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728B1 -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 Google Patents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728B1
KR101406728B1 KR1020110135641A KR20110135641A KR101406728B1 KR 101406728 B1 KR101406728 B1 KR 101406728B1 KR 1020110135641 A KR1020110135641 A KR 1020110135641A KR 20110135641 A KR20110135641 A KR 20110135641A KR 101406728 B1 KR101406728 B1 KR 10140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ver portion
tread
cov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8128A (en
Inventor
김상환
이승규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728B1/en
Publication of KR2013006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4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having annular inlays or covers, e.g. white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수명이 다하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월과 숄더에 걸쳐 타이어의 측면부를 감싸며, 일단부가 트레드에 매립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를 제시한다. 이로써, 트레드 마모가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 커버부가 타이어에서 일부 또는 전부 분리되는데, 이는 타이어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커버부의 이탈을 바로 알 수 있어 타이어의 적절한 교체 타이밍을 적시에 알려주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which can be easily recognized by a user when the tire wears due to wear of the tire. The tire includes a cover portion which surrounds a side surface of a tire across a sidewall and a shoulder, A tire that informs the replacement time is presented. As a result, when the tread wear progresses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e cover portion is partially or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ire, which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departure of the cover portion.

Description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Tire to tell when to replace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본 발명은 타이어의 마모에 따른 수명이 다하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which can be easily recognized by a user when the lifetime of the tire is shortened due to wear.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노면과 접촉하는 고무층인 트레드(Tread), 상기 트레드와 연결되어 있고 타이어의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월(Side wall), 상기 사이드월과 연결되어 있고 차량의 림(Rim) 고정되는 비드(Bead), 그리고 타이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월의 굴신운동에 대한 내피로성이 강하면서 골격을 형성하는 카카스(Carcass)를 포함한다.Generally, a tire includes a tread which is a rubber layer in contact with a road surface, a side wall connected to the tread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tire, a bead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 carcass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tire and forms a skeleton with a strong fatigue resistance against the bending motion of the side wall.

정상적인 타이어의 수명은 트레드가 마모에 의하여 소모되면서 찾아온다. 트레드의 그루부나 사이프는 트레드의 마모에 의하여 점차 함몰 깊이가 줄어들고, 사용자는 그루부의 깊이를 관찰함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가 완전히 소멸되기 전에 타이어의 교체 시기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The lifetime of a normal tire comes when the tread is consumed by wear. The grooved or siph of the tread is gradually diminished by the wear of the tread, and the user can observe the depth of the groove to recognize the timing of replacing the tire before the tread of the tire completely disappears.

그러나 차량에 장착된 트레드는 타이어를 가리는 펜더(fender)에 의하여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부러 관심을 가지고 트레드의 마모 정도를 확인하지 않는다면 타이어의 적절한 교체 시기를 바로 알기 어렵다. However, the tread attached to the vehicle is not easily observed from outside by the fender covering the tir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know when to replace the tire properly unless the user is intentionally interested in checking the wear of the tread.

이와 관련하여 하기의 특허문헌들과 같이 사용자에 트레드가 마모를 시각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하여 타이어의 반경 방향에 따라 트레드나 숄더에 색상을 달리하는 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사용자의 눈에 바로 띄는 부위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바뀐 트레드의 생상을 인지 못하고 수명이 다한 타이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염려가 있다. In this connection,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tread or a layer having a different color on the shoulder is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in order to visually recognize wear of the tread.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change of the tread since the user does not stand up to the user's eyes,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tire which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may be continuously used.

[특허문헌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21370호 (2010.11.17)[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1370 (Nov. 17, 2010) [특허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62476호 (2010.06.10)[Patent Document 2]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62476 (Jun. 10, 2010)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의 사용에 따라 트레드가 과도하게 마모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intended to allow a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wear of the trea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ire.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사이드월과 숄더에 걸쳐 타이어의 측면부를 감싸며, 일단부가 트레드에 매립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를 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re for indicating a replacement time period,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ver portion which surrounds a side surface portion of a tire across a side wall and a shoulder, and a cover portion in which one end portion is embedded in a tread.

여기서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는 트레드에 미리 설정되는 마모한계깊이로 매립되어 상기 트레드가 마모됨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트레드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tread at a pre-set wear depth so that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tread as the tread wears.

이때, 커버부는 타이어 측면부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거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커버부는 타이어의 측면부에 복수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tire, or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a part thereof. Furthermore, a plurality of the cover portions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on the tire.

