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719B1 -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719B1
KR101409719B1 KR1020130056938A KR20130056938A KR101409719B1 KR 101409719 B1 KR101409719 B1 KR 101409719B1 KR 1020130056938 A KR1020130056938 A KR 1020130056938A KR 20130056938 A KR20130056938 A KR 20130056938A KR 101409719 B1 KR101409719 B1 KR 10140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ized
smartphone
wireless charging
top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7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o provide a customized smart 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in which a set top box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module (such as Bluetooth or NFC), and when a user places his or her smart phone on the set top box to wirelessly charge th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the smart phone, executes applications on both the set top box and the smart phone, and enables both application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t top box is optimally customized to a user of the smart phone.

Description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smart TV providing method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충전 기반으로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셋톱박스에 무선충전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NFC)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해 셋톱박스 위에 놓아두면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셋톱박스와 스마트폰 양단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양단의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통신함으로써 셋톱박스의 동작을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top box hav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Bluetooth, NFC) so that when a user places his smart phone on a set- And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service in which an application is operated at both ends of a smart phone and applications at both end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optimize the operation of the set-top box to a smartphone user.

일반적으로 셋톱박스(디지털 셋톱박스)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IP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모니터, 텔레비전 세트)를 통해 시청하도록 해주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이다. 이러한 셋톱박스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별로 구성되는데 해당 방송 사업자가 송출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Generally, a set-top box (digital set-top box) is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at receives a digital broadcast provided through a terrestrial wave, a cable, a satellite, and an IP network and displays it through a display device (monitor, television set). Such a set-top box is configured for each digital broadcasting company and generally comprise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d by the broadcasting company.

한편,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들 모바일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기존에는 가정용 전원에 의해 모바일 단말을 충전해줄 수 있는 어댑터가 일반적이었는데, 미국 애플사의 아이폰 이후로는 USB 포트로부터 전력을 끌어와서 모바일 단말을 충전하는 방식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smart phones are rapidly spreading, and techniques for charging these mobile terminals have also been proposed. In the past, adapters that could charge mobile terminals by household power were common, but after Apple's iPhone in the United States,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by drawing power from the USB port is also widely used.

모바일 단말은 제조사별로 독자 규격의 접속 포트를 채용하는데, 그로 인해 실제 사용환경에서는 충전이 매우 불편하였다. 일반 가정의 예를 살펴보면 구성원별로 각자의 선호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모바일 단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안에는 단말 제조사별로 어댑터나 충전케이블을 마련하여 그때그때 맞춰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어댑터는 한가지로 마련하고 포트 변환용 젠더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불편함은 여전하다.The mobile terminal employs a proprietary access port for each manufacturer, which makes charging very inconvenient in actual use environments. As an example of a general household, there are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ir members, so it is inconvenient to provide an adapter or a charging cable for each terminal manufacturer in the house, and to adjust them at that time. The adapters can be provided in one and the gender for port conversion can be used, but the inconvenience is still present in this cas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기본적으로 케이블 연결이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 무선충전 기술이 제안되었다.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자기 유도, 전자기 공명,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3가지가 제안되어 있는데, 모바일 단말의 충전에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전자기 공명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125kHz, 135kHz 신호로 수 mm 내지 수 cm 내외의 거리에서 전력을 전달하고, 전자기 공명 방식은 10MHz 신호로 수 m 내외의 거리에서 전력을 전달하므로 이 목적에 적합하다.Recently, a wireless charging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ically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able connection. There are three proposals to transmit power wirelessly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electromagnetic resonance, and electromagnetic waves.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electromagnetic resonance are considered to be a major factor in the charging of mobile terminal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because it transmits power at distances of several mm to several cm with 125 kHz and 135 kHz signals, and the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transmits electric power at distances of several meters or less with a 10 MHz signal.

