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250B1 -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250B1
KR101410250B1 KR1020120103311A KR20120103311A KR101410250B1 KR 101410250 B1 KR101410250 B1 KR 101410250B1 KR 1020120103311 A KR1020120103311 A KR 1020120103311A KR 20120103311 A KR20120103311 A KR 20120103311A KR 101410250 B1 KR101410250 B1 KR 101410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ulverized
soil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775A (ko
Inventor
박준홍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2010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2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펄라이트(perlite),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도용 상토,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도용 상토를 이용한 볍씨의 파종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Bed soil for rice seeding for the growth control of microorganism and rhizosphere reinforc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펄라이트(perlite),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도용 상토,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도용 상토를 이용한 볍씨의 파종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인공용토란 양질묘 생산에 적합한 물리, 화학, 생물성을 갖춘 자재로 식물체를 기계적으로 지지해주고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양분과 수분을 공급해 주는 활성화된 물질"을 의미한다. 인공용토는 배지(培地, media) 혹은 배양토(培養土, cultural media)라 칭한다. 유럽에서는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라 하여 인공용토(artificial substrate 혹은 substrate)라고 지칭한다.
인공용토를 구성하는 주재료는 자연광물질, 일반 자원, 부산물 등이다. 자연광물질로는 제오라이트(zeolite), 규조토, 적토, 마사토 등이 있다. 자원으로는 피트모스(peatmoss), 질석(vermiculite), 펄라이트(perlite) 등이며 부산물로 코코피트(cocopeat)가 가장 많이 쓰인다. 자원으로 쓰이는 피트모스 등은 대개 고압에서 가공하는데 이는 공극형성, 경량화, 소독 등의 효과가 있다.
인공용토는 용도에 따라 크게 수도용과 원예용, 그리고 기타 용도(매트, 친환경, 신개념 인공용토 등)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수도용은 다시 중량, 경량, 매트(mat)로 세분할 수 있으며, 원예용은 채소용과 화훼용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작형을 기준으로 한 것인데 친환경농업의 용도에는 위의 3가지 인공용토가 모두 해당된다. 따라서 유기인공용토를 세분하자면 유기수도용, 유기채소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공용토 생산의 목적은 양질의 육묘 생산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공용토가 적절한 물리ㆍ화학ㆍ생물학적인 특징을 갖춰야하며, 아울러 제품으로서의 요건도 갖추어야 한다. 인공용토의 기본적인 특성으로는 영양분 함유, 보수성, 통기성, 묘지지성 등이 있다. 인공용토는 묘를 키우기 위한 배지이므로 묘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하며 동시에 보습력을 함유하여 묘가 필요로 할 때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식물이 성장할 때 발산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통기성도 중요하다. 뿌리의 호흡이 좋지 않으면 묘의 성장도 그만큼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수성과 공극성은 반대의 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찰진 흙은 보수성은 좋으나 공극성이 나쁘다. 따라서 보수성과 공극성간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인공용토는 묘가 쓰러지지 않고 잘 살 수 있도록 식물을 지지하는 힘도 보유해야 한다. 기르고자 하는 묘의 종류와 생육기간에 따라 인공용토의 중량이 다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인공용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제품으로서의 요건도 갖추어야 한다. 제품으로서의 요건으로는 첫째, 원료의 안정적 수급이 요구된다. 인공용토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원자재의 종류는 제조업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보통 수십 가지에 이른다. 이러한 원자재가 원활하게 공급되어야만 상업적인 인공용토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공용토 원료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코코피트, 피트모스는 전량 수입하며, 질석은 국내에서도 약간은 생산되지만 품질이 불균일하고 가격도 높은 편이다. 둘째, 원료의 저가성과 제조의 용이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인공용토의 제조 공정은 대규모 시설이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지 않으나 대부분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원료가격의 변동이 심하기 때문이다. 셋째, 기계화에 적합한 인공용토가 생산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작물의 경우 육묘 후 대부분 기계에 의한 이앙이나 이식을 하기 때문이다. 넷째, 환경친화적이어야 한다. 육묘 인공용토의 경우에는 그대로 포장에 이식되기 때문에 유해물질 등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도작에서 모판에서 모를 키운 후 기계로 이앙을 하기 위해서는 모판상자에 상토를 넣고 모를 키워야 하는데, 과거에는 상토로서 황토 등 모를 키우는데 적절한 흙을 구하여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제는 황토 등을 구하기도 어려워 품귀현상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이를 수도용 상토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황토를 구한 후 사용하기 위한 입도를 고르기 위해 체로 쳐야 하는 등의 노동력이 많이 들고 힘든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고, 별도로 비료 투입 및 소독을 해야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함이 많았다. 이에 따라 모판에 바로 넣어 모를 키울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도용 상토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62673호에는 신규 수도용 매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554709호에는 그린 수도용 매트형 상토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볍씨를 육모용 상자에 파종 시, 생장을 증진시켜 육모일을 단축하고 병해가 발생하지 않은 수도용 상토를 개발하기 위해, 다공성 소결광물,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 황산석고, 아미노산 및 황산구리 등을 알맞게 전처리한 후 적정량 혼합하여, 묘가 필요로 하는 영양성분, 보습력, 통기성 등의 식물생육에 적합한 수도용 상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펄라이트(perlite),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도용 상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도용 상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도용 상토를 육모용 상자에 넣고 한 상자당 100~150 g씩 볍씨를 파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볍씨의 파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의 재료로 사용되는 산업부산물자원인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은 질석이나 지오라이트와 같은 고가의 자재를 대체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고, 작물에 유익한 필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농업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공극을 가지고 있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과 팽창형 펄라이트, 그리고 일정 크기 이하의 분쇄된 코코피트와 피트모스 등을 사용하여 기존의 질석과 지오라이트을 사용한 인공용토보다 양수분 보유능이 증가하고 통기성과 양분의 확산성 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일정 비율로 혼합된 고상소재에 분상의 황산석고(gypsum)와 아미노산(amino acid)을 혼합하여 식물의 생육기간 동안 양분이 용해되는 서방형으로 뿌리발근 촉진과 근중 증가뿐만 아니라 지상부 생장 촉진에 효과가 있다.
