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128B1 -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128B1
KR101407128B1 KR1020120035039A KR20120035039A KR101407128B1 KR 101407128 B1 KR101407128 B1 KR 101407128B1 KR 1020120035039 A KR1020120035039 A KR 1020120035039A KR 20120035039 A KR20120035039 A KR 20120035039A KR 101407128 B1 KR101407128 B1 KR 10140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server
call processing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562A (ko
Inventor
명노성
박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3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1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은,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WITH DIFFERENT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다양한 통신망이 공존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도 이러한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폰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물론이고 무선 LAN망을 통한 통신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4G(4세대) 이동통신과 3G(3세대) 이동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예를 들어 4G LTE(LONG TERM EVOLUTION)망을 통해 통신하던 중에 근처의 WLAN(Wireless LAN : 무선 랜 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이종망 간을 빈번하게 오가며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상황(예를 들어 핸드오버 상황)에서는 가입자 인증이나 위치 등록과 같은 과정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망의 일 예로써 LTE망과 Non-3GPP망의 일 예로써 eHRPD(enhanced High-Rate Packet Data)망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TE 망에는 호 처리를 수행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각 단말의 데이터 통신 접속 연결을 관리하는 S/PGW(PDN Gateway), 이종망 즉, eHRPD망 또는 WLAN망 과 연결되고 해당 이종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HSS와 통신하여 이종망 이용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3GPP-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가 포함되어 있고, eHRPD망에는 패킷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HSGW(eHRPD Serving Gateway), 기지국과 HSGW 간 데이터 중계를 수행하는 ePCF(evolved Packet Control Function Gateway)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PGW와 HSS는 eHRPD 망을 통한 통신에서도 이용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LTE 망에 속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설명의 편의상 LTE 망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LTE망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S/PGW를 통해 외부의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 인증과 위치 등록은 MME에서 HSS에 요청하여 이루어진다.
eHRPD망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ePCF, HSGW를 경유하고 LTE망에 구비된 S/PGW를 통해 외부의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 인증과 위치 등록은 3GPP-AAA에서 HSS에 요청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LTE망 영역과 eHRPD망 영역을 빈번히 오가는 경우 즉, 핸드오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그때마다 MME와 3GPP-AAA는 HSS에 PGW 정보를 포함한 가입자 정보를 요청함은 물론이고 가입자 인증과 위치 등록을 매번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빈번한 핸드오버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MME와 3GPP-AAA가 HSS와 통신하는 빈도수는 그만큼 증가하고, 이는 결국 HSS의 부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전체 통신망 트래픽을 과도하게 발생시키는 문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종망간 핸드오버 상황에서도 트래픽의 과도한 발생을 방지하고 HSS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은,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고,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은,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며,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호 처리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호 처리 서버가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호 처리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 처리 서버 및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간에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이종망간 연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필요한 PGW 정보)가 동기화됨으로써, 이종망 사이에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각 장치로부터 관리 서버(예를 들어 HSS)로 전송하는 통신 트래픽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관리 서버의 부하 증가분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로부터 인증이나 핸드오버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으므로 핸드오버 처리 속도 역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도 3을 이용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호 처리 서버(110),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 관리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제1 통신망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망이고, 제2 통신망은 Non-3GPP망인 것을 일 예로 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망은 LTE(LONG TERM EVOLUTION)망이고, 제2 통신망은 eHRPD(enhanced High-Rate Packet Data)망 또는 WLAN(Wireless LAN) 망인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는 각 단말(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접속 연결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통신망에 속한 단말기가 호 처리 서버(110)를 경유하여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제2 통신망에 속한 단말기가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를 경유하여 연결성 있게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는 PGW(PDN(Packet Data Network) Gateway)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제1 통신망에 있던, 제2 통신망에 있던 결국 데이터 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를 거쳐야 하므로, 호 처리 서버(110)와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호 처리 서버(110)는 제1 통신망의 각 단말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호 처리 서버(110)는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130)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는 해당 고객의 특정 APN(Access Point Name)에 각각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1 통신망에 대한 연결 해지와 같은 상태 변경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객'은 특정 고객 또는 해당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망에 있어서는 고객을 인증하는 과정과 해당 고객이 이용하는 단말을 인증하는 과정이 모두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고객'또는 '가입자'라는 표현에는 이러한 의미가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즉, 호 처리 서버(110)는 특정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상태의 변경 포함)을 감지하거나 또는 특정 단말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상태의 변경 포함)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객' 또는 '가입자'라는 표현 대신에 '단말'이라는 한정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기로 한다. 즉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말'이라는 용어의 적어도 일부는 '고객' 또는 '가입자'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단말이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APN은 해당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디로써 'mobileinternet.lguplus.co.kr'가 같은 정보로 나타낼 수 있고,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는 FQDN(Full Qualified Domain Name) 표시방식으로써 'mobilepgw1.lguplus.co.kr'와 같은 정보로 나타내거나 IP Address와 같은 정보로 나타낼 수 있는 것들이다.