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244B1 - Bottle for beverage - Google Patents

Bottle for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244B1
KR101408244B1 KR1020120120991A KR20120120991A KR101408244B1 KR 101408244 B1 KR101408244 B1 KR 101408244B1 KR 1020120120991 A KR1020120120991 A KR 1020120120991A KR 20120120991 A KR20120120991 A KR 20120120991A KR 101408244 B1 KR101408244 B1 KR 10140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lid
outside air
dischar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4915A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권 filed Critical 이용권
Priority to KR102012012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244B1/en
Publication of KR2014005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3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딱딱한 하드 재질의 외부 내부에 소프트한 실리콘 재질의 내피를 구비하여 하드 재질의 외피에 의해 제품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외피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실리콘 재질의 내피로 인해 환경호르몬 발생 위험을 없애면서도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원활한 음료 배출을 위해 필요한 공기유입구가 안정적이고 유아들의 사용에 편리하게 설계되어, 종국적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 수용을 위한 내피와, 내부에 상기 내피가 안치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상부에 안치되고 내피에 수용된 내용물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체와, 그리고 상기 배출체 외곽을 덮으면서 외피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지면사 상기 내피는 외피로부터 분리이탈되어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배출체에는 외기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icone material having an inner surface of a soft silicone material and a silicone material outer surface of a hard material to ensure the structural durability of the product by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bottle for infants which has a stable air inlet for smooth beverage discharge and is designed to be conveniently used for infants and ultimately enhances ease of use and cleanliness,
An exhaust body for receiving the contents, an outer shell having the inner shell disposed therein, an exhaust body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hell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ner shell, and a fastening ring Wherein the inner skin is made of an elastomeric material and the outer skin is made of a hard material so that the inner skin can be separated from and removed from the outer skin and the outer body air inlet is formed in the discharge body, .

Description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BOTTLE FOR BEVER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bottle having improved convenience and cleanliness,

본 발명은 물을 비롯한 쥬스 또는 차 등의 다양한 음료를 보관하고 마시기 위한 음료병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bottle for storing and drinking various beverages such as juice or tea including water,

보다 구체적으로 딱딱한 하드 재질의 외부 내부에 소프트한 실리콘 재질의 내피를 구비하여 하드 재질의 외피에 의해 제품 구조적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외피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실리콘 재질의 내피로 인해 환경호르몬 발생 위험을 없애면서도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More concretely, a soft silicone inner skin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portion of the hard hard material to ensure the structural durability of the product by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 material, and the inner skin of the silicone material, which is replaceably provided on the outer skin, So that the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나아가 원활한 음료 배출을 위해 필요한 공기유입구가 안정적이고 유아들의 사용에 편리하게 설계되어, Furthermore, the air inlet required for smooth beverage discharge is stable and is designed to be convenient for infants,

종국적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bottle which ultimately enhances convenience and cleanliness of use.

최근 환경호르몬 문제가 제기되면서 이로부터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용기들이 소개되고 애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현재 환경호르몬으로부터의 위험을 완벽에 가깝게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 실리콘이다.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hormone problems have been raised, and containers made of materials that can minimize the risk have been introduced and used. Currently, silicon is the material that can block risks from environmental hormones.

또한 식기 내 세균번식을 막기 위해서는 열탕소독이 요구되는데,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용기만이 아니라 물병, 컵, 젖병 등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으나 용기로 통칭한다)는 끓는 물에 소독할 경우에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발생되고, 이 환경호르몬은 유아를 비롯한 사용자의 몸에 전달되어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경호르몬의 발생은 끓는 물에서의 소독뿐만이 아니라 뜨거운 내용물을 식기에 담게 되는 경우에도 물론 발생된다.
In addition, sterilization of hot water is required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germs in dishes. Plastic container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ntainers, which can be considered variously such as water bottles, cups, bottles, etc.) Harmful environmental hormones are generated, and these environmental hormones are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user including the infant and have a bad influence.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environmental hormones occurs not only in disinfection in boiling water, but also in cases where hot contents are contained in dishes.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리 내지 자기 소재의 용기들이 소비자들에게 애용되고 있는데, 유리 내지 자기 소재의 용기들은 무겁고 강화유리나 내열 유리인 경우에도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를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tainer made of plastic material, containers of glass or magnetic material have been used by consumers. However, the containers of glass or magnetic material are heavy and have a problem that they are easily broken even in case of tempered glass or heat resistant glass.

이에 환경호르몬으로부터의 위험이 노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는 물병이나 유아용 젖병의 재질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Therefore, it is not preferable as a material of a water bottle or a baby bottle carried by a portable device although the risk from the environmental hormone is not exposed.

기존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실리콘 소재가 각광을 받게 되는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리콘은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안전한 소재로써 이와 함께 부식성이 없고 산화되지 않으며 공기투과율이 좋은 첨단소재로써 뛰어난 내구성은 물론 내열성과 내한성도 갖춘 소재이다.As mentioned above, silicone is a safe material that does not detect environmental hormones. It is also a high-tech material that is not corrosive, does not oxidize, and has good air permeability.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s well as heat resistance And cold-resistant material.