전자기 유도 방식은 2008년에 발족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 무선 충전 자기유도방식 표준협회)에서 기술규격을 정하고 있는데 2010년에 기술규격 1.0을 발표하고 어느정도 실효성이 검증된 상태이다. 그에 따라 최근에 WPC 규격에 따른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충전 패드가 출시되었는데, 상당히 고가여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has been established by the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which was launched in 2008, and the technical specification 1.0 was announced in 2010, and it has proved to be somewhat effective. Accordingly, recentl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rechargeable pad according to the WPC standard has been introduced, but it is very expensive and difficult to be used by ordinary users.

전자기 공명 방식은 MIT의 M. Soljacic 교수가 2007년에 개발한 기술로서 인텔, 퀄컴, 소니 등에서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퀄컴이 20cm 거리에서 2개의 휴대폰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시제품을 개발함에 따라 어느정도 실효성도 검증된 상태이다. 전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충전 장치는 아직까지는 출시되지 않은 상태이나, 출시된다고 하더라도 상당히 고가일 것으로 예상되어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The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was developed by Professor M. Soljacic of MIT in 2007 and is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in Intel, Qualcomm and Sony. In particular, Qualcomm has proven to be somewhat effective as it develops prototypes that can charge two phones simultaneously at 20cm distances. The electromagnetic charging type wireless charging device has not yet been released, but even if it is released, it is expected to be very expensive, making it difficult for general users to use.

그에 따라, 본 출원인은 셋톱박스에 무선 충전장치를 내장하는 기술을 특허출원 제10-2013-0054252호로 출원하였다. 이처럼 셋톱박스에 무선 충전장치를 내장하게 되면 사용자가 무선충전을 위해 스마트폰을 셋톱박스 근방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서로 근방에 위치하게 된 셋톱박스와 스마트폰을 연동시켜 당해 스마트폰의 사용자에 대해 셋톱박스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자동 구현하는 기술을 제시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54252 for a technique of embedd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 set-top box.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built in the set-top box, the user places the smart phone near the set-top box for wireless charg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op box and the smart phone, which are located near each other, We propose a technology to automatically implement a customized service in a set top box for a user.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특허출원 제10-2007-7012601호, 발명의 명칭 "대화식의 디지털 TV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는 이벤트 디스플레이"1. Patent Application No. 10-2007-7012601 entitled "Event Display Controlled by Interactive Digital TV Application"

2. 특허출원 제10-2003-0004633호, 발명의 명칭 "디지털 TV 방송에서 애플리케이션 및 가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2.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04633 entitled "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and Variable Data in Digital TV Broadcasting "

본 발명의 목적은 셋톱박스에 무선충전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NFC)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해 셋톱박스 위에 놓아두면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셋톱박스와 스마트폰 양단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양단의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통신함으로써 셋톱박스의 동작을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맞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t-top box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Bluetooth, NFC) so that when the user places his smartphone on the s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service in which an application is operated at both ends of a phone and applications at both end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optimize the operation of a set-top box to a smartphone user.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은, 셋톱박스가 스마트폰에 대한 무선충전 개시를 감지함에 따라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를 구동하는 제 1 단계; 스마트폰이 셋톱박스에 의한 무선충전 개시를 감지함에 따라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를 구동하는 제 2 단계; 개인맞춤 호스트부와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 사용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 4 단계;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스마트폰 사용환경 정보에 따라 셋톱박스의 실행환경에 대한 개인별 맞춤을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based on wireless charging,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driving a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host unit according to sensing a start of wireless charging of a smartphone; A second step of driving a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as the smartphone detects the start of wireless charging by the set-top box;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data session connection through a personalized host unit and a personalized client unit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fourth step of receiving the smartphone use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in the personalized host unit; And a fifth step of personalizing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the set-top box according to the smartphone use environment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제 4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5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four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receives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In the fif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receives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또한, 본 발명에서 제 4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앱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5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위 제공받은 앱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단계;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앱 수행 결과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four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receives at least one app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installed in the smartphone. In the fif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receives the app Implement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user operation on the display screen to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and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본 발명에서 제 4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에 저장된 동영상과 사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5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위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a multimedia fi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ving picture and a picture stored in a smart phone from a personalized client unit of the personalized personal unit, And displaying the multimedia file provided by the host unit on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에서 제 4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5 단계는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에 따라 셋톱박스에서 방송 컨텐츠 시청 패턴을 개인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는 예약녹화 설정, 선호채널 설정, 차일드 프로텍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개인맞춤 호스트부는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에 따라 예약녹화의 수행, 선호채널 설정 수행, 차일드 프로텍션 설정 수행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In the four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receives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smartphone user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In the fifth step, And personalizing the broadcast content viewing pattern in the set top box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servation recording setting, a preferred channel setting, and a child protection setting, and the personalization host unit performs reservation recording, preference channel setting, child protection setting Perform one or mo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Meanwhil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performing a wireless charging based personalized smart TV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을 위해 스마트폰이 셋톱박스에 접근하였을 때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양 단말장치를 자동으로 연동시킴으로써 셋톱박스의 동작을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설정해둔 사항에 따라 최적으로 설정함은 물론 셋톱박스가 제공하는 텔레비전 화면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 예약녹화, 동영상 플레이, 사진 뷰어, 게임, 충전상태 표시등 다양한 기능을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martphone approaches the set-top box for wireless charging, both terminal devices are automatically linked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t-top box is optimally set according to the items set by the user in the smart phone Of course, the TV screen provided by the set-top box provides convenience of us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martphone application use, scheduled recording, video play, photo viewer, game, and charging status display.