추가적인 구성으로, 사용자의 인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가려지는 사이드월에는 상기 커버부가 사이드월과 분리되면 감지되는 인식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user's perception, the side wall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recognition portion that is sensed when the cov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이때, 상기 인식부는 자외선 반응 도료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부의 분리 후에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사이드월에 인쇄된 문구 또는 도형이거나, 상기 사이드월에 부조된 입체 형상 등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cogniz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color after separation of the cover unit including ultraviolet ray paints, a phrase or figure printed on the sidewall, a three-dimens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wall, or the like.

또 다른 추가적인 구성으로, 상기 사이드월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further configuration, at least one groun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wall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 마모가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 커버부가 타이어에서 일부 또는 전부 분리된다. 이는 타이어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커버부의 이탈을 바로 알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타이어의 적절한 교체 타이밍을 적시에 알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커버부는 트레드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전달 경로 상에 위치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특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ead abrasion progresses beyond a certain level, the cover portion is partly or wholly separated from the tire. This is done on the side of the tire,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see the departure of the cover portion,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know timely replacement timing of the tire. Further, the cover portion is located on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tread, so that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더하여 커버부에 가려지는 사이드월에 인식부를 더 구비함에 따라, 커버판의 이탈을 사용자가 더욱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ecognition sec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wall covered by the cover section, the user can more reliably recognize the departure of the cover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re indicating a replacement ti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6 is a front vi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는 트레드의 마모에 의하여 타이어에 잔여하는 트레드가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들면 타이어의 측면부에 사용자에게 쉽게 감지되는 특정 문자나 도형 등을 현출시키는 것이다. The tires informing the replac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use specific characters or figures to be easily sensed by the user on the side portion of the tire when the tread remaining on the tire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due to wear of the tread.

여기서 타이어의 측면부는 타이어의 사이드월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사이드월에 연결되는 숄더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측면부는 차량의 측면에서 항시 노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차량에 주변에서 바로 관찰할 수 있는 부분이다.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트레드를 관찰하기 위하여 불편한 자세를 감수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고를 없애 사용자가 쉽게 타이어의 수명이 다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하였다. Wherein the side portion of the tire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shoulder connected to the side wall by a portion including the side wall of the tire. These side portions of the tire are always expos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and are portions that the user can observe from the surroundings directly on the vehicle.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user must take an uncomfortable posture to observe the trea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troubles are elimina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tire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본 발명에서 타이어에는 측면부를 덮어 가리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커버부는 새 타이어에 구비되어 있으며, 트레드가 일정 수준으로 마모되면 타이어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되는 부재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is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side portion.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new tire and is a member in which part or all of the tread is separated from the tire when the tread is worn to a certain level.

커버부는 타이어의 측면부를 덮고 있으므로, 차량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눈에 쉽게 뜨인다. 커버부의 일부분이 측면부에서 떨어진 경우 또는 커버부 전체가 타이어에서 분리되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타이어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Since the cover portion covers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tire, it easily drifts to the eyes of the user approaching the vehicle. When the part of the cov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or when the entire cov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ti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is, and the timing of replacing the tire can be known.

커버부 자체의 훼손이나 분리뿐만 아니라, 커버부에 가려진 사이드월의 외표면에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도록 인식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부는 마크, 글자, 도형 등이다. 마크나 도형 등은 사이드월에 인쇄하거나 부조로 형성하여 임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사이드월의 제조시 고무 조성물에 자외선 반응 도료를 함유하여, 커버부가 분리된 후 햇빛 등에 의해 사이드월에 특정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t is possible not only to damage or separate the cover portion itself, but also to further enable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covered with the cover portion. These recognition units are marks, letters, figures, and the like. Marks, figures and the like can be printed on the sidewalls or formed as coarse to give a sense of impression. Alternatively, the rubber composition may contain an ultraviolet ray-curable coating material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sidewall, and the co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wall by sunlight or the like.

이러한 인식부는 타이어의 노출된 측면부가 더욱 쉽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이어의 수명을 보다 확실히 인지할 수 있게 돕는다.
This recognition allows the exposed side portions of the tire to be more easily perceived,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ore clearly perceive the life of the ti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a tire for indicating a replacement tim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s), reference numerals for similar or identical components are used in unison.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 1 and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 a tire indicating a replacement ti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타이어(1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공기 주입식 타이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타이어 외에도 에어리스 타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타이어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The illustrated tire 10 is a commonly used inflatable ti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tires such as airless tires in addition to the air-injected tires.

