28
JP2013188444A (en) 2013-09-26
KR20130105477A (en) 2013-09-25
JP5872339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12B1 (en)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EP1604603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KR100849778B1 (en) Electric cleaner and suction mouth body
JP409726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1604602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JP2013031550A (en) Rotary cleaning body,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2016182190A (en) Vacuum cleaner
JP6710513B2 (en) Suction mouth and vacuum cleaner
JP6105886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JP6643796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body
JP6662573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body
JP2013031551A (en) Vacuum cleaner and suction port body of the same
US10856713B2 (en) Cleaner head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7160524B2 (en) Suction mouthpiece and vacuum cleaner
JP2007252642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2015192876A (en) cleaning robot
JP2007252644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6404642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port
JP6890046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CN118102958A (en) Vacuum cleaner
JP2017144054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JP6668192B2 (en) Suction body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230045975A (en) Cleaning apparatus for viehicle
JP5766862B2 (en) Cleaning robot
JP2001204659A (en) Inlet body and circulation-type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