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는 단말이 이용하는 APN마다 서로 다를 수도 있으므로, 단말의 특정 APN에 대한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호 처리 서버(110)는 단말의 해당 APN에 대한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 갱신 요청을 관리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관리 서버(130)에는 각 단말의 APN과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가 매칭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호 처리 서버(110)는 또한, 특정 단말에서의 모든 APN(Access Point Name)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관리 서버(130)에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이용자가 단말 전원을 끄는 경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호 처리 서버(110) 및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단말에 대한 호 처리 서버(110)의 주소,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의 주소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관리 서버(130)는 상술한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 가입자 정보관리 등을 처리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해당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호 처리 서버(110)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의 특정 APN과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가 'mobileinternet.lguplus.co.kr:mobilepgw1.lguplus.co.kr'와 같이 서로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가 mobilepgw2.lguplus.co.kr로 바뀐 경우 관리 서버(130)는 해당 단말의 상술한 매칭 정보를'mobileinternet.lguplus.co.kr:mobilepgw2.lguplus.co.kr'와 같은 정보로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데이터 갱신을 처리한 후에 관리 서버(130)는 그 갱신된 내용이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도 미리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즉, 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호 처리 서버(110)로부터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단말의 각 APN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모두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즉, 관리 서버(1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말에 대한 'APN:통신 관문 서버 주소' 매칭 정보가 각 APN 별로 저장될 수 있는데, 단말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호 처리 서버(110)로부터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각 APN별로 저장되어 있던 모든 'APN:통신 관문 서버 주소' 매칭 정보를 삭제함은 물론이고, 정보의 동기화를 위해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130)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eHRPD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이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관리 서버(130)와의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예를 들어 3GPP-AAA(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에 해당할 수 있다.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단말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단말로부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그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 연결 요청이 있는 시점에 항상 관리 서버(130)에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갱신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단말의 데이터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빈번한 핸드오버 상황에서 더 큰 효과를 달성한다. 즉, 핸드 오버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가 가입자 정보 및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를 매번 관리 서버(130)에 요청하게 되면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함과 아울러 관리 서버(130)의 부하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는데, 이처럼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기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 및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를 활용함으로써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로부터 관리 서버(130)로 향하는 요청 신호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이는 결국 트래픽과 부하 관점에서 큰 이득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단말에 대응하는 연결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이 상태에서 해당 단말로부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연결 세션을 생성하는 처리한다.
이는 예를 들어 제1통신망에 있는 단말의 전원이 꺼지는 상황이므로 제2통신망과 연계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서도 해당 단말과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 및 모든 연결 세션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한편, 단말로부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고,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관리 서버(130)에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그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전송한다.
다른 경우로써 단말로부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고,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른 횟수에 한하여서는(예를 들어 복수개의 가입자 인증 정보 개수를 다 소진 전까지는) 관리 서버(130)에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그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그대로 활용한다. 즉,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기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가입자 인증 정보는 전원을 켰을 때나 또는 핸드오버 상황에서 해당 단말이 위치한 곳에서 그 단말이 통신망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정보로서, 이렇게 획득한 가입자 인증 정보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즉, 각 단말측의 입장에서 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나 그 정보 내용은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특징 중 하나는 단말이 획득하는 인증 정보가 매번 관리 서버(130)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는 제1 통신망에서 통신하던 단말이 제2 통신망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1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 주소 등의 변경이나 삭제가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반영되어야 하고, 이렇게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반영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2 통신망을 통한 단말에 대한 통신 연결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는 반대의 상황 즉, 제2 통신망에서 통신하던 단말이 제1 통신망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호 처리 서버(110)와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의 기능은 서로 앞선 실시예와 반대가 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각 단말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단말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130)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는 해당 단말의 특정 APN(Access Point Name)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140)의 주소에 해당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는 특정 단말에서의 모든 APN(Access Point Name)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관리 서버(130)에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관리 서버(130)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호 처리 서버(110)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110)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110)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의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단말의 각 APN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모두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단말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110)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110)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호 처리 서버(11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단말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단말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그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호 처리 서버(11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단말에 대응하는 연결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해당 단말로부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연결 세션을 생성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호 처리 서버(110)는 특정 단말로부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 서버(130)에 요청하여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전송한다. 반면에 판단결과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 처리 서버(11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른 횟수에 한하여(복수개의 가입자 인증 정보 개수를 다 소진 전까지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3에는 제1통신망이 LTE이고, 제2 통신망이 eHRPD인 경우 구체적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체화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동 도면에서 MME는 호 처리 서버(110)에 해당하고, 3GPP-AAA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120)에 해당하며, PCRF(Policy Charging and Rule Function)는 가입자별로 Policy(QoS)와 과금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고, HSGW(eHRPD Serving Gateway)는 집약적 패킷 데이터 처리국을 의미하며, ePCF(eVolved Packet Control Function Gateway)는 eHRPD망 기지국(HRPD BTS)과 HSGW 간의 데이터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동 도면에서는 HSGW와 3GPP-AAA가 바로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eHRPD망에 구비되는 일종의 프록시 서버인 Non3GPP-AAA가 HSGW와 3GPP-AAA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도 3의 통신 장치들 간의 통신 흐름을 구체적인 사례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는 LTE 망에서 PGW 정보의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LTE 단말은 현재 LTE망을 통해 LTE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단계 S1).