[도 1]은 본 발명에서 개인맞춤형 스마트 TV가 제공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이 무선충전될 때 셋톱박스를 통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스마트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셋톱박스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llustrates an overall system in which a personalized smart TV i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that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is driven through a set-top box when the smart phone is wirelessly charg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smartphone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techniqu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set-top box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verall flow of a wireless personalization-based smart TV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셋톱박스(20)를 이용하여 개인맞춤형 스마트 TV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10)이 무선충전될 때 셋톱박스(20)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기술이 구형되는 전체 시스템은 스마트폰(10), 셋톱박스(20),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포함한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using the set-top box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smar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0 is driven through the set-top box 20.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n overall system in which a wireless personalization type smart TV providing technology based on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includes a smart phone 10, a set-top box 20, and a display device 30.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스마트폰(1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구현되기에 적합한 셋톱박스(2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10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은 무선충전 수신부(11), 단말제어부(12),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부(13), 단말 I/O 인터페이스(14), 단말저장부(15),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20)는 무선충전부(21), 셋톱제어부(22), 근거리 무선통신부(23), I/O 인터페이스(24), 셋톱저장부(25),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a smartphon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harge receiving unit 11, a terminal control unit 12, a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a terminal I / O interface 14, (15), and a wireless charging 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16). 4, the set top box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21, a set top control unit 22,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 an I / O interface 24, a set top storage unit 25 ), And a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host unit 26.

먼저, 무선충전 수신부(11)와 무선충전부(21)는 셋톱박스(20)로부터 스마트폰(10)에 대한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 유도 방식이나 전자기 공명 방식을 통해 스마트폰(10)의 배터리 충전을 셋톱박스(20)에서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11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 are modules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of the smartphone 10 from the set top box 20. [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harging of the smartphone 10 can be performed wirelessly in the set-top box 20 through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the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단말제어부(12)와 셋톱제어부(22)는 각각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12 and the set top control unit 22 perform overall control on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 top box 20, respectively.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부(13)와 근거리 무선통신부(23)는 일정한 근거리에서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The termi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 are modules for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top box 20 at a predetermined short distance, such as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 WideBand), ZigBee (ZigBee).

단말저장부(15)와 셋톱저장부(25)는 각각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램(RAM), 롬(ROM), 하드디스크, 플래시메모리, MRAM(자성체 램), PRAM(상변화 램), FRAM(강유전체 램),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15 and the set top storage unit 25 provide a space for storing various data for operating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 top box 20, ROM, a hard disk, a flash memory, an MRAM (magnetic material RAM), a PRAM (phase change RAM), a FRAM (ferroelectric RAM), a Web disk, a cloud disk, and the like.