커버부(1)는 얇은 시트의 형상이다. 커버부(1)는 통상 사용되는 타이어와 같은 재질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굴신 등에 커버부(1)가 사이드월(4)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발휘하도록, 커버부(1)의 재질은 사이드월(4)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노면의 충격이 차량에 전달되는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고자 커버부의 재질은 사이드월과 다른 강도를 갖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The cover portion 1 is in the form of a thin sheet. The cover portion 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a tire used in general, and may have elasticity. Particularly, the material of the cover part 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ide wall 4 so that the cover part 1 exhibits the same physical characteristics as the side wall 4, for example, have. Or the material of the cover portion may be made to have a str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side wall in order to improv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도 1에서 커버부(1)는 타이어(10)의 측면부 굴곡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타이어 측면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타이어(10) 반경 방향으로 휠과 멀리 떨어진 커버부(1)의 일단부(11)는 트레드(3)의 내부로 매립되어 있으며, 타단부(12)는 비드부와 가까운 사이드월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1, the cover portion 1 is formed to be bent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10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One end (11) of the cover part (1) remote from the wheel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is embedded in the tread (3) and the other end (12)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near the bead .

도 1이나 도 2에서 커버부(1)는 예시적으로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는 휠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의 측면부 전체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FIG. 1 or 2, the cover portion 1 is exemplarily shown as one example. However,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cover portions may be provid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wheel. And cover the entire side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타이어(10)의 트레드(3)가 마모되어 타이어(10)의 반경 방향이 줄어들면 트레드(3)의 내부로 매립되었던 커버부(1)의 일단부(11)가 노출된다. 이후 지면과 커버부의 마찰 등에 의하여 커버부(1)의 일단부(11)가 트레드(3)에서 벗겨지고, 일단부가 벗겨진 커버부(1)는 결국 타이어(10)와 완전 분리되어 제거된다. When the tread 3 of the tire 10 is worn a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 is reduced, the one end 11 of the cover part 1 which has been buried in the tread 3 is exposed. The end portion 11 of the cover portion 1 is peeled off from the tread 3 by the fri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cover portion or the like and the cover portion 1 whose one end is peeled off is eventually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ire 10 and removed.

도 2에서 타이어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커버부(1)가 가렸던 타이어(10)의 측면부이다. 커버부(1)가 타이어(10)와 분리됨에 따라 노출되는 타이어(10)의 측면부에는 사용자의 인식성을 증대시키는 인식부(2)가 구비되어 있다. 인식부(2)는 원형 마크로 타이어의 어두운 색상과 대비되는 밝은 색상으로 표시되어 있어 쉽게 발견된다. In Fig. 2,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f the tire is the side portion of the tire 10 covered with the cover portion 1. [ The recognition portion 2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10 exposed when the cover portion 1 is separated from the tire 10 to increas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user. The recognition part (2) is easily found because it is displayed in a bright color in contrast to a dark color of a circular mark tire.

도 3 내지 도 5에는 트레드의 마모에 따른 커버판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3 to 5 show the use state of the cover plate in accordance with wear of the tread.

도 3은 새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커버부(1)는 사이드월과 숄더의 외표면 굴곡과 동일한 굴곡을 가지며 사이드월과 숄더를 덮도록 타이어(10)에 결합되어 있다. 커버부(1)의 일단부(11)는 트레드(3)에 매립되어 있다.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new tire. The cover portion 1 has the same curvature as that of the side wa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and is coupled to the tire 10 so as to cover the side wall and the shoulder. One end (11) of the cover part (1) is embedded in the tread (3).

이때, 트레드(3) 상단으로부터 커버부(1)의 일단부(11)가 매립되는 깊이는 미리 설정되는 마모한계깊이(H)이다. At this time, the depth at which the one end 11 of the cover part 1 is embedded from the top of the tread 3 is the predetermined wear limit depth H.

여기서 마모한계깊이(H)는 타이어 설계자에 의하여 타이어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간주되는 트레드의 마모 두께로 정해지는 것이다. 마모한계깊이(H)는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거나, 같은 종류의 타이어라도 타이어 운용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트레드 마모 두께의 최대 허용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wear limit depth (H) is defined by the thickness of wear of the tread, which is deemed to have reached the end of life of the tire by the tire designer. The wear limit depth H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ire or may vary depending on the maximum allowable value of the tread wear thicknes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ire operation even for the same type of tire.