MME는 LTE 단말의 특정 APN에 PGW 정보의 변경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TE 단말의 특정 APN에 대한 Detach(분리) 발생으로 인한 PGW 삭제, 또는 특정 APN에 대한 PGW 연결로 인한 PGW 정보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단계 S3) MME는 NOR(Notify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특정 APN에 대해 변경된 PGW 정보의 업데이트를 HSS에 요청한다(단계 S5).
HSS는 가입자의 특정 APN에 대하여 변경된 PGW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단계 S7), MME에 NOA(Notify Answer)로써 성공 응답한다(단계 S9).
또한, HSS는 가입자에 대해서 등록된 3GPP-AAA 주소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 여기서 HSS 내 3GPP-AAA 주소 정보는 eHPRD 망을 통해 해당 가입자가 통신을 한 적이 있었던 경우에는 eHPRD망으로부터 Deregistration(등록 취소) 요청이 있기까지는 계속 저장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HSS는 등록된 3GPP-AAA 주소가 존재한다면(단계 S11) 일종의 요청 메시지인 PPR(Push-Profile-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가입자의 특정 APN에 대해서 변경된 PGW 주소로의 업데이트를 해당하는 3GPP-AAA에 요청한다(단계 S13).
3GPP-AAA는 해당 가입자 존재 시, 요청 받은 APN에 대해서 변경된 PGW 정보로의 업데이트를 처리하고(단계 S15), HSS로 일종의 응답 메시지인 PPA(Push-Profile-Answer)를 이용하여 성공 응답한다(단계 S17).
즉, HSS는 단계 S11 ~ 단계 S17의 과정을 통해, LTE망에서 발생한 가입자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PGW 정보)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eHRPD 망에서 업데이트되도록 처리한다. 이는 곧, LTE망과 eHRPD망간 가입자 정보가 실시간으로 동기화(Synchronization) 됨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GW 정보 변경에 대한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했지만, QoS, 과금정보, 신규 APN 추가/삭제, 접속무선망 제한정보등과 같은 가입자 정보 변경에 대해서도 HSS를 통한 MME와 3GPP-AAA간 동기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LTE망과 eHRPD망간에 특정 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LTE 망과 WLAN 망(Wireless LAN : 무선 랜 망) 간에도 이러한 특정 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망과 Non-3GPP망 간에 이러한 특정 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이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LTE 망에서 가입자의 모든 APN의 이용이 종료되는 즉, 모든 APN PDN(Packet Data Network)의 DETACH(분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LTE 단말은 현재 LTE망을 통해 LTE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단계 S21).
MME는 LTE 단말을 이용하는 특정 가입자의 모든 APN에 대한 PDN DETACH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러한 상황은 해당 LTE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단계 S23) MME는 NOR(Notify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PDN DETACH 상황을 알리는데, 일 예로 MME는 NOR(Notify Request) 메시지에 NOR-Flag(5th bit is set)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NOR-Flag의 5th bit 셋팅 의미는 "Delete all APN and PDN GW identity pairs(모든 APN과 PGW 쌍 정보의 삭제)" 이다.
HSS는 MME에 NOA(Notify Answer)를 이용하여 성공 응답하면서(단계 S27), 해당 가입자의 APN 중 동적으로 저장된 모든 APN에 대해서 해당 APN과 쌍으로 관리되고 있는 PGW 주소를 삭제한다.(여기서 '동적'인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상술한 MME의 요청에 의해서는 삭제되지 않는 기본적인 APN 정보를 HSS가 별도로 관리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단계 S29)
이때 단계 S27과 단계 S29는 서로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또한, HSS는 가입자에 대해서 등록된 3GPP-AAA 주소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데(단계 S31) 확인결과 등록된 3GPP-AAA 주소가 존재한다면, 해당 3GPP-AAA로 일종의 요청 메시지인 RTR(Registration-Termination-Request)메시지를 이용하여, 3GPP AAA 내에서 해당 가입자의 삭제를 요청한다(단계 S33).