마지막으로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와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26)는 각각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에 예컨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되며, 무선충전 개시에 따라 기동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연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서비스를 셋톱박스(20)를 통해 제공한다.Finally, the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16 and the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host unit 26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n Android application in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top box 20, And provides the personalized smart TV service based on the wireless 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et-top box 20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하에서는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와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26)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의 연동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interworking between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top box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16 and the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host unit 26. [

먼저,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는 충전수신 검출모듈(16a), 앱 정보 추출모듈(16b), 원격제어 구현모듈(16c), 사용자 설정모듈(16d)을 포함한다.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예: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외부의 셋톱박스(20)로부터 무선충전의 개시를 검출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셋톱박스(20)와 데이터 제공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여 셋톱박스(20)에서 개인맞춤 서비스가 구현되도록 보조한다.The wireless charging 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16 includes a charging reception detection module 16a, an appl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6b, a remot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c, and a user setting module 16d. When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16 detects the start of wireless charging from an external set-top box 20 as an application (e.g., an Androi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16 transmits the set- And supports remote control so that personalized service can be implemented in the set-top box 20. [

충전수신 검출모듈(16a)은 스마트폰(10)이 셋톱박스(20)에 근접하여 무선충전이 개시되면 무선충전 수신부(11)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통해 외부의 셋톱박스(20)로부터 무선충전이 개시됨을 검출한다. 또한, 충전수신 검출모듈(16a)은 스마트폰(10)의 배터리에 대한 무선충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그에 따른 무선충전 상태 정보, 예컨대 완전 충전 여부 또는 실시간 충전현황(예: 충전 퍼센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충전수신 검출모듈(16a)은 셋톱박스(20)의 요청에 대응하여 무선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The charging reception detection module 16a receives the trigger signal from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11 when the smartphone 10 is close to the set-top box 20 and starts wireless charging, and receives the trigger signal from the external set- And detects that wireless charging is started. In addition, the charge reception detection module 16a monitors the wireless charge status of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10 and acquires wireless charge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full charge status or the real time charge status (e.g., charge percentage) . The charge reception detection module 16a provides wireless charge statu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t top box 20. [

앱 정보 추출모듈(16b)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앱(예: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은 앱 정보로는 앱의 설치 정보, 앱 아이콘 파일 정보, 앱 구동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앱 정보 추출모듈(16b)은 셋톱박스(20)의 요청에 대응하여 앱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도 2(b)]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현된다.The app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6b extract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applications (e.g., Android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 Such app information includes installation information of an app, information on an icon file of an app, information on driving an app, and the like. The app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6b provides app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t-top box 20, thereby implementing a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2 (b).

원격제어 구현모듈(16c)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앱을 셋톱박스(20)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셋톱박스(20)가 앱 정보 추출모듈(16b)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도 2(b)]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한 후, 사용자가 특정 앱에 대한 조작을 인가하면 그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가 스마트폰(10)의 원격제어 구현모듈(16c)로 제공된다. 원격제어 구현모듈(16c)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스마트폰(10)에서 앱이 수행되도록 처리하고, 그에 따른 앱 수행 결과를 추출하여 셋톱박스(20)의 앱 원격제어 모듈(26b)로 반환한다. 원격제어는 공지기술의 원격제어 기술(예: Java RMI)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c allows the set-top box 20 to remotely control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That is, after the set-top box 20 implements the display screen of Fig. 2 (b)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pp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16b, if the user approves the operation for the specific app,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remot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c of the smartphone 10. The remot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c processes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the smartphone 10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extracts the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d returns it to 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of the set-top box 20. [ Remote control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a remote control technology of known technology (e.g. Java RMI).

사용자 설정모듈(16d)은 스마트폰(10)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데, 이는 스마트폰(10)의 유심(USIM) 모듈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설정모듈(16d)은 사용자 정보를 셋톱박스(20)로 제공하여 사용자 계정과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setting module 16d manages user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10, which may be provided from a USIM module of the smartphone 10 or may be set by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menu. The user setting module 16d may provide the user information to the set-top box 20 so as to link the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account.