그리고 무취, 무미로 인체에 무해하고 오존 및 자외선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절대적 장점을 가진다.
And it is harmless to human body with odorless and tasteless, and has an absolute advantage that it is excellent in safety against ozone and ultraviolet rays.

그러나 실리콘은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과는 달리 유동적이기에 즉, 형태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이어서 식기나 물병, 컵 등으로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However, unlike glass or plastic materials, silicone is a fluid material, which means that its shape is an elastomeric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ich limits its application to dishes, water bottles, and cups.

또한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물병의 경우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품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야 하고 제품 휴대성을 위해서는 내부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새지 않는 밀폐성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실리콘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ater bottle used for a portable use, the shape of the product should not be deform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order to ensure portability of the produc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inside should satisfy the tightness that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

이에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수용된 내용물에 대한 안전성을 위해 실리콘을 사용하면서도 이를 내피로 적용하고, 내용물과의 접촉이 전혀 없는 외피를 별도 구비하고 이를 하드재질로 구성하는 이중구조의 용기를 고려하게 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 double-layered container in which silicon is used for safety for the contents to be accommodated and applied as an inner layer, and a shell having no contact with the contents is separately provided and is made of a hard material will be.

물론, 단순히 이중구조의 용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6560호(2012.06.08)『착탈식 이중용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74568호(2002.04.25)『파우더 콤팩트용 리필케이스 구조』 등이 개시된 바 있다.
Of course, for the double-structure container,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56560 (2012.06.08) "Detachable double container",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74568 (Apr. 25, 2002) "Refill Case Structure for Powder Compact" Have been disclosed.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제10-1156560호는 용기 자체를 이중구조로 하였다는 점에서는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과 개념이 유사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등록특허 제10-1156560호는 단순히 두 개의 용기를 결합하여 한 개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고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두 개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이중 용기여서 상기 공개된 구조만으로는 안쪽에 구비되는 용기를 실리콘 재질로 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문제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다. 물론, 등록특허 제10-1156560호에는 실리콘 용기에 대한 시사 내지 암시 또한 없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156560 can be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that the container itself has a double structure. In particular,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156560 merely includes two containers The container can be used as one container and can be used as two containers in a separated state. Thus, the disclosed structure alone can not solve the expected problems in the case of using a container made of silicon as the inside. Of course, in Patent No. 10-1156560, there is no suggestion or suggestion for a silicon container.

그리고 등록특허 제10-1156560호는 단순한 용기이기에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에서의 액체를 담아 휴대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음료병과는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
And since Patent No. 10-1156560 is a simple container, there is a fundamentally different difference from the beverage bottle in which the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carried while carrying it.

다음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74568호에는 하드 재질의 리필케이스 내부에 엘라스토머 재질인 실리콘 용기가 구비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Next,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74568, there is disclosed a structure in which a silicon container made of an elastomer material is provided inside a refill case made of a hard material.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274568호는 화장품 용기인 것으로 음식물 특히 물이나 쥬스, 커피 등과 같은 액체를 담고 휴대하여 이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병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에서 해결하고자하는 문제 또는 얻고자 하는 어떠한 효과도 예견되거나 암시 또는 시사가 되어 있지 않다.
However,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274568 is a cosmetic container, whi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 beverage bottle that can carry a liquid such as food, especially water, juice, coffee, etc., and drink it, and as a result, The problem you are trying to achieve or any effect you want to achieve is not foreseen, implied or suggested.

아울러 젖병만이 아니라 이유식 시기에 사용되는 유아용 음료병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원활한 음료 흡입 및 이에 따른 원활한 음료 배출을 위해 외기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밸브를 마련하게 되는데(젖병의 경우 배앓이 방지 목적도 포함),In addition, not only the bottle but also the infant bottle used for the baby food season, the air valve for inflow of outside air is provided for the user to smoothly drink the beverage and smoothly discharge the beverage (in the case of a bottle, ,

젖병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유아용 음료병에 있어서는 이러한 공기밸브 구조가 사용의 편의 측면에 있어서는 그 편의성이 떨어지고, 또한 음료가 새는 구조이거나 복잡한 구조 등이 많아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의 음료병과는 확인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Even in the case of a bottle bottle, the air valve structure of the infant drink bottle is not convenient in terms of convenience in use, and the structure of the beverage leaking or the structure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are many, so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beverage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이에 본 발명은 실리콘 재질의 내피와 하드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진 유아용 음료병을 제안하여 뜨거운 내용물이 담기는 경우에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위험을 없애면서도 뜨거움이 사용자에게는 전달되지 않아 휴대용으로 제품 사용이 편리한 음료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everage bottle for infants made of a silicone-made inner skin and a hard outer shell, which eliminates the risk of environmental hormones when the hot contents are contained, but does not transmit the heat to the user, And the like.

특히 환경호르몬으로부터의 위험이 없는 실리콘 재질의 내피는 언제든지 교체 가능한 구조이기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피의 열탕소독이 가능하여 위생적 측면이 강화된 유아용 음료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ant bottle capable of disinfecting the endothelium in which food is received, because the endothelium of silicone material, which is free from the risk of environmental hormones, can be replaced at any time.