3GPP-AAA는 해당 가입자 정보를 삭제하는데(단계 S35), 여기서 삭제되는 가입자 정보는 일종의 연결 세션 정보라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입자 인증이나 위치 등록 과정에서 HSS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인증 정보 등이 해당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가입자의 모든 APN에 대응되는 PGW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3GPP-AAA는 HSS로 응답 신호의 예로써 RTA(Registration-Termination-Answer)를 응답함(단계 S37)과 아울러 HSGW로부터 기존에 수신하여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 Session 정보가 있는 경우 HSGW로 가입자 Session 삭제를 위한 신호에 해당하는 ASR (Abort Session Request)를 전송한다(단계 S39).
HSGW는 가입자의 Session을 전부 삭제하고, 응답 신호로써 ASA(Abort Session Answer)를 3GPP-AAA에 전송한다(단계 S41).
이처럼 HSS는 단계 S31 ~ 단계 S41의 과정을 통하여 LTE망에서 가입자의 모든 PDN Detach 동작 발생 시, eHRPD에 대해서도 강제로 가입자 삭제 요청을 하여, 단말과 망의 비정상 동작으로 발생할 수 있는 LTE 망과 eHRPD망간의 가입자 상태(Reg/ Dereg) 불일치를 미연에 방지한다.
도 6은 도 4와는 반대의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eHRPD망에서의 PGW정보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LTE 단말은 현재 HSGW을 통해 eHPRD망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단계 S45).
이 상태에서 LTE 단말에 대한 특정 APN에 대한 Detach 발생으로 인한 PGW 삭제, 또는 특정 APN에 대한 PGW 연결로 인한 PGW 정보 변경이 발생하는데, 3GPP-AAA는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47)에는 예를 들어 SAR(Server-Assignment-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특정 APN에 대한 변경된 PGW 정보의 업데이트를 HSS에 요청한다(단계 S49).
HSS는 가입자의 특정 APN에 대한 변경된 PGW 정보를 업데이트 한 후(단계 S51), 응답으로써 SAA(Server-Assignment-Answer) 신호를 3GPP-AAA에 전송함(단계 S53)과 아울러 해당 가입자에 대해서 등록된 MME주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HSS 내 MME 주소 정보는 가장 최근에 LTE망으로 접속 시 사용한 MME 주소를 의미한다.)(단계 S55)
확인 결과 등록된 MME 주소가 존재한다면, HSS는 해당 주소로 일종의 가입자정보 변경 요청 신호인 IDR(Insert-Subscription Data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단계 S57), 해당 가입자의 특정 APN에 대해서 변경된 PGW 주소로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MME는 해당 가입자 존재 시 HSS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APN에 대해서 변경된 PGW 정보로 업데이트하고(단계 S59), HSS로 일종의 응답 신호인 IDA(Insert-Subscription Data Answer)를 전송한다(단계 S61).
HSS는 상술한 단계 S55 ~ 단계 S61 과정을 통해, eHRP망에서 발생한 일종의 가입자 정보 변경 사항이 실시간으로 LTE망에 업데이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LTE망과 eHRPD망간 가입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Synchronization) 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GW 정보 변경에 대한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QoS, 과금정보, 신규 APN 추가/ 삭제, 접속무선망 제한정보등과 같은 가입자 정보변경에 대해서도 HSS를 통한 MME와 3GPP-AAA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5와는 반대의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eHRPD망에서 가입자의 위치 등록 취소(Deregistration)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LTE 단말이 eHRPD망에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단계 S71), 3GPP-AAA는 LTE 단말의 Power Down, 혹은 특정 이벤트로 인한 가입자의 모든 APN에 대한 PDN Detach가 발생하는 상황을 감지한 경우(단계 S73), HSS로 일종의 요청신호로써 SAR(Server-Assignment Request)메시지의 Server-Assignment-Type AVP에 Deregistration을 표시하여 전송한다(단계 S75).
HSS는 3GPP-AAA로 응답신호로써 SAA(Server-Assignment-Answer) 신호를 전송하면서(단계 S77), 가입자의 APN 중, Dynamic하게(동적으로) 저장된 APN에 대해서 해당 APN과 쌍(pair)으로 관리하고 있는 PGW 주소를 모두 삭제한다(단계 S79).
또한 HSS는 해당 가입자에 대하여 기 등록된 MME주소가 존재한다면(단계 S81), 해당 주소로 일종의 위치등록 해제 요청 신호인 CLR(Cancel-Location-Request)메시지를 이용하여, MME내의 해당 가입자 삭제를 요청한다(단계 S83).
MME는 해당 가입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인증정보, 모든 PGW 정보)를 삭제하고(단계 S85), 응답신호로써 CLA(Cancel-Location-Answer)신호를 HSS에 전송한다(단계 S87).