또한, 사용자 설정모듈(16d)은 컨텐츠 시청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컨텐츠 시청설정으로는 예약녹화, 선호채널, 차일드 프로텍션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를 예약 설정하거나 선호채널(favorate channels)을 설정할 수도 있고, 차일드 프로텍션에 대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모듈(16d)은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를 셋톱박스(20)로 제공하여 셋톱박스(20)의 방송 컨텐츠 시청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setting module 16d can set information on content viewing. The content viewing setting may be reserved recording, preferred channel, child protection, and the like. That is, the user of the smartphone 10 can set a schedule for recording a broadcast program, a favorite channel, or a condition for child protection through an application menu. The user setting module 16d may provid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set top box 20 to set a broadcast content viewing pattern of the set top box 20. [

다음으로,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26)는 무선충전 검출모듈(26a), 앱 원격제어 모듈(26b), 사용자계정 설정모듈(26c), 맞춤컨텐츠 설정모듈(26d)을 포함한다. 개인맞춤 호스트부(26)는 셋톱박스(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예: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외부의 스마트폰(10)에 대한 무선충전의 개시를 검출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0)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셋톱박스(20)에 대한 개인맞춤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host unit 26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detection module 26a, an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a user account setting module 26c, and a custom content setting module 26d. When the personalized host unit 26 detects the start of wireless charging of the external smartphone 10 as an application (e.g., an Androi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et-top box 20, the personalized host unit 26 And performs personalized function for the set-top box 20 by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무선충전 검출모듈(26a)은 무선충전부(21)에 스마트폰(10)이 근접하여 무선충전이 개시되면 무선충전부(21)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통해 외부의 스마트폰(10)에 대한 무선충전이 개시됨을 검출한다. 즉, [도 1]이나 [도 2(a)]와 같이 셋톱박스(20)에 내장된 무선충전부(21)을 활용하려면 스마트폰(10)을 근접시켜야 하는데, 무선충전 검출모듈(26a)은 이처럼 근접 상황이 이루어짐에 따라 무선충전이 개시되었음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충전 검출모듈(26a)이 무선충전의 개시를 검출하면 이를 양 단말장치가 근접한 신호로 간주하고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구현을 위한 동작에 착수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tection module 26a receives a trigger signal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 wh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 starts to wirelessly charge the smartphone 10 in proximity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 And detects that wireless charging is started. That is, the smartphone 10 must be brought close to utilize the wireless charger 21 built in the set top box 20 as shown in Fig. 1 or Fig. 2 (a). The wireless charger detection module 26a It is detected that the wireless charging is started as the proximity situation is thus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tection module 26a detects the start of wireless charging, the wireless charging detection module 26a regards these signals as signals close to each other and starts an operation for implementing a personalized smart TV.

추가로, 무선충전 검출모듈(26a)은 스마트폰(10)의 충전수신 검출모듈(16a)로부터 스마트폰(10)의 무선충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완전충전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실시간 충전현황(예: 충전 퍼센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충전 검출모듈(26a)이 스마트폰(10)의 무선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면 셋톱박스(20)는 [도 2(b)]의 우측 하단에서와 같이 이를 디스플레이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e detection module 26a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harge status of the smartphone 10 from the charge reception detection module 16a of the smartphone 10. For exampl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may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information on the real-time charging status (for example, the charging percentage) is provided.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tection module 26a is provid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10, the set top box 20 can display and display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information as shown in the lower right portion of FIG. 2 (b).

앱 원격제어 모듈(26b)은 스마트폰(10)에 설치된 각종 앱(예: 안드로이드 앱)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모듈로서, 먼저 근거리 무선통신부(23)를 제어하여 스마트폰(10)과 데이터 세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앱 원격제어 모듈(26b)은 앱 정보 추출모듈(16b)로부터 스마트폰(10)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그에 따라 [도 2(b)]와 같이 앱 정보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화면(30)을 구현한다.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is a module for remotely controlling various apps (e.g., Android app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and first control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 phone 10 and the data session Establish a connection. Then, 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receives information on one or more app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from the app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16b, and accordingly acquires the app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 (b) And the display screen 30 is implemented.

