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401B1 -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401B1
KR101407401B1 KR1020120071352A KR20120071352A KR101407401B1 KR 101407401 B1 KR101407401 B1 KR 101407401B1 KR 1020120071352 A KR1020120071352 A KR 1020120071352A KR 20120071352 A KR20120071352 A KR 20120071352A KR 101407401 B1 KR101407401 B1 KR 10140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speed
section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890A (ko
Inventor
차석원
이대흥
김남욱
서호원
정종렬
박영일
임원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4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랴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 또는 주행거리에 대한 고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동력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동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또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미리 예측함에 따라, 엔진과 모터를 동력원으로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Power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hybrid vehicle using driv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의 주행속도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을 분배하여 연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과 자원문제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차 산업에서도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 움직임에 따라, 각 자동차 회사에서는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자동차 (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PHEV), 및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 (HEV)와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연구되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하여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차세대 환경자동차로서,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차량의 내부에 장착함에 따라, 주행 시 연료 효율이 높고, 가솔린 엔진과 전기 엔진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운전하면서 도로와 주변 환경에 알맞게 자동으로 가솔린 엔진과 전기 엔진의 변환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켜 가정용 전원으로 충전이 가능하며, 일정거리를 전기자동차 모드로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대용량 배터리 탑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존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새로운 동력전달 구조의 차량에 이를 적용하여 차량 운행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차량이 엔진과 배터리를 동력원으로서 함께 사용함에 따라, 각각의 동력원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엔진 및 모터에 대한 동력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은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 또는 주행거리에 대한 고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동력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동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구간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주행구간 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에 기초하여 주행구간에 따른 주행속도를 연산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구간 내 획득한 교통정보에 따른 차량의 정차상태 또는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주행구간 내 상기 차량의 초기 출발속도 및 종단 속도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구간의 평균속도와 순항속도 및 단위시간당 교통량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대한 가중치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 주행거리, 가속도, 감속도, 도로의 지면 경사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GPS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주행구간 내 존재하는 신호등의 개수, 신호등간 거리, 신호주기, 구간별 제한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정보로부터 차량의 제동량을 연산하는 과정; 연산된 제동량에 대하여 벡터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모터에 대한 유효방전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연산된 유효 방전량으로부터 차량의 동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은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 또는 주행거리에 대한 고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정보획득부;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동력값을 연산하는 동력연산부;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파라미터연산부; 및 상기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제어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모듈;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구간을 결정하는 주행구간결정모듈; 상기 주행구간 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교통정보획득모듈; 및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주행속도예측모듈;을 포함하는 주행정보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에 기초하여 주행구간에 따른 주행속도를 연산하는 주행속도예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구간 내 획득한 교통정보에 따른 차량의 정차상태 또는 주행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주행구간 내 상기 차량의 초기 출발속도 및 종단 구간속도를 획득하는 주행속도예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행구간의 평균속도와 순항속도 및 단위시간당 교통량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대한 가중치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표시하는 주행속도예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 주행거리, 가속도, 감속도, 도로의 지면 경사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GPS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주행구간 내 존재하는 신호등의 개수, 신호등간 거리, 신호주기, 구간별 제한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정보로부터 차량의 제동량을 연산하는 제동량연산모듈; 연산된 제동량에 대하여 벡터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모터에 대한 유효방전량을 연산하는 유효방전량연산모듈; 연산된 유효 방전량으로부터 차량의 동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파라미터연산모듈;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통해 최종 목적지를 입력받아, 주행구간을 확인한 후, 교통상황, 도로상황 및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미리 예측함에 따라, 엔진과 모터를 동력원으로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을 용이하게 제어함에 따라, 차량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속도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세부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주행속도 예측을 위해 필요한 다수의 주행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교통 신호등의 점멸주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주행구간 별 교통 신호등의 점멸주기를 측정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획득한 교통정보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적용하기 위해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교통상황별 주행시간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도 9는 하나의 세부구간에서의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격자생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각 스테이트별 비용에 따른 다음 스테이트에 대한 최적 방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동력값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유효방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배터리 용량에 따른 주행거리별 유효방전량의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100)은 주행정보획득부(120), 동력연산부(140), 파라미터연산부(160) 및 동력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주행정보획득부(120)는 위치정보획득모듈(122), 주행구간결정모듈(124), 교통정보획득모듈(126) 및 주행속도예측모듈(128)을 포함한다.
위치정보획득모듈(122)은 차량에 부착된 네비게이션을 통해 운전자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GPS정보는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 가속도, 감속도 및 주행도로의 지면 경사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주행구간결정모듈(124)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주행구간을 판단한다.
