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510B1 -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 Google Patents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510B1
KR101407510B1 KR1020120128778A KR20120128778A KR101407510B1 KR 101407510 B1 KR101407510 B1 KR 101407510B1 KR 1020120128778 A KR1020120128778 A KR 1020120128778A KR 20120128778 A KR20120128778 A KR 20120128778A KR 101407510 B1 KR101407510 B1 KR 10140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eothermal
heat exchange
body portion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2639A (en
Inventor
노명현
나승민
안동욱
여경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10B1/en
Publication of KR2014006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6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24T10/13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 F24T10/15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using bent tubes; using tubes assembled with connectors or with return hea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고, 매립관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삽입부는 별개의 부재로 분리형성 후 결합되는 모듈식 연결구조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열을 이용한 열교환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지열파일에 사용되는 파일에 별도의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지중에 매립되는 파일공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매립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매립관이 지중파일의 연결구조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through which groundwater flows in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n inser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embedding pipe is inserted,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are separated and formed by separate memb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eothermal pile.
The geothermal p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geothermal heat by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on portions into which the groundwater flows into the main body por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allowing the groundwater to flow in and out, so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files commonly used in file construction to be buried in the ground. By forming th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uried pipe can be insert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file.

Description

지열파일 및 그 연결구조체{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0001]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의 지열을 이용하여 열교환유체와 열교환 시키는 지열파일 및 그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eothermal p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eothermal pile and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eothermal pile for exchanging heat with a heat exchange fluid using geothermal heat underground.

일반적으로 지열은 지표면의 하부에 분포되어 토양이나 암석이 태양복사열이나 지구 내부의 마그마 등의 열원으로부터 유래되는 열을 말한다.Generally, geothermal heat is distributed in the lower part of the earth's surface, and soils and rocks are heat derived from heat sources such as solar radiation or magma inside the earth.

대기의 온도는 큰 폭으로 변화하는데 반하여, 지중의 온도는 지하 5m 이하의 경우는 연중 10-20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통상적으로 여름의 경우는 기온이 30도 이상이고 겨울의 경우는 0도 이하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여름에 냉방을 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지하의 열원을 이용하여 열교환 함으로써 전력소모가 적은 효율적인 냉방이 가능하고, 겨울에 난방을 하는 경우도 상대적으로 고온인 지하의 열원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난방이 가능하다While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varies greatly, the temperature of the ground is kept almost constant at 10-20 degrees during the yea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5m. Generally, in summer, the temperature is more than 30 degrees, and in winter, it is generally less than 0 degree. Therefore, in the case of cooling in summer,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 cooling with low power consumption by heat exchange using a relatively low-temperature underground heat source, and in the case of heating in winter, efficient heating by using a relatively high- It is possible

지열파일은 이러한 지하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10- 20도의 열을 열원으로 이용하여, 지하로부터 열을 회수하거나 배출하도록 열교환을 시키는 지하에 매립되는 파일을 말한다. 지열파일은 일반적으로 에너지 파일이라고도 한다. Geothermal pile refers to a file that is buried underground where heat is used to recover or discharge heat from underground, using 10 to 20 degrees of heat that is constantly maintained in the basement as a heat source. Geothermal files are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energy files.

종래의 지열파일의 경우는 PHC파일 및 강관파일 등의 기존파일을 활용하여 지열파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일들을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파일의 형상을 변경해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eothermal file, in order to produce a geothermal file by utilizing existing files such as a PHC file and a steel pipe fi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file is changed to a structure in which groundwater can flow in and out from the files.

또한, 지열파일에는 주로 PHC파일 및 강관파일이 이용되고 , 이러한 파일들은 길이가 짧아 시공시 파일길이를 연장해야 할 경우 많다. 용접이음으로 통해 이음시공할 경우 용접공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불량도 자주 발생하고, 시공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PHC files and steel pipe files are mainly used for geothermal files, and these files are often short in length when the file length is to be extended during construction. When welding is performed through welding joints, welding defects often occur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welder, and the construction time may be prolonged.

그리고, 종래의 파일의 연결구조체는 지열파일의 내부와 외부의 지하수층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유출입을 차단시켜 열교환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ile connection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lowered by blocking the flow of groundwater existing in the groundwater layer inside and outside the geothermal heat file.