이처럼 HSS는 단계 S81 ~ 단계 S87의 과정을 통하여, eHRPD망에서 가입자의 Deregistration(등록 취소) 동작 발생 시, LTE망에 대해서도 강제로 가입자 삭제 요청을 하여, 단말과 망의 비정상 동작으로 인한 LTE 망과 eHRPD망간의 가입자 상태(Reg/ Dereg) 불일치를 미연에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LTE망과 eHRPD 망 사이에서 실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단말이 LTE망에서 eHRPD망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LTE단말은 LTE망에 접속한 상태에서(단계 S91) 이동함에 따라 eHRPD망으로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한 경우(단계 S93) eAN/ePCF에 요청하여 세션(Session)을 성립한다(단계 S95). 이때 HSGW와 ePCF간에는 A11-Reqeuest/Response 신호가 송수신되고(단계 S97), HSGW내 가입자 정보 (Partial Context)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단말과 HSGW는 PPP LCP Negotiation부터 시작하여, EAP-AKA' 인증을 위한 Identity 요청 및 가입자 NAI를 획득한다(단계 S99).
HSGW는 DER(Diameter-EAP-Request) 메시지 내 가입자 NAI를 포함하여, 3GPP-AAA로 EAP-AKA' 인증을 요청한다(단계 S101).
상술한 과정까지의 핸드오버 상황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흐름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한다.
3GPP-AAA는 가입자 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데,(단계 S103) 여기서 가입자 정보 존재 여부는 예를 들어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3GPP-AAA는 해당 가입자에 대해 기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일반 호 처리 과정(Call Flow)처럼, HSS로 MAR(Multimedia-Authentication-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EAP-AKA' 인증을 위한 인증벡터 (Authentication Vectors)를 요청한다(단계 S105). 이러한 요청에 따라 HSS는 3GPP-AAA로 MAA (Multimedia-Authentication-Answer) 응답하면서 복수 개의 인증벡터를 전달한다(단계 S107).
판단결과 해당 하는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특히 해당하는 가입자의 인증 정보가 유효한 경우(단계 S103) 3GPP-AAA는 HSS로 인증요청을 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가입자의 인증벡터를 활용하는데, 구체적으로 인증 벡터를 이용한 인증 정보를 DEA(Diameter-EAP-Answer) 메시지의 EAP-REQ/AKA'-Challenge 형태로 HSGW에 전송한다(단계 S109). 이때 저장된 인증벡터가 복수 개 존재할 때 순서대로 활용하게 되고 그 복수 개의 인증벡터를 모두 활용한 이후에는 3GPP-AAA는 다시 HSS에 인증요청을 할 수도 있다.
HSGW는 단말로 EAP-REQ/AKA'-Challenge에 인증 정보(AT_RAND, AT_AUTN, AT_MAC 등)를 포함시켜 전달하고(단계 S111), 해당 단말은 AT_AUTN으로 인증벡터의 유효성을 검사한 후 EAP-RSP/AKA'-Challenge에 인증 결과값(AT_RES, AT_MAC)을 포함시켜 응답한다(단계 S113).
한편, HSGW는 3GPP-AAA로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AT_RES와 AT_MAC 값을 전달하는데(단계 S115), 3GPP-AAA는 AT_RES 값과 가지고 있는 가입자의 인증 정보 내 XRES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인증 성공 처리한다(단계 S117).
한편, 3GPP-AAA는 위치 등록을 위한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단계 S119), 확인 결과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HSS로 SAR(Server-Assignment-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등록 요청한다(단계 S121). 이에 HSS는 3GPP-AAA로 SAA(Server-Assignment-Answer) 메시지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APN 정보와 PGW 정보를 전달한다(단계 S123).
확인결과 3GPP-AAA내에 유효한 가입자 정보가 존재한다면(단계 S119), 3GPP-AAA는 HSS로 가입자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가지고 있던 가입자 정보를 그대로 활용하는데, 구체적으로 DEA(Diameter-EAP-Answer) 내에 APN 정보와 PGW 정보를 넣어서 HSGW로 전달한다(단계 S125).
이에 HSGW는 단말로 EAP-AKA' 인증 성공을 통보하는데(단계 S127), 해당 단말은 VSNCP Configure-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PDN-Connection 연결을 요청하고(단계 S129), HSGW는 PGW로 PMIP Binding Update 신호를 전달하는데(단계 S131) 이때 Attach Type에 handover Indication을 포함시킬 수 있다. 즉, 해당 단말에 대해서 LTE망에서 eHRPD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것이다.