또한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를 배출체에 형성하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입하여 유아들이 사용에 있어 안정적이고 위생적인 유아용 음료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le and hygienic infant bottle for infants by introducing a structure in which an air inlet for inflow of outside air is formed in a discharge body and a smooth air flow is perform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또한 배출체를 덮는 뚜껑에 있어서도 음료 흡입시 뚜껑이 닫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아용 음료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ttle for infants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closing the lid when the beverage is sucked even in the lid covering the discharge body.

종국적으로는 기존 유아 쥬스병에서의 복잡한 구조를 탈피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내용물 보관이 우수하고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이 우수한 유아용 음료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ttle for infants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by eliminating a complicated structure in existing infant juice bottles and having excellent contents storage and excellent usability and cleanliness.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본 발명의 유아용 음료병은,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bottle,

내용물 수용을 위한 내피와, 내부에 상기 내피가 안치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상부에 안치되고 내피에 수용된 내용물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체와, 그리고 상기 배출체 외곽을 덮으면서 외피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An exhaust body for receiving the contents, an outer shell having the inner shell positioned therein, an exhaust body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hell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ner shell, and a fastening ring , ≪ / RTI >

상기 내피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지면사 상기 내피는 외피로부터 분리이탈되어 교체가 가능하고, The inner skin is made of an elastomeric material, and if the outer skin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e inner skin can be separated from and removed from the outer skin,

상기 배출체에는 외기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nd the outside air air inlet is formed in the discharge body.

또한 본 발명의 외기 공기 유입구는 배출체에서 체결링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 공기 출입이 이루어지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outside air air in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ortion covered by the fastening ring in the discharge body, and the fastening ring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또한 본 발명의 외기 공기 유입구는 외기 공기가 유입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주변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outside air in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cutout portion into which outside air flows, and a depressed portion recessed around the cutout por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아용 음료병은, Next, the infant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체결링에 배출체 개폐를 위하여 체결링과 회동결합되는 뚜껑이 더 구비되되, 뚜껑 개방시 뚜껑에 구비된 걸림턱이 체결링에 구비된 수용턱을 타고 넘어 위치되어 의도치 않은 닫힘이 방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nd a lid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the tightening r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body, wherein the latching jaw provided on the lid is positioned over the receiving jaw provided in the fastening ring to prevent unintended closing As a technical feature.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음료병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beverage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위험을 없애고자 소프트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이를 하드 재질의 외피가 보호하고 있어 내용물이 쏟기거나 뜨거운 온도가 사용자에게 절달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구조적 및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In order to eliminate the risk from the environmental hormone, the hard outer material protects the silicone material even if it is soft, so it solves the problems such as pouring the contents or hot temperature to the user, thus securing the structural and use stability. ,

외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내피로 인해 세척시 열탕소독진행이 가능하고, 새로운 내피로의 교체가 가능하여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It is possible to perform disinfection of the hot water during washing by the endothelium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skin,

또한 밸브체에 외기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아용 음료병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bottle for infants can be expected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of use by forming an outside-air inflow port on the valve body.

또한 밸브체에 형성된 외기 공기 유입구에 있어서도 외부 노출이 되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공이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도입되어 유아들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켰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e outside air inflow port formed in the valve body, a structure in which a smooth ball can flow in and out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s introduce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infant.

또한 뚜껑에 형성된 걸림턱과 체결링에 형성된 수용턱으로 인해 음료 흡입시 뚜껑이 의도치않게 닫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역시 유아들의 사용 편의를 증진시켰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lid is unintentionally closed when the beverage is sucked due to the jaws formed on the lid and the receiving jaws formed on the fastening 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infan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을 도시한 도면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의 결합단면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의 결합단면을 측방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뚜껑이 체결링으로부터 이탈된 초반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B)는 뚜껑이 완전히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에서 뚜껑이 닫힌 상태의 결합단면을 측방에서 도시한 도면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인 스파우트형 유아용 음료병을 도시한 도면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인 스파우트형 유아용 음료병의 결합단면을 도시한 도면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aw type baby bottle for bever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w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w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angles.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sec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is opened in a straw type infant bottle, which i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end face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in a straw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a state where the lid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ring,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completely folde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ec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is closed in a straw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spout-type baby bottle for bever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n engagement section of a spout-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음료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aby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체의 구조에 따라 그 실시예가 구분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은 스트로형 배출체를 구비한 음료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스파우트형 배출체를 구비한 음료병을 도시한 것이다.
Figs. 1 to 6 show a beverage bottle having a straw-like discharge body, and Figs. 7 and 8 show a beverage bottle having a stra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물론, 상기 배출체는 스트로나 스파우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고, 이하 설명되는 구조가 공통으로 구비되는 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discharge body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a straw or a spout, and the valv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cable as long as the structures described below are commonly provided.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음료병 내피에서의 내용물과 그리고 이를 먹는 사용자가 접하는 병의 모든 구성부분(내피와 배출체)은 환경호르몬 노출 우려가 없는 실리콘(silicone; 규소 수지) 재질로 설명하였으나, 내피 및 배출체의 재질을 실리콘 재질로 한정하는 것을 아니다. 즉, 실리콘 재질이 아니더라도 이와 대응되는 기능을 가지는 즉,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없고 열탕 소독이 가능한 엘라스토머(elastomer; 탄성 중합체) 재질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contents of the inner part of the infant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he constituent parts (endothelium and discharge body) of the bottle contacted by the user who eats it are silicone (silicone resin) However, the material of the endothelium and the discharge body is not limited to the silicon material. That is, even if it is not a silicone material, it can be replaced with an elastomer (elastomer) material hav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hat is, there is no risk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ormones and can be disinfected with hot water.