교통정보획득모듈(126)은 주행구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교통정보는 주행구간 내 존재하는 신호등의 개수, 신호등간 거리, 신호주기, 구간별 제한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주행속도예측모듈(128)은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주행속도예측부(180)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에 기초하여 주행구간에 따른 주행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주행구간 내 신호등의 다음 신호에 따른 차량의 정차상태 또는 주행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의 초기 출발속도 및 종단 구간속도를 획득한다. 또한, 주행속도예측부(180)는 상기 주행구간 내 평균속도와 순항속도 및 단위시간당 교통량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대한 가중치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여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표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이란, 어떤 알고리즘이 부분 문제 반복과 최적 기본 구조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 상기 알고리즘의 실행시간을 줄이도록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동력연산부(140)는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동력값을 연산한다.
파라미터연산부(160)는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이러한 파라미터연산부(160)는 제동량연산모듈(162), 유효방전량연산모듈(164) 및 파라미터연산모듈(1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동량연산모듈(162)은 상기 주행정보로부터 차량의 제동량을 연산한다.
유효방전량연산모듈(164)은 연산된 제동량에 대하여 벡터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모터에 대한 유효방전량을 연산한다.
파라미터연산모듈(166)은 연산된 유효 방전량으로부터 차량의 동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동력제어부(180)는 상기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동력을 분배한다. 이러한 상기 PMP 이론이라,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Euler-Lagrange equations)의 일반화된 형태로 최적 제어 문제를 만족하는 최적해를 만족시켜야 하는 필요조건을 제시하는 이론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은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 또는 주행거리에 대한 고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한다(S210).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속도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세부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획득모듈(122)이 차량에 부착되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운전자로부터 차량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한다(S211). 이때, 상기 GPS정보는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 주행거리, 가속도, 감속도, 도로의 지면 경사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예상 주행구간을 판단한다(S212).
이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상기 주행구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한다(S213). 이때, 상기 교통정보란, 지능형 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통해 상기 주행구간 내 도로에 존재하는 신호등의 개수, 신호등간 거리, 신호주기 뿐만 아니라, 상기 도로의 교통량을 나타내는 구간별 제한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나타내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에 대입하여 상기 주행구간 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한다(S214).
[수학식 1]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1
이때, 상기 Edriving (k)는 차량의 주행에너지이고, T(k)는 주행시간이며, a는 통행량에 따른 차량의 가속을 나타내고, d는 통행량에 따른 차량의 감속을 나타내며, γ는 주행시간에 할당된 가중치이고, μ는 가속에 할당된 가중치이며, ν는 감속에 할당된 가중치이다.
특히, 상기 주행구간 내 주행도로에 대하여 획득한 교통정보로부터 신호등의 다음 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정차상태 또는 주행상태를 확인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초기 출발속도와, 종단 속도를 획득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교통정보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행구간 내 주행하는 차량의 평균속도와, 차량의 흐름이 원활한 때의 순항속도 및 단위시간당 교통량에 따라 발생하는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부여되는 가중치 및 주행하고자 하는 차량의 주행시간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포함하여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속도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단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속도 프로파일을 예측 시, 필요한 정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주행속도 예측을 위해 필요한 다수의 주행정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운전자로부터 차량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외부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구간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2
는 교통신호의 초록불이 점등되는 지속시간이고,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3
는 교통신호의 노란불이 점등되는 지속시간이며,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4
는 교통신호의 빨간불이 점등되는 지속시간이고, di는 교통정보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이며, Signali(t)는 i번째 구간의 교통신호에 교통신호 타이밍을 나타낸다.
이어서, 운전자의 목적지정보 입력에 따라 결정된 주행구간을 복수 개의 세부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부구간별 교통정보를 입력받는다. Δdi는 세부구간 i의 거리이고, Vss ,I 는 상기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이며, Vavg ,I 는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평균속도이고, Vlim ,i는 세부구간 i의 속도제한이며, Qveh ,i는 세부구간 i의 차량 통행량을 각각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입력받는 교통정보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에 적용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변화 및 추출한다. 즉, Δdi는 세부구간 i의 거리이고, Vss ,I 는 상기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이며, Vavg ,I 는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평균속도이고, Vlim ,i는 세부구간 i의 속도제한이며, Qveh ,i는 세부구간 i의 교통흐름이고, V0 ,i는 세부구간 i의 초기속도이며, Vf ,i는 세부구간 i의 종단속도이고, Δtpred ,i는 상기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이며, Δtwait ,i는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이다.