또한, 별도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상하의 파일을 연결의 경우에는 연결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며, 인력소모가 커서 공사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iles by fastening with separate bolts and nuts, the connection work is very cumbersome, inefficient, and the labor cost is increased, which may lead to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requirement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geothermal pil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청정에너지원인 지열을 이용하여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eothermal pile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eothermal pile so that groundwater can flow in and out, thereby maximizing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geothermal heat as a clean energy.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모듈식으로 구성하여 지열파일의 연결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과도하지 않은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eothermal pile which has a modular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geothermal files to each other,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지중에 매립되는 파일공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PHC파일이나 강관파일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eo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for a geo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geo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geothermal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외주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고, 매립관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삽입부는 별개의 부재로 분리형성 후 결합되는 모듈식 연결구조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through which groundwater flows in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n inser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embedding pipe is inserted,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are separated and formed by separate members, The geothermal pile connection structure comprising:

삭제delet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제1 매립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제2 매립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inse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first inserting groove into which a first buried pipe embedded in the basement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portion,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having a second inserting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buried tube is inserted.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하부의 단면적이 매립관이 삽입되는 상부의 단면적보다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 has a cross-sectional area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fill tube is inserted.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내주면의 하부에 돌출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ser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ep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지지하중을 증가시키는 하중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load strengthening portion for increasing the support load.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하중강화부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편이 설치되고, 인접하는 보강편 사이의 공간에 상기 관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radially, and the through portion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adjacent reinforcing pieces.

바람직하게, 상기 하중강화부는 허니컴 구조, 트러스 구조 또는 샌드위치 구조 중 하나 이상을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oneycomb structure, a truss structure, and a sandwich structur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열교환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tubes pass.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열교환관을 홀딩하는 홀더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includes a space portion therein, and the space portion may include a holder portion that holds the heat exchange tub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의 주변부에,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하부면의 주변부에, 상기 본체부의 결합돌기에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홈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coupled to the inserting portion at a periphe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the insert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nd may have a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돌기는 걸림머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판면의 상부에 장공홀과 판면하부의 원형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latching head, and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surface so that the elongated hole and the circular hole at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are continuously formed.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부에는 유입되는 지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enetra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portion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from the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연결구조체에 의해 연결되는 매립관; 및 상기 매립관과 연결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연결구조체의 관통부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와 열교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ried pipe embedded in a basement and connected by the connecting structure. And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inside the buried pip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wherein the heat exchange unit exchanges heat with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열파일의 연결구의 본체부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열을 이용한 열교환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port of the geothermal heat pipe has the plurality of penetration portions into which the ground water flow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using the geothermal hea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를 본체부와 삽입부를 별개의 부재로 분리형성 후 결합시키는 모듈식 연결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 connection structure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geothermal heat pump to the main body and the inserting portion by separate members is formed,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열파일에 사용되는 파일에 별도의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지중에 매립되는 파일공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들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allowing the groundwater to flow in and out of the pile used in the geothermal heat file by providing the penetration portion to allow the groundwater to flow in and out of the main body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utilize the files generally used in the buried file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매립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매립관이 지중파일의 연결구조체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uried pipe can be inserted, so that the buried pipe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pil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는 내주면의 하부에 돌출된 단턱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매립관 등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ep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ufficiently resist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load transfer process of the upper structure including the buried pipe and the like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 하중강화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지하수가 유출입할 수 있는 관통부를 구비하면서도, 관통부의 형성으로 인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의 지지하중의 감소를 하중강화부를 통해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upporting load of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geothermal pil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reinforced through the strengthening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고 열교환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 또는 홀더부를 구비함으로써, 매립관 내에 구비되는 열교환관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a holder portion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nd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tube penetrates, so that the heat exchange tube provided in the buried tube can be firmly fixed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에는 다수의 걸림머리가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에는 판면 상부에 장공홀과 판면 하부에 원형홀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결합홈을 구비함으로써, 결합돌기를 결합홈의 원형홀에 삽입 후 본체부와 삽입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es coupling protrusion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heads, and th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n elongated ho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surface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surface,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can be simply performed by inserting the engaging projection into the circular hole of the engaging groove and then rota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inser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에는 스크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유입되는 지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netra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creen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ground water flowing in can be filt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체부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체부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입부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입부의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삽입부의 하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체부와 삽입부 및 매립관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중강화부를 포함하는 삽입부, 본체부의 분리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중강화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열파일 연결구조체의 하중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더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의 전단면도.
도 8은 지하수층과 지열파일의 지하수의 유출입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eothermal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er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main body,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buried pipe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ion portion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 load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ad-strengthen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load distribution of a geothermal-pi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portion including a hold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groundwater layer and a groundwater inflow / outflow path of a geothermal pi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d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에 대해 살펴본다. Hereinafter, a connection structure 100 of a geothermal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는 본체부(200) 및 삽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7, the geothermal connec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200 and an inserting unit 300.

