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96B1 - Pull-up bar type sp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ull-up bar type spor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7796B1 KR101407796B1 KR1020120087825A KR20120087825A KR101407796B1 KR 101407796 B1 KR101407796 B1 KR 101407796B1 KR 1020120087825 A KR1020120087825 A KR 1020120087825A KR 20120087825 A KR20120087825 A KR 20120087825A KR 101407796 B1 KR101407796 B1 KR 1014077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parallel
- students
- parallel bars
- elevat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학생들이 접근성이 좋은 교실 복도에서 운동을 하여 체력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봉형 운동기구는, 교실 복도에 설치되어 학생들의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학생들의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행봉;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및 승강수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 students with skills to gain physical fitness by exercising in accessible classroom corridors. A bar-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tness device installed in a classroom hall for stretching a student, and includes a parallel bar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so that a student's hand can be gripped; Elevating means for moving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levat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봉과 같이 스트레치 또는 근육 형성을 위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을 하기 어려운 학업을 수행 중인 학생들이, 교내에서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 기구를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학생들의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apparatus for stretching or muscles such as a steel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tness apparatus for athletes who have difficulty exercising, It is about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최근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교육열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중고등학생뿐 아니라 초등학생들까지 학업에 열중하게 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사교육 및 공교육계가 공부를 위주로 학생들을 교육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As the number of job vacancies has recently worsened, the heat of education has been rising.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focus on studying as well as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rivate education and public education educators are increasingly educating students.
학업 위주의 생활 비율이 늘어나면서,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운동을 하는 시간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키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나쁜 건강 때문에 학업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있다.As the academic-oriented rate of living increases, the amount of time students spend in relative exercise is diminishing. This phenomenon worsens the students' health condition and, as a result, bad health is also affecting the study.
그러나 학업 위주의 생활 패턴 때문에, 학생들은 학교의 운동장에 있는 운동 기구조차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운동장에 있는 운동 기구는 장식품으로 전락하고 있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However, because of the study-oriented lifestyle, students are not able to use even the exercise equipment in the school playground, and the exercise equipment in the playground is becoming more ornamental.
이에 따라서, 학생들의 건강에 도움이 되면서 학업에 따른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구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학생들이 학업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쉽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학생들이 매달려 턱걸이 운동 등을 할 수 있는 철봉은, 그 크기와 더불어 운동 효과가 크기 때문에 학생들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좋은 운동기구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봉은 지지부와 지면과 평행하여, 팔을 매달리는 철봉의 평행한 바(Bar)의 구성이 전부이며, 이때 바의 높이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교실이나 복도 등 실내에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특히 학생들의 신장차에 의해, 철봉이 설치된 장소를 학생들이 지나다니기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따라서 철봉을 실내에 설치하지 못함에 따라서 어쩔 수 없이 종래에는 철봉을 실외에 설치하여 왔고,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학생들이 합업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쉽게 철봉 운동을 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As a result,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new mechanisms that can help students to reduce stress due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in particular, the need for organizations that can easily enjoy sports without hindrance to their study increases have.
Among them, the steel bar which students can hang on and hang up can be considered as a good exercise tool for students to exercise because of its size and exercise effec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ron bar, the parallel bars of the supporting bars are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bars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the bar is fixed,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bar in a room or a hall Has been pointed out. Especially, it was very difficult for students to pass through the places where the bars were install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tudents' height. As a result, the steel bar has been installed outdoors in the past due to the inability to install the steel bar indoors. Therefore, it is almost impossible for students to easily perform the bar bar movement without being hindered by the merger.
이에, 본 발명은 운동을 하기 어려운 학업을 수행 중인 학생들이, 교내에서 손쉽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 기구를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학생들의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hysical fitness of the students by installing the exercise apparatus in a place where accessibility is good so that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hard to exercise can easily exercise in the campu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봉형 운동기구는, 교실 복도에 설치되어 학생들의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학생들의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행봉; 상기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수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tness device for a student to be stretched in a classroom hallway, Parallel bars positioned; Elevating means for moving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elevating means.
상기 승강수단이 상기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입력을 상기 학생들이 입력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상기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witch installed to allow the students to input an input to cause the elevating means to move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means to move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swit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교실 복도를 통한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제1 높이로부터 상기 학생들의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제2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ight of the parallel rod to a predetermined second height so that the hands of the students can be gripped from a predetermined first height so that a person can pass through the class hall corrido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move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봉이 상기 제2 높이에 위치 시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ight of the parallel rod to move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parallel rod is positioned at the second height.