이때, 교통신호와 관련된 교통정보는 하기의 도 5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교통 신호등의 점멸주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5
는 교통신호의 초록불이 점등되는 지속시간을 나타내고,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6
는 교통신호의 노란불이 점등되는 지속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7
는 교통신호의 빨간불이 점등되는 지속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8
는 노란불의 휴지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09
는 빨간불의 휴지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교통 신호등의 점멸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교통정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체 주행구간이 7.5km이고, 상기 주행구간 내 총 13개의 신호등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도 6과 같은 주행구간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점멸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한 교통정보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에 적용하기 위해, 변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은 획득한 교통정보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적용하기 위해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한 교통정보로부터 전체 주행구간 중 복수 개로 분할된 세부구간 중 특정 세부구간 i에 대한 교통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이때, 추출한 교통정보 중 초기 속도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만약, 초기 속도가 0인 경우, 세부구간 i의 이전 세부구간 i-1에 대한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에 대한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를 확인한다(S330).
이때,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초록색인 경우, 세부구간 i의 주행시간 Δtdrv ,i 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에서 주행시작시간 s를 뺀 후, 이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나눈 값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를 가속도 a의 두 배로 나눈 값을 더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세부구간 i의 제동시간 Δtbrk ,i는 주행시작시간 s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i로 나누어 연산한다(S331).
또는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빨간색인 경우,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 ,i은 교통신호의 빨간불의 휴지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0
과 동일하다고 판단한다(S332).
이와 달리,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노란색인 경우,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 ,i은 노란불의 휴지시간인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1
에 이전 세부구간 i-1에서의 빨간불이 점등되는 시간인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2
를 더하여 획득할 수 있다(S333).
이어서,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 ,i와, 세부구간 i의 주행시간 Δtd rv,i와, 세부구간 i의 제동시간 Δbrk ,i 및 세부구간 i의 이전 세부구간 i-1에 대한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에 대한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를 확인한다(S340).
이때,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초록색인 경우, 상기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 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로 나눈 값과, 상기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가속도 a의 두 배로 나눈 값과,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i와, 이전 세부구간 i-1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 을 더함으로써, 연산할 수 있다(S341).
하지만,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빨간색 또는 노란색인 경우, 상기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 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에서 주행시작시간 s를 뺀 후, 이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나눈 값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를 가속도 a의 두 배로 나눈 값을 더하고, 이에 따른 연산값으로부터,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교통정보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을 차감한 후,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 ,i와, 이전 세부구간 i-1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 을 더함으로써, 연산한다(S342).
또는 다시 과정 S320으로 돌아가서, 만약, 초기 속도가 0이 아닌 경우,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 ,i는 0으로 설정하고, 세부구간 i의 주행시간 Δtdrv ,i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에서 주행시작시간 s를 뺀 후, 이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나눈 값으로 설정하며, 세부구간 i의 제동시간 Δbrk ,i는 주행시작시간 s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로 나눈 값으로 설정한다(S350).
이어서,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에서의 정차시간 Δtwait ,i와, 세부구간 i의 주행시간 Δtdrv ,i와, 세부구간 i의 제동시간 Δbrk ,i 및 세부구간 i의 이전 세부구간 i-1에 대한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에 대한 이전 세부구간 i-1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를 확인한다(S360).
이때,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초록색인 경우, 상기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 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로 나눈 값과, 이전 세부구간 i-1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 을 더하여 연산한다(S361).
하지만,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빨간색 또는 노란색인 경우, 상기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 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에서 주행시작시간 s를 뺀 후, 이를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나눈 값에서,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를 세부구간 i의 거리 di로 나눈 값을 뺀 후, 이전 세부구간 i-1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1 을 더하여 연산한다(S362).
결과적으로, 앞서 과정 S342를 통해 연산한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 와, 과정 S362를 통해 연산한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 Δtpred ,i 에 대하여 세부구간 i의 교통신호의 점등신호를 확인한다(S370).
이에 따라,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초록색인 경우, 세부구간 i의 종단속도 Vf ,i 가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이다(S371).
하지만, 교통신호의 점등신호가 빨간색 또는 노란색인 경우, 세부구간 i의 종단속도 Vf ,i 는 0이 된다(S372).
결과적으로, 다음 세부구간 i+1의 초기속도 V0 ,i+ 1는 세부구간 i의 종단속도 Vf ,i가 된다(S380).
상술한 과정을 통해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 또는 추출한 교통정보를 저장한다(S390).
이와 같이 연산된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한다.
