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169B1 -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169B1
KR101406169B1 KR1020070106932A KR20070106932A KR101406169B1 KR 101406169 B1 KR101406169 B1 KR 101406169B1 KR 1020070106932 A KR1020070106932 A KR 1020070106932A KR 20070106932 A KR20070106932 A KR 20070106932A KR 101406169 B1 KR101406169 B1 KR 10140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main body
display
imag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1456A (en
Inventor
최영완
송경근
임승섭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69B1/en
Publication of KR2009004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4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PDA, MP3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ed in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having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an MP3.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창과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본위치와,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돌출되어 제1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는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display window and a discharge port; a first display panel having an image 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an image 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 second display panel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ally changeable between a basic position in which the first display panel is disposed and an extended position projected through a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nd a display panel driver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driv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소영역으로부터 대영역으로 확장가능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formed can be expanded from a small area to a large area and thus the display function is excellent.

Description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expandable display range,

본 발명은 핸드폰, MP3, PDA, DMB 단말기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ed in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having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a PDA, and a DMB terminal.

최근 데이터 전송 등 디지털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통적인 기술영역에 대한 구분은 모호해지고, 유선과 무선, 방송과 통신, 통신과 컴퓨터 등 이종의 기술이 서로 융합된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이른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라고 한다. Recent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such as data transmission, have made the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al technologies and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form of fusion of different technologies such as wire and wireles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s and computers This phenomenon is called digital convergence.

디지털 컨버전스 현상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폰을 들 수 있다. 휴대폰은 전통적 의미의 이동전화의 기능은 물론, 디지털카메라와 MP3, 게임, 방송 시청, 금융 업무의 기능을 한데 갖추는 등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휴대폰 이외에도, 유선의 광대역성과 무선의 이동성을 겸비한 와이브로(WiBro)나 통신·방송이 융합된 형태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도 디지털 컨버전스의 중요한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 현상은 하나의 제품으로 복합적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needs) 및 휴대용 전자제품의 주요 수요자인 젊은층을 중심으로 영화, 음악 등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대한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점차 가속화될 전망이며,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큰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개선될 것이 요구된다. A typical example of the digital convergence phenomenon is a cellular phone. Mobile phones are constantly evolving, including the functions of mobile phones in the traditional sense, as well as the functions of digital cameras, MP3s, games, broadcasting, and financial services. In addition to mobile phones, WiBro, which combines wired broadband and wireless mobility,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which is a fusion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are also important examples of digital convergence. This digital convergence phenomenon is gradually accelerated as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to use multiple functions conveniently as a single product and the demand for entertainment functions such as movies and music are centered on young consumers, who are major users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In order to satisfy the entertainment function, it is required that the display function capable of realizing a larger image is improved.

한편, 수요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품에 복합적인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요구함과 동시에 제품의 휴대성에 대한 요구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복합기능에 대한 요구와 휴대성에 대한 요구는 서로 상반되는 부분이 존재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demand for the complexity of functions of one product and the portability of the product are high. However,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the demand for the composite function and the requirement for the portability, and technical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are increasing.

