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03B1 - A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A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903B1 KR101409903B1 KR1020120104705A KR20120104705A KR101409903B1 KR 101409903 B1 KR101409903 B1 KR 101409903B1 KR 1020120104705 A KR1020120104705 A KR 1020120104705A KR 20120104705 A KR20120104705 A KR 20120104705A KR 101409903 B1 KR101409903 B1 KR 101409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raw water
- water
- filter member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1133760 Acoelorraph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saw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86 ala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ompound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HZUVFJBSILHOK-UHFFFAOYSA-N anthracen-1-ylmethanolat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O-])=CC=CC3=CC2=C1 RHZUVFJBSILH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30 anthrac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2 bituminous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77 lig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lass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7 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입자 또는 분말 상의 필터재를 수용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재에 의해 여과된 원수중에 부유하는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미세분진 필터부를 포함한다.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for receiving filter material in the form of particles or powder for purifying raw water, and the filter includes a fine dust filter portion for filter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raw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정수기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정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직결식 정수기로 필터에 의한 정수가 이루어진다.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removes impurities contained in water to purify it. These water purifiers are classified into natural filtration type, direct filtration type, distillation type, and reverse osmosis type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method. At present, the most commonly used is a direct water purifier, which is an integer by the filter.
이러한 필터를 이용한 정수기는 원수를 정화시키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정화된 정수수가 모이는 저수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히터 또는 냉각 시스템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The water purifier using such a filter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purifying the raw water and a water tank for collecting purified water by the filter, and a heater or a cooling system for supplying cold water or hot water may be further provided in some cases.
필터의 종류로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이하, 필터를 통해 최종적으로 정수되기 전의 물을 원수라고 함.)에 포함된 녹, 흙, 모래, 부유 고형물 등의 매크로사이즈의 이물질을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와, 콜의 광물질 또는 야자수나무를 고온에서 태워서 만든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방식에 의해 트리할로 메탄 등의 잔류 염소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카본 필터(pre-carbeon filter), 폴리 아미드(polyamide) 보합막에 의해 0.0001 미크론 상당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역삼투압 필터(membrane filter 또는 reverse osmosis filter(R/O)), 수중의 냄새, 가스 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 카본 필터(post-carbon filer)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filter include macroscopic foreign substances such as rust, soil, sand, and suspended solids contained in raw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w water before being finally purified through a filter) flowing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A pretreatment carbon filter for removing residual chlorine components such as trihalomethanes by a sediment filter which is removed by using a nonwoven fabric and an adsorption method using activated carbon formed by burning coal minerals or palm trees at a high temperature a membrane filter or a reverse osmosis filter (R / C filter) that removes various contaminants, bacteria, inorganic substances, and heavy metals in the water through micropores equivalent to 0.0001 microns by a polyamide- O), a water-in-water odor, and a post-carbon fil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gas components.
종래의 정수기는 원수가 카본 필터에서 유출되는 미세분진이 정수된 물(이하, 정수수라고 함.)와 함께 저수조로 유입됨으로써 물띠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has the problem that water bubbles are generated by flow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together with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urified water) purified water from which raw water flows out of the carbon filter.
이러한 미세분진은 정수기의 제조과정 또는 운반과정에서 카본 필터를 구성하는 활성탄 알갱이들이 서로 부딪치면서 많이 생성되고, 그래서 종래의 정수기는 최초 사용시에 일정한 주기로 원수를 공급하여 이러한 미세분진 입자들을 플러싱(flushing)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플러싱 과정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느끼기에 플러싱 과정에서 미세분진과 함께 배출되는 물은 정수 성능에 대한 불신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었다.Such fine dusts are generated when activated carbon particles constituting the carbon filter are collided with each oth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ransporta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when raw water is initially used, raw water is supplied to flush the fine dust particles, . This flushing process is time consuming and troublesome, and the user feels that the wate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fine dust during the flushing process has a side effect of distrusting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카본 필터로부터 생성된 미세분진을 여과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generated from a carbon filter.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입자 또는 분말 상의 필터재를 수용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재에 의해 여과된 원수중에 부유하는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미세분진 필터부를 포함한다.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for receiving filter material in the form of particles or powder for purifying raw water, and the filter includes a fine dust filter portion for filter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raw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aterial.