도 8은 교통상황별 주행시간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Δtpred ,i 는 세부구간 i의 종료지점에 도착시 예상되는 시간이고, Δtwait ,i는 이전 교통신호에서 정차시간이며, Δtdrv ,i는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감속하기 전의 주행속도이고, Δtbrk ,i는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감속시간이다. 이에 따라, 교통상황에 따라 차량의 정차시간, 감속시간 등의 세부 사항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교통정보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적용하여 전체 주행구간에 대하여 분할된 세부구간을 차례대로 연속하여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즉,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 상기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i,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평균속도 Vavg ,i, 세부구간 i의 제한속도 Vlim ,i, 세부구간 i의 차량 통행량 Qveh ,i, 세부구간 i의 초기속도 V0 ,i, 세부구간 i의 종단속도 Vf ,i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 각각 적용되어, s과정에서의 j과정을 위한 최적화된 비용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3
와, 다음 과정으로 최적 방향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4
및 최적방향으로의 주행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5
이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하나의 세부구간에서의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격자생성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하나의 세부구간에서의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격자생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주행구간 중 특정 세부구간 i의 정보가 입력되면, x와 y축의 격자가 생성된다. 이때, x축은 거리이고, y축은 속도를 나타낸다. 상기 x축의 격자를 스테이지 stage, 상기 y축의 격자를 스테이트 state라고 정의하며, x축 상의 각 스테이지의 거리 Δs는 세부구간 i의 거리 Δd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세부구간 i의 거리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6
가 200m 이하일 경우에 x축 상의 각 스테이지의 거리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7
, 200m를 초과하고 1000m 이하인 경우에는 x축 상의 각 스테이지의 거리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8
, 1000m초과하는 경우에는 x축 상의 각 스테이지의 거리
Figure 112012052420707-pat00019
가 되도록 설정되며, 또한 y축 격자의 경우에는 0.2m/s 간격으로 설정된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을 통해, 특정 스테이지 stage 상의 스테이트 state에서 다음 스테이지 stage 상의 임의의 스테이트 state로 가기 위한 비용을 연산하고, 이러한 연산과정을 거리 SN부터 S0까지 역방향으로 반복 수행하고, 각 로컬 비용을 저장한다. 따라서, 모든 격자에는 로컬 비용이 저장된다.
이후, 거리 S0에서 초기 속도 vinitial와, 거리 SN에서 최종 속도 vfinal이 결정되면 초기 속도 vinitial에서 최종 속도 vfinal로 가기 위해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가 결정된다. 이러한 최소 비용을 갖는 경로 결정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0
결국, 최소비용을 갖는 경로 L(k)는 차량의 주행에너지 Edrv(k)와, 주행시간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t에 주행시간을 나타내는 T(k)를 곱한 값과, 가속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a를 가속량을 나타내는 Acc4(k)와 곱한 값과, 감속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b를 감속량을 나타내는 Dec4(k)와 곱한 값을 모두 합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시간에 할당된 가중치 wt 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세부구간 i에서 차량의 정상상태에 따른 주행속도 Vss ,i 와, 세부구간 i의 거리 Δdi에 대한 함수연산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1
또한, 가속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a 및 감속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b는 세부구간 i의 평균 주행속도 Vavg ,i 와, 제한속도 Vlim ,i에 대한 함수연산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2
결과적으로, 거리를 주행하는데 소비되는 전체 비용 J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과정 s에서 x(s)로 표현되는 상태변수와, u(s)로 표현되는 제어변수를 갖는 경우, 하기의 수학식 5를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3
이와 같이, 생성된 경로 J는 세부구간 i의 주행정보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의 결과가 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먼저, 주행정보를 입력받는다(S410).
이후, x축(스테이지 stage)과 y축(스테이트 state)으로 이루어지는 격자를 생성한다(S420). 이때, 상기 스테이지의 개수는 N이고, 상기 스테이트의 개수는 M이 되며, x축 상의 스테이지 거리 s를 상기 스테이지의 개수인 N-1로 설정하고,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나타내는 스테이트의 개수 k 및 현재 스테이지 s 상에서 나타내는 스테이트의 개수 j는 각각 0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j 및 k간에 주행시간 T, 비용 Cost 및 누적비용 C을 하기의 수학식 4 내지 6을 이용하여 연산한다(S430).