상기 평행봉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a weight applied to the parallel ro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봉이 상기 제2 높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평행봉에 가해지는 무게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move the height of the parallel bars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parallel bars are located at the second height and the weight applied to the parallel bars through the sensor unit is detected as not existing desirab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평행봉에 가해지는 무게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한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ight of the parallel bar to move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tim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s a non-existence of the weight applied to the parallel ba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본 발명에 의하면,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동하는 교실 측면의 복도에, 자동으로 승강이 되는 평행봉을 포함하는 철봉형 운동 기구가 설치됨으로써, 학생들은 이동 중에 자유롭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접근성이 매우 높아 운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운동의 빈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학생들이 학업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학업 수행을 위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행봉이 승강수단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복도를 통한 학생들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아, 안전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r-type exercise machine including a parallel rod that automatically ascends and descends is installed in a hallway on the side of a classroom where students move the most, so that students can freely exercise while moving, Since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do so, the frequency of exercis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students can enjoy the exercise without hindrance to the study, and accordingly, the health for the academic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Further, since the parallel rod is moved by the lifting means, the safety of the student can be ensured because the student normally does not hinder the movement of students through the hallw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봉형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철봉형 운동기구가 교실 복도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철봉형 운동기구가 교실 복도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평행봉이 제2 높이에 위치할 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평행봉이 제1 높이에 위치할 때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typ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ar-like exercise machin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lassroom hallway.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bar-like exercise machin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lassroom hallway.
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parallel rod positioned at a second heigh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a parallel rod positioned at a first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봉형 운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r-typ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봉형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typ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봉형 운동기구는, 평행봉(10), 승강수단(20) 및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bar-typ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평행봉(10)은 학생들이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평행봉(10)은 일반적으로 철봉으로 알려진 운동 기구에서 평행한 봉과 동일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평행봉(10)의 길이는 적어도 학생들의 손이 여유롭게 파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평행봉(10)은 손의 파지를 위해 원형의 둘레는 갖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손의 파지를 위해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수의 굴곡은 손가락이 평행봉(10)을 파지할 때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In principle, the
평행봉(10)에는 승강 수단(20)이 연결 또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수단(20)은 가이드 부재(30)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을 하게 되어, 평행봉(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가이드 부재(30) 내에는, 승강 수단(2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기어 등의 이동 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승강 수단(20)이 이동하는 공간인 가이드 캐비티(식별번호 없음)를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30) 내의 이동 부재들은, 추후 설명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승강 수단(20)을 이동시킨다.The elevator means 20 may be connected to or extended from the
승강 수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봉(10)의 양단측에서 연결 또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평행봉(10)의 일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데, 이는 학생들의 손이 파지될 수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승강 수단(20)이 연장되는 평행봉(10)의 위치는 운동기구의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하는 케이스(50)와 승강 수단(20)이 복도 내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케이스(50)가 복도의 양 측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승강 수단(20)은 평행봉(10)의 양단측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한편, 케이스(50)가 복도의 천장측에 설치되는 경우, 승강 수단(20)은 평행봉(10)의 중앙 또는 일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하나 또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복도에 운동 기구가 설치되는 구조에 따라서 승강 수단(20)이 연장되는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가이드 부재(30)는 승강 수단(20)이 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 부재(30)의 중앙 측에는 승강 수단(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캐비티는 승강 수단(20)이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30) 내의 모든 공간을 의미한다.The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0)의 내부 또는 개구된 일부분에는 승강 수단(30)을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moving members for moving the
케이스(50)는 승강 수단(20)과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서, 케이스(50)에는 가이드 부재(30)가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50)의 외면의 일부분은 교실 복도의 일 위치와 접촉하여 고정된다.The
케이스(50)에는 개구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40)는 내부의 승강 수단(20)이 상하로 이동하는 통로를 의미하며, 개구부(40)를 통해 승강 수단(20)과 평행봉(10)이 연결된다.The
한편, 케이스(50)에는 스위치(식별번호 없음)가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는 이하 설명할 도 2 내지 5에서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는 학생들이 평행봉(10)을 통해 철봉 운동을 하기 위해, 평행봉(10)의 높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50)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no identification number). The switch is shown in detail in Figs. 2 to 5 to be described below. The switch is a means by which students can perform an input to move the height of the
또한 케이스(5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학생들이 스위치를 누르면, 그 입력에 대응하여 승강 수단(20)이 평행봉(1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가이드 부재(30) 내의 이동 부재들이 작동하여, 승강 수단(2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이를 통해, 교실 복도에 운동 기구를 설치하게 되면, 평행봉(10)은 승강수단(2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평소에는 학생들의 이동에 지장이 없는 높이에 평행봉(10)이 위치해 있다가, 학생들이 스위치를 누르면 제어부에 의해 승강수단(2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평행봉(10)이 철봉 운동이 가능한 높이로 이동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exercise device is installed in the hallway of the classroom, the
이에 따라서 접근성이 높은 교실의 복도에서 학생들이 간단하게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서 운동의 빈도를 높일 수 있고, 학생들이 학업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 운동을 즐길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학업 수행을 위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students can easily exercise in classrooms with high accessibility, and thus, the frequency of exercise can be increased, students can enjoy exercise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ir studies, It is effective to maintain health f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철봉형 운동기구가 교실 복도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bar-like exercise machin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lassroom hallway.