그리고 나서, 앱 원격제어 모듈(26b)은 사용자가 셋톱박스(20)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화면(30) 상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식별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스마트폰(10)의 원격제어 구현모듈(16c)로 제공한다.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스마트폰(10)에서 앱이 수행되도록 처리하고, 원격제어 구현모듈(16c)은 그에 따른 앱 수행 결과를 추출하여 앱 원격제어 모듈(26b)로 반환한다. 앱 원격제어 모듈(26b)은 그 반환받은 앱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30)에 반영한다.Then, 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identifies the user operation on the display screen 30 to which the user applies using the remote control of the set-top box 20, and transmits the user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remote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c.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16 processes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the smartphone 1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he remot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c extracts the application execution result and returns it to 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do. 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reflects the returned app execution result on the display screen 30.

추가로, 앱 원격제어 모듈(26b)은 스마트폰(10)에 저장된 동영상과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셋톱박스(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이렇게 제공된 멀티이미어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30)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app remote control module 26b controls the multimedia files such as moving pictures and photos stored in the smartphone 10 to be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20, reproduces the multi-image files thus provided, ).

사용자계정 설정모듈(26c)은 스마트폰(10)의 사용자 설정모듈(16d)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계정과 연동시킨다.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셋톱박스(20)에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계정 설정모듈(26c)은 스마트폰(10)에서 얻은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계정을 특정하고 그에 따라 이전에 설정해둔 정보를 활용한다. 또한, 사용자계정 설정모듈(26c)은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반영하여 차일드 프로텍션(페어렌털 가이드) 모드를 진입할 수도 있는데, 차일드 프로텍션 모드에서는 사용자 연령을 초과하는 앱이나 컨텐츠(방송, 동영상, 사진)의 감상이 차단된다.The user account setting module 26c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setting module 16d of the smartphone 10 and links the user information with the user account. In order to provide an optimized service for each user, it is desirable to manage the user account in the set-top box 20. The user account setting module 26c specifies the user account with the use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martphone 10, To use the information set in. The user account setting module 26c may enter the child protection mod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In the child protection mode, an application or content (broadcasting, moving picture, photo) .

맞춤컨텐츠 설정모듈(26d)은 스마트폰(10)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에 따라 셋톱박스(20)의 방송 컨텐츠 시청 패턴을 설정하는데, 이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사용자에게 개인맞춤하는 결과로 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앱을 통해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녹화, 선호채널, 차일드 프로텍션 등을 설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셋톱박스(20)에 올려두고 무선충전을 개시하면, 셋톱박스(20)의 맞춤컨텐츠 설정모듈(26d)은 자동적으로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이러한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를 가져와서 셋톱박스(20)의 방송 컨텐츠 시청 패턴을 설정하는 것이다.
The customized content setting module 26d sets a broadcast content viewing pattern of the set top box 20 according to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rough the smartphone 10, Results in fitting. That is, the user can set the reservation recording, the preferred channel, the child protection, and the like for the broadcast contents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of his / her own. When the wireless charging is started, the customized content setting module 26d of the set-top box 20 automatically fetches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10 and sets a broadcasting content viewing pattern of the set-top box 20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based on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과 [도 2]와 같이 스마트폰(10)의 사용자는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스마트폰(10)을 셋톱박스(20) 위에 올려놓는데, 그 즉시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는 무선충전 수신부(11)와 무선충전부(21)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충전 개시 이벤트를 감지한다(S11).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ser of the smartphone 10 places the smartphone 10 on the set-top box 20 in order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The set-top box 20 receives the trigger signal from the wireless charge receiving unit 11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21 and senses a wireless charge start event (S11).

단계(S11) 이후,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는 무선충전 개시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치된 개인맞춤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구동하며, 그 결과로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에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와 개인맞춤 호스트부(26)가 작동하게 된다(S12).After step S11,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top box 20 respectively drive the personalized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wireless charging start event, and as a result, the smart phone 10 and the set- The wireless personalization 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16 and the personalized host unit 26 are operated (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폰(10)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16)와 셋톱박스(20)의 개인맞춤 호스트부(26)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NFC, UWB, 지그비)을 통한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S13).After step S12,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16 of the smartphone 10 and the personalized host unit 26 of the set-top box 20 are connected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NFC, UWB, ZigBee) The data session is connected (S13).