먼저, 현재 스테이지 s의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k로 이동할 때의 주행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4
는 하기의 수학식 6을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5
이때, 상기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6
는 스테이지간 거리이고, 상기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7
는 다음 스테이지에서 k의 속도이고, 상기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8
는 현재 스테이지 s의 j에서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현재 스테이지 s의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k로 이동할 때의 소요 비용
Figure 112012052420707-pat00029
는 하기의 수학식 7을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0
즉, 현재 스테이지 s의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k로 이동할 때의 소요 비용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1
는 현재 스테이지 s의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k로 이동할 때 주행에너지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2
와, 주행시간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t에 현재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k로 이동할 때 주행시간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3
를 곱한 값과, 가속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a를 현재 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k로 이동할 때 가속량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4
의 4제곱과 곱한 값, 및 감속에 할당된 가중치를 나타내는 wb를 현재 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k로 이동할 때 감속량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5
의 4제곱과 곱한 값을 합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스테이지 s의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k로 이동할 때 주행에너지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6
는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현재 스테이지 s의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k로 이동할 때 주행 파워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7
와, 현재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k로 이동할 때 주행시간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8
를 곱한 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8]
Figure 112012052420707-pat00039
또한, 현재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k로 이동할 때 가속량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0
는 하기의 수학식 9를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1
더불어, 현재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에서 k로 이동할 때 감속량을 나타내는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2
는 하기의 수학식 10을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3
이와 더불어,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4
는 다음 스테이지에서 현재 스테이지를 뺀 거리로서, 하기의 수학식 11을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5
상기 수학식 6 내지 7을 통해 연산된 주행시간 및 소요비용을 합산하는 하기의 수학식 12를 통해 누적비용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6
이러한 연산과정을 통해 상기 k가 현재 스테이지 s 상에서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스테이트의 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만약, 상기 j가 현재 스테이지 상에서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스테이트의 수와 동일한 경우, 수학식 7 내지 9에 기초하여 현재 스테이지 s 에서의 스테이트 j를 나타내는 누적비용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7
, 인덱스값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8
및 주행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49
을 연산한다(S450).
먼저, 하기의 수학식 13과 같이, 누적비용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0
는 현재 스테이지 s에서의 스테이트 j가 0 부터 최대 M까지 이동할 때의 각각의 소요비용의 최소값을 산출한다.
[수학식 13]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1
이때, 인덱스값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2
는 현재 스테이지 s에서 다음 스테이지로의 최적 방향을 나타내는 인덱스값을 말하며, 이는 최대 변수 m으로 표기된다.
[수학식 14]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3
따라서, 하기의 수학식 15와 같이, 주행시간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4
는 스테이지 s에서 j가 다음 스테이지 s+1의 최대 스테이트 수 m으로 이동할 때까지 주행시간과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수학식 15]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5
이어서, 최적화된 비용, 인덱스값 및 주행시간을 저장한다.
하지만, 상기 과정 S440에서 상기 k가 현재 스테이지 s 상에서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스테이트의 수 M와 동일하지 않는 경우, 상기 k를 1 증가하여(S441), 상기 과정 S430을 반복수행한다.
또한, 상기 j가 현재 스테이지 s 상에서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스테이트의 수 M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460). 만약 동일하지 않는다면, k를 0으로 설정하고, 상기 j는 1을 증가시킨 후, 상기 과정 S430을 반복 수행한다(S461).
이와 달리, 상기 j가 현재 스테이지 s 상에서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스테이트의 수 M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S가 스테이지의 개수인 N-1와 동일한지 여부를 다시 확인한다(S470).
이후, 상기 S가 스테이지의 개수인 N-1와 동일한 경우에는 모든 스테이지와 스테이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S480).
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S가 스테이지의 개수인 N-1와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j 및 k는 각각 0으로 설정하고, 상기 s는 1을 감소시킨 후, 상기 과정 S430을 반복 수행한다(S471).
상술한 수학식과 교통정보를 통해 연산된 각 스테이트별 비용에 따른 다음 스테이트에 대한 최적 방향을 도 11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각 스테이트별 비용에 따른 다음 스테이트에 대한 최적 방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속도를 0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실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실선이 주행구간의 세부구간 i 에 대한 교통상황에 따라 예측할 수 있는 속도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동력연산부(140)가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요구동력값을 연산한다(S220).
이러한 요구동력값 Pt(t)은 하기의 수학식 16을 통해 차량의 휠 구동력과 차량속도의 곱으로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16]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6
이때, 상기 Ft(t)는 차량의 휠 구동력이고, v(t)는 차량속도이다.
이때, 상기 휠 구동력 Ft(t)는 하기의 수학식 17을 통해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7]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7
파라미터연산부(160)가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한다(S230).
이러한 파라미터를 먼저 연산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정보를 통해 연산한 동력값으로부터 차량의 제동량을 연산한다.