상기 지열파일 연결구조체는 원통형일 수 있으나, 파일의 형상에 따라 단면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geothermal pile connection structure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tructur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a polygonal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le.

또한, 지열파일 연결구조체의 재질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주물로성형하거나 복합신소재를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복합신소재는 펄트루젼 공정(Pultrusion Process)으로 제작된 섬유강화복합재(FRP)일 수 있고, 그 종류로는 탄소섬유복합신소재(CFRP), 유리섬유복합신소재(GFRP)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geothermal pil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molded by metal casting or by molding compound new material to improve productivity. The composite new material may be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FRP) manufactured by a pultrusion proces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CFRP) and a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GFRP).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에 구비되는 본체부(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본체부(200)는 관통부(210), 공간부(220), 결합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통공(223), 홀더부(240) 또는 하중강화부(2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ain body 200 provide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a geothermal pile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The body portion 200 may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210, a space portion 220 and an engagement protrusion 230. The body portion 200 may include a through hole 223, a holder portion 240, And may additionally comprise.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200)의 상하측에는 하기되는 삽입부(300)가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00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geothermal pile and the insertion portions 300 may be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0.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210)는 지중의 지하수가 지열파일의 내부로 유출입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관통부(210)는 본체부(200)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210)의 형태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의 타원형일 수 있고, 도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penetration portion 210 is a portion that allows the underground water in the ground to flow into the geothermal heat file. A plurality of the penetrating portions 210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hape of the penetration part 210 may be an elliptical shape that i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ack as shown in FIG. 5A .

또한, 상기 관통부(210)에는 매립관(400) 내부로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스크린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211)는 인접하는 보강편(251)이 형성하는 공간의 전면과 후면에 선택적으로 또는 전후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토사부의 압력 등을 고려하여 상기 공간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enetration part 210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part 211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the gravel into the buried pipe 400. The screen unit 211 may be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pace formed by the adjacent reinforcing pieces 251, or on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Preferably, however, i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of the soil part.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220)는 유입된 지하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220)에는 상부면(221)과 하부면(222)이 구비되고, 상부면(221)과 하부면(222)에는 열교환관(P)이 관통하거나, 지하수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5A, the space 22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groundwater can flow, and the space 220 has an upper surface 221 and a lower surface 220. [ And the upper surface 221 and the lower surface 22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3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pipe P can pass or through which groundwater can move.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30)는 상기 본체부(200)는 상부면(221)과 하부면(222)의 주변부에는 하기되는 삽입부(300)의 결합홈(330)에 결합가능한 다수의 결합돌기(230)가 구비될 수 있고, 결합돌기(230)는 걸림머리(231)가 형성된 돌출부재일 수 있다.2A and 2B, the coupling protrusion 230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221 and the lower surface 222 of the main body 200,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230 engageable with the grooves 330 can be provided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230 can be protrusions having the engaging head 231 formed therein.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240)는 별도의 상부면(221)과 하부면(222)이 형성되지 않은 상하부가 개방된 본체부(200)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관(P)을 홀딩하여 지지하는 부재이다. 7, the holder unit 240 is installed in a main body 200 having a top and a bottom 222 without a separate upper and lower surfaces 221 and 222, (P).

또한, 상기 홀더부(240)는 열교환관(P)이 삽입될 수 있는 끼움부(241)가 형성되어 있는 클로버형과 불가사리형 등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2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ver and a starfish, in which a fitting portion 241 into which the heat exchange pipe P can be inserted is formed.