또한, 육묘 시 인공용토에서 발생하는 흰빛곰팡이 등에 의한 병해를 방제하여 습윤 고온상태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에 대한 피해를 사전에 방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도용 상토에서 볍씨의 생육과정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펄라이트(perlite),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도용 상토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은 화력발전소 매립장에서 채취한 매립제를 중금속 등의 위해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3회 물로 세척한 후 0.5 mm보다 크나 3.36 mm보다 작은 체를 통과한 입경의 매립제만 사용하였다. 다공성 소결광물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 공극을 수분과 양분 보유기능 증대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선별된 MIM을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AAL)에 담지 후 바로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PP)와 혼합하면 기능성 다공체로 전환되어 배수성 증대와 통기성 개선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다공성 소결광물은 세척석탄바닥재(washed coal bottom ash, CB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는 전북 김제시 광활면에 소재한 광활통 간척지 표층토를 채취하여 입경이 0.5 mm 이하인 토양을 사용하였는데, 간척지 토양이 자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무기이온을 수도용 상토의 양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perlite)는 제조과정 중 폐기물로 처리되는 입경 0.5 mm 이하의 소재를 사용하였는데, 수도용 상토의 이화학성 조절능 증대, pH 조절, 매트형성 보완, 배수성, 통기성, 보온성 등의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는 상기 원료를 분쇄하여 2 mm 체를 통과한 것만 사용한다. 단위 중량당 표면적과 물질 용출능의 증대뿐만 아니라, 보수력, 통기성, 배수성 증대시키고 신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는 원료를 분쇄하여 1 mm 체를 통과한 것만 사용하였다. 단위 중량당 표면적과 물질 용출능을 증대시키고, 상토의 이화학성 조절능 증대, pH조절, 매트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는 건조 후 전체 중량비로 환산하여 처리하였다. 칼슘과 황산이온 공급능을 증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은 고형상태의 젤라틴 원료를 수용화하여 액상상태의 아미노산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상토에서 지효성 질소와 17종의 아미노산 공급원 역할을 한다.
상기 황산구리(copper sulfate)는 분말 결정체로서 분자량이 159.61 g. pH(0.2M 용액)는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도용 상토는 상기 유효성분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수도용 경량상토 또는 수도용 중량상토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도용 경량상토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30~38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4~6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32~38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20~24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2~4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34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5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35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22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3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1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5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도용 중량상토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55~65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8~12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8~12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13~17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4~6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60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10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10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15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5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1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5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30~38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4~6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32~38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20~24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2~4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한 혼합물의 수분 중량함량이 14~16%가 되도록 물을 분무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경량상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도용 경량상토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34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5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35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22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3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1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5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한 혼합물의 수분 중량함량이 15%가 되도록 물을 분무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55~65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8~12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8~12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13~17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4~6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한 혼합물의 수분 중량함량이 14~16%가 되도록 물을 분무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중량상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도용 중량상토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60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10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10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15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5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1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5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한 혼합물의 수분 중량함량이 15%가 되도록 물을 분무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토를 육모용 상자에 넣고 한 상자당 100~150 g씩 볍씨를 파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볍씨의 파종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도용 경량상토의 제조
(a) 경량상토에 혼합되는 각각의 재료들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b) 조사된 상기 수분 함량을 기준으로 실제 혼합량(표 2)을 보정하여 혼합비에 따른 처리 원료량을 결정하였다.