커버부(1)의 타단부(12)는 사이드월에 부착된다. The other end (12) of the cover part (1)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이때, 부가적인 구성으로 사이드월의 표면에는 커버부(1)의 타단부(12)를 일부 수용하는 단턱(41)을 형성하고, 이에 타단부(12)의 일부가 단턱에 걸쳐지도록 측면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커버부의 타단이 전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타단부(12)와 타이어(1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타이어 수명기간 동안 커버부의 타단부에서 부착력이 상실되어 일단부보다 먼저 벗겨지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step 41, which partially accommodates the other end portion 12 of the cover portion 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dewall with an additional structure, so that a part of the other end portion 12 is attached can do. This ensures th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portion is not entirely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12 and the tire 10. [ Therefore, the adhesive force is lost 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during the tire life, and it is more reliably prevented that the cover is peeled off earlier than the one end.

이와 같이, 일단부(11)는 트레드(3)에 매립되고 타단부(12)는 사이드월(4)에 일부가 함몰되게 부착됨으로써 커버부(1)는 트레드(3) 마모에 따란 일단부의 분리 전까지 타이어와 일체를 이룰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ne end portion 11 is embedded in the tread 3 and the other end portion 12 is partially attached to the side wall 4 so that the cover portion 1 is separated from the one end portion due to the wear of the tread 3 Until then, it can be integrated with the tire.

나아가 커버부(1)의 내측면과 사이드월과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이드월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1 and the side wall, at least one ground part 42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and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art may be formed.

도 3에서 타이어(10)의 반경 방향으로 상하 한 쌍의 접지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접지부(42)는 커버부의 내측면에 부착됨에 따라 커버부(1)가 더욱 확실히 타이어(10)의 측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In Fig. 3, a pair of upper and lower grounding portions 42 are provi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 This grounding portion 42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so that the cover portion 1 can be more reliably fix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tire 10.

이러한 접지부는 사이드월이나 숄더에서 구비될 수 있는데, 타이어의 사용 중에 탄성변형이 크게 발생되는 사이드월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a ground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idewall or the shoulder, and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wall in which elastic deformation is greatly generated during use of the tire.

또한 복수의 접지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접지부들은 타이어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다. Further, when a plurality of ground portions are provided, the ground portions are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한편, 커버부(1)는 적어도 일단부(11)와 타단부(12)가 타이어(10)에 부착되며, 사이드월에 덧대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타이어(10) 측면부의 구조 변경을 가져온다. 트레드(3)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커버부(1)와 사이드월을 타고 분산되어 차체로 전달되므로, 커버부(1)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버부가 타이어의 운용에 따라 발생된 진동량을 저감하여 진동 특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en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portion 12 of the cover portion 1 are attached to the tire 10 and have a padded shape on the sidewall, there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ide portion of the tire 10.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tread 3 is dispersed across the cover part 1 and the sidewall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amount of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over part 1 is absent. That is, the amount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ire cover can be reduced, an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도 4는 트레드(3)가 마모되고 그에 따라 커버부(1)의 일단부(11)가 트레드(3)에서 이탈되었고, 커버부(1)의 타단부(12)는 아직 타이어(10)의 측면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4 shows that the tread 3 is worn so that the one end 11 of the cover part 1 has been removed from the tread 3 and the other end 12 of the cover part 1 has not yet reached the end of the tire 10 And is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트레드(3)의 마모가 마모한계깊이(H)까지 진행되면, 노면과의 반복된 충격에 의한 부착력 약화 또는 매립된 일단부의 마모 등의 원인에 의하여 커버부(1)의 일단부(11)는 트레드(3)로부터 이탈된다. 사용자는 트레드에서 이탈된 커버부의 일단부를 보고 타이어의 교체 시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abrasion of the tread 3 progresses to the abrasion limit depth H, the end portion 11 of the cover portion 1, due to the weakening of the adhesion due to the repeated impact with the road surface or the wear of the buried one end, And is released from the tread 3. The user can recogniz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tire by looking at the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that is detached from the tread.

나아가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접지부(42)는, 커버부(1)의 일단부(11)가 타이어(10)의 측면부로부터 벌어짐에 따라 상부의 접지부(42)부터 커버부(1)의 내측면과 차례로 떨어지게 된다. The ground portion 4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ground portion 42 to the cover portion 1 as the one end portion 11 of the cover portion 1 spreads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tire 10 In this order.