또한, 상기 홀더부(240)는 탄성력을 가진 부재로서 외력에 의해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공간부(220)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시 확장되면서 상기 본체부(200)의 내면에 압축지지 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holder 240 is a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220 of the main body 200 in a state of being reduc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extend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may be a structure that is compressed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강화부(250)는 본체부(200)의 하중지지력을 강화하는 부분으로, 하중강화부(250)는 방사상의 다수의 보강편(25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5A and 5B,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50 is a portion for reinforcing the load supporting force of the body portion 200.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50 includes a plurality of radial reinforcing pieces 25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하중강화부(250)는 본체부(200)의 측면의 주변부에 구비되고,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편(251)을 설치하고, 인접하는 보강편(251) 사이의 공간에 상기 관통부(210)가 구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는 제1 매립관(410)과 제2 매립관(42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압축력이나 전단력과 같은 일정한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체부(200)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부(210)가 구비되는 경우, 지하수층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유출입 가능하게 하여 지열파일의 열교환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도 있지만, 지지하중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도 있기 때문에 지지하중 보강수단으로써 하중강화부(250)가 필요할 수 있다. The load reinforcing part 250 is provided at the peripheral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0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251 radi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reinforcing pieces 251, (210). Generally, the geothermal pile connection structure 100 is a member connecting the first buried pipe 410 and the second buried pipe 420 and has a bearing capacity for a constant load such as a compressive force or a shear force.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penetrations 210 ar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he groundwater existing in the groundwater layer can be flowed in and out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geothermal pile. However,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50 may be required as the support load reinforcing means.

또한, 상기 하중강화부(250)에는 종래에 지지하중의 목적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허니컴구조(벌집모양구조), 트러스 구조, 샌드위치 구조 등의 다양한 하중보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The load strengthening unit 250 may include various honeycomb structures (honeycomb structures), truss structures, sandwich structures, and the like,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for supporting loads.

일 예로, 트러스 구조는 두 개의 삼각파(triangular wave) 형태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된 단위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단위 구조가 다수 연결되어 평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는 하중지지력 향상의 효과를 가지면서도 상기 관통부(210)를 구비할 수 있는 구조이다. For example, the truss structure may have a unit structure in which two triangular wave shapes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russ structure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and arranging them at regular intervals on a plane. Such a truss structure has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the penetration part 210 while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load bearing capacity.

이러한 허니컴구조(벌집모양구조), 트러스 구조, 샌드위치 구조들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추가적인 기타 구성과 작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honeycomb structure (honeycomb structure), the truss structure, and the sandwich structures are implemented by well-known techniques,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additional structures and operations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에 구비되는 삽입부(30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삽입부(300)는 상기 매립관(400)이 삽입 연결되는 삽입홈(310) 및 결합홈(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단턱부(3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3A to FIG. 3C,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insertion portion 300 provide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geothermal heat file. The insertion portion 300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310 and an engagement groove 330 into which the embedded tube 400 is inserted and connec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 portion 320 .

상기 삽입부(300)는 지중에 매설되는 매립관(40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300)는 본체부(200) 상측에 연결되는 제1 삽입부(340)와 하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삽입부(350)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300 is a portion into which the buried pipe 400 buried in the ground is inserted. The insertion portions 3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0,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insertion portion 30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ortion 34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0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35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또한, 상기 삽입부(300)의 형태는 원통형일 수 있으나, 연결을 요하는 매립관(400)의 형태에 따라 단면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3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circular, square, and polygonal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uried pipe 400 requiring connection.

또한, 상기 삽입부(300)는 본체부(2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별개의 부재로 분리 형성된 후 결합되는 모듈형의 구조일 수 있다. 삽입부(300)와 본체부(200)가 모듈형으로 구성될 경우에 연결구조체의 개개의 부재의 경량화 및 볼트 등의 체결을 요하지 않는 간단한 결합이 가능하여, 지열파일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200, and may be a modular structure formed by being separated and formed by separate members. When the insertion portion 300 and the main body 200 are constructed in a modular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nection of the individual members of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out requiring a light weight and fastening of bolts or the like, Can be obtained.

그리고, 도 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310)은 상기 삽입부(30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립관(400)의 선단을 견고히 끼워서 고정하는 부분이다. 즉 하나의 매립관(400)의 내측면, 외측면, 선단면이 상기 삽입홈(310)의 내측 3면에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insertion groove 31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part 300, and is a part for firmly fixing the tip of the injection tube 400. That is, the inner side surface,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distal end surface of one buried pipe 4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ner three surfaces of the insertion groove 310.

