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610B1 -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 Google Patents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610B1
KR101406610B1 KR1020120092097A KR20120092097A KR101406610B1 KR 101406610 B1 KR101406610 B1 KR 101406610B1 KR 1020120092097 A KR1020120092097 A KR 1020120092097A KR 20120092097 A KR20120092097 A KR 20120092097A KR 101406610 B1 KR101406610 B1 KR 10140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
fixing
door
fixing pa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705A (ko
Inventor
전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6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문고정장치에 있어서, 방문의 후방면의 문틀 측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 및 일측은 고정부재의 중앙부 측에 결합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타측 하단면은 고정모드시 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일부가 방문을 잠글 때 문틀 사이 공간으로 끼워지게 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여 방문과 문틀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간단하게 메워 바람이 심하게 불어도 방문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Device and method for fixing door}
본 발명은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문과 문틀사이에 존재하는 유격(틈새)를 간단하게 매워 바람과 같은 외부의 힘이 인가되어도 방문이 덜컥거리지 않도록 하는 방문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문은 통상적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구조와 문을 잠그기 위한 문고리, 벽에 구비된 문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1a는 방문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방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가정집 방문이나 학교 강의실 문의 경우 문고리 잠금장치에 의해 문틀과 견고하게 밀착되어야 하나 오랜 시간 동안 방문을 사용하다 보면, 문고리 잠금장치가 헐거워져 문틀과 방문사이에 유격(틈새)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바람등과 같은 힘이 인가되게 되는 경우 방문 안팎에 압력차가 발생되게 되면서 방문이 덜컥거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의해 방문이 더욱 빨리 고장나게 되고, 특히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은 방문이 덜컥거리는 소리에 의해 수면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날씨가 더워도 베란다 창문을 닫아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방문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방문고정장치로서 유압식 댐퍼를 방문과 벽에 설치하여 유압의 힘으로 문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유압식 방문고정장치의 경우 매우 고가에 해당하게 되므로 현관문 등에 설치되어 지고 일반 가정집 방문이나 강의실 문 등 실내 방문마다 설치하기는 어려우며, 사용자가 댐퍼의 저항없이 방문을 열고 닫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오히려 댐퍼가 달린 방문을 가정집에서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2-0081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42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고정패드를 고무 흡착판과 결합하여 간단하게 방문표면에 부착시켜 방문과 문틀 사이의 유격을 메우게 됨으로써 바람 등의 외부 힘에 대하여 방문이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방문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방문고정장치에 있어서, 방문의 후방면에 문틀 측과 근접한 위치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 및 일측은 고정부재의 중앙부 측에 결합되어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타측은 고정모드시 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일부가 방문을 닫을 때 문틀과 방문의 사이 공간으로 끼워지게 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고정패드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패드가 걸림턱에 걸린 상태에서 고정패드의 타측은 방문에서 벽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방문의 후방면에 설치된 문고리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특정거리 이격되어 방문의 후방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방문고정장치에 있어서, 방문의 후방면에 문틀 측과 근접한 위치에 압착되어 설치되고, 중앙부에 결합용 돌기가 형성되는 흡착판; 흡착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 일측에 형성되며 결합용 돌기에 억지끼움되어 설치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타측은 고정모드시 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방문을 닫을 때 문틀과 방문 사이 공간으로 일부가 끼워지게 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방문의 후방면의 문틀 측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천공이 형성되며 천공의 외주부에 구비된 돌출부를 갖는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 돌출부 끼워지게 설치되는 와셔; 일측에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결합구멍이 돌출부 외측면에 끼워져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타측은 고정모드시 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방문을 닫을 때 문틀과 방문 사이 공간으로 일부가 끼워지게 되는 고정패드; 및 천공에 삽입되어 고정판, 와셔 및 고정패드를 방문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고정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구멍 또는 보조 걸림턱을 포함하여, 보조구멍 또는 보조 걸림턱에 비고정모드시 안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패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흡착판은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합용 