단계(S13) 이후, 셋톱박스(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를 수신하며(S14), 그에 따라 예약녹화, 선호채널, 차일드 프로텍션 등과 같은 컨텐츠 시청 개인맞춤을 수행한다(S15). 이를 통해, 셋톱박스(20)의 방송 컨텐츠 시청 환경은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을 통해 미리 입력해둔 설정값에 따라 개인맞춤이 이루어져 동작하게 된다.After step S13, the set-top box 20 receives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10 (S14) and performs personalization of content viewing such as reservation recording, preferred channel, child protection, etc. (S15 ). Accordingly, the broadcast content viewing environment of the set-top box 20 is personaliz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et values pre-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smart phone 10. [

단계(S15) 이후, 셋톱박스(20)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앱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제공받으며 그에 따라 [도 2(b)]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한다(S16).After step S15, the set-top box 20 receives one or more pieces of app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10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0, thereby implementing a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2 (b) (S16 ).

단계(S16)에 구현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조작을 실행하게 되는데, 셋톱박스(20)는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전달하고 그에 따른 앱 수행 결과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영한다(S1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스마트폰(10)과 셋톱박스(20)를 활용하여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서비스가 제공된다.
The user performs various operations on the display screen implemented in step S16. The set-top box 20 transmits the user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10, return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to the smartphone 10, (S17). Through such a process, a personalized smart 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is provided using the smartphone 10 and the set-top box 20. [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스마트폰
11: 무선충전 수신부
12: 단말제어부
13: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부
14: 단말 I/O 인터페이스
15: 단말저장부
16: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
16a: 충전수신 검출모듈
16b: 앱 정보 추출모듈
16c: 원격제어 구현모듈
16d: 사용자 설정모듈
20: 셋톱박스
21: 무선충전부
22: 셋톱제어부
23: 근거리 무선통신부
24: I/O 인터페이스
25: 셋톱저장부
26: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
26a: 무선충전 검출모듈
26b: 앱 원격제어 모듈
26c: 사용자계정 설정모듈
26d: 맞춤컨텐츠 설정모듈
30: 디스플레이 장치
10: Smartphone
11: Wireless charging receiver
12:
13: termi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14: Terminal I / O interface
15:
16: Wireless charging based personalized client part
16a: Charge receiving detection module
16b: App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6c: remote control implementation module
16d: User setting module
20: Set-top box
21:
22: Set-
23:
24: I / O interface
25: Set-top storage unit
26: Wireless charging based personalized host unit
26a: wireless charge detection module
26b: App Remote Control Module
26c: User Account Configuration Module
26d: Custom Content Configuration Module
30: Display device

Claims (7)