또한, 상기 삽입홈(310)은 매립관(400)이 삽입되는 단면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형성하여, 매립관(400)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310 may have a generally U-shaped cross-section in which the buried pipe 400 is inserted, and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ading end of the buried pipe 400 is inserted.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홈(311)은 본체부(200)의 상부면(221)에 결합되는 제1 삽입부(34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삽입홈(312)은 본체부(200)의 하부면(222)에 결합되는 제2 삽입부(350)에 구비될 수 있다.6, the first insertion groove 31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34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221 of the body portion 200, The groove 31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35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222 of the body portion 200.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320)는 삽입부(300)의 내주면의 하부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320)는 매립관(400) 등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전달과정에서 편심력 등에 의한 응력집중을 고려해서, 삽입부 하부의 단면적이 매립관이 삽입되는 상부의 단면적 보다 두꺼운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step portion 320 may protrud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300.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due to the eccentric force or the like during the load transmission process of the upper structure including the buried pipe 400 and the like, the step portion 320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buried pipe is inserted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3c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330)은 삽입부(300)의 하부면(222)의 주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0)의 결합돌기(230)에 체결될 수 있다.3C and FIG. 5A, the coupling groove 330 is provided at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222 of the insertion portion 300, Respectively.

또한, 상기 결합홈(330)은 판면의 상부에 장공홀(332)과 판면하부의 원형홀(331)이 연속적으로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30)와 결합홈(330)의 결합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200)에 형성된 걸림머리(231)가 구비된 결합돌기(230)가 삽입부(300)의 원형홀(331)을 통해서 삽입되고, 본체부(200)와 삽입부(300)의 회전에 따라 결합돌기(230)가 장공홀(332)에 체결됨으로써 본체부(200)와 삽입부(300)는 연결된다.The coupling groove 330 may have a long hole 332 at the top of the plate surface and a circular hole 331 at the bottom of the plate surface. The coupling protrusion 230 having the coupling head 231 formed on the main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00 of the insertion hole 300, The main body part 200 and the insertion par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rotrusion 230 being fastened to the elongated hole 33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part 200 and the insertion part 300, do.

그러나 이러한 결합홈(330)은 결합돌기(230)를 수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일 예로서, 원통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upling grooves 330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coupling protrusions 230 can be accommodated. For example, the coupling grooves 330 may have a cylindrical groove shape.

다음으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를 구비하는 지열파일에 구비되는 매립관(400)에 대해서 살펴본다.4 and 6, a description will now be made of a buried pipe 400 provided in a geothermal file including a connection structure 100 of a geothermal file.

상기 매립관(400)은 상기 삽입부(300)의 삽입홈(310)에 연결되고, 매립관(400)의 내측면, 외측면, 선단면이 상기 삽입홈(310)의 내측 3면에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된다. 물론 추가적인 고정이 필요한 경우는 상기 매립관(400)을 삽입홈(310)에 삽입한 후 추가적으로 용접하거나 몰드결합 등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uried pipe 400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 310 of the insertion part 300 and the inner side surface,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buried pipe 4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three surfaces of the insertion groove 310 And is firmly fixed. Of course, when additional fixing is required,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buried pipe 400 into the insertion groove 310 and then to further weld or fix it by a mold coupl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매립관(4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HC파일 및 강관파일이 이용될 수 있다. 매립관(400)은 길이가 짧아서 지열파일을 시공할 경우 연장할 필요가 있어서 상기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edding pipe 400 may be a generally used PHC file and a steel pipe file. Since the length of the buried pipe 400 is shor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length of the geothermal pile when the geothermal pile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geothermal pil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립관(410)은 상기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 매립관(420)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매립관(410)과 제2 매립관(420)이 연결될 수 있다.4, the first buried pipe 41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geothermal pile and the second buried pipe 4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uried pipe 410 and the second buried pipe 4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음으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를 구비하는 지열파일에 대해서 살펴본다.Next, a geothermal file having the geothermal file connection structure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지열파일은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에 의해 연결되는 매립관(400) 및 상기 매립관(400)과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연결구조체의 관통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geothermal power plant includes a buried pipe 400 embedded in the ground and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eothermal power and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between the buried pipe 400 and the geothermal power, The heat exchanger may be provided to exchange heat with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penetration part 210 of the connection structure.