다른 측면으로는,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를 차례로 여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원수가 마지막으로 통과하는 필터는 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입자 또는 분말 상의 필터재; 및 상기 필터재에 의해 여과된 원수중에 부유하는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미세분진 필터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sequentially filtering raw water, wherein the filter through which the raw water last passes among the plurality of filters is a particulate or powdery filter material for purifying raw water; And a fine dust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fine dust floating in the raw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aterial.
본 발명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음용하는 최종 정수 단계 이전에 원수에 함유된 미세분진을 제거함으로써, 정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by remov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raw water before the final purification step for drinking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플러싱 과정을 간략화 또는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or omitting the flush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보다 활성탄 입자로부터 보다 더 작은 입자의 미세분진을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llecting fine particles of smaller particles from activated carbon p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에 적용된 필터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미세분진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필터부재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표면여과방식(a)과 심층여과방식(b)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심층여과방식의 필터부재의 조직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filters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of FIG.
3 shows a fine dust filter unit.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member.
6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surface filtration method (a) and the deep filtration method (b).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er member of the deep filtration typ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본체(2)와, 본체(2)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 조작키 등의 입력수단 또는 정수기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각종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3)과, 취수공(미도시)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수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4)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도 2는 도 1의 정수기에 적용된 정수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수기(1)는 다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들은, 세디먼트 필터(10, sediment filter), 전처리 카본 필터(20, pre-carbeon filter), 역삼투압 필터(30, membrane filter 또는 reverse osmosis filter(R/O)), 후처리 카본 필터(40, post-carbon fi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정수기(1)는 원수가 세디먼트 필터(10), 전처리 카본 필터(20), 역삼투압 필터(30) 및 후처리 카본 필터(40)를 차례대로 통과하는 것으로 예를드나, 필터의 개수 또는 설치 순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 없다.Fig. 2 shows an integer system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of Fig. Referring to FIG. 2, the
세디먼트 필터 또는 침전필터(10)는 원수와 최초로 접촉하여 약 5미크론(μm) 이상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것으로, 5미크론 이하의 미세 세공을 갖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재(12)를 포함하고, 예를들어, 필터재(12)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polyproplyl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diment filter or the
전처리 카본 필터(20)의 필터재(22)는 야자껍질, 목재, 석탄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소성시킨 탄소 소재로써 활성화 과정에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형성된 무정형 활성 탄소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형태에 따라서는 입자상(GAC: Granular Activated Cartbon), 분말상(PAC: Powder Activated Carbon), 섬유상(ACF: Activated Carbon Fiver) 등으로 구분되고, 원료에 따라서는 야자각, 목재, 톱밥, 목탄 등을 이용한 식물계, 역청탄, 무연탄, 갈탄, 아탄 등을 이용한 석탄질, 석유잔사, 황산 슬러지, 오일카본 등을 이용한 석유질로 구분될 수 있다.The
역삼투압 필터(30)는 강제로 역삼투압을 작용시켜 물 속의 불순물 농도가 높은 쪽으로부터 낮은 쪽으로 원수를 이동시켜 정수하는 방식으로, 즉, 수압에 의하여 물은 극도로 미세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필터막(32)을 통과하나, 오염물질은 필터막(3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다. 역삼투압 필터(30)를 이용한 정수 방식은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압 또는 수도압력만으로는 충분한 수압을 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압력펌프와 별도의 저수 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verse
역삼투압 필터(30)의 필터막(32)은 TFC(Thin Film Composite), 즉 여러 겹의 얇은 필름 형태의 필터막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TFC 방식의 소재는 초박막 밀도층(ultra-thin dense layer)과 다공 기질층(porous substrate layer)을 포함할 수 있고, 밀도층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다공성 기질층은 폴리술폰(polysulfone)을 주원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실시예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30)는 저압형 역삼투막(Nano Filtration-Low Presseure)을 포함할 수 있고, 저압형 역삼투막은 저압에서도 정수능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막 표면의 기공크기를 기존의 역삼투막보다 크게, UF막(Ultrafiltration Membrance) 보다는 작은 0.0001 내지 0.001 미크론 사이가 되도록 만든 것으로, 별도의 고압펌프 없이 수도의 압력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가전용 정수기에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verse
