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441B1 - 연부조직 치료용 침 - Google Patents
연부조직 치료용 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8441B1 KR101408441B1 KR1020120118988A KR20120118988A KR101408441B1 KR 101408441 B1 KR101408441 B1 KR 101408441B1 KR 1020120118988 A KR1020120118988 A KR 1020120118988A KR 20120118988 A KR20120118988 A KR 20120118988A KR 101408441 B1 KR101408441 B1 KR 1014084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soft tissue
- predetermined
- tissue
- acupun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져 있고 소정의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 침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상된 연부조직을 치료할 수 있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에 관한 것이다.
연부조직이란 근육, 인대, 지방, 혈관, 신경, 힘줄, 섬유조직, 활막조직 등을 말한다. 연부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서 만성요추간판탈출증, 만성요추간판협착증이 있다. 만성요추간판협착증은 요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수행을 싸고 있는 섬유륜의 내측 또는 외측 섬유의 파열로 수핵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사이로 돌출되어 척수의 경막이나 신경근을 압박하여 요통 및 신경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서양의학에서는 진단기기의 발달과 수술기법의 발전으로 만성요추간판협착증의 치료에 수술요법을 많이 시행하고 있으나 수술의 남용과 수술 후에 나타나는 후유증으로 인한 부작용이 적지 않다.
이건목 외, 경항통 치료에 있어 T형 침도침 시술을 활용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제25권 제4호, pp 191-196 (2008년 8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침습을 최소화하여 손상된 연부조직을 치료할 수 있는 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부조직 치료용 침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져 있고 소정의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 침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침도부의 끝단은 둥글게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5°이상 내지 25°이하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폭은 1.5mm 이상 내지 2.5mm 이하의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두께는 0.5mm 이상 내지 1.0mm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일면은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손잡이부의 폭보다 좁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5cm이상 내지 10c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습을 최소화하여 손상된 연부조직을 치료할 수 있는 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방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배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측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배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한방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방침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침체(2)와 상기 침체(2)의 일단에 형성된 뾰족한 침첨(鍼尖,3)과 상기 침체(2)의 타단에 침체(2)보다 굵게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침병(鍼柄,1)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한방침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재를 가공해 소정 두께를 갖도록 하고, 일정 힘을 가했을 때 휘어지는 얇은 원형핀 형상의 침선부를 만들고, 상기 침선부의 일단을 부드럽게 연마하여 인체에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뾰족한 형상의 침 끝단을 형성하며, 타측에는 코일 및 그 밖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 시술자가 손으로 잡고 피시술자에 침을 놓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침술에 사용되는 한방침은 금·은·백금·스테인레스강 등 금속제의 침선부를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 피부를 통해 자입(刺入)하여 조직에 기계적 자극을 줌으로써 병의 치유를 촉진하거나 건강의 증진을 도모하도록 한다.
즉, 종래의 한방침은 피부나 근육을 자극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였고, 만성요추간판협착증 또는 만성요추간판탈출증과 같이 내부조직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해왔다.
본 발명의 연부조직 치료용 침은 특히, 만성요추간판탈출증 또는 만성요추간판협착증과 같은 질병에 대해 외과적 수술을 대체하여 최소의 침습만으로 요추간판탈출 또는 요추간판협착에 의해 눌린 연부조직을 치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배면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다. 연부조직 치료용 침은 절개된 피부와 근육조직 사이로 생체 내부에 삽입되어 손상된 연부조직을 치료하는 치료기구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침은 손잡이부(10), 연결부(20), 침도부(鍼刀部, 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0)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중심으로 손이 쥘 수 있는 부분으로 약 10cm 내외의 길이와 약 0.5cm 내지 약 1c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일면(10B)은 요철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패턴은 앞으로 설명할 침도부(30)의 휘어진 부분과 반대 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시술자가 시술할 때 침도부(30)의 방향을 인식할 있다. 또한 시술 중에 침이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20)는 손잡이부(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부가 생체 내부에 삽입되어 시술자가 생체 내부의 연부조직을 치료하기 위해서 연결부(20)는 손잡이부의 폭보다 좁고, 소정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연결부(20)의 폭은 1.5mm 이상 내지 2.5mm 이하, 연결부(20)의 길이는 5cm 이상 내지 10cm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침이 내부조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피부와 근육조직을 최소한으로 절개하고, 침이 견고함을 유지하면서 시술하기 위해서 연결부(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연결부(20)의 두께는 약 0.5 mm 이상 내지 약 1.0 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침도부(30)는 연결부(2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침도부(30)는 협착된 연부조직, 일 예로 협착된 신경조직과 인대조직을 절개 또는 박리하는 부분이다. 침도부는 연결부의 타단에 위치하여 요추간공 내외구의 협착과 골증식을 절개하여 신경근 갑압을 유도하며 둔부에서 그리하여 신경조직을 원래의 동적인 상태로 회복시켜 추간판탈출증에 의해 눌려지는 신경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게 한다. 침도부(30)가 협착된 신경조직과 인대조직을 절개 또는 박리하기 위해 침도부(30)는 소정의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부분을 가져야 한다. 침도부(30)의 폭(W)은 1.5mm 이상 내지 2.5m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침도부(30)의 두께(T)는 0.5mm 이상 내지 1.0m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침도부(30)에 이용하여 신경조직과 인대조직을 절개 또는 박리할 때, 신경조직을 손상시키면 안되므로 침도부(30)의 끝단(E)은 둥글게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도부(30)는 경추나 요추 등에 의해 가려지는 신경조직과 인대조직에 닿아야 하므로 연결부(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휘어져 있어야 한다. 침도부(30)의 바람직한 휘어짐 각도(θ)는 연결부(20)에 대해 5° 이상 내지 25°이하이다.