셋톱박스가 스마트폰에 대한 무선충전 개시를 감지함에 따라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호스트부를 구동하는 제 1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셋톱박스에 의한 무선충전 개시를 감지함에 따라 무선충전 기반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를 구동하는 제 2 단계;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셋톱박스 측)와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스마트폰 측)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 사용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 4 단계;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스마트폰 사용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셋톱박스의 실행환경에 대한 개인별 맞춤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A first step of driving a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host unit as the set-top box senses the start of wireless charging for the smartphone;
A second step of driving a wireless charging-based personalized client unit according to the smart phone detecting the start of wireless charging by the set-top box;
A third step in which the personalized host unit (set-top box side) and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smartphone side) perform a data session connection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 fourth step of the personalized host receiving the smartphone use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A fifth step of personalizing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the set-top box according to the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information;
Wherein the smart TV is a personalized smart TV.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by the personalized host unit,
And the fifth step includes displaying the wireless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on the display by the personalized hos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앱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제공받은 앱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앱 수행 결과를 반환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at least one piece of app inform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by the personalized host unit,
In the fif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implement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provided app information;
Wherein the personalized host provides the user operation on the display screen to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and return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execution to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and reflects the result on the display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roviding a personalized smart TV based on wireless charg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상기 스마트폰에 저장된 동영상과 사진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the multimedia file including at least one of moving images and photographs stored in the smartphone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Wherein the personalized host unit displays the provided multimedia file on the display, in the fifth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개인맞춤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스마트폰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가 상기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셋톱박스에서 방송 컨텐츠 시청 패턴을 개인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smartphone user from the personalized client unit by the personalized host unit,
Wherein the personalized host unit personalizes the broadcast content viewing pattern in the set-top box according to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The personalized smart TV according to claim 1, Wa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는 예약녹화 설정, 선호채널 설정, 차일드 프로텍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개인맞춤 호스트부는 상기 컨텐츠 시청설정 정보에 따라 예약녹화의 수행, 선호채널 설정 수행, 차일드 프로텍션 설정 수행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ourth step,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served recording setting, a preferred channel setting, and a child protection setting,
In the fifth step, the personalized host unit performs at least one of performing reservation recording, performing a preference channel setting, and setting a chil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viewing setting information. Wa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무선충전 기반의 개인맞춤형 스마트 TV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wireless charging based personalized smart TV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130056938A 2013-05-21 2013-05-21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KR101409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38A KR101409719B1 (en) 2013-05-21 2013-05-21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38A KR101409719B1 (en) 2013-05-21 2013-05-21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719B1 true KR101409719B1 (en) 2014-06-20

Family

ID=5113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38A KR101409719B1 (en) 2013-05-21 2013-05-21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7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636B1 (en) * 2017-03-06 2018-09-12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Apparatus of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hopping program
US10965143B2 (en) 2016-03-10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O2022114071A1 (en) * 2020-11-30 2022-06-02 株式会社資生堂 Cosmetic recommendation device, cosmetic recommendation system, and cosmetic recommendation method for cosmetic recommend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100A (en) * 2008-05-02 2009-11-19 Pixela Corp Set-top box with television linked power supply function
KR20120125968A (en) * 2011-05-09 2012-11-19 김창호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39660A (en) * 2011-10-12 2013-04-22 티디케이 타이완 코포레이션 Selecting method of sensoring modules commonly used by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its selective electric circuit
KR20130048982A (en) * 2011-11-03 2013-05-1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d or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3100A (en) * 2008-05-02 2009-11-19 Pixela Corp Set-top box with television linked power supply function
KR20120125968A (en) * 2011-05-09 2012-11-19 김창호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39660A (en) * 2011-10-12 2013-04-22 티디케이 타이완 코포레이션 Selecting method of sensoring modules commonly used by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its selective electric circuit
KR20130048982A (en) * 2011-11-03 2013-05-13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d or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therewit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5143B2 (en) 2016-03-10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897636B1 (en) * 2017-03-06 2018-09-12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Apparatus of providing personalized home shopping program
WO2018164354A1 (en) * 2017-03-06 2018-09-13 애니포인트미디어 주식회사 Personalized home shopping program providing device
WO2022114071A1 (en) * 2020-11-30 2022-06-02 株式会社資生堂 Cosmetic recommendation device, cosmetic recommendation system, and cosmetic recommendation method for cosmetic recommend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81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9732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TWI583188B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94082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inding a remote control
KR102160166B1 (en) Device control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6742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4318741B (en) Bluetooth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EP3154269A1 (en) Method for synchronously sharing video among mobile terminals and system thereof
JP2017512037A (en) Connec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2002116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0403662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on intelligent terminal
KR101409719B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mart-TV service based on wireless charg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N103984664A (en) Cloud space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50123437A (en) Mobile terminal
KR20150067876A (en) display appratus an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he same
KR20170034603A (e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event
KR101304805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CN104156387A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1507120B1 (en) Wireless mobile terminal for auxiliary display device
EP339681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67078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or wired device by using the battery combined ultrasonic remote controller and the apparatus thereof
AU20172025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6006087A1 (en)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80032321A (en) System for offer vehicle estimate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110127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v-watching of device, recordabl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