한편, 원수가 역삼투압 필터(30)를 거치게 되면서 거의 모든 불순물이 제거가 되나, 다시 한번 후처리 카본 필터(40)를 거침으로써 물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성분과 냄새성분을 제거하여 신선한 물맛을 낼 수 있다. 후처리 카본 필터(40)의 필터재(42)는 전처리 카본 필터(20)와 마찬가지로 활성 탄소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수도꼭지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이하, 필터에 의해 최종적으로 걸러지기 전의 물임)가 세디먼트 필터(10), 전처리 카본 필터(20), 역삼투압 필터(30) 및 후처리 카본 필터(40)에 의해 차례로 여과된다.The
세디먼트 필터(10)는 유입구(13)와 토출구(14)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11)과, 필터 하우징(11) 내에 수용되는 부직포(12)를 포함한다. 수도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유입구(13)를 통해 필터 하우징(11) 내로 유입되어 부직포(12)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원수 중에 부유하는 침전물이 걸러진다. 부직포(12)를 통과하며 여과된 원수는 토출구(14)를 통해 다음번 필터(20)로 토출된다.The
전처리 카본 필터(20)는 유입구(24)와 토출구(25)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21)과, 필터 하우징(21) 내에 수용되는 필터재(22)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재(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정형 활성 탄소의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세디먼트 필터(10)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구(24)를 통해 필터 하우징(21) 내측으로 유입되어 필터재(22)를 통과하며 걸러지 후, 토출구(25)와 연결된 튜브(23)를 통해 이송되어 다음 번 필터(30)로 토출된다.The
역삼투압 필터(30)는 유입구(34)와 토출구(35)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31)과, 필터 하우징(31) 내에 수용되는 필터막(32)를 포함한다. 전처리 카본 필터(30)를 통과한 원수가 유입구(34)를 통해 필터 하우징(31) 내측으로 유입되어 필터막(32)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며 걸러지고, 튜브(33)를 통해 이송되어 토출구(35)와 연결된 튜브(33)를 통해 이송되어 다음 번 필터(40)로 토출된다.The reverse
한편, 필터 하우징(31)에는 농축수 배출구(36)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역삼투압 필터(33)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이 함유된 농축수가 농축수 배출구(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농축수 배출구(36)와 연결된 농축수 배출유로(미도시) 상에는 배출되는 농축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밸브, 예를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후처리 카본 필터(40)는 유입구(44)와 토출구(45)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41)과, 필터 하우징(41) 내에 수용되는 필터재(42)를 포함한다. 역삼투압 필터(30)를 통과하며 걸러진 원수가 유입구(44)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재(42)를 통과하며 여과되어 토출구(45)를 통해 토출된다.The
한편, 필터재(42)는 전술한 전처리 카본 필터(30)에서와 마찬가지로, 입자상 또는 분말상의 카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수가 이러한 필터재(42)를 통과할 시, 필터재(42)로부터 분쇄된 미세분진들이 정수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정화된 정수를 다시 한번 여과시키기 위해, 후처리 필터(40)에는 미세분진 필터부(100)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특히, 후처리 카본 필터(40)의 필터재(42)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자상 또는 분말상의 활성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활성탄은 통상 숯보다 더 많은 구멍을 갖는 것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약해서 정수기(1)의 운반시 활성탄 알갱이들끼리 부딪치면서 미세분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1)의 최초 설치시 플러싱 과정을 수행하여 미세분진을 정수기(1) 외부로 모두 배출시켜야 하나, 이러한 과정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주로 사용자의 가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러싱 과정 중에 유색의 정수가 배출되는 유색의 정수를 지켜보는 사용자로서는 정수기(1)의 성능에 대한 불신을 갖을 수 있다. 또한, 플러싱 과정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이후 정수기(1)의 사용 중에 미량의 미세분진이 계속적으로 정수에 포함되는 것을 막지 않는 다면, 정수가 모이는 저수조(미도시) 내에 물띠가 끼는 등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재(42)에 의해 여과된 원수를 다시 한번 미세분진 필터부(100)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미세분진이 정수와 함께 배출되는 현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미세분진 필터부(100)는 심층여과방식에 의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재(110)를 포함한다. 도 6에는 표면여과방식(a)과 심층여과방식(b)에 의해 원수가 여과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표면여과방식(a)은 필터부재(F1)의 표면에서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방식으로, 원수에 부유하는 이물질 중 필터부재(F1)에 형성된 여과공보다 큰 입자는 걸러지나, 상기 여과공 보다 작은 입자들은 투과되는 방식이다. UF(ultrafiltration) 또는 R/O (reverse osmosis) 방식의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를 예로들수 있다.The fine
이에 반해, 심층여과방식(b)은 원수가 필터부재(F2)의 표면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F2)를 통과하면서도 걸러지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알갱이들은 필터부재(F2)의 표면에서 걸러지나, 필터부재(F2)의 표면을 통과한 알갱이들도 필터부재(F2)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걸러진다. 보다 상세하게, 심층여과방식은 필터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밀도구배(Gradient Density)를 갖으며 불규칙하게 배열된 섬유집합체에 의해 원수 중에 부유하는 포집대상입자들(미세분진)이 포집되는 것으로, 포집대상입자들과 여과공의 크기 차이에 의한 물리적 여과 뿐만 아니라, 일정 두께의 여과층을 이용한 흡수, 흡착 메커니즘에 의해 실제 구성된 여과공의 크기보다 더 작은 입도의 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 이러한, 심층여과방식의 필터부재는 melt-brown, string-wound, spunbond, non-woven, mold 방식 등으로 방사된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ep filtration method (b) is a method in which the raw water is filtered not only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element F2 but also on the filter element F2, Th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F2 are gradually filter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F2. More specifically, the deep filtration method has a density gradient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ter member and collects particles (fine dust) to be collected floating in the raw water by irregularly arranged fibrous aggregates, It is possible to collect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ltration hole actually formed by the absorption and adsorption mechanism using the filter lay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as well as the physical filtration due to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articles and the filtration hole. Such a deep filtration filter element can be made of a fiber aggregate spun by melt-brown, string-wound, spunbond, non-woven, or mold.