따라서 본 명세서의 명칭 및 청구범위의 카테고리에서 '실리콘'으로 지칭한 것은 유의미한 환경호르몬 노출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인한 위험성이 없는 다양한 실리콘 포함 엘라스토머를 대표하여 상징적으로 지칭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Thus, what is referred to in the names and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as "silicon" is symbolically referred to as representing various silicone-containing elastomers without the risk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significant environmental hormone exposur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또한 본 발명의 외피 재질로 언급되는 하드 재질은 유아용 음료병의 외형을 결정해주는 딱딱한 재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이 고려될 수 있는데 플라스틱 재질 중에서도 PP, PC, PPSU 등의 재질이 고려될 수 있고, 상기 언급된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hard material referred to as the outer cov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rigid material for determining the outer shape of the beverage bottle for infants. Normally, a plastic material can be considered. Among plastic materials, materials such as PP, PC, and PPSU are considere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방향설정에 있어 체결링과 뚜껑이 힌지결합되는 부위를 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방향을 전방으로 칭하고, 그 측면을 측방으로 정하여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In addition, in setting the direction necessa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 where the fastening ring and the lid are hinged to each other is defined as the rear,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side is defined as the side.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을 살펴보면,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6, a straw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내용물 수용을 위한 내피(10)와, 내부에 상기 내피가 안치되는 외피(30)와, 상기 내피 상부에 안치되고 내피에 수용된 내용물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체(20)와, 그리고 상기 배출체 외곽을 덮으면서 외피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body (10) for receiving the contents, a shell (30) in which the body is placed, an exhaust body (20) plac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ody, And a fastening ring (40) which is screwed to the outer shell.

그리고 상기 배출체(20)에는 사용자의 내용물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외기 공기 유입구(27)가 형성된다.
An air outside air inlet 27 is formed in the discharge unit 20 to facilitate the suction of the user's contents.

보다 구체적으로,More specifically,

본 발명의 내피(10)는 엘라스토머 재질 즉,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외피(30)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피가 외피에 별도의 결합관계 없이 단순히 얹혀지는 구조로 설계된다.The inner ski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omeric material, that is, silicone, and the outer skin 30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e inner skin 10 is designed so that the inner skin is simply placed on the outer skin without any other bonding.

이에 사용자가 내피 세척이 필요하거나 내피 교체가 필요한 경우 그냥 외피에서 내피를 분리이탈시키기만 하면 된다.
If the user needs to clean the endothelium, or if the endothelium needs to be replaced, the endothelium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skin.

보다 바람직하게 내피(10)와 함께 내용물과 사용자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배출체(20)도 환경호르몬 배출걱정이 없는 실리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preferably, the discharge member 20, in which the contents and the us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kin 10,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e material free from environmental hormone discharge.

다음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내피는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접착수단 없이 단순히 외피 내부에 안치 또는 수용된 상태인데,Next, as described above, the endothelium is simply placed in or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sheath without any separate fastening means or adhesive means,

사용이 끝나면 내피(100와 외피(3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고, When finished, the inner skin 100 and the outer skin 30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특히 내용물이 직접 닿는 내피는 열탕소독을 하여 세균발생 가능성을 없애는 등 위생적인 측면이 기존 음료병보다 강조된다.
Particularly, the endothelium, which has direct contact with the contents, is disinfected with hot water, thus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germs.

또한 내피와 외피 사이 공기층이 형성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기에 내피(10)에 뜨거운 음료가 담긴다 하더라도 외피(30)에 쉽게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들이 손을 델 염려가 없으며, 또한 보온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Even if hot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inner skin 10, it is not easily transmitted to the outer skin 30,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dental hand, do.

그리고 엘라스토머 재질의 특성상 외형이 쉽게 변형 가능하기에 분리된 내피(10)를 외피(30)에 삽입할 때에는 내피를 반으로 접어서 부피를 작게하여 외피 내부로 삽입하고, 삽입한 후 손을 놓게 되면 접혔던 내피가 펴지면서 외피 내부에 수용된다.
Since the outer shape can be easily deformed due to the nature of the elastomer material, when inserting the separated inner skin 10 into the outer skin 30, the inner skin is folded in half to make the volume smaller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kin. The thickened endothelium expands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envelope.

또한 본 발명의 내피(10) 상부에는 외피 상단에 걸쳐지는 걸침부(11)가 구비되어 외피에 대한 내피의 안정적 안착을 도모하면서, 이후 안착되는 배출체와 밀착되어 내용물이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ki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oking portion 11 which covers the upper end of the outer skin so as to stably attach the inner skin to the outer skin and closely contact with the discharged body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out .