또한, 상기 지열파일은 지열파일의 시공에 사용되는 파일에 별도의 지하수의 유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지중에 매립되는 파일공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들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eothermal file does not ne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allowing the groundwater to flow in and out of a file used for construction of the geothermal file. Thus, the geothermal file can utilize files generally used in file construction buried in the ground.

다음으로,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100)를 구비하는 지열파일에 구비되는 열교환부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열교환부(미도시)는 열펌프, 열교환관(P), 열교환유체 공급관 및 회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a heat exchanging unit provided in the geothermal file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100 of the geothermal pile will be described. The heat exchange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heat pump, a heat exchange pipe P, a heat exchange fluid supply pipe, and a recovery pipe.

상기 열교환관(P)은 열교환유체 공급관 및 회수관을 통해 열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관(P)의 일단에 연결되는 열교환유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교환유체는 열교환관(P)을 따라 유동하면서 지열을 제공받고, 열교환유체 회수관을 통해 열펌프로 유입된다.The heat exchange pipe (P)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pump through a heat exchange fluid supply pipe and a return pipe. The heat exchange fluid such as water or antifreeze liquid supplied through the heat exchange fluid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t exchange pipe P is supplied with the geothermal heat while flowing along the heat exchange pipe P and flows into the heat pump through the heat exchange fluid return pipe .

또한, 상기 열교환관(P)은 매립관(400)의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매립관(400)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굽은 나선형의 구조로 구비하여 열교환유체를 사행시킴으로써 열교환유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pipe P may have a curved spiral structure so as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buried pipe 4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ried pipe 400 so that the heat exchange fluid meanders the heat exchange fluid As shown in FIG.

다만, 상기 열교환부는 내부로 열교환유체가 이동하는 열교환관(P)와 지열파일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와 열교환관(P)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교환유체와 열교환 시키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입된 지하수를 지열파일 내부에 배치된 수중펌프에 의해 지열파일 외부로 양수하여 지열파일 외부의 별도의 공간에서 열교환관(P) 내부의 열교환 유체와 열교환시킨 후, 열교환 된 지하수는 별도의 배출관에 의해 지열파일 외부의 지하로 배출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heat exchanger is not limited to the heat exchange pipe P in which the heat exchange fluid moves to the inside, the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geothermal pile and the heat exchange fluid flowing in the heat exchange pipe P, The groundwater is pumped to the outside of the geothermal heat file by a submerged pump disposed in the geothermal pile and the heat exchange fluid is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 fluid inside the heat exchange pipe P in a separate space outside the geothermal heat fil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discharging to the underground outside the file.

상기 열교환관(P)를 이용한 열교환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기타 내부 구성과 작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heat exchanger using the heat exchange pipe (P) is implemented by a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s of other intern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100 본체부: 200
210: 관통부: 211: 스크린부:
220: 공간부: 221: 상부면:
222: 하부면: 223: 통공:
230: 결합돌기: 231: 걸림머리:
240: 홀더부: 241: 끼움부:
250:하중강화부: 251: 보강편:
300: 삽입부: 310: 삽입홈:
311: 제1 삽입홈: 312: 제2 삽입홈:
320: 단턱부: 330: 결합홈:
331:원형홀: 332: 장공홀:
340: 제1 삽입부: 350: 제2 삽입부:
400: 매립관: 410: 제1 매립관:
420: 제2 매립관: P: 열교환관: P
The connection structure of geothermal file: 100 Main part: 200
210: penetrating part: 211: screen part:
220: space part: 221: upper surface:
222: lower surface: 223: through hole:
230: engaging projection: 231: engaging head:
240: holder portion: 241: fitting portion:
250: Load strengthening part: 251: Reinforcement piece:
300: Insertion part: 310: Insertion groove:
311: first insertion groove: 312: second insertion groove:
320: Short jaw: 330: Coupling groove:
331: Round hole: 332: Long hole:
340: first insertion portion: 350: second insertion portion:
400: buried pipe: 410: first buried pipe:
420: Second buried pipe: P: Heat exchange pipe: P

Claims (14)