특히, melt-brown 방식은 방사된 섬유를 회전하면서 권취시켜 원통형의 필터부재를 형성하는 방식(이하, 필터부재(110)는 melt-brwon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든다.)으로, 큰 공극율을 갖으므로써 다량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으며, 특히, 원통형 필터부재의 두께 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다층 여과 밀도를 갖도록, 안쪽의 여과공이 바깥쪽보다 조밀하고 정밀하게 형성되며(P1에서 P2로 갈수록 조밀한 구조로써, 두께 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공극의 크기가 작아짐. 도 5 참조), 따라서, 미세분진(a)들이 필터부재(110)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확실하게 포집될 수 있고 그 포집량 또한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3차원적으로 단단히 열 결합된 섬유 조직(도 7 참조)에 의해 코어(core)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계적인 구조 및 강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여재 이탈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며, 여과 압력 변화에 의한 여과 정밀도 변화 역시 최소화될 수 있다. 95% 이상이 공칭 여과 또는 포집효율(nominal efficiency/collection of filtration)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효율은 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한 필터부재(110)에 의해 포집된 이물질의 비이다. 필터부재(1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갖으며, 사용 후 소각 폐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melt-brown method, a cylindrical filter member is formed by spinning the spinning fibers (hereinafter, the
이러한 필터부재(110)는 초기 사용시 거품 발생이 없어 린싱(rinsing)과정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필터부재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 2차 오염으로 공정상의 불량이 유발되는 일이 없고, 식음료를 정화하는데 적합하다.Since the
정수에 포함된 미세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110)의 여과능은 최소 5μm 입도의 미세분진을 포집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ollect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purified water,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후처리 카본 필터(40)는 분말 또는 입자상의 필터재(42)를 통과한 원수를 재차 여과시키는 미세분진 필터부(100)를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41)의 내부는 필터체(42)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미세분진 필터부(100)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treatment carbon filter (40) includes a fine dust filter unit (100) for re-filtering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aterial (42) in powder or particulate form. The inside of the
미세분진 필터부(100)는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필터재(42)를 통과한 원수를 일차적으로 걸러주는 부직포(150)와, 부직포(150)를 지지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필터 홀더들(120, 1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40)와, 고정부(140)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으로 필터부재(110)가 삽입 지지되는 한 쌍의 필터 홀더(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e
상기 한 쌍의 필터 홀더(120, 130)는 필터부재(110)의 상부를 잡아주며 고정부(140)와 결합되는 상부 홀더(120)와, 필터부재(110)의 하부를 잡아주는 하부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홀더(130)는 하우징(41)의 바닥부에 의해 고정/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 홀더(130)는 필터부재(11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필터 하우징(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air of
고정부(140)에는 원수가 부직포(150)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원수 통과공(14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원수 통과공 사이에는 부직포(15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141)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aw water through
고정부(140)는 외주를 따라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143)을 포함할 수 있고, 절곡부(143)는 필터 하우징(41)의 내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터 하우징(41)이 내주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필터재(42)가 고정부(140)와 필터 하우징(41) 사이를 통해 하측(필터부재(110)가 수용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fixing
부직포(150) 및 고정부(140)의 중심부는 필터부재(110)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튜브(43)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정수 배출공(151)이 형성된다. 고정부(140)는 상부 홀더(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44)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144)는 정수 배출공(151) 형성을 위해 관상의 형태를 이룬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필터부재(110)는 전술한 다층여과밀도를 갖는 섬유체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홀더(120) 및 하부 홀더(130)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필터부재(110)의 내측을 지지하는, 그 단면이 환형을 이루는 지지돌기(124, 133)가 형성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 상부 홀더(120)는 상면부(121)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고정돌기(123)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123)는 필터부재(110)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정수수 배출공(15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44)와 연통되는 관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부 홀더(120)는 상면부(121)의 외주를 따라 하측으로 절곡되어 필터부재(11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환형의 상측 외주격벽(12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측 외주격벽(122)의 내측으로 필터부재(110)가 배치된다.The