교실의 복도의 측벽(60)의 일 위치에는 복수개의 케이스(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평행봉(10)이 위치하게 된다. 평행봉(10)은 개구부(40)를 따라서, 정확히는 케이스(50) 내부의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 수단이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A plurality of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봉(10)은 평소에 천장에 가까운 높이에 위치해 있다가, 스위치를 누를 시 운동이 가능한 높이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철봉형 운동기구가 교실 복도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bar-like exercise machin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lassroom hallway.
도 3을 참조하면, 교실의 복도의 측벽(60)에 케이스(식별번호 없음)를 통해 가이드 부재(30)와 승강 수단(20)이 복도의 측벽(60) 높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로 승강 수단(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 수단(20)에 결합 또는 연장된 평행봉(10)은, 평소 사람의 통행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기설정된 제1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70)는 사람이 누를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3,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평행봉이 제2 높이에 위치할 때의 정면도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parallel rod positioned at a second heigh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비교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위치(70)를 누를 때 평행봉(10)이 제1 높이보다 낮은 높이인 제2 높이에 위치할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in comparison with FIG. 3, there is shown a front view when the
사용자가 스위치(70)를 누르면, 가이드 부재(30)의 캐비티를 따라서 승강 수단(20)이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승강 수단(20)에 연장된 평행봉(10) 역시 이동하게 된다. 평행봉(10)의 최종 이동 높이는 제2 높이로서, 제2 높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학생을 포함한 사람이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높이를 의미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평행봉이 제1 높이에 위치할 때의 정면도이다.Figure 5 is a front view of a parallel rod positioned at a first ele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때, 즉 도 4와 같이 평행봉(10)이 제2 높이에 있다가 다시 제1 높이로 이동할 때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5, there is shown an example when the user does not exercise, that is, when the
사용자가 스위치(70)를 눌러 제2 높이로 평행봉(10)이 이동하며, 운동을 마치게 되면 평행봉(10)은 다시 가이드 부재(30) 내의 가이드 캐비티를 통해 이동하는 승강 수단(20)의 이동에 따라서 다시 제1 높이로 이동해야 한다.The user pushes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2 높이에 평행봉(10)이 위치할 때 사용자로부터 스위치(70)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평행봉(10)의 높이를 다시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치(70)를 누를때마다 평행봉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ler receives an input to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평행봉(10) 또는 승강 수단(20)에는, 평행봉(10)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센서부는 압력 센서 또는 힘 센서 등 사용자가 평행봉(10)에 철봉 운동을 위해 매달리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The sensor unit includes a sensor such as a pressure sensor or a force sensor, which senses that the user is hung on the
이때 제어부는, 평행봉(10)이 제2 높이에 위치해 있고, 센서부를 통해 평행봉(10)에 가해지는 무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평행봉(10)을 쥐거나 평행봉(10)에 매달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평행봉(10)의 높이를 상기 언급한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평행봉(10)에 가해지는 무게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센서부가 감지한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평행봉의 높이는 제1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평행봉(10)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연속적으로 평행봉(10)을 쥐거나 평행봉(10)에 매달리지 않고 평행봉(10)을 이용하지 않다가 다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임계 시간(예를 들어 5초) 후 평행봉(10)을 이동시키도록 하여 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height of the parallel bars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that the weight applied to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t least on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상기 학생들의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행봉;
상기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승강수단이 상기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입력을 상기 학생들이 입력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이 상기 평행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평행봉에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봉이 상기 학생들의 손이 파지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제2 높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평행봉에 가해지는 무게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교실 복도를 통한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device installed in a classroom hall for stretching students,
A parallel rod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so that the hands of the students can be gripped;
Elevating means for moving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levating means;
A switch installed to allow the students to input an input to cause the elevating means to move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means to move the parallel bar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inputs of the switches; And
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a weight applied to the parallel bars,
Wherein,