PGW는 CCR (Credit-Control-Request)/ CCA (Credit-Control-Answer) 메시지를 이용하여 PCRF과 연동하여 Dynamic PCC를 적용시키고(단계 S133), 또한 일종의 응답신호인 PMIP Binding Ack 신호를 HSGW에 전송하는데(단계 S135), 이는 해당 단말에 대해 eHRPD 망으로의 핸드오버에 성공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HSGW는 VSNCP Configure Ack 신호에 PGW로부터 APN 별 할당받은 단말 IP Address를 포함시켜 단말에 전달하고(단계 S137), PGW는 MME로 핸드오버에 따른 Delete Bearer Request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때 Cause(RAT Changed from 3GPP to Non3GPP) 메시지가 해당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단계 S139).
이에 따라 단말은 LTE망에서 eHRPD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고, eHRPD 망 접속을 유지한다(단계 S141).
상술한 설명은 실제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직접 언급하면서 설명한 것인데, 주요 특징은 LTE망에서의 eHRPD망으로 핸드오버 발생 시, 3GPP-AAA내 가입자가 존재하고 가입자 정보가 유효하면 3GPP-AAA 내 가입자 정보를 그대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즉, 3GPP-AAA는 기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eHRPD 인증 및 위치등록을 자체 처리하는 것이다. 이 경우 3GPP-AAA는 HSS로 인증 및 위치등록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게 되어 따라서 트래픽의 발생을 줄이고 더 나아가 HSS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제 조건이 앞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망과 eHRPD 망간 가입자 정보 및 상태 (REG/ Dereg)의 동기화 (Synchronization) 이다.
LTE망과 eHRPD망간 가입자 정보 및 상태 (REG/ Dereg)의 동기화 메시지 사이즈가 실제 핸드오버 시 마다 발생하는 인증/ 위치등록 메시지 사이즈보다는 훨씬 작고, 메시지 개수도 훨씬 작으므로 전체 망 부하 감소의 효과가 크다.
즉, 3GPP-AAA는 언제나 HSS로부터 최신의 가입자 정보를 업데이트 받기 때문에, 핸드오버 시, 가입자 정보를 다시 요청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단말이 eHRPD망에서 LTE망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즉, 단말은 현재 HSGW를 통하여 eHRPD망에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151) 이동에 따라 LTE망으로 핸드오버 하기로 결정한 상태이다(단계 S153).
단말은 일종의 연결 요청 신호로써 Attach Request(Request Type : handover Attach or Initial Attach) 및 PDN Connectivity Request를 MME에 요청한다(단계 S155).
만약 MME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즉, (1) 가입자가 존재하고, (2) 해당 단말이 MME 자신이 할당한 동일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와 동일한 KSI(Key Set Identifier)로 Attach Request를 요청하거나, 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 가입자 식별번호)로 요청하고 (3) 요청한 KSI가 유효한 상태인 경우(단계 S157), HSS로 인증을 요청하지 않고 단계 S167로 바로 이동한다.
MME 내에 다음의 세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 즉, (A) 가입자가 없거나 (B) 단말이 요청한 GUTI와 KSI가 MME 자신이 할당한 동일 GUTI나 동일 KSI가 아니거나 (C) 요청 받은 KSI가 MME 내 유효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값이 7 (No key is available : 모든 키가 유효하지 않다는 의미)인 경우(단계 S153), HSS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한다(단계 S159). 만약 바로 앞의 조건 (B), 또는 (C)에 해당하고 MME 내 다음 (Next) 인증벡터 (Authentication Vector)가 존재하는 경우, MME는 HSS로 인증 요청하지 않고, 그 존재하는 다음 인증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단계 S167).
HSS는 MME로부터 AIR 인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159) AIA(Authentication Information Answer) 메시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인증벡터 (RAND, AUTN, XRES, KASME)를 MME에 전달한다(단계 S161).
MME는 단말로 인증요청 메시지인 Authentication Request[RAND, AUTN]을 전달하고(단계 S163), 단말은 일종의 인증 확인 처리로써 Authentication Request의 AUTN에 대한 유효성 및 SQN의 Freshness를 검사하고, 성공하면 MME로 인증 결과값인 Authentication Response[RES]를 전달한다(단계 S165). 이에 MME는 단말이 올린 RES와 HSS로부터 수신한 XRES 값을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MME는 단계 S157에서 바로 넘어 온 경우에는 기존 LTE망 인증에서 사용했던 인증 벡터를 계속 사용하고, 단계 S159 ~ 단계 S165를 거친 경우 HSS로부터 받은 인증벡터를 사용한다(단계 S167).
MME는 단말인증이 완료되면, Security Mode Command(보안 모드 명령)로 Ciphering(암호화)과 Integrity(무결성) 사용을 단말에 요청하고(단계 S169), 이에 단말은 MME로 Security Mode Complete(보안 모드 완료)로 인증 사용 응답한다(단계 S171).