하부 홀더(130)는 필터부재(110)의 하측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상측로 돌출되어 필터부재(110)의 내측(111)으로 삽입되는 지지돌기(133)와, 베이스(131)의 외주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필터부재(11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환형의 하측 외주격벽(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외주격벽(132)의 내측으로 필터부재(110)가 배치된다.The
한편, 필터재(42) 또는 부직포(150)를 통과하며 여과된 원수는 필터부재(110)를 두께방향, 즉 원통형 필터부재(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한다. 상부 홀더(120)와 하부 홀더(130) 사이에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로(H)가 형성되고, 유입로(H)는 상부 홀더(120)의 외주격벽(122)과 하부 홀더(130)의 외주격벽(132)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ed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필터부재(110)에 의해 원수 중에 부유하는 미세분진이 여과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filtering the fine dust floating in the raw water by the
후처리 카본 필터(40)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재(42)를 통과하며 여과된 후, 다시 부직포(150)에 의해 재차 여과되어 원수 통과공(142)을 통해 필터부재(110)가 수용된 필터 하우징(41)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필터 하우징(41)의 하부로 유동된 원수는 하부 홀더(130)와 상부 홀더(120) 사이의 간격, 즉 유입로(H)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부재(110)를 두께 방향을 따라 투과되며 심층여과방식에 의해 원수에 부유하는 미세분진들이 포집된다.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필터부재(110)에 의해 여과된 정수는 다시 필터부재(110)의 내측 공간(111)에서 상부 홀더(120)에 형성된 관상의 지지돌기(124) 내의 유로(125)를 따라 유동되어 정수 배출공(151)과 연통된 튜브(43)를 따라 이송된다. 튜브(43)를 따라 이송된 정수는 배출구(45)를 통해 후처리 카본 필터(40)의 외부로 배출되어 이를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정수는 저수조(미도시)에 집수되었다가 레버(4, 도 1 참조) 조작에 의해 취출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본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필터(10, 20, 30. 40)들에 의해 여과된 정수는 최종적으로 미세분진 필터부(100)를 통과하며 다시 한번 여과되기 때문에, 활성탄 분쇄물 등의 미세분진의 포집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정수기(1) 최초 설치시에 플러싱을 수행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투명한 물이 배출됨으로써 정수 성능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감이 향상되고, 플로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플러싱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plurality of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정수기는 이상의 설명과는 다른 종류의 필터를 포함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다수개의 필터를 포함하되, 각 필터들의 배치 순서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필터부재(110)는 필터들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최종 단계에서 정수에 포함된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may include a filter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ilters may be various combinations. However, in any case, the
Claims (17)
상기 필터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으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입자 또는 분말 상의 필터재가 수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필터재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튜브; 및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재를 통과한 원수를 정화시켜 상기 튜브의 타단으로 토출하는 미세분진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분진 필터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을 상기 필터재가 수용된 상부 공간과 상기 상부 공간의 하측으로 규정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필터재를 통과한 원수가 상기 하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원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가 관통되는 정수 배출공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심층 여과 방식의 필터부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부 공간 내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정수 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통과된 원수가 상기 튜브의 타단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로 내로 상기 튜브가 통과되는 상부 홀더;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 사이에는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원수가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된 정수기.A water purifier including a filter for purifying raw water,
The filter includes:
A filter housing hav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the filter housing receiving particulate or powdery filter material for filtering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A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housing and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And
And a fine dust filter unit disposed in the filter housing for purifying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aterial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Wherein the fine dust filter unit comprises:
Wherein the filter housing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ccommodating the filter material and a lower space defined by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pace, wherein a raw water passage hole is formed to allow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aterial to flow into the lower space, A fixing portion through which a water purifying passage is formed;