결국, 타단부(12)만이 사이드월에 고정되는 커버부(1)는 외팔보 형상으로 타이어에 매달렸다가, 타이어(10) 운용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하여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에서 완전히 이탈된다. 이로써 커버부(1)에 의해 가려진 타이어의 측면부가 완전히 노출되고, 타이어 측면부에 형성된 인식부(도시 생략)가 드러나게 된다. As a result, the cover portion 1, in which only the other end portion 12 is fixed to the sidewall, hangs on the tire in the form of a cantilever, and is eventually completely removed from the tire . As a result, the side portion of the tire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1 is completely exposed, and a recognition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is exposed.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커버부이다. Figure 6 illustrate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a dotted line indicates a cover portion.

도 6의 (a)에서 커버부(1)는 타이어의 측면부에 방사상으로 4개가 구비된다. 각 커버부(1)에 가려진 사이드월(4)에는 원형 마크를 이루는 인식부(2)가 구비된다. 트레드가 마모됨에 따라 커버부(1)가 타이어에서 이탈되면 사용자가 노출된 원형 마크들을 보고 타이어의 수명이 다 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In Fig. 6 (a), the cover portion 1 is provided radially on the side portions of the tire. The side wall (4) covered with each cover part (1) is provided with a recognition part (2) constituting a circular mark. When the cover part 1 is detached from the tire as the tread is worn,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tire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by viewing the exposed circular marks.

도 6의 (b)는 다른 실시예로 커버부(1)는 타이어의 측면부 전체를 덮는 형상이다. 또 인식부(2)는 사이드월(4)의 표면에 부조로 형성되는 블록 형상이다. 이때 인식부(2)가 더욱 눈에 잘 뜨이도록 그 표면에 타이어의 색상과 배색 관계에 있는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6 (b)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ver portion 1 covers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tire. The recognition unit 2 is formed in a block shape on the surface of the sidewall 4 by co-operation. At this time, the color of the tire and the color of the color relation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recognition portion 2 so that the recognition portion 2 is more visible.

도 6의 (c)는 또 다른 실시예로 커버부(1)는 측면부 표면에서 다수로 분할된 형상이다. 또한 커버부(1)에 의해 가려진 사이드월(4)에는 교체를 알리는 문구가 인쇄되어 있다. 커버부들이 벗겨짐에 따라 사용자는 노출되는 문구를 읽고 타이어의 교체가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6 (c)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ver portion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on the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side wall 4 covered by the cover part 1 is printed with a message indicating replacement. As the covers are peeled off, the user can read the exposed text and recognize that the tire needs to be replaced.

도 6의 (d)는 또 다른 실시예로 커버부(1)는 타이어 측면부 전체를 덮는 형상이다. 여기서 인식부(2)는 원료에 함유되는 자외선 반응 도료를 포함하는 사이드월(4) 자체이다. 커버부가 제거되어 햇빛에 노출되면 사이드월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 반응 도료의 색상이 표출되고, 이를 사용자가 인식하여 타이어를 교체할 때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6 (d)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ver portion 1 covering the whole of the tire side surface portion. Here, the recognition unit 2 is the side wall 4 itself including the ultraviolet reactive paint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When the cover is removed and exposed to sunlight, the sidewall absorbs the ultraviolet light to reveal the color of the ultraviolet-responsive paint, which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at it is time to replace the tire.

도 6에서 제시하는 실시예들에서 제시하는 커버판의 형상이나, 인식부의 종류는 서로 혼용 가능한 것이다. The shape of the cover plate and the type of the recognition por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 6 can be used mutually.

본 발명에서 커버부는 수명 기간 동안 타이어의 측면부를 가리고, 트레드가 마모됨에 따라 타이어와 이탈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의 작용은 사용자가 쉽게 보는 타이어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인식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for a lifetime, and is separated from the tire as the tread is worn. The operation of the cover portion is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tire which is easy for the user to view, so that the user is more likely to recognize it.

또 커버부는 반경 방향에서 타이어의 측면에 덧붙여지는 구조로, 트레드에서 발생한 진동은 사이드월과 커버부를 거쳐 휠로 전달된다. 이로써 노면 주행에 따른 진동 감소의 효과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the cover portion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ir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tread is transmitted to the wheel via the side wall and the cover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vibration reduction caused by running on the road surface.

더하여 인식부가 더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부의 이탈을 보다 확실히 알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ecognition section is further provided, the user can more reliably recognize the departure of the cover section.