도 1에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폰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휴대폰(1)은 버튼부(5)가 구비된 본체(2)와 LCD가 장착된 슬라이딩 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위 슬라이딩 부재(3)는 90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동전화 기능을 수행할 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가 본체(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높이며, 영화, 방송, 사진 등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때는 슬라이딩 부재(3)가 본체(2)와 90도 각도로 배치되어 종래의 휴대폰에 비하여 큰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phone. The slide-type mobile phone 1 shown in Fig. 1 comprises a main body 2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5 and a sliding member 3 on which an LCD is mounted. The upper sliding member 3 is rotatable at an angle of 90 degrees. That is, when performing the mobile phone function, the sliding member 3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body 1 to enhance convenience in use and portability. In performing a display function such as a movie, a broadcast, Is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main body 2 so that a large image can be form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1)에서도 일정 크기 이상의 화상 형성을 통한 디스플레이 기능의 강화와 휴대성의 강화라는 두 가지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데에는 많은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ellular phone 1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meeting the two requirements of enhancing the display function and enhancing the portability through image formation of a certain size or mo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기능과 휴대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pandabl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to satisfy both a display function and a port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DMB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제품에 채용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창과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본위치와,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돌출되어 제1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는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andable display device for us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 MP3 player, and a DMB terminal,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display window and a discharge port; A first display panel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a display window, an image 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 second display panel disposed between the basic position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extended position protrud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nd a display panel driv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on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are any one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isplay panel, and a PDP (Plasma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창에 부착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제1보호창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디스 플레이 패널이 기본위치 및 확장위치로 위치변경시 함께 위치변경 가능한 제2보호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protective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ttached to a display window of a main body to protect the first display panel; The second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ection window capable of changing its position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is changed from the basic position to the extend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보호창이 확장위치에 있을 때 이 제2보호창의 상면과 상기 제1보호창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레벨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level adjusting means for all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indow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is in the extend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삽입 및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제2보호창의 후방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된 수직홈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인출홈부와, 상기 인출홈부에 끼워져 이 인출홈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상기 인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1돌기와,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져 이 가이드홈부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tecting a second display panel from being wrapped around and protruding from a second protective window, Wherein the level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groov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groov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A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body and the protective frame, the protrusion being formed on the other of the body and the protective frame, wherein th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tection frame; A draw-out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and in an approaching direction; Wherein the guide groove portion is formed in one of the protective frame and the pull-out member and is movable relative to the guide groove portion. The guide groove portion of the protective frame and the pull- And a second projection formed on the other one not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 의 크기를 소영역으로부터 대영역으로 자유롭게 확장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expan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not only the display function is enhanced, but also the portability is excellent because the size of the image can be freely extended from the small area to the large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의 Ⅳa-Ⅳ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Ⅳb-Ⅳ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And 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b-IVb of Fig.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체(10), 제1디스플레이 패널(80), 제2디스플레이 패널(90)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를 구비한다. 2 to 4B,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first display panel 80, a second display panel 90, and a display panel driver 70 .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DMB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의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핸드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 MP3 player, a DMB terminal, etc. Hereinafter, a mobile ph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본체(10)는 이른바 폴더형 핸드폰(10)으로서 버튼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부(11)와 메인부(1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2)를 구비한다. 상기 폴더부(12)에는 후술할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화상을 볼 수 있도록, 이 폴더부(12)의 상면을 관통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창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재질의 제1보호창(1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제1보호 창(14)은 후술할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이 원치 않는 외력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폴더부(12)의 측면에는 후술할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10 has a main portion 11 having a button portion 13 and a folder portion 12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portion 11 as a so-called folding type mobile phone 10 . A display window is formed in the folder portion 12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2 so that an image of the first display panel 8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en. 1 protection window 14 is attached.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prevents the first display panel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damaged by an unwanted external force or the like.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2 so that the second display panel 9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rawn out.

제1디스플레이 패널(80)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은 모두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LCD 패널, OLED 패널 및 PDP는 모두 주지의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당업계에서 자명한 기술적 사항이므로 구체적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display panel 8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90 are 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r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PDP) May be employed. Since the LCD panel, the OLED panel, and the PDP are well-known display devices,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will be omitted.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은 본체(10)의 내측 즉, 제1보호창(14)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은 상기한 위치에서 고정되며 위치변경되지 않는다.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상면이 제1보호창(14)과 대면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투명한 제1보호창(14)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상면에 형성된 화상을 볼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panel 8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window to which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is attached. The first display panel 80 is fixed at the above-mentioned position and does not change its position.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formed on the first display panel 80 faces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mag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80 through the transparent first protection window 14 Can be seen.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은 기본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본체(10)에 설치된다. 여기서, 기본위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더욱 상세하게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후방에 놓이는 위치이며, 확장위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토출구를 통하여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측부에 나란하게 놓이는 위치이다.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such that the second display panel 9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basic position and the extended position. Here, the basic position is the position inside the main body 10, more specifically, the rear of the first display panel 80 as shown in FIG. 4A, and the extende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main body 10 The first display panel 8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80. The first display panel 8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80 have the sam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디스플레이 패널(90)이 확장위치에 있을 때 원치않는 외력으로부터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2보호창(31)과 보호프레임(40)을 구비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the extended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protection window (not shown) to protect the second display panel 90 from an unwanted external force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in the extended position 31 and a protective frame 40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a는 도 2의 Ⅴa-Ⅴ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의 Ⅴb-Ⅴb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3의 Ⅴc-Ⅴc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보호창과 보호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2의 Ⅶa-Ⅶ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3의 Ⅶb-Ⅶ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5A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a-Va in FIG. 2, FIG. 5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b-Vb in FIG. 3, and FIG. 5C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c-Vc in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protection window and a protection frame of the extended display device shown in FIG. FIG. 7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a-VIIa of FIG. 2, and FIG. 7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b-VIIb of FIG.