즉, 상기 걸침부(1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방연장부(11a)와, 상기 측방연장부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방연장부(11b)로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방연장부 내측에 외피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1c)이 형성된다.
2 to 5, the hooking part 11 includes a lateral extending part 11a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endothelium and a downward extending part 11a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lateral extending part 11b and an insertion groove 11c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outer shell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이에 내피를 외피에 수용하는 경우, 외피 상단부가 상기 삽입홈(11c)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안착이 이루어지고, Therefore, when the inner skin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skin, the upper end of the outer ski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c,

측방연장부(1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하방연장부(11b)가 외피 상단부에서 노출되어 상단부 외측 일부를 감싸게 되는바, 사용자는 노출된 하방연장부(11b)를 잡고 이를 들어올림으로써 쉽게 외피로부터 내피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1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ide extension portion 11a is expos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nvelop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nvelo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lower extension portion 11b The endothelium can be separated.

물론, 상기 측방연장부의 상면은 후술되는 배출체의 플렌지 저면과 맞닿는 부분이고, 양 부품 모두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기에 상면과 저면이 맞닿으면서 내피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extension portion is a portion abutting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of the discharge body, both parts are made of elastomer material, so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ner surfac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다음으로 배출체(20)를 살펴본다.Next, the discharge member 20 will be described.

우선 배출체의 하부에는 그 저면이 내피의 상면, 즉 걸침부(11)의 상면과 맞닿게 되는 플렌지(21)가 구비되는데, 상기 플렌지는 체결링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위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Firs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body is provided with a flange 21 whose bottom surface abut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kin,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ing portion 11, and the flange is provided with a joint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fastening ring .

그리고 상기 플렌지 상부로는 본 발명에서 배출기능을 담당하는 스트로부(23)가 연장형성되는데, 이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후방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traw portion 23, which serves as a discharge func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The straw portion 23 is preferably positioned rearwardly for convenience of use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스트로부(23)의 길이는 스트로부가 내피 바닥면까지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여 스트로부 자체가 스트로 기능을 하게 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부에 보장스트로(23a)가 삽입 결합되어 스트로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세척면이나 사용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straw portion 23 may be a length that can be positioned up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othelium so that the straw portion may function as a straw.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o use a cotton cloth or the like in terms of the washing surface or the use in order to make it to serve as a straw.

그리고 상기 스트로부 내부에는 사용자의 흡입시가 아니면 내용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밸브(23b)가 더 구비되는데, In addition, a shut-off valve 23b is provided in the straw part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being discharged outside the user's inhalation.

상기 차단밸브는 내부 일부가 절개된 판막형태로 형성된다.The shut-off valv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internal part cut out.

이에 사용자가 스트로부를 통해 흡입하는 경우 차단밸브의 절개부위가 벌어져 내피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게 되지만, 흡입작용이 없는 경우에는 절개부위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 배출이 방지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sucks the contents through the straw portion, the incision portion of the shutoff valve opens to dischar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endothelium. However, if there is no suction action, the incision site is kept closed and the contents ar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다음으로 체결링(40)을 살펴보면, Next, referring to the fastening ring 40,

상기 체결링(40)은 배출체의 플렌지(21) 및 외피(30)와 결합되는 것으로, 배출체의 스트로부가 노출되기 위해 내부가 뚫린 링 형태이다.The clamping ring 40 is coupled with the flange 21 and the sheath 30 of the discharge body, and is ring-shaped to expose the straw portion of the discharge body.

즉 체결링은 플렌지 상면을 덮는 걸림결합부(41)를 갖고, 걸림결합부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43)를 갖고, That is, the fastening ring has a fastening part 41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nd a skirt 43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art toward the lower part,

상기 스커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43s)가 형성되어 외피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0s)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A female threaded portion 43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and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30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그리고 상기 체결링의 외주면에는 유아들이 음료병을 쉽게 잡고 먹을 수 있도록 손잡이(49)가 형성된다.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ring, a handle 49 is formed so that the infant can easily hold and hold the beverage bottle.

그리고 상기 배출체(20)에는 플렌지와 스트로부 사이에 요입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링(40)은 요입부에 끼워지는(삽입되는) 누름부(47a)를 갖는다. 상기 누름부(47a)는 체결링 내주면 즉, 걸림결합부(4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형태이다.The discharg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25a between the flange and the straw portion. The fastening ring 40 has a pressing portion 47a to be inserte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47a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ring,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41. [

또한 상기 배출체에는 요입부에서 스트로부 형성 방향인 상부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요입된 측면요입부(25b)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에는 측면요입부에 삽입되는 측면누름부(47b)가 더 형성된다.Further, the discharg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de recessed portion 25b recessed laterally at an upper position in the stomach forming direction 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side pressing portion 47b inserted into the side recessed portion is further provided .