수분 보정 원료량 = 실제품 원료 중량(g)/(1-중량수분 함량비(%))
(c) 상기 수분 보정 원료량을 기준으로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PSM),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SSSS), 펄라이트(perlite, P),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PC),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PP),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PG),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AAL) 및 황산제2구리(copper sulfate, CU)를 혼합한 혼합물을 1차 혼합하였다.
(d) 상기 1차 혼합한 혼합물의 중량수분 함량이 15%가 될 때까지 물을 분무한 후 20±5 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제조예 2: 수도용 중 량상토의 제조
(a) 중량상토에 혼합되는 각각의 재료들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b) 조사된 상기 수분 함량을 기준으로 실제 혼합량(표 2)을 보정하여 혼합비에 따른 처리 원료량을 결정하였다.
수분 보정 원료량 = 실제품 원료 중량(g)/(1-중량수분 함량비(%))
(c) 상기 수분 보정 원료량을 기준으로 다공성 소결광물(porous sintered mineral, PSM),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SSSS), 펄라이트(perlite, P),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PC),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PP),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PG),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AAL) 및 황산제2구리(copper sulfate, CU)를 혼합한 혼합물을 1차 혼합하였다.
(d) 상기 1차 혼합한 혼합물의 중량수분 함량이 15%가 될 때까지 물을 분무한 후 20±5 rpm으로 5분간 교반하였다.
원료별 이화학 특성
원료 pH
(1:5)
EC
(dS m-1)
CEC
(cmol kg-1)
BD
(g cm-3)
OM T-N NO3-N NH4-N Av.P2O5 Ex.Cations (cmolc L-1)
(mg L-1) Ca K Mg Na
(%)
PSM 7.8 0.15 8.5 1.04 0.1 ND ND ND ND <0.1 <0.1 <0.1 <0.1
SSSS 7.7 2.98 1.2 1.25 0.1 0.01 < 0.01 ND 22.5 21.1 18.5 0.1 12
P 7.6 0.018 7.0 0.13 0.6 0.0 0.2 1.0 5.7 0.8 0.0 0.2 2.1
PC 6.48 0.5 31.46 0.16 91 1.81 0.4 2.8 33.1 7.3 10.7 8.4 8.9
PP 4.8 0.1 156.7 0.12 52 0.49 2.0 6.2 8.4 4.6 0.2 3.2 0.2
PG 4.8 - - - - - - - - 12.1 0.4 - -
AAL 2.7 - - - 0.4 15.4 51.4 6.1 - - - - -
EC(Electric conductivity, 전기전도도), CEC(Cation exchange capability, 양이온치환용량), BD(bulk density, 용적밀도), OM(organic matter, 유기물 함량), T-N(총 질소), NO3-N(질산성 질소), NH4-N(암모니아성 질소), Av.P2O5(평균 인산 함량), Ex.Cations(치환성 양이온), ND(검출되지 않음)
수도용 상토 혼합비율
개발품명 원료혼합비율 (g)
MIM SSSS P PC PP PG AAL CU
중량상토 60 10 10 15 5 1 0.5 0.05
경량상토 34 5 35 22 3 1 0.5 0.05
실시예 1: 수도용 경량상토의 이화학적 특성
상기 제조예 1 및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도용 중량상토 및 경량상토의 이화학적 특성은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수도용 경량상토의 이화학적 특성 1
항목 pH
(1:5)
EC
(dS m-1)
CEC
(cmol kg-1)
T-N
(%)
NO3-N
(mg L-1)
NH4-N
(mg L-1)
Av.P2O5
(mg L-1)
Ex.Cations (cmolc L-1)
Ca K Mg Na
중량 5.7 0.16 18.7 0.42 6.4 1.9 10.8 2.8 1.7 0.4 < 0.1
경량 5.9 0.15 21.6 0.30 5.3 1.1 6.7 2.1 1.4 0.2 < 0.1
EC(Electric conductivity, 전기전도도), CEC(Cation exchange capability, 양이온치환용량), T-N(총 질소), NO3-N(질산성 질소), NH4-N(암모니아성 질소), Av.P2O5(평균 인산 함량), Ex.Cations(치환성 양이온)
수도용 경량상토의 이화학적 특성 2
항목 BD
(g cm-3)
OM
(%)
Porosity
(%)
Water content (%) Field
Capacity
(θv, %)
Wilting point
(θv, %)