도 12는 동력값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과정 S220을 통해 연산한 동력값은 크게 차량의 가속 또는 정속주행 시 요구되는 가속동력(빨간선으로 표시됨)과, 차량의 제동 시에 바퀴로 입력되는 제동력(파란선으로 표시됨)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인 차량에서 제동력이 발생하는 경우, 브레이크에서 제동에 의한 열로 소실되기 때문에 손실로 간주되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제동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획득한 차량의 제동력에 대하여 벡터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모터에 대한 유효방전율(SOC: State Of Charge)을 연산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유효방전율을 연산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3은 유효방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과정 S220을 통해 연산한 요구동력값 프로파일로부터 총 주행시간 Tdrv _ tot, 유효 제동시간 Treg _ eff, 정차시간 Tstop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하기의 수학식 18에 의해 유효 주행시간 Tdrv _ eff을 연산한다.
[수학식 18]
Tdrv _ eff = Tdrv _ tot - Treg _ eff - Tstop
또한, 앞서 획득한 제동력으로부터 하기의 수학식 19 내지 20을 이용하여 제동력의 변화량 ΔSOC reg_eff을 연산한다.
[수학식 19]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8
[수학식 20]
Figure 112012052420707-pat00059
이때, Q는 배터리의 총 전하량이고, R은 배터리의 평균 내부저항값이며, V는 배터리 평균전압이고,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0
는 전체 제동력에 대한 전기적 제동력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유효 방전율 SOCdrv _ eff은 하기의 수학식 2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제동력의 변화량 ΔSOCreg _ eff을 유효 주행시간 Tdrv _ eff으로 나누어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21]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1
이러한 유효 방전율 SOCdrv _ eff은 속도 프로파일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출력파워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동력의 변화량ΔSOCreg _ eff은 차량의 주행 전 초기 충전상태 SOC, SOCi 및 주행 후 최종 충전상태 SOC, SOCf가 주어지게 되면, 하기의 수학식 2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연산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SOCi는 0.9 또는 0.8이고, SOCf는 0.3 또는 0.2가 될 수 있다.
[수학식 22]
ΔSOCdrv _ eff = SOCi - SOCf - ΔSOCreg _ eff
이와 같이, 연산된 유효방전량으로부터 차량의 동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즉, 상기 파라미터 p는 하기의 수학식 23과 같이 앞서 연산한 유효 방전량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2
과 사용가능한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 Ebat에 대한 함수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23]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3
이때, 상기 p는 파라미터이고, ΔSOCdrv _ eff 는 유효방전량이며, Ebat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탑재되어있는 배터리의 가용용량이다. 상기 가용용량이란, 배터리의 전체용량이 5kWh라고 하는 경우, 상기 전체용량 중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용량 에너지는 약 50 내지 70 % 정도이다. 즉, 초기 충전상태 SOC, SOCi가 0.9 또는 0.8인 경우는 배터리를 100%로 충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90% 또는 80% 까지만 배터리를 충전시킨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최종 충전상태가 SOC, SOCf가 0.3 또는 0.2인 경우에는 배터리의 에너지를 0%가 될 때까지 방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의 잔여 에너지가 30% 또는 20% 가 되면, 더 이상 방전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단축과, 출력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파라미터는 배터리의 사용가능 용량에 대한 함수로서 상기 수학식 8을 하기의 수학식 2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4]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4
이때, 상기 a(Ebat) 및 b(Ebat)는 하기의 수학식 25 내지 26을 통해 연산할 수과 같있다.
