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321B1 -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321B1
KR101410321B1 KR1020130000425A KR20130000425A KR101410321B1 KR 101410321 B1 KR101410321 B1 KR 101410321B1 KR 1020130000425 A KR1020130000425 A KR 1020130000425A KR 20130000425 A KR20130000425 A KR 20130000425A KR 101410321 B1 KR101410321 B1 KR 101410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tance information
radio frequency
marker
dimensio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국진
김영수
김상일
조영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0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4Speech recognition using non-acoustical features
    • G10L15/25Speech recognition using non-acoustical features using position of the lips, movement of the lips or face analy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입 주변의 특징점 인식을 위하여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 상기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발생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에 매핑되는 음절을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ILENT VOICE RECOGNITION AND SPEAKING}
본 발명은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에 매핑되는 음절을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아자들은 수화를 사용하여 의사 소통을 하거나 글로써 의사 소통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상인들은 수화에 익숙하지 못하며, 글로서 의사 소통을 하는 것도 불편한 점이 많았다. 왜냐하면 정상인은 귀로 듣고 말로 하는 의사 소통에 더욱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수화나 글과 같은 의사 소통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또한, 농아자들과 전화를 통하여 대화를 하는 것은 의사 소통보다 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화를 이용한 통화는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글씨나 표정, 손짓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존의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의사 소통 장치들은 사용되는 분야가 극히 제한적이고, 또한 정상인을 위한 간단한 응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음성 인식과 음성 합성이 실시간적으로 처리되기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8-0068241호에는 농아자를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농아자는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를 입력하면, 음성 합성을 통해 얻어진 음성을 음성 출력 장치로 내보내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농아나 청각 장애인이 의사 전달을 위해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해야만 하므로 번거롭고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에 매핑되는 음절을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입 주변의 특징점 인식을 위하여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 상기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발생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음성발성 학습시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해당 음절에 대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b)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는 단계; 및 (d)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인식된 음절에 매핑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에 매핑되는 음절을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발성 학습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또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음성인식 및 발성방법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과,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를 포함한다.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은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을 할 때 입 주변의 특징점 인식을 위하여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이 부착되거나 삽입된다. 여기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마커는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할 때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신한다.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는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로부터 수신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해당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2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성발성 학습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예를 들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 " 또는 주어진 특정 예시문을 음절 단위로 무성으로 발성하는 경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에서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로부터 해당 음절에 대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음성발성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서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의 또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는 전원부(21)와, 데이터 수집부(22)와, 신호처리부(23)와, 음성발생장치 제어부(24)와, 스피커(25)와, 무선주파수(RF) 통신모듈(26)을 포함한다.
전원부(21)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데이터 수집부(22)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할 때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a,10b,10c)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부(22)는 마커 무선주파수(RF) 모듈(22a,22b,22c)과, 디지털데이터 변환모듈(23a,23b,23c)을 포함한다.
마커 무선주파수(RF) 모듈(22a,22b,22c)은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a,10b,10c)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무선으로 통신한다. 마커 무선주파수(RF) 모듈(22a,22b,22c)은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할 때 상기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RF) 마커들(10a,10b,10c)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신한다.
디지털데이터 변환모듈(23d,23e,23f)은 상기 마커 무선주파수(RF) 모듈(22a,22b,22c)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마커 무선주파수(RF) 모듈(22a,22b,22c)에서 각각 수신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신호처리부(23)는 데이터 수집부(22)의 디지털데이터 변환모듈(23d,23e,23f)에서 각각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스피커(25)를 통해 출력한다.
신호처리부(23)는 신호처리모듈(23a)과, 무성음성 인식모듈(23b)과, 음성신호 입출력 모듈(23c)을 포함한다.
신호처리모듈(23a)은 데이터 수집부(22)의 디지털데이터 변환모듈(23d,23e,23f)에서 각각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작업을 수행한다.
무성음성 인식모듈(23b)은 신호처리모듈(23a)에서 필터링 작업이 완료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무성음성 인식모듈(23b)에서 필터링 작업이 완료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는 방법은, 도 2에 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음성발성 학습시 기저장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해당 음절을 인식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음성신호 입출력 모듈(23c)은 무성음성 인식모듈(23b)에서 인식되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음성발생장치 제어부(24)는 음성신호 입출력 모듈(23c)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25)를 통해 출력한다.
무선주파수(RF) 통신모듈(26)은 음성신호 입출력 모듈(23c)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다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30)로 전송하고, 다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30)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 입출력 모듈(23c)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농아나 청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안경에 내장되어 농아나 청각 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이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군사 훈련 중에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가 내장된 무전기를 통하여 의사 소통을 하는 경우에도 군인이 소리가 나지 않게 무성으로 발성을 하면 본 발명의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에서 군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이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국가의 사람들이 모여 회의를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를 이용하면 입 모양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매핑되는 음성신호가 번역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되므로 통역사가 필요 없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음성인식 및 발성방법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음성발성 학습시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해당 음절에 대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S10)한다.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S20)한다.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S30)한다. 이때,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이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음성발성 학습시 기저장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인지를 판단하여 인식한다.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인식된 음절에 매핑되는 음성신호를 출력(S40)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 20: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21: 전원부 22: 데이터 수집부
23: 신호처리부 24: 음성발생장치 제어부
25 : 스피커 26: 무선주파수 통신모듈