A filter member of a deep filtration ty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low path which is fixed in the lower space by the fixing portion and which fixes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hole and in which raw water pa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flows into the other end An upper holder through which the tube passes; And
And a lower hold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d an in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holder and the lower holder so that raw water in the lower space can flow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으로 갈수록 조밀해지는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진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nd a fiber aggregate which becomes dense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으로 갈수록 공극의 크기가 작아지는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nd the size of the gap decreas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필터부재는,
melt-brown, string-wound, spunbond, non-woven 또는 mold 방식의 방사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정수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 water purifier formed by melt-brown, string-wound, spunbond, non-woven or mold-type radiation fibers.
상기 필터부재는,
5 μm 입도 이상의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 water purifier that filters fine dust particles with a particle size of 5 μm or more.
상기 필터부재의 여과효율은 95% 이상인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ember is 95% or more.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필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holder comprises:
And a water purifier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상기 상부 홀더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관상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holder,
And a tubular suppor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lter member and formed with the flow path.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상부 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정수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홀더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관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xing portion,
A tubular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upper hold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hole,
In the upper holder,
And a tubular fix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상기 미세분진 필터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필터재를 통과한 원수를 상기 하부공간에 이르기 전에 여과시키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dust filter unit comprises:
And a nonwoven fabric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and filtering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aterial before reaching the lower space.
상기 상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환상의 외주격벽이 형성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lder and the lower holder has an annular outer peripheral wall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상기 유입로는,
상기 상부 홀더의 외주격벽과 상기 하부 홀더의 외주격벽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정수기.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flow path comprises:
And an interval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artition wall of the upper holder and the outer peripheral partition wall of the lower holder.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원수가 마지막으로 통과하는 필터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으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는 입자 또는 분말 상의 필터재가 수용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필터재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튜브; 및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재를 통과한 원수를 정화시켜 상기 튜브의 타단으로 토출하는 미세분진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분진 필터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을 상기 필터재가 수용된 상부 공간과 상기 상부 공간의 하측으로 규정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필터재를 통과한 원수가 상기 하부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원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가 관통되는 정수 배출공이 형성된 고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심층 여과 방식의 필터부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부 공간 내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을 고정하고, 상기 정수 배출공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통과된 원수가 상기 튜브의 타단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로 내로 상기 튜브가 통과되는 상부 홀더;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 사이에는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원수가 상기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된 정수기.And a plurality of filters for sequentially filtering the raw water,
The filter through which the raw water last passes among the plurality of filters.