10 : 타이어
1 : 커버부 11 : 일단부 12 : 타단부 2 : 인식부
3 : 트레드 4 : 사이드월 41 : 단턱 42 : 접지부
H : 마모한계깊이
10: Tire
1: cover part 11: one end part 12: other end part 2:
3: tread 4: side wall 41: step 42:
H: Wear depth limit

Claims (7)

사이드월과 숄더에 걸쳐 타이어의 측면부를 감싸며, 일단부가 트레드에 매립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는 트레드에 미리 설정되는 마모한계깊이로 매립되어 상기 트레드가 마모됨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트레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
And a cover portion that surrounds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tire across the side wall and the shoulder and is once embedded in the tread,
Wherein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is embedded in the tread at a pre-set wear depth and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tread as the tread is worn.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커버부는 타이어의 측면부에 복수가 나란히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ver portions are provided side by side on a side portion of the tire.
제1항에서,
상기 커버부에 의해 가려지는 사이드월에는 상기 커버부가 사이드월과 분리되면 감지되는 인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side wall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recognition portion that is sensed when the cov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제4항에서,
상기 인식부는
자외선 반응 도료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부의 분리 후에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cognition unit
And a color is developed after the cover portion including the ultraviolet ray-curing paint is removed.
제4항에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이드월에 인쇄된 문구 또는 도형이거나, 상기 사이드월에 부조된 입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cognizing unit is a phrase or a figure printed on the sidewall, or a three-dimensional shape co-incident on the sidewall.
제1항에서,
상기 사이드월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시기를 알려 주는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grou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and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is formed.
KR1020110135641A 2011-12-15 2011-12-15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KR101406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41A KR101406728B1 (en) 2011-12-15 2011-12-15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41A KR101406728B1 (en) 2011-12-15 2011-12-15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28A KR20130068128A (en) 2013-06-25
KR101406728B1 true KR101406728B1 (en) 2014-06-12

Family

ID=4886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641A KR101406728B1 (en) 2011-12-15 2011-12-15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7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0150B2 (en) * 2019-08-29 2023-05-23 Toyo Tire株式会社 Pneumatic tires and tire vulcanizing mol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913A (en) * 1993-05-24 1994-11-29 Sumitomo Rubber Ind Ltd Tire
KR19990023171U (en) * 1997-12-03 1999-07-05 김완선 Tread recovery cover for car tires
KR200341535Y1 (en) 2003-11-18 2004-02-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Redial Tire having Abrasion Mark of Limitation
KR20050051197A (en) * 2003-11-27 2005-06-0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913A (en) * 1993-05-24 1994-11-29 Sumitomo Rubber Ind Ltd Tire
KR19990023171U (en) * 1997-12-03 1999-07-05 김완선 Tread recovery cover for car tires
KR200341535Y1 (en) 2003-11-18 2004-02-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Redial Tire having Abrasion Mark of Limitation
KR20050051197A (en) * 2003-11-27 2005-06-0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28A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1924A1 (en) Tire
CN101415569A (en) Motor-vehicle tyre provided with a tread pattern wear indicator
KR101406728B1 (en) Tire for giving notice the time to replace
CN110799351A (en) Rolling assembly with rim whose flanges form a support of increased axial width
ITRM20120408A1 (en) SUPERELASTIC RUBBER EQUIPPED WITH MEANS OF VISUAL SIGNALING OF THE STATE OF EXCESSIVE WEAR.
US20080000562A1 (en) Bicycle tire having wear indicator
US8061400B2 (en) Fastener assembly secured to a tire sidewall
CN110191814B (en) Pneumatic tire
KR20010036391A (en) Wear limit indicator for tire
KR100462203B1 (en) Pneumatic tire with wear indicator
KR100677730B1 (en) Support ring type run flat tire
CN116249627A (en) Tire including sidewall insert
JP5409691B2 (en) Wheel wear detection device and walking aid equipped with the same
US8061399B2 (en) Medallion assembly secured to a tire sidewall
JP2000326708A (en) Pneumatic tire
KR200444930Y1 (en) Pneumatic tire indicating exchange-period
KR20140117955A (en) Car tire and tire wheel protection cover
KR200325009Y1 (en) Tire for vehicle
CN220483006U (en) Tyre with warning sign
GB2376002A (en) Tyre wear indicator
KR100728539B1 (en) Wear Indicating System for Vehicle Tire
KR100482991B1 (en) Pneumatic tire for heavy vehicle
KR100798973B1 (en) Intellective tire indicating wear status and exchange time
KR200341535Y1 (en) Heavy Duty Pneumatic Redial Tire having Abrasion Mark of Limitation
JP2010076474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