만성요추간판탈출증, 만성요추간판협착증의 기전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적인 자세불량 혹은 한사(寒邪)를 받아, 요부 근육이 손상을 받고, 경련을 일으키며, 요추의 정상만곡이 후방 변위 되거나, 측만 파열되어 미세 섬유가 돌출되거나 수핵이 요추만곡을 따라 후방 또는 측방으로 탈출하여 신경근을 압박한다. 탈출 형태상으로 팽륜형, 돌출형, 탈출형, 부골화 등 4단계로 나눈다.
둘째, 섬유륜의 얇아짐, 파열, 수핵의 수분감소, 연골종판의 얇아짐, 석회화 등의 요추간판 퇴행의 결과 척추간 사이의 좁아짐, 후관절의 착위, 자극으로 인한 관절낭 염증성 변성, 골극 증가, 추간공 축소, 신경근 압박 등을 유발한다.
셋째, 전지와 후지의 요신경이 눌리는 압력에 따라, 그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 근막경련, 혈행장애, 단발손상을 일으키고, 둔부 근육이 계속적인 손상을 받으면,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하지의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부조직 치료용 침은 조직의 유착을 박리하여 원래의 동적 상태로 회복시킴으로써, 회복된 조직은 활동 시 자유롭게 체내에서 위치를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병소 부위를 소통시켜 기혈을 순조롭게 통하여 동통이 제거되고 기능이 회복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손잡이부
20: 연결부
30: 침도부
20: 연결부
30: 침도부
Claims (8)
-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져 있고 소정의 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부분을 가지고, 끝단은 둥글게 처리되어 있는 침도부;
를 포함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5° 이상 내지 25°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은 1.5mm 이상 내지 2.5mm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두께는 0.5mm 이상 내지 1.0mm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면은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손잡이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길이는 5cm 이상 내지 10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 치료용 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8988A KR101408441B1 (ko) | 2012-10-25 | 2012-10-25 | 연부조직 치료용 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8988A KR101408441B1 (ko) | 2012-10-25 | 2012-10-25 | 연부조직 치료용 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2641A KR20140052641A (ko) | 2014-05-07 |
KR101408441B1 true KR101408441B1 (ko) | 2014-06-17 |
Family
ID=5088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8988A KR101408441B1 (ko) | 2012-10-25 | 2012-10-25 | 연부조직 치료용 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844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7693Y1 (ko) * | 1987-05-22 | 1989-10-31 | 주식회사해성 | 안과용 세척겸용 낭절개, 제거침(일회용) |
KR19980056840U (ko) * | 1997-01-23 | 1998-10-15 | 이상호 | 수술용 봉합침 |
KR20100082070A (ko) * | 2009-01-08 | 2010-07-16 | 김근식 | 사봉침 |
-
2012
- 2012-10-25 KR KR1020120118988A patent/KR1014084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7693Y1 (ko) * | 1987-05-22 | 1989-10-31 | 주식회사해성 | 안과용 세척겸용 낭절개, 제거침(일회용) |
KR19980056840U (ko) * | 1997-01-23 | 1998-10-15 | 이상호 | 수술용 봉합침 |
KR20100082070A (ko) * | 2009-01-08 | 2010-07-16 | 김근식 | 사봉침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박세운 외, 요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침도요법과 침도요법 이후 감압 병행치료의 효과비교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Vol. 29, No. 3, pp 29-39 (2012. 06) * |
박세운 외, 요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침도요법과 침도요법 이후 감압 병행치료의 효과비교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Vol. 29, No. 3, pp 29-39 (2012. 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2641A (ko) | 2014-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69335A1 (en) | Soft palate treatment | |
US697930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 |
US2007008838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oft tissue injuries | |
US20030125652A1 (en) | Adap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 |
US11806071B2 (en) | Soft palate treatment | |
US6953440B2 (en) |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 |
US20030130604A1 (en) | Adjus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 |
US20140364760A1 (en) | Skin Patch Instrument For Treating Pain | |
JP3701978B2 (ja) | 外科用器具 | |
KR101408441B1 (ko) | 연부조직 치료용 침 | |
US5810875A (en) | Low back and hip treatment device | |
EP3909551A2 (en) | Soft palate treatment | |
KR20100082070A (ko) | 사봉침 | |
US11357688B1 (en) |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struments | |
CN201008598Y (zh) | 正脊强元腰垫 | |
CN205433770U (zh) | 一种韧针 | |
CN215740474U (zh) | 平衡针 | |
RU2180826C1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обусловленных дегенеративно-дистрофическими процессами | |
RU2637416C2 (ru) | Способ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й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нитями для коррекции постурального дисбаланса | |
RU2100996C1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 |
RU2164141C2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иофасциальных болевых синдромов | |
Fu et al. | Fu’s Subcutaneous Needling: A Novel Therapeutic Proposal | |
KR200447252Y1 (ko) | 척수 반사점 지압 장갑 | |
RU2204978C2 (ru) |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ложных суставов | |
Yong-Suk | Acupuncture treatment for low back pain in Kore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