A filter housing having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the filter housing receiving particulate or powdery filter material for filtering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A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housing and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And
And a fine dust filter portion disposed in the filter housing for purifying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aterial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Wherein the fine dust filter unit comprises:
Wherein the filter housing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ccommodating the filter material and a lower space defined by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pace, wherein a raw water passage hole is formed to allow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aterial to flow into the lower space, A fixing part having a water passage hole formed therein;
A filter member of a deep filtration type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low path which is fixed in the lower space by the fixing portion and which fixes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hole and in which raw water pa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flows into the other end An upper holder through which the tube passes; And
And a lower holder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filter member,
And an in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holder and the lower holder so that raw water in the lower space can flow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갈수록 조밀해지는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진 정수기.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nd a fiber aggregate which becomes denser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705A KR101409903B1 (en) | 2012-09-20 | 2012-09-20 | A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4705A KR101409903B1 (en) | 2012-09-20 | 2012-09-20 | A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8230A KR20140038230A (en) | 2014-03-28 |
KR101409903B1 true KR101409903B1 (en) | 2014-06-20 |
Family
ID=5064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4705A KR101409903B1 (en) | 2012-09-20 | 2012-09-20 | A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90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9540B1 (en) * | 2016-03-31 | 2023-06-01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Catridge filter of multilayer type and directly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1811A (en) * | 1991-12-12 | 1993-06-29 | Masao Yamane | Filter device |
JPH0924364A (en) * | 1995-07-07 | 1997-01-28 | Kanebo Ltd | Portable apparatus for refining potable water |
KR200290224Y1 (en) * | 2002-06-19 | 2002-09-27 | 정인석 | Purifying Apparatus for Post-treatment of water purifier using reverse osmotic pressure |
KR101064959B1 (en) * | 2010-03-12 | 2011-09-1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Depth filtration air filter media for gas turbine in-take air and turbo compressor in-take air purification and depth filtration air filter cartridge using thereof |
-
2012
- 2012-09-20 KR KR1020120104705A patent/KR1014099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1811A (en) * | 1991-12-12 | 1993-06-29 | Masao Yamane | Filter device |
JPH0924364A (en) * | 1995-07-07 | 1997-01-28 | Kanebo Ltd | Portable apparatus for refining potable water |
KR200290224Y1 (en) * | 2002-06-19 | 2002-09-27 | 정인석 | Purifying Apparatus for Post-treatment of water purifier using reverse osmotic pressure |
KR101064959B1 (en) * | 2010-03-12 | 2011-09-16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Depth filtration air filter media for gas turbine in-take air and turbo compressor in-take air purification and depth filtration air filter cartridge us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8230A (en) | 2014-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3231002B2 (en) |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 |
RU2596747C2 (en) | Cartridge for purifying water and water treatment plant | |
US20040245174A1 (en) |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er | |
WO2004094036A1 (en) | Filter assembly utilizing carbon block and pleated filter element | |
KR101912869B1 (en) | Integrated uf-sediment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 |
KR20120025112A (en) | Filter cartridge | |
KR102404664B1 (en) | Graphene filter module for water treatment | |
KR20200011179A (en) | The Unity type Purifying Water Filter for removing Virus and Bacteria | |
KR101409903B1 (en) | A water purifier | |
KR200478985Y1 (en) | Water purifier filter | |
KR19990032736A (en) | High efficiency water treatment system | |
JP5072152B2 (en) |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 |
KR20100051947A (en) | A spiral wound type filter cartridge | |
JP4073351B2 (en) | Water purifier | |
JP2005000768A (en) | Water cleaning cartridge | |
KR20170130703A (en) | Multiple filters for water purification | |
KR101409901B1 (en) | A water purifier | |
KR20120136112A (en) | Filter cartridge and filter using the same | |
JP2004016967A (en) |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leaning the same | |
KR101270788B1 (en) | Filter cartridge for watertreatment | |
KR200370743Y1 (en) | a sediment pre-filter | |
KR200296368Y1 (en) | Filter cartridge having doule hollow filled up filter-materials | |
RU100428U1 (en) | WATER FILTER CARTRIDGE FOR WATER | |
EP3858790A1 (en) | Liquid purification system | |
KR101770964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