PAW
(θv, %)
Vol mass initial Permanent
경량 0.39 16.3 62.5 62.5 240.4 0.38 0.27 0.21 0.17
경량 0.26 21.6 67.8 65.1 250.4 0.42 0.28 0.22 0.20
BD(bulk density, 용적밀도), OM(organic matter, 유기물 함량), Porosity(공극률), Field Capacity(농포 용수량), Wilting point(위조점), PAW(plant available water, 식물가용수분함량 또는 유효수분함량)
실시예 2: 재배실험
모판상자에 시판인공용토(왕표 입상 명품 상토(주)렉셈)와 본원 발명의 중량 및 경량상토를 넣고, 모를 심은 후 평균육모일과 초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판인공용토에 비해 본 발명의 상토가 평균육모일을 단축시켰으며, 초장도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상토가 시판인공용토에 비해 뿌리들림 현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평균육모일과 초장
파종량 (g/상자) 평균 육모일과 초장(일, cm) 뿌리들림*
(0-9)
비고
출아기 간이녹화기 경화전기 경화후기 총소요일
100 시판 1.9, 1.1 3.8, 4.3 7.3, 8.4 14.3, 13.1 29.4 5 보온육묘
중량 1.7, 0.9 3.2, 4.5 7.1, 9.2 13.1, 15.9 24.1 2
경량 1.7, 0.9 3.4, 4.4 7.3, 9.1 13.5, 14.8 26.4 2
125 시판 2.4, 1.2 3.8, 4.5 8.1, 8.7 14.2, 16.1 28.5 4 보온육묘
중량 1.7, 1.2 3.3, 4.6 7.0, 9.5 12.7, 20.3 24.7 1
경량 1.8, 1.1 3.5, 4.5 7.1, 9.5 12.7, 19.9 25.1 2
150 시판 2.3, 0.9 4.2, 4.3 7.5, 8.9 14.8, 17.8 28.8 3 보온육묘
중량 1.9, 0.9 3.9, 4.6 7.2, 9.4 14.2, 18.7 27.2 0
경량 2.1. 1.0 4.0, 4.6 7.4, 9.7 14.4, 19.6 26.4 1
뿌리들림* : 0(뿌리들림현상 없음), 9(뿌리들림현상 매우 심함)
모판상자의 크기: 셀 크기(가로 280 mm×세로 580 mm), 상자규격(가로 300 mm×세로 600 mm)
실시예 3: 병해 발생정도
인공용토별 못자리 병해 발생 정도를 조사한 결과 시판인공용토의 경우 파종량이 100, 125, 150 g 모두 경우 출아기부터 모잘록병이 발생하여 경화후기에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로 병해가 발생하였으나 개발된 중량과 경량의 경우 중량 150 g의 경우 간이녹화기를 제외하고는 모잘록병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6).
병해 발생정도
파종량 (g/상자) 못자리 병해 발생 정도
출아기 간이녹화기 경화전기 경화 후기
100 시판 1 1 2 4
중량 0 0 0 0
경량 0 0 0 0
125 시판 1 2 2 4
중량 0 0 0 0
경량 0 0 0 0
150 시판 1 3 3 4
중량 0 1 0 0
경량 0 0 0 0
발생 정도* : 0(현상 없음), 9(매우 심함)
실시예 4: 비해 조사 결과
비해조사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0 : 육안조사 결과 비해 인정되지 않음.
1 : 아주 가벼운 비해로서 엽반점 또는 생육장해 증상이 인정됨.
2 : 처리된 작물의 매우 작은 부분에 비해와 생육저하가 인정됨.
3 : 처리된 작물의 50% 정도 비해가 인정되며 생육 저하가 뚜렷함.
4 : 처리된 작물의 70% 정도 비해가 인정되며 생육저하가 뚜렷함.
5 : 처리된 작물의 100% 정도 비해가 인정되며 생육저하가 뚜렷함.
인공용토별 비해 증상
파종량
(g/상자)
비해(0-5)
출아기 간이녹화기 경화전기 경화 후기
100 시판 0 0 0 1
중량 0 0 0 0
경량 0 0 0 0
125 시판 0 0 1 2
중량 0 0 0 0
경량 0 0 0 0
150 시판 0 0 1 2
중량 0 0 1 0
경량 0 0 0 0
* 보온 육묘
작물별 조사 결과 시판인공용토의 경우 파종량이 100 g(경화 후기), 125 g(경화전기와 후기), 그리고 150 g의 경우 경화전기와 후기에서 일부 비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발된 중량상토의 경우 150 g(경화전기) 1단계 수준의 비해가 발생하였다가 경화후기에는 비해가 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7).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수도용 경량상토 100 중량부 기준으로, 세척석탄바닥재(washed coal bottom ash) 30~38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4~6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32~38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20~24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2~4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도용 경량상토.