또한 이와 더불어 플렌지에서 요입부 외곽으로 형성된 끼움돌기(21a)는 체결링의 누름부의 외곽으로 형성된 결합홈(41a)에 삽입 끼워지는 형태여서In addition, the fitting protrusion 21a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flang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1a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fastening ring

결국 요입부와 누름부 간의 기존 결합과 함께 배출체(20)와 체결링(40)간의 확고한 결합상태를 보장한다.
As a result, a firm engagement between the discharge member 20 and the fastening ring 40 is ensured together with the existing coupling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나아가 상기 체결링의 내주면에는 외피와의 체결시 외피의 걸침부(측방연장부 또는 하방연장부 또는 측방연장부와 하방연장부)(11)를 직접 누르는 가압부(45)가 더 구비되어 있고, Furth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r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45 for directly pressing the engaging portion (the side extending portion,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or the side extending portion and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11 of the sheath when fastened to the sheath,

상기 가압부(45)가 플렌지의 하면과 걸침부의 접촉면 외의 부분, 특히 측방연장부(11a) 외곽 내지 하방연장부(11b) 상면을 가압하는 형태여서 보다 확실한 수밀성 보장이 이루어진다.
The pressing portion 45 presses the portion other tha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and the engaging portion, particularly, the outer surface of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 11a or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ward extending portion 11b.

이에 상기 구조에 의하면 기존 유아용 스트로형 물병에서 요구되었던 수밀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수밀성 구조가 부품수가 많은 부품들끼리의 조립에 의해서가 아니고 내피, 외피, 배출체, 그리고 체결링 자체적으로 형성된 구조에 의해 해결이 되어 종국적으로는 확실한 수밀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면서도 부품수가 줄어들고, 각 부품간의 조립작업이 간소화되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watertightness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straw-type water bottle can be expected. The watertight structure is not formed by assembling parts having a large number of parts, but is formed by the inner film, the sheath,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ing work between the parts can be expected to be simplified.

또한 부품수가 적다보니 세척 작업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후 조립 작업 역시 쉽게 가능하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lso,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assembly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배출체에 형성된 외기 공기 유입구(27)를 살펴본다.Next, referring to FIG. 4, an outside air inflow port 27 formed in the discharge unit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에서는 외기 공기 유입구를 내피나 외피 쪽이 아닌 배출체에 형성하면서도, 배출체에 형성된 외기 공기 유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유아들이 사용함에 있어 외기 공기 유입구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의도치않게 유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ide air inflow port formed in the discharge uni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breakage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 when the infant uses the outside air inflow 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즉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27)는 배출체(20)에 형성되되, 체결링(40)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결국 그 형성위치로는 걸림결합부(41)의 내주면 부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름부(47a)와 측면누름부(47b) 사이의 위치가 고려될 수 있겠다.
That is, the outside air inflow port 27 is formed in the discharge member 20 and is formed at a portion covered by the fastening ring 40. As a result, the outer air inflow port 27 is formed 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41, The position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47a and the side pressing portion 47b can be considered.

그리고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27)는 배출체 일면을 구조적으로 설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체와 동일한 소재이다. 이에 소재 특유의 탄성 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자폐 구조로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는 밸브 역할을 하게 된다.
The outside air inlet 27 is formed by structurally designing one side of the discharge body and is the same material as the discharge body. Thus, the outside air air inlet serves as a valve with an autonomous structure obtained from elastic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material.

다음으로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출입이 이루어지는 공기가 외부로 완전히 배출 또는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링에는 연통홀(40a)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통홀은 외기 공기 유입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 communication hole (40a) is formed in the fastening ring so that the air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 can b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outside air inflow port desirable.

또한 체결링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외기 공기 유입구가 체결링 내주면과의 밀착으로 밸브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outside air inflow port,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ightening ring,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ghtening ring,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27)는 외기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절개부(27a)와, 상기 절개부 주변으로 함몰되는 함몰부(27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side air inlet 27 preferably includes a cutout 27a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a depression 27b recessed around the cutout.

즉, 외기 공기 유입구(27)는 배출체 일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체는 기밀성을 위하여 체결링 내주면과 밀착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기 공기 유입구까지 밀착되는 구조라면 밀착에 의해서 원활한 공기 유입 내지 유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밸브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That is, the outside air inlet 27 is formed in a part of the exhaust body, and the exhaust body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ghtening ring for airtightness. However, if th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nlet, smooth inflow or outflow of air may not be achieved by close contact, and the valve function may be deteriorat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외기 공기 유입구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위치의 배출체 표면에는 내부로 함몰되는 함몰부(27b)를 형성시키고, 상기 함몰부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절개부(27a)를 통해 공기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pression (27b)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discharge body at a position where the outside air inlet is to be formed, and a part of the depression is cut out, Thereby allowing the air to flow in and out.

또한 상기 함몰부의 두께는 원활한 개폐작용을 위해 절개부(27a)에 가까워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depressed portion is made thinner as it gets closer to the cutout portion 27a for smooth opening and closing action.

다음으로 배출체를 보호하는 뚜껑(50)을 살펴보면, 상기 뚜껑은 체결링 일측에서 힌지 결합되어 뚜껑 일측이 체결링에 결합된 상태로 회동되면서 배출체 노출여부가 결정된다.
Next, the lid 50 is hinged at one side of the tightening ring, so that one side of the lid is coupled to the tightening ring, so that the lid 50 is exposed.