[수학식 25]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5
[수학식 26]
Figure 112012052420707-pat00066
이때, 상기 수학식 25 내지 26에 적용되는 상수 Cai 및 Cbi의 값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Ca1 Ca2 Ca3 Ca4 Ca5
45.944 -907.16 8778.6 -131289 225126
Cb1 Cb2 Cb3 Cb4 Cb5
-0.0191 0.2721 -1.9148 -138.94 0.7025
결과적으로 상기 수학식 24와 같이 파라미터를 유효방전량과 배터리 용량으로서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맵 형태가 아닌 예측 상태와 배터리의 현재 상태인 2변수 함수로 계산됨에 따라, 실제 적용 시에는 컴퓨터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파라미터에 관한 수학식은 배터리의 용량을 다양하게 고려하는 경우에, 약 -250 내지 -1300까지의 파라미터 결과를 약 0.02% 내지 5% 미만의 에러율로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수학식 24에 대한 예로서, 도 14를 참조하여 배터리 용량 변화에 따른 주행거리별 유효방전량의 변화율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는 배터리 용량에 따른 주행거리별 유효방전량의 변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는 배터리 용량이 1.4kWh일 때, 주행거리별 유효 방전량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도 14(b)는 배터리 용량이 3.4kWh일 때, 주행거리별 유효 방전량의 변화율을 나타내며, 도 14(c)는 배터리 용량이 5.2kWh일 때, 주행거리별 유효 방전량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4(a)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용량이 도면 14(b), (c)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y축의 정규화된 배터리 상태 (State of Charge­SOC)에 대한 유효SOC 사용 범위는 반복되는 주행사이클의 횟수에 따라 0 부터 약 -2 까지 감소할 수 있고, 주행 완료 후 유효한 회생제동으로 인해 0.5 부근에서 배터리 에너지가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 14(b)의 경우에는 동일한 주행사이클에 대해 배터리의 용량을 3.4kWh급으로 적용했을 경우에 반복 주행 횟수에 따른 배터리 에너지의 최종 상태량을 나타낸다. 즉, 배터리의 용량이 1회 주행을 위해 필요한 구동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1300초 부근에서 종료되는 SOC 유효 선도는 -0.4에서 끝나게 되는데, 이는 엔진의 동력을 보조로 사용하지 않고도 순수하게 배터리의 전기동력만을 사용하여 차량을 운행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주행 사이클을 2회부터 5회까지 반복하고 SOC의 최종 상태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최종 SOC가 -0.5부근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4(c)의 경우에도 배터리의 용량이 5.2kWh이기 때문에 2회 반복 주행에 대한 구동에너지를 배터리에서 모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순수 전기자동차로만 주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3회부터 5회까지의 주행에 대해서는 최종 SOC가 -0.5부근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용량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사용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유효 방전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현재 배터리 에너지의 잔량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이용해 최종 운행 종료 시점에 대한 정확한 유효방전량을 정량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동력제어부(180)가 앞서 연산한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모터 및 엔진에 대한 동력분배를 수행한다(S240).
또한, 이러한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통해 최종 목적지를 입력받아, 주행구간을 확인한 후, 교통상황, 도로상황 및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미리 예측함에 따라, 엔진과 모터를 동력원으로 갖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을 용이하게 제어함에 따라, 차량의 연비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20: 주행정보획득부 140: 동력연산부
160: 파라미터연산부 180: 동력제어부

Claims (17)

  1.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동력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동력을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정보로부터 차량의 제동량을 연산하는 과정;
    연산된 제동량에 대하여 벡터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모터에 대한 유효방전량을 연산하는 과정; 및
    연산된 유효 방전량으로부터 차량의 동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구간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주행구간 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여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를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에 기초하여 주행구간에 따른 주행속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은
    상기 주행구간 내 획득한 교통정보에 따른 차량의 정차상태 또는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주행구간 내 상기 차량의 초기 출발속도 및 종단 속도를 획득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과정은
    상기 주행구간의 평균속도와 순항속도 및 단위시간당 교통량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대한 가중치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형성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PS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 가속도, 감속도, 도로의 지면 경사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주행구간 내 존재하는 신호등의 개수, 신호등간 거리, 신호주기, 구간별 제한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구간에 대한 속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주행정보획득부;
    획득한 상기 속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시 요구되는 동력값을 연산하는 동력연산부;
    상기 동력값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모터 또는 엔진의 동력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파라미터연산부; 및
    상기 파라미터를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이론에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파라미터연산부는
    상기 주행정보로부터 차량의 제동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제동량에 대하여 벡터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의 모터에 대한 유효방전량을 연산하며, 연산된 유효 방전량으로부터 차량의 동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획득부는
    상기 차량이 도착하고자 하는 목적지정보를 입력받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획득모듈;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목적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구간을 결정하는 주행구간결정모듈;
    상기 주행구간 내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교통정보획득모듈; 및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주행구간 내 차량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주행속도예측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속도예측모듈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기법에 기초하여 주행구간에 따른 주행속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속도예측모듈은
    상기 주행구간 내 획득한 교통정보에 따른 차량의 정차상태 또는 주행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주행구간 내 상기 차량의 초기 출발속도 및 종단 구간속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속도예측모듈은
    상기 주행구간의 평균속도와 순항속도 및 단위시간당 교통량에 따라 차량의 가속도 또는 감속도에 대한 가중치 및 차량의 주행시간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PS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 가속도, 감속도, 도로의 지면 경사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주행구간 내 존재하는 신호등의 개수, 신호등간 거리, 신호주기, 구간별 제한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시스템.