  4. 수도용 중량상토 100 중량부 기준으로, 세척석탄바닥재(washed coal bottom ash) 55~65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8~12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8~12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13~17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4~6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도용 중량상토.
  5. 세척석탄바닥재(washed coal bottom ash) 30~38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4~6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32~38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20~24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2~4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한 혼합물의 수분 중량함량이 14~16%가 되도록 물을 분무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경량상토의 제조방법.
  6. 세척석탄바닥재(washed coal bottom ash) 55~65 중량부, 사질 나트륨성 표층토(sandy sodic surface soil) 8~12 중량부, 펄라이트(perlite) 8~12 중량부, 분상코코피트(Pulverized cocopeat) 13~17 중량부, 분상피트모스(Pulverized peatmoss) 4~6 중량부, 분상황산석고(Pulverized gypsum) 0.5~1.5 중량부, 액상아미노산(amino acid liquid) 0.4~0.6 중량부 및 황산구리(copper sulfate) 0.04~0.06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한 혼합물의 수분 중량함량이 14~16%가 되도록 물을 분무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중량상토의 제조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의 상토를 육모용 상자에 넣고 한 상자당 100~150 g씩 볍씨를 파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볍씨의 파종 방법.
KR1020120103311A 2012-09-18 2012-09-18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11A KR101410250B1 (ko) 2012-09-18 2012-09-18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11A KR101410250B1 (ko) 2012-09-18 2012-09-18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75A KR20140036775A (ko) 2014-03-26
KR101410250B1 true KR101410250B1 (ko) 2014-06-20

Family

ID=5064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11A KR101410250B1 (ko) 2012-09-18 2012-09-18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573B1 (ko) * 2022-07-15 2023-10-11 이레종합조경 주식회사 식재용 수목의 뿌리분 받침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식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18B1 (ko) * 2006-08-09 2007-07-23 윤환헌 항진균성 유기농 상토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10137655A (ko) * 2010-06-17 2011-12-23 한국파워라이트 주식회사 석탄바닥재를 이용한 배양토
KR101144081B1 (ko) * 2009-12-08 2012-05-23 (유)삼화그린웰 조경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18B1 (ko) * 2006-08-09 2007-07-23 윤환헌 항진균성 유기농 상토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144081B1 (ko) * 2009-12-08 2012-05-23 (유)삼화그린웰 조경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7655A (ko) * 2010-06-17 2011-12-23 한국파워라이트 주식회사 석탄바닥재를 이용한 배양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75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45B1 (ko) 임해매립지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11416B1 (ko) 염해지용 토양개량제
CN102257948B (zh) 用于草莓无土育苗的复合基质
CN102020506A (zh) 草木灰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CN104119168A (zh) 凹凸棒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CN102976849A (zh) 用于种植蓝莓的复合土壤及其制备方法
CN113861991B (zh) 利用餐厨废弃物制得的建筑渣土改良剂、改良建筑渣土的制备方法及应用
CN106699341A (zh) 一种花卉栽培营养基质及其制备方法
KR101925909B1 (ko)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105858A (zh) 一种利用园林废弃物制备育苗基质的方法
KR101693317B1 (ko) 자연 활성 토양 개선방법
CN107935671A (zh) 一种铁硅‑腐殖质复合的生物炭基肥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2746072A (zh) 一种缓释改土增产肥料及其制备方法
KR101925910B1 (ko) 인산부산석고 및 사문석을 이용한 수도용 상토 조성물
KR101548212B1 (ko) 작물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배포트, 벽면 녹화 유닛, 유기질 비료, 펠렛 연료 및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사용한 재배포트의 제조 방법.
KR101214897B1 (ko) 퇴비, 토양개량 및 비료 효과가 동시에 있는 종합 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014715A (zh) 一种盐碱化土壤改良修复剂、制备方法、肥料和拌种剂
KR20090129233A (ko) 기능성 조경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878B1 (ko) 솜이 포함되는 육묘용 상토 배지의 제조 방법
KR101410250B1 (ko)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4914B1 (ko) 양액재배용 배양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259B1 (ko)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콩과 녹비작물 종자 코팅제
KR102253228B1 (ko) 수도용 상토 조성물
KR100750656B1 (ko) 압축 배양토 조성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154B1 (ko) 석탄재를 이용한 토양 개량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