MME는 HSS(보다 정확히는 EIR(Equipment Identity Register)에 해당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HSS는 EIR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함)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 단말기 국제 고유 식별 번호)를 전달하여 단말 유효성 검사를 요청한다(단계 S173).
HSS는 MME의 IMEI 요청에 대한 White Status/ Black Status/ Gray Status를 응답한다(단계 S175). 즉, 해당 단말이 유효한 것인지 여부(예를 들어 분실신고 된 것인지 여부, 사용이 허락된 정상 단말인지 여부 등)를 응답하는 것이다.
MME는 단말로 ESM Information Request를 요청하고(단계 S177), 이에 단말은 사용하려는 APN 정보를 ESM Information Response에 포함시켜 MME에 전달한다(단계 S179).
한편, MME는 앞선 단계 S157에서 모든 조건을 만족하여 MME 내부 정보를 사용하고 HSS로 인증 요청하지 않았으면(단계 S181), MME가 가지고 있는 가입자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MME가 가지고 있는 가입자 정보를 사용하여 HSS로 별도 위치등록 요청을 하지 않고 바로 단계 S187로 건너뛴다.
만약 MME 내 가입자 정보가 없거나 앞에서 언급한 (A) ~ (C) 조건에 따라 HSS로 인증 요청을 하였으면(단계 S181), 단계 S183으로 이동하여 HSS에 위치등록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183). 즉, MME는 ULR(Update 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HSS에 가입자 위치등록 및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고(단계 S183), 이에 HSS는 MME로 ULA(Update Location Answer) 메시지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APN 및 PGW 정보)를 응답한다(단계 S185).
MME는 가입자 정보를 기반으로 세션 연결을 위한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Create Session Request[handover Indication]를 PGW에 전송하고(단계 S187), PGW는 PCRF와 연동하여 일종의 정책 메시지에 해당하는 Dynamic PCC Rule을 요청하고 응답 받는다(단계 S)189. 여기서 PCRF 는 가입자들이 가지는 복수 개의 데이터 연결('Bearer'라는 의미)에 대해서 동적으로 QoS를 제어하기 위해 PGW에서 각 Bearer별 QoS 정보 및 과금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데, 이러한 QoS정보를 PCC(Policy Charging Control) Rule 이라고 한다.
이어서 PGW는 해당 가입자에게 할당된 IP Address를 MME에 전송한다(단계 S191).
MME는 최종 연결을 위한 Attach Accept 신호를 단말에 전송하고(단계 S193), 단말은 일종의 응답 신호인 Attach Complete 응답 및 Activate Default EPS Bearer Context Accept 응답 신호를 MME에 전송한다(단계 S195).
MME는 핸드오버 완료를 위한 일종의 요청 신호인 Modify Bearer Request에 handover Indication을 포함시켜 PGW에 전송하고(단계 S197), 이에 PGW는 성공적은 핸드오버완료의 의미로 Modify Bearer Response 신호를 MME에 전송한다(단계 S199).
상술한 과정을 거쳐 단말은 정상적으로 LTE망 접속에 성공한다(단계 S201).
이때, PGW는 기존 연결된 eHRPD 망의 세션 해제를 위하여, PMIP Binding Revocation Indication 메시지의 Different Access Type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완료를 HSGW에 전달한다(단계 S203).
이에 따라 HSGW는 PGW로 응답신호인 PMIP Binding Revocation Indication Ack 를 전송하고(단계 S205), 가입자의 Partial Context 정보를 유지하면서 eHRPD 망 세션 해지를 처리한다(단계 S207).