  17. 삭제
KR1020120071352A 2012-06-29 2012-06-29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0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352A KR101407401B1 (ko) 2012-06-29 2012-06-29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352A KR101407401B1 (ko) 2012-06-29 2012-06-29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90A KR20140003890A (ko) 2014-01-10
KR101407401B1 true KR101407401B1 (ko) 2014-06-17

Family

ID=5014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352A KR101407401B1 (ko) 2012-06-29 2012-06-29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260A1 (en) 2022-01-26 2023-08-03 Polestar Performance Ab Route optimized thermal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8451A1 (en) * 2014-03-24 2015-10-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diction of battery power requirements for electric vehicles
KR101734267B1 (ko) * 2015-08-04 2017-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36363B1 (ko) * 2016-11-22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1846B1 (ko) * 2017-11-02 2022-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9628B1 (ko) * 2017-12-05 2022-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KR102333965B1 (ko) * 2020-04-16 2021-12-06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운전 보조 시스템 및 운전 보조 방법
CN111968377B (zh) * 2020-08-31 2022-07-15 姜忠太 面向节油和驾驶舒适的基于车辆网的车辆轨迹优化方法
KR20230167990A (ko) 2022-06-03 2023-12-12 한미선 방수 기능이 개선된 테이크 아웃용 컵홀더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4576A (ja) * 2007-07-05 2009-01-22 Aisin Aw Co Ltd 車速推定装置、車速推定方法および車速推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4576A (ja) * 2007-07-05 2009-01-22 Aisin Aw Co Ltd 車速推定装置、車速推定方法および車速推定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변상민 외 3인. 미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최적화 전략. 2009년 KSAE 학술대회 및 전시회. 2009년 11월, pp. 2866-2869. *
변상민 외 3인. 미래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최적화 전략. 2009년 KSAE 학술대회 및 전시회. 2009년 11월, pp. 2866-2869.*
오창은 외 5인. GPS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최적 제어 전략. 2009 KSAE 부분종합 학술대회. 2009년 4월, pp. 1448-1453. *
오창은 외 5인. GPS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최적 제어 전략. 2009 KSAE 부분종합 학술대회. 2009년 4월, pp. 1448-1453.*
정종렬 외 4인. 병렬형 하이브리드 버스의 동력원 최적 제어 전략 개발.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분종합 학술대회. 2011년 05월, pp. 2171-2174. *
정종렬 외 4인. 병렬형 하이브리드 버스의 동력원 최적 제어 전략 개발.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분종합 학술대회. 2011년 05월, pp. 2171-217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260A1 (en) 2022-01-26 2023-08-03 Polestar Performance Ab Route optimized thermal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90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01B1 (ko) 주행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7571860B (zh) 用于运行电驱动的或能电驱动的车辆的方法及车辆
US10464547B2 (en) Vehicle with model-based route energy prediction, correction, and optimization
Ambuhl et al. Predictive reference signal generator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US97140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brid vehicle
Gong et al. Trip-based optimal power management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N105383496B (zh) 用于车辆的基于路线的剩余能量可行驶距离计算
Millo et al. Real CO2 emissions benefits and end user’s operating costs of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Tulpule et al. Effects of different PHEV control strategies on vehicle performance
Chau et al. Drive mode optimization and path planning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N106573624B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机动车和计算机程序
CN111193080B (zh) 电池管理器、车辆、电动汽车电池包加热控制方法和装置
JP2018509880A (ja) 自動車の中の電池のエネルギー状態の値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He et al. Forward power-train energy management modeling for assessing benefits of integrating predictive traffic data into plug-in-hybrid electric vehicles
CN113071474B (zh) 一种车辆的能量管理方法、系统及车辆
JP2011504086A (ja) 運転条件に応じて自動車の動作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09745B1 (ko) 공조장치 소비전력 산출방법
JP7035059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燃料および電力消費を管理する管理設定値を演算する演算方法
KR102491571B1 (ko) 전기자동차의 주행 모드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 예측 장치 및 방법
JP2020505263A (ja) ハイブリッド車のエネルギー消費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
Zendegan et al. Predictive battery state of charge reference generation using basic route information for optimal energy management of heavy-duty fuel cell vehicles
CN109204300A (zh) 混合动力车辆及其行驶模式控制方法
Souffran et al. Simulation of real-world vehicle missions using a stochastic Markov model for optimal design purposes
CN112937308B (zh) 行驶控制装置、行驶控制方法、非临时性存储介质及车辆
KR101393683B1 (ko) 차량의 주행속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