외주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하측에 각각 연결되고, 매립관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삽입부는 별개의 부재로 분리형성 후 결합되는 모듈식 연결구조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through which groundwater flows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d an insertion portion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embedding tubes are inserted,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are separated and formed by separate members, and are then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modular connection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제1 매립관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제2 매립관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irst buried pipe embedded in the basement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having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ipe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하부의 단면적이 매립관이 삽입되는 상부의 단면적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ng portion is thick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an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embedding pipe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내주면의 하부에 돌출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지지하중을 증가시키는 하중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load reinforcing portion for increasing a support lo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강화부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편이 설치되고, 인접하는 보강편 사이의 공간에 상기 관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radially and the penetrating portion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adjacent reinforcing piec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강화부는 허니컴 구조, 트러스 구조 또는 샌드위치 구조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has at least one of a honeycomb structure, a truss structure, and a sandwich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열교환관이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tubes p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열교환관을 홀딩하는 홀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further comprises a space part inside and a holder part for holding a heat exchange pipe in the spac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의 주변부에,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하부면의 주변부에, 상기 본체부의 결합돌기에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has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at a periphe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Wherein the insert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on a peripheral portion of a lower surface thereof, the engaging grooves being engaged with engaging projec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걸림머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판면의 상부에 장공홀과 판면하부의 원형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with a latching head,
Wherein the joining groove has a long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surface and a circular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late surface continuou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에는 유입되는 지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의 연결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netrat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creen portion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of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제1항,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하에 매설되고, 연결구조체에 의해 연결되는 매립관; 및
상기 매립관과 연결구조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연결구조체의 관통부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와 열교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파일.
1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A buried pipe buried underground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structure; And
And a heat exchange unit provided inside the buried pip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Wherein the heat exchange unit exchanges heat with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KR1020120128778A 2012-11-14 2012-11-14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KR101407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778A KR101407510B1 (en) 2012-11-14 2012-11-14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778A KR101407510B1 (en) 2012-11-14 2012-11-14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639A KR20140062639A (en) 2014-05-26
KR101407510B1 true KR101407510B1 (en) 2014-06-17

Family

ID=5089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778A KR101407510B1 (en) 2012-11-14 2012-11-14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8577A1 (en) * 2018-12-04 2022-01-2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Groundwater enhanced geothermal heat pu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001A (en) * 2000-12-30 2002-07-11 신영주 Pipe connecting structure
KR101092512B1 (en) * 2011-06-17 2011-12-13 (주)지오쓰리에코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the underground 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001A (en) * 2000-12-30 2002-07-11 신영주 Pipe connecting structure
KR101092512B1 (en) * 2011-06-17 2011-12-13 (주)지오쓰리에코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the underground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639A (en)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9530C (en) Load bearing construction pile
US8152949B2 (en) Pultruded arc-segmented pipe
JP5063669B2 (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and its heat exchange path fixture.
KR101273016B1 (en) Floated Structure with Eco-Friendship for Equipping Solar Energy Generating Module
JP2022545044A (en) floating solar system
JP4459866B2 (en) Pile head structure
CN208280170U (en) Assembled steel structure piping lane
KR101299826B1 (en) Depth geothermal system unit
JP6240421B2 (en) Pile structure and pile manufacturing method
KR101407510B1 (en)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KR102171908B1 (en) Semi open type geothemal system
JP2013200071A (en) Heat collecting system of sewage heat or the lik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80058578A (en) Dual heat accumulator and method therefof
CN109881665A (en) High-performance prefabricated UHPC~PHC combined built pile integral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07511B1 (en) Geothermal fil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the same
JP2007071439A (en) Triple u-shaped tube type underground heat exchanger
EP3423678B1 (en) A prefabricated modular energy segment, a tunnel lining made with a plurality of such segments and a method for exchanging heat in a tunnel by making a lining with a plurality of such segments
CN113465228A (en)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CN207350844U (en) Agricultural greenhouse solar thermal collection system
EP2886988B1 (en) Forced-draft cooling tower with energy recovery or production and kit for such a cooling tower
KR101274230B1 (en) Geothermal pipe for geothermal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78937B1 (en) Module-type Ground Heat Exchanger
CN111237849B (en) Indirect heating device for abandoned mine and method for heating by adopting indirect heating device
CN214578150U (en) A control connecting piece for traditional section bar side pipe
CN211171874U (en) Water-saving water conservancy assembled channel pref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