이 경우 뚜껑의 열린상태 유지가 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음료 흡입을 위해 음료병을 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뚜껑이 원위치로 회동되고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회동방지수단이 구비된다.
In this case, if the lid is not kept in the open state, if the user tilts the beverage bottle forward to inhale the beverage, the lid is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inconvenient to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의 일측에는 회동체(53)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가 체결링에 형성된 수용체(41a)에 회동핀(P)으로 결합됨으로써 뚜껑과 체결링 회동결합이 이루어지는데, 5, a rotary body 5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and the rotary body is coupled to the receiver 41a formed on the rotary ring by the rotary pin P, ,

뚜껑이 열리는 과정에서 수용체의 외주면과 마주하게 되는 뚜껑의 외주면에는 걸림턱(61)을 돌출 형성하고, 수용체의 외주면 후방에는 상기 걸림턱이 타고 넘어갈 수 있는 크기의 수용턱(62)이 돌출 형성된다.
A hooking protrusion 61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while the lid is opened and a receiving protuberance 6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

이에 사용자가 뚜껑을 후방으로 젖히는 과정에서 수용턱(62) 전방에 위치하던 걸림턱(61)이 수용턱(62)을 타고 넘어 수용턱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하면, When the user places the latching jaws 61, which we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ceiving jaws 62 in the course of backward lids, over the receiving jaws 62 and positioned behind the receiving jaws 62,

상기 걸림턱(61)이 전방에 위치한 수용턱(62)에 걸리면서 뚜껑이 의도치 않게 전방으로 회동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The latching jaw 61 is caught by the receiving jaw 62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lid is unintentionally rotated forward.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 부위 반대편에는 뚜껑과 체결링간의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시 잠금수단을 해제하여 뚜껑을 열게 된다.A locking means between the lid and the locking ring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to release the locking means and open the lid if necessary.

참고로, 상기 잠금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관련 업계에서 보편화된 간단한 암수결합에 의한 잠금수단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For reference, the locking means is a locking means by a simple male and female coupling which is already common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the fig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뚜껑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52)가 구비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이 닫히는 과정에서 스트로부(23)의 전방을 눌러주게 되어 밀폐상태 유지가 가능해진다.
Next, the lid is provided with a pushing protrusion 52 protruding downward. As shown in FIG. 5, the front of the straw portion 23 is pushed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lid, so that the sealed state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인 스파우트형 유아용 음료병을 도 7 및 도 8을 설명한다.Next, a spout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제2 구현예인 스파우트형 유아용 음료병은 배출체 및 뚜껑 구조만 전술된 스트로형 유아용 음료병과 상이할 뿐 그 외 부분 특히 하드재질의 외피와 상기 외피에 교체가능하게 안치되는 것으로 엘라스토머 재질의 내피 구조, 그리고 내피와 배출체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을 가능케하는 체결구조 등은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out type infant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traw type infant beverage bottle only in the discharge body and the lid structure. In addition, the spout type infant beverage bottle has an outer shell of a hard material and an inner structure of an elastomeric material, And a fastening structure for allowing stable coupling without detaching the endothelium and the discharge body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배출체에 형성된 외기 공기 유입구 구조 및 배출체 하부의 플렌지 구조 또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air inlet port formed in the discharge body and the flange structure under the discharge body are also appli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체(20)에는 역시 플렌지(21)가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내피의 걸침부(11) 상면과 접촉하게 되고, 스트로형 음료병과 같이 상기 플렌지(21)를 통해 체결링(40)이 배출체에 결합된다.
7 and 8, the discharge unit 20 is also provided with a flange 21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ing portion 11 of the endotheque, and the flange 21, like the straw- The fastening ring 40 is coupled to the exhaust body.

다만 전술된 배출체와의 상이점은 음료 배출을 위한 구성으로 스트로부가 아닌 스파우트부가 플렌지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는 점이다.
However,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mentioned discharge body is that the spout part, which is not the straw part, is exte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ange in the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그리고 뚜껑에 있어서도 뚜껑이 닫힌 경우 스파우트부가 수용되는 스파우트수용부(51)가 형성되고, 상기 스파우트 수용부의 내주면 상부 즉, 뚜껑이 닫힐 때 스파우트부의 상단면과 스파우트 수용부의 내주면이 접촉되는 접면에는 쿠션부(51a)를 형성하여 스파우트부로부터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A spout receiving portion 51 is formed in the lid to receive the spout. When the lid is closed, the upper surface of the spou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ut receiving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51a) is form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from the spout por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유아용 음료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내피 11: 걸침부
11a: 측방연장부 11b: 하방연장부 11c: 삽입부
20: 배출체 21: 플렌지부 21a: 끼움돌기
23: 스트로부(스파우트부)
23a: 보강스트로 23b: 차단밸브
25a: 요입부 25b: 측면요입부
27: 외기공기유입구 27a: 절개부 27b: 함몰부
30: 외피
40: 체결링 40a: 연통홀
41: 걸림결합부 41a: 끼움돌기
43: 스커트 45: 가압부
47a: 누름부 47b: 측면누름부 49: 손잡이
50: 뚜껑
51: 스파우트수용부 51a: 쿠션부 52: 누름돌기
61: 걸림턱 62: 수용턱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endothelium 11:
11a: side extending portion 11b: downward extending portion 11c:
20: discharge member 21: flange portion 21a: fitting projection
23: Strobe (spout part)
23a: reinforcing straw 23b: shut-off valve
25a: Entrance portion 25b: Side Entrance portion
27: Outside air inlet port 27a: Cutting section 27b:
30: envelope
40: fastening ring 40a: communication hole
41: engaging portion 41a: engaging projection
43: skirt 45:
47a: a pressing portion 47b: a side pressing portion 49: a handle
50: Lid
51: spout accommodating portion 51a: cushion portion 52: pressing projection
61: latching jaw 62: receiving jaw