돌기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며, 상부측 직경은 천공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와셔 및 고정패드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돌출부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는 나사못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걸림턱의 측단면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패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문을 전방 측으로 개방시키고, 방문의 후방면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고정패드의 타측이 걸리도록 고정패드를 고정부재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방문을 닫으면서, 고정패드 일부가 문틀과 방문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단계; 및 고정패드가 사이 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방문이 문틀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고정패드를 고무 흡착판과 결합하여 간단하게 방문표면에 부착시켜 방문과 문틀 사이의 유격을 메우게 됨으로써 바람 등의 외부 힘에 대하여 방문이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a는 방문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방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의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의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정면도,
도 5a는 방문이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평면도,
도 5b는 방문이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평면도,
도 6은 비고정모드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c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정면도,
도 10a는 방문이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평면도,
도 10b는 방문이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평면도,
도 11은 고정패드 미사용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가 설치된 방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판(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6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는 일측에 걸림턱(20)을 갖는 흡착판(10), 흡작판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고정패드(60)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흡착판(10)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로 구성되면 통상의 흡착부재와 같이 방문 후방면(2, 본 명세서에서는 방문(1)이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면을 전방면이라 정의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면(2)이라고 정의한다.)에 압착되어 설치되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흡착판(10)은 방문(1)의 후방면(2)에 설치된 문고리(5)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착판(10)의 중앙부에는 결합용 돌기(1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합용 돌기(11)는 상부측에는 고정볼(12)이 구비되며 고정볼(12)과 흡착판(10) 사이에는 직경이 고정볼(12)보다 작은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흡착판(10)은 이러한 형태의 결합용 돌기(11)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고정패드(60)에 형성된 결합구멍(61)이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고정패드(60)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패드(60)는 중앙부에서 타측 끝단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6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두께와 폭을 갖고 흡착판(10)과 같이 탄성체로 구성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0)의 결합용 돌기(11)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고정패드(60)가 끼워지게 된 후, 결합용 돌기(11)의 오목부 측에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고정패드(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패드(60)의 하단면 일측이 흡착판(10)에 구비된 걸림턱(20)에 걸려 고정패드(60)의 일측 끝단이 3시 방향을 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패드(6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놓게 되면 고정패드(60)의 일측 끝단은 중력에 의해 6시방향을 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걸림턱(2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측단면이 ┗ 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패드(60)의 하단면이 걸림턱(20)에 걸려져 있는 상태는 고정모드에 해당하고, 고정패드(60)의 일측이 6시방향을 향하게 되는 상태는 비고정모드에 해당하게 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60)의 폭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패드(60)의 두께는 방문(1)의 안쪽 측면과 문틀(4)과의 사이 거리 보다 조금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6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멍(61)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구멍(62) 또는 보조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조구멍(62) 또는 보조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보조구멍(62)에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고정모드에 보조구멍(62) 또는 보조걸림턱에 알림판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방문고정장치(100)의 흡착판(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1)의 후방면(2) 일측에 압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방문(1)이 열린 상태에서 흡착판(10)에 의해 방문고정장치(100)를 설치한 후에, 고정패드(60)를 도 3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패드(60)의 하단면 일측이 흡착판(10)에 구비된 걸림턱(20)에 걸리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패드(60)를 걸림턱(20)에 고정시켜 고정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방문고정장치(100)를 고정모드로 전환하고 방문(1)을 돌려 닫게 되면, 고정패드(60)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문틀(4)과 방문(1) 측면 사이 공간으로 끼워지게 되면서 방문(1)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4는 방문고정장치(100)의 고정패드(60) 일부가 문틀(4)과 방문(1) 측면 사이공간에 끼워진 상태의 방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a는 방문(1)이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방문(1)이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모드시 방문(1)이 열린 상태에서는 고정패드(60)의 일부가 벽(3)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이러한 고정모드 상태에서 방문(1)을 닫게 되면 돌출된 일부 고정패드(60) 부분이 방문(1)의 측면과 문틀(4) 사이 공간으로 끼워져 방문(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고정패드(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체로 구성되어 방문(1)이 닫혀지게 되면서 압착되어 복원력에 의해 방문(1)을 보다 견고하게 문틀(4)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은 비고정모드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패드(60)를 걸림턱(20)에 걸치지 않은 비고정모드시에 방문(1)을 닫게 되면 고정패드(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이 6시방향을 향하게 되면, 고정패드(60)에 구비된 보조구멍(62) 또는 보조걸림턱에 안내판(구체적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부중” 이라는 안내문구가 표시된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을 설치하여 바깥쪽에서 방안쪽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c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는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 걸림턱(20), 와셔(40), 고정패드(60) 및 체결부재 등을 포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은 방문(1)의 후방면(2) 일측에 설치되게 되며, 중앙부에 천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천공(31)의 외주부에 구비된 돌출부(32)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정판(30)의 일측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걸림턱(20)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판(30)의 돌출부(32) 내면에는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나사못(50)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나사결합을 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의 높이는 고정패드(60)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후에 설명되는 와셔(40)의 두께와 고정패드(60)의 두께를 합친 것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패드(6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패드(6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즉, 고정패드(60)의 일측은 결합구멍(6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조구멍(62) 또는 보조 걸림턱이 구비되며, 탄성체로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고정패드(60)의 결합구멍(61)은 고정판(30)의 돌출부(3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돌출부(32)의 외경은 고정패드(60)의 결합구멍(61)의 직경과 일치되어 형상맞춤되어 끼워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판(30)의 돌출부(32)로 결합구멍(61)에 의해 고정패드(60)를 끼운 후에 그 위로 와셔(40)를 끼워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와셔(4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와셔(40)의 내부 구멍에 의해 와셔(40)가 고정판(30)의 돌출부(32)로 형상맞춤되어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30)의 돌출부(32)에 고정패드(60)와 와셔(40)가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인 나사못(50) 등을 이용하여 고정판(30), 고정패드(60), 와셔(40)를 일체로 방문(1)의 후방면(2) 일측에 체결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방문(1)이 열린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방문고정장치(100)를 설치한 후에, 고정패드(60)를 도 8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패드(60)의 하단면 일측이 고정판(30)에 구비된 걸림턱(20)에 걸리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패드(60)를 걸림턱(20)에 고정시켜 고정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방문고정장치(100)를 고정모드로 전환하고 방문(1)을 돌려 닫게 되면, 고정패드(60)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문틀(4)과 방문(1) 측면 사이 공간으로 끼워지게 되면서 방문(1)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9는 방문고정장치(100)의 고정패드(60) 일부가 문틀(4)과 방문(1) 측면 사이공간에 끼워진 상태의 방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a는 방문(1)이 열린 상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방문(1)이 닫힌 상태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모드시 방문(1)이 열린 상태에서는 고정패드(60)의 일부가 벽(3)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이러한 고정모드 상태에서 방문(1)을 닫게 되면 돌출된 일부 고정패드(60) 부분이 방문(1)의 측면과 문틀(4) 사이 공간으로 끼워져 방문(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고정패드(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체로 구성되어 방문(1)이 닫혀지게 되면서 압착되어 복원력에 의해 방문(1)을 보다 견고하게 문틀(4)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 11은 비고정모드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문고정장치(100)가 설치된 방문(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패드(60)를 걸림턱(20)에 걸치지 않은 비고정모드시에 방문(1)을 닫게 되면 고정패드(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이 6시방향을 향하게 되면, 고정패드(60)에 구비된 보조구멍(62) 또는 보조걸림턱에 안내판(구체적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부중” 이라는 안내문구가 표시된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을 설치하여 바깥쪽에서 방안쪽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1:방문
2:후방면
3:벽
4:문틀
5:문고리
10:흡착판
11:결합용 돌기
12:고정볼
20:걸림턱
30:고정판
31:천공
32:돌출부
40:와셔
50:나사못
60:고정패드
61:결합구멍
62:보조구멍
70:안내판
100:방문고정장치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방문고정장치에 있어서,
    방문의 후방면에 문틀 측과 근접한 위치에 압착되어 설치되고, 중앙부에 결합용 돌기가 형성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 및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 돌기에 억지끼움되어 설치되는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타측은 고정모드시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방문을 닫을 때 문틀과 방문 사이 공간으로 일부가 끼워지게 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7. 방문의 후방면의 문틀 측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천공이 형성되며 상기 천공의 외주부에 구비된 돌출부를 갖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턱;
    상기 돌출부 끼워지게 설치되는 와셔;
    일측에 결합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구멍이 상기 돌출부 외측면에 끼워져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고, 타측은 고정모드시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되며, 방문을 닫을 때 문틀과 방문 사이 공간으로 일부가 끼워지게 되는 고정패드; 및
    상기 천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 와셔 및 고정패드를 방문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의 타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구멍 또는 보조 걸림턱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구멍 또는 상기 보조 걸림턱에 비고정모드시 안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며, 상부측 직경은 상기 결합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및 상기 고정패드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나사못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4.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측단면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5.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문고정장치.
  16. 삭제
KR1020120092097A 2012-08-23 2012-08-23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KR10140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097A KR101406610B1 (ko) 2012-08-23 2012-08-23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097A KR101406610B1 (ko) 2012-08-23 2012-08-23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05A KR20140026705A (ko) 2014-03-06
KR101406610B1 true KR101406610B1 (ko) 2014-06-11

Family

ID=5064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097A KR101406610B1 (ko) 2012-08-23 2012-08-23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6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39A (ja) 2005-06-08 2006-12-21 Nitomuzu:Kk 扉開き防止装置
JP2007063929A (ja) 2005-09-02 2007-03-15 Yoshitaka Sakai 感震扉ストッパー
JP3148206U (ja) * 2008-11-21 2009-02-05 株式会社 エス・シー・ジェー ロック装置
KR101174279B1 (ko) * 2010-09-07 2012-08-16 고경민 문닫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39A (ja) 2005-06-08 2006-12-21 Nitomuzu:Kk 扉開き防止装置
JP2007063929A (ja) 2005-09-02 2007-03-15 Yoshitaka Sakai 感震扉ストッパー
JP3148206U (ja) * 2008-11-21 2009-02-05 株式会社 エス・シー・ジェー ロック装置
KR101174279B1 (ko) * 2010-09-07 2012-08-16 고경민 문닫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705A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1533A (en) Door stopping device
KR101009611B1 (ko)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KR101406610B1 (ko) 방문고정장치 및 그 방문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문고정방법
KR20170121907A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WO2016177064A1 (zh) 维护窗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KR2011001117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닫힘 방지장치
KR101496018B1 (ko) 도어레버
KR200325942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KR20090110604A (ko) 자석을 이용한 문닫힘 방지구
KR101010541B1 (ko)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1082622B1 (ko) 창문 고정 장치
KR101403736B1 (ko) 방문고정장치
KR10162764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안전 방충망
KR200325027Y1 (ko) 도어 개방 고정구
KR101174279B1 (ko) 문닫힘 방지장치
KR200415792Y1 (ko) 방화도어 열림방지구
KR200388263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401020Y1 (ko) 좌,우형 롤 방충망의 하부 가이드레일에 부착 고정된접이식 장석.
KR200405300Y1 (ko) 신축캡을 갖는 봉 커튼용 지지봉
KR20090005275U (ko) 문 고정장치
JPH0755929Y2 (ja) 外れ止め付きフ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