Wherein when the parallel bars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second height so that the hands of the students can be gripped and that the weight applied to the parallel bars through the sensor unit is not present, Wherein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moving means so as to move to a predetermined first height so as to enable passage of a pers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봉이 높이가 상기 제1 높이에 위치 시,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 시,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제1 높이로부터 상기 제2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move the height of the parallel bars from the first height to the second height when receiving the input signal from the switch when the parallel bars are at the first heigh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봉이 상기 제2 높이에 위치 시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ntrols the height of the parallel rod to move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parallel rod receives the input signal from the switch when the parallel rod is positioned at the second heigh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행봉이 상기 제2 높이에 위치해 있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평행봉에 가해지는 무게가 미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평행봉의 높이를 상기 제1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the height of the parallel bars is moved to the first height when the time when the parallel bars are located at the second height and the time when the weight applied to the parallel bars through the sensor unit is detected as being absen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work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7825A KR101407796B1 (en) | 2012-08-10 | 2012-08-10 | Pull-up bar type spor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7825A KR101407796B1 (en) | 2012-08-10 | 2012-08-10 | Pull-up bar type spor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0645A KR20140020645A (en) | 2014-02-19 |
KR101407796B1 true KR101407796B1 (en) | 2014-06-17 |
Family
ID=5026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7825A KR101407796B1 (en) | 2012-08-10 | 2012-08-10 | Pull-up bar type spor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77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61383A (en) * | 2017-07-21 | 2017-10-20 |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athletic training is with height-adjustable horizontal bar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3152B2 (en) | 2000-09-19 | 2004-06-01 | Fluidity Enterprises, Inc. | Adjustable ballet bar exercise device |
US7578774B1 (en) | 2007-11-16 | 2009-08-25 | Zetterberg Robert T | Resistance exercise machine |
JP2010187883A (en) * | 2009-02-18 | 2010-09-02 | Noriaki Fujimura | Hanging exercise tool |
KR20110000401U (en) * | 2009-07-08 | 2011-01-14 | 권순찬 | Height control horizontal bar |
-
2012
- 2012-08-10 KR KR1020120087825A patent/KR1014077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3152B2 (en) | 2000-09-19 | 2004-06-01 | Fluidity Enterprises, Inc. | Adjustable ballet bar exercise device |
US7578774B1 (en) | 2007-11-16 | 2009-08-25 | Zetterberg Robert T | Resistance exercise machine |
JP2010187883A (en) * | 2009-02-18 | 2010-09-02 | Noriaki Fujimura | Hanging exercise tool |
KR20110000401U (en) * | 2009-07-08 | 2011-01-14 | 권순찬 | Height control horizontal 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0645A (en) | 2014-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7148B2 (en) | Fitness machine | |
US10617904B2 (en) | Exercise machine | |
US10159866B2 (en) | Gym cage | |
KR102053685B1 (en) | Complex fitness machine for motor control type | |
US4861020A (en) | Exercise device for installation in a doorway | |
KR101904909B1 (en) | Fitness equipment with weights | |
KR20160039532A (en) | Fitness structure | |
KR101407796B1 (en) | Pull-up bar type sporting apparatus | |
KR102168762B1 (en) | Indoor Fitness Equipment | |
EP2929914A1 (en) | An automatic movable ladder | |
US2020018871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ying resistance throughout an excercise movement | |
US20230398426A1 (en) | Integrated physical therapy and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and methods of use | |
CN203724690U (en) | Arm strength exercise device | |
CN217645752U (en) | Adsorbable strength fitness instrument | |
CN208726654U (en) | One kind is for tempering the flexible device of children | |
KR101350208B1 (en) | Desk for school having partition structure | |
CN204380085U (en) | A kind of Novel treadmill | |
CN105879299A (en) | Score weight load type pull-up auxiliary training apparatus | |
JP2009186520A (en) | Apparatus expressing shake of structure caused by earthquake | |
KR20120123855A (en) | A training machine with dynamic weight | |
CN103239831A (en) | Pull training device | |
KR101556230B1 (en) | rehabilitation device combined with game function | |
JP3176473U (en) | Household health appliances | |
CN218046296U (en) | Comprehensive trainer for personal use | |
US2024025287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wall mounted exercise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