Claims (4)

내용물 수용을 위한 내피와, 내부에 상기 내피가 안치되는 외피와, 상기 내피 상부에 안치되고, 내피에 수용된 내용물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체와, 그리고 상기 배출체 외곽을 덮으면서 외피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피는 외피로부터 분리이탈되어 교체가 가능하고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는 하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체에는 외기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는 배출체에서 체결링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한 외기 공기 출입이 이루어지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기 공기 유입구는 외기 공기가 유입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주변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
A discharging body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ner tube, and an outer body for receiving the contents, a casing for receiving the inner body, an outer body for receiving the contents, an outer body for receiving the contents, Ring,
Wherein the outer skin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an outer air inflow port is formed in the discharge body, wherein the outer skin is made of an elastomer material,
Wherein the outside air air inlet is formed at a portion covered by the tightening ring in the discharge body, and the tightening ring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Wherein the outside air inflow port comprises a cutout portion into which outside air flows, and a depr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around the cutout portion, wherein the convenience and cleanliness of the infant bottle is improv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에는 배출체 개폐를 위하여 체결링과 회동결합되는 뚜껑이 더 구비되되,
상기 뚜껑 개방시 뚜껑에 구비된 걸림턱이 체결링에 구비된 수용턱을 타고 넘어 위치되어 의도치 않은 닫힘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 및 청결성을 증진시킨 유아용 음료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ring may further include a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r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member,
Wherein the fastening jaw provided on the lid when the lid is opened is positioned over the receiving jaw provided on the fastening ring to prevent unintended closing.
KR1020120120991A 2012-10-30 2012-10-30 Bottle for beverage KR101408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91A KR101408244B1 (en) 2012-10-30 2012-10-30 Bottle for beve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91A KR101408244B1 (en) 2012-10-30 2012-10-30 Bottle for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15A KR20140054915A (en) 2014-05-09
KR101408244B1 true KR101408244B1 (en) 2014-06-16

Family

ID=5088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91A KR101408244B1 (en) 2012-10-30 2012-10-30 Bottle for beve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2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592B1 (en) * 2014-10-22 2015-06-22 (주)케이비테크놀로지 Baby Bottle Structure
KR20210002186U (en) * 2020-03-24 2021-10-05 윤기문 Nozzle structure of beverage outlet of water bott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25Y1 (en) * 2020-04-09 2022-06-13 윤기문 Both hand handle assembly of feeding water bo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201U (en) * 1999-06-30 1999-10-05 원제돈 beverage or water container
KR20000007501U (en) * 1998-09-29 2000-04-25 최덕배 Pollution-free bottle of dual structure
KR200274568Y1 (en) * 2001-11-06 2002-05-06 유강식 Structure for case a refill of face powder compa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01U (en) * 1998-09-29 2000-04-25 최덕배 Pollution-free bottle of dual structure
KR19990037201U (en) * 1999-06-30 1999-10-05 원제돈 beverage or water container
KR200274568Y1 (en) * 2001-11-06 2002-05-06 유강식 Structure for case a refill of face powder compa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592B1 (en) * 2014-10-22 2015-06-22 (주)케이비테크놀로지 Baby Bottle Structure
KR20210002186U (en) * 2020-03-24 2021-10-05 윤기문 Nozzle structure of beverage outlet of water bottle
KR200495384Y1 (en) 2020-03-24 2022-05-12 윤기문 Nozzle structure of beverage outlet of water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15A (en)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0192A (en) Bottle for beverage
KR200482433Y1 (en) Watertight Tumbler for child
JP4783735B2 (en) Contact lens case
JP4883942B2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with drinking mouth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KR101466553B1 (en) Beverage receptacle for baby
JP2010280402A (en) Beverage container
KR20060126350A (e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KR101408244B1 (en) Bottle for beverage
TWI585014B (en) Drink container and cap structure
KR101485082B1 (en) Valve for straw cup
KR200453621Y1 (en) Cover of water bottle with leakage preventing function
CN214855852U (en) Milk cup with double drinking mouths
KR100870696B1 (en) Container with zipper-sealed straw
KR101530907B1 (en) A liquid container
TWI373315B (en) Dentifrice container with oral care implement holder
TWI549643B (en) Portable urinating device
KR20110007691U (en) A Cover for an airtight container for draining at easy opening and closing
JP4457678B2 (en) Infant beverage container
KR200474060Y1 (en) Beverage container for children
KR101391409B1 (en) Vessel for beverage
JP2003054601A (en) Drink-supporting device of beverage vessel
KR20100098161A (en) The stopper with a popping out nozzle
KR20190122603A (en) A detachable water bottle
JP2004041543A (en) Cap with nip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