Claims (7)

  1.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로서,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입 주변의 특징점 인식을 위하여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
    상기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발생장치 제어부;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다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무선주파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상기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는 복수개의 무선주파수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무선주파수 모듈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상기 복수개의 무선주파수 모듈에서 수신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각각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디지털데이터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디지털데이터 변환모듈에서 각각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모듈;
    상기 신호처리모듈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여 해당 음절에 대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무성음성 인식모듈; 및
    상기 무성음성 인식모듈에서 인식되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성음성 인식모듈은,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이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음성발성 학습시 기저장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인지를 판단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6.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방법으로서,
    (a)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음성발성 학습시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해당 음절에 대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b)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무성으로 발성시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의 입 주변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복수개의 수동형 무선주파수 마커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을 인식하는 단계; 및
    (d)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인식된 음절에 매핑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는 상기 수집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이 상기 농아 및 청각장애인이 음성발성 학습시 기저장된 각 마커의 3차원 거리 정보에 대한 특징점 데이터에 매핑되는 음절인지를 판단하여 인식하는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방법.
  7. 삭제
KR1020130000425A 2013-01-03 2013-01-03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KR101410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25A KR101410321B1 (ko) 2013-01-03 2013-01-03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25A KR101410321B1 (ko) 2013-01-03 2013-01-03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321B1 true KR101410321B1 (ko) 2014-06-27

Family

ID=5113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425A KR101410321B1 (ko) 2013-01-03 2013-01-03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4121A (zh) * 2021-05-25 2021-08-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声语音识别方法、装置、介质、耳机及电子设备
KR20230139004A (ko) 2022-03-25 2023-10-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다를 이용한 무성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93A (ja) * 1983-06-21 1985-01-1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口唇情報解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93A (ja) * 1983-06-21 1985-01-1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口唇情報解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4121A (zh) * 2021-05-25 2021-08-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声语音识别方法、装置、介质、耳机及电子设备
CN113314121B (zh) * 2021-05-25 2024-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声语音识别方法、装置、介质、耳机及电子设备
KR20230139004A (ko) 2022-03-25 2023-10-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다를 이용한 무성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96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synthesize voice based on facial structures
US20170243582A1 (en) Hearing assistance with automated speech transcription
JP4439740B2 (ja) 音声変換装置及び方法
WO2018107489A1 (zh) 一种聋哑人辅助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04123932A (zh) 一种语音转换系统及方法
WO2017195775A1 (ja) 手話会話支援システム
KR20160093529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US201700243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lation of sign languages into synthetic voices
JP2019208138A (ja) 発話認識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hanjal et al. Tools and technique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people
KR101410321B1 (ko) 무성음성인식 및 발성장치 및 방법
KR20210124050A (ko) 자동 통역 서버 및 그 방법
KR102037789B1 (ko) 로봇을 이용한 수화통역시스템
CN104427125A (zh) 一种接听来电的方法及移动终端
EP1336947B1 (en) Learning method and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articulation movements during speech
KR102000282B1 (ko) 청각 기능 보조용 대화 지원 장치
KR101906549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CN111562815A (zh) 无线头戴装置及语言翻译系统
CN110191387A (zh) 耳机的自动启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03325B (zh) 文本转3d音频的方法及装置
CN116665643B (zh) 韵律标注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102330496B1 (ko) 음성인식 방법 및 장치
WO202317112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0184077A (ja) ドアホンシステム
Sehgal et al. Speech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