이때 PGW는 HSGW로부터 PMIP Binding Revocation Indication Ack 응답을 받더라도, 3GPP AAA로 STR (SessionTermination Request)를 전달하지 않아야 한다. PGW가 STR을 3GPP-AAA로 전달하면, 3GPP-AAA 내에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의 특정 APN에 대한 PGW 정보가 삭제되어, PGW 주소정보 동기화가 해지될 수 있으며 이후 가입자가 다시 eHRPD망으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 HSS로 가입자 정보를 다시 가져오지 않으면 잘못된 PGW를 선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MME는 단계 S157에 언급한 (1) ~ (3) 조건을 고려하여 HSS로 인증 메시지를 요청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인증 메시지의 요청이 생략되고 유효한 가입자 정보가 MME 내에 존재한다면, 단계 S181의 판단을 통해 HSS로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과정 또한 생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TE 단말이 Non-3GPP망(예를 들어 eHRPD망 또는 WLAN망)에서 LTE망으로 핸드오버 시 매번 HSS로 인증 및 위치등록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나타나는 트래픽 및 HSS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도 8과 도 9에서는 MME나 3GPP-AAA가 HSS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매번 요청 하지 않고 기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는 것에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 있는 것이므로, 나머지 부분에서 각 장치간 송수신되는 신호 그 자체는 기 공지된 기술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LTE망과 eHRPD 망 간에 일종의 가입자 정보가 서로 동기화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LTE망과 WLAN 망 간에서 상술한 과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만 그 세부적인 장치의 종류에 있어서 변동이 있을 뿐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10 : 호 처리 서버 120 :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130 : 관리 서버 140 :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

Claims (16)

  1.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고,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는 해당 고객의 특정 APN(Access Point Name)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의 주소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특정 고객의 모든 APN(Access Point Name)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에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를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고객의 각 APN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모두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연결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연결 세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는 특정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고,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5.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며,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호 처리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는 해당 고객의 특정 APN(Access Point Name)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의 주소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는 특정 고객의 모든 APN(Access Point Name)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에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를 요청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고객의 각 APN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모두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연결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연결 세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특정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고,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9.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호 처리 서버가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는 해당 고객의 특정 APN(Access Point Name)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의 주소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d) 특정 고객의 모든 APN(Access Point Name)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에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e)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고객의 각 APN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모두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연결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연결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g)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특정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2통신망을 경유하여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h)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g)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소정의 제1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서버와; 소정의 제2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이종망 가입자 인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상기 호 처리 서버 및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와 통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처리하며, 각 고객에 대한 상기 호 처리 서버의 주소,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의 주소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각 고객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하여 각 고객과 매칭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의 변경이 감지되면 관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갱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호 처리 서버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하며,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에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c)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정보 갱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갱신 저장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갱신 저장된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는 해당 고객의 특정 APN(Access Point Name)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관문 서버의 주소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d) 특정 고객의 모든 APN(Access Point Name)의 이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이종망 연계 중계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에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e)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모든 통신 연결 정보의 삭제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고객의 각 APN에 대응되는 데이터 통신 연결 정보를 모두 삭제함과 아울러, 해당 고객에 대응되는 호 처리 서버의 주소가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호 처리 서버에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f)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모든 정보 삭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고객에 대응하는 연결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해당 고객으로부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새로운 연결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g) 상기 호 처리 서버가 특정 고객으로부터 상기 제1통신망을 통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호 처리 서버가 상기 (g)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새로운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g)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고객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20035039A 2012-04-04 2012-04-04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0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39A KR101407128B1 (ko) 2012-04-04 2012-04-04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39A KR101407128B1 (ko) 2012-04-04 2012-04-04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62A KR20130112562A (ko) 2013-10-14
KR101407128B1 true KR101407128B1 (ko) 2014-06-13

Family

ID=4963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39A KR101407128B1 (ko) 2012-04-04 2012-04-04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1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971A (ko) * 2007-07-10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망간 핸드오버시 빠른 보안연계 설정방법
KR100922899B1 (ko) 2007-12-06 2009-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의 핸드오버시 액세스망 접속인증 제어방법 및 그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971A (ko) * 2007-07-10 2009-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망간 핸드오버시 빠른 보안연계 설정방법
KR100922899B1 (ko) 2007-12-06 2009-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의 핸드오버시 액세스망 접속인증 제어방법 및 그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62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35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 existing subscription profile from a MNO to a secure element, corresponding servers and secure element
CN105934926B (zh) 使用公共订户信息的无线装置的会话和服务控制的方法和设备
EP2675203B1 (en) Enabling multiple authentication applications
AU2005236981B2 (en) Improved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signaling
US98005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security channel
JP5220010B2 (ja) 移動端末からのマルチメディアセッションの切り換え
US9736157B2 (en) Method and trusted gateway for WiFi terminal accessing to packet data PS service domain
EP3528591A1 (en) Dual-sim card dual-call 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network and system
KR101148036B1 (ko) Lte망과 무선랜망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917332B (zh) 一种实现移动设备附着的方法及装置
CN107787599B (zh) 用于发现移动通信网络的切换能力的方法、系统、用户设备和计算机程序存储介质
CN111988821A (zh) 语音通信方法及其装置
US11722956B2 (en) Securing the choice of the network visited during roaming
CN102917355A (zh) 一种接入方法、系统及移动智能接入点
WO2016065639A1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终端、移动管理实体及系统
EP27935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ssion handling
CN113099455A (zh) 一种lte终端用户手机号码的捕获以及抗捕获方法
ES2702342T3 (es) Un nodo de red local
CN106470397B (zh) WiFi网络中获取终端位置的方法、终端、LTE通信设备及系统
KR101407128B1 (ko) 이종망 연계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858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인증과 비계층 프로토콜 보안 운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8093473A (zh) 一种注册方法及mme
AU2013258406B2 (en) Mobile terminal, network node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30003361A (ko) Apn 변경 장치 및 방법과 apn 변경을 위한 무선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N107018161B (zh) 用于wlan个性化提醒的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