도 5 내지 도 7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2보호창(31)은 제1보호창(14)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지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호창(31)의 후방에는 보호프레임(40)이 결합된다. 제2보호창(31)과 보호프레임(40)이 결합되면 그 내측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에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고정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5 to 7 together with FIG. 4,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plastic plate like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and as shown in the drawings, A protective frame (40)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window (31).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nd the protection frame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nd the protection frame 4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상면이 제2보호창(31)과 대면하게 배치됨으로써,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돌출된 확장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투명한 제2보호창(14)을 통해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의 상면에 형성된 화상을 볼 수 있다.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at the extended position where the image is formed o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so that the second display panel 90 faces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14 to see an imag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90.

또한,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프레임(40)에 고정되는 설치되지만, 보호프레임(40)의 이동에 의하여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즉, 상기 제2보호창(31)과 보 호프레임(40)은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와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될 때 각각 삽입상태(기본위치와 동일함, 이하 삽입상태로 설명함)와 돌출상태(확장위치와 동일함, 이하 돌출상태로 설명함) 사이에서 위치변경된다. 즉,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 도 4a, 도 5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호창(31)과 보호프레임(40)은 본체(10)의 내측 더욱 상세하게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의 후방에 삽입되어 있으며, 확장위치에 있을 때, 도 4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토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외부에 배치된다.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fixed to the protection frame 40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protection frame 40, Position. That is,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nd the protection frame 40 are in the inserted state (same as the basic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serted state)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repositioned between the basic position and the extended position And the projected state (same as the extended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ojected state). 4A, 5A and 7A,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in the default positio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nd the protection frame 40 ar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 More specifically, it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first display panel 80. When the first display panel 80 is in the extended position, the first display panel 80 is drawn out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4B and 7B.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호창(31)은 삽입상태에 있을 때 제1보호창(14)의 하측에 배치되지만, 돌출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보호창(14)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제1보호창(14)과 제2보호창(31)이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높이가 다른 보호창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 패널(80)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90) 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보아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in the inserted state. However,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in the protruded state, Should be deployed. When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and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re disposed on different planes, the user is formed on the first display panel 8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90 through different protection windows This is because a display function is deteriorated because an image must be view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보호창(31)이 돌출상태에 있을 때 제1보호창(14)과 제2보호창(31)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시키기 위한 레벨조절수단을 더 구비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in the protruding stat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re level- .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인출부재(60)와, 한 쌍의 인출홈부(580)와 한 쌍의 제1돌기(53,54), 한 쌍의 가이드홈부(61,62)와 한 쌍의 제2돌기(55,56)를 구비한다. The level adjusting means includes a drawing member 60, a pair of drawing recessed portions 580, a pair of first projections 53 and 54, a pair of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And has projections 55 and 56. [

상기 인출부재(60)는 본체(10)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인출부재(60)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63,64)와 결 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토출구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장홈(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홈(68)은 본체의 폭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인출부재(60)의 가이드부재(63,64)는 각각 상기 장홈(68)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인출부재(60)는 토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 본체(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6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69)가 부착되어 있다. The drawing member 60 is formed into a bar shape of the main body 1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ing opening. The drawing member (60) is joined to a pair of guide members (63, 64). An upper groove 68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groove 68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Each of the guide members 63 and 64 of the drawer member 60 is engaged with the respective grooves 68 so that the drawer member 60 is slidable along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port and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Lt; / RTI > A handle 69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rawing member 60.

상기 한 쌍의 인출홈부(580)는 디스플레이 창을 사이에 두고 본체(10)의 내측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길게 배치되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인출홈부(58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홈(582)과 상기 수평홈(582)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된 수직홈(581)으로 이루어진다. The pair of draw-out grooves 580 are arranged inwardly and downwardly inwardly of the main body 10 with a display window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re recessed. The outflow groove portion 580 includes a horizontal groove 582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 vertical groove 581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582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Lt; / RTI >

상기 한 쌍의 제1돌기(53,54)는 각각 보호프레임(40)의 상면과 하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각각 인출홈부(580)에 끼워짐으로써, 보호프레임(40)이 토출구를 통해 돌출상태 및 삽입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될 때 이 인출홈부(58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대이동한다. The pair of first protrusions 53 and 54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otection frame 40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outflow groove 580 so that the protection frame 40 protrudes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Sliding along the drawing groove portion 580 and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when being moved between the state and the inserted state.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부(61,62)는 본체(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인출부재(60)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배치된다. 또한, 이 가이드홈부(61,62)의 입구부(e)는 돌기수용부(r)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다. The pair of guide grooves 61 and 6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re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ut member 60, . Further, the inlet portion e of the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is formed narrower tha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r.

상기 한 쌍의 제2돌기(55,56)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61,62)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서 보호프레임(40)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호프레 임(40)이 토출구를 통해 돌출상태 및 삽입상태 사이에서 위치이동될 때 한 쌍의 제2돌기(55,56)는 이 가이드홈부(61,6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대이동한다. 또한, 이 제2돌기(55,56)의 머리부는 가이드홈부(61,62)의 돌기수용부(r)에 끼워지는데 그 직경이 제2돌기(55,56)의 입구부(e)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홈부(61,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pair of second projections 55 and 56 are respectively fitted in the pair of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and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rotection frame 40. When the protection frame 40 is moved between the protruded state and the inserted state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55, 56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portions 61, 62 and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 head portions of the second projections 55 and 56 ar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r of the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is larger than the entrance portion e of the second projections 55 and 56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지금까지, 한 쌍의 제1돌기(53,54)는 보호프레임(40)에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인출홈부(580)는 본체(1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인출홈부(580)가 보호프레임(40)에 형성되며, 제1돌기(53,54)가 본체(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돌기(53,54)는 인출홈부(580) 내에서 상대이동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Although the pair of first projections 53 and 54 are formed on the protection frame 40 and the pair of the outgoing groove portions 580 are formed on the main body 10 as described above, They may be formed by changing their positions. That is, the outgoing groove 580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frame 40, and the first protrusions 53 and 54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also, the first projections 53 and 54 are relatively moved in the outward trough 580.

또한, 한 쌍의 제2돌기(55,56)는 보호프레임(40)에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2가이드홈부(61,62)는 인출부재(6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위치를 서로 교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air of second projections 55 and 56 are formed on the protective frame 40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are formed on the pull-out member 60, It is obvious that they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벨조절수단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vel adjusting mean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 제1돌기(53,54)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홈(582)의 끝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확장위치에 있을 때 제1돌기(53,54)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홈(581)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 보호프레임(40)에 부착된 제2보호창(31)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창(14)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인데, 이러한 상태에서 인출부재(60)를 당기면 제2보호창(31)이 수평홈(582)을 따라 수평 홈(582)의 단부까지 높이변화 없이 이동되며, 다시 보호프레임(40)을 본체(10)의 상면 측으로 밀어주면 제2보호창(31)은 수직홈(581)을 따라 이동되어 제1보호창(14)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at the default position, the first projections 53 and 54 are dispos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582 as shown in FIG. 7A, 53 and 54 are disposed at the ends of the vertical grooves 581 as shown in FIG. 7B. That is,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in the default positio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attached to the protection frame 40 is placed under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as shown in FIG. 7A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moved along the horizontal groove 582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582 without any change in height and then the protection frame 40 is moved back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582. In this state,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moved along the vertical groove 581 and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rotection window 14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push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제2보호창(31)이 수직홈(581)을 따라 이동될 때, 제2돌기(55,56)는 인출부재(60)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부(61,62) 내에서 이동된다. 제2돌기(55,56)는 가이드홈부(61,62) 내에서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제1돌기(53,54)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한다.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31 is moved along the vertical groove 581, the second projections 55, 56 are mov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portions 61, 62 formed in the drawing member 60. The second projections 55 and 56 are located at the same level as the first projections 53 and 54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in the guide groove portions 61 and 62.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는 모드변환부(910), 화상형성부(920) 및 제어부(930)를 구비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The display panel driver 70 for forming an image o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converter 910, an image forming unit 920, and a controller 930. 9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panel driver 70 for forming an image on the expansion typ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70)는 모드변환부(910), 화상형성부(920) 및 제어부(930)를 구비한다.9, the display panel driver 70 includes a mode converter 910, an image forming unit 920, and a controller 930.

모드변환부(910)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20)에 화상을 출력하는 기본모드 및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화상을 출력하는 확장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대한 정보인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모드변환부(910)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모드선택 스위치의 형태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20)의 인출방식에 대응하는 스위칭방식으로 구현된다. 일예로,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예컨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확 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모드변환버튼이 모드변환부(910)로 기능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인출부재(60)를 이용하여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인출부재(60)와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절환스위치(미도시)가 모드변환부(910)로 기능한다. The mode conversion unit 910 is a mode selection unit that selects one of a basic mode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first display panel 20 and an extended mode for outputting an image to both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And outputs a signal. The mode converter 9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e selection switch in the extended display device 100, and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switch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drawing mod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driven by a motor, for example, a mode conversion button provided in the expansion type display device 100 functions as a mode conversion unit 910. Alternatively, when the user is configured to draw out the second display panel 90 using the drawing member 60, a switching switch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drawing member 60 and the ejection opening is connected to the mode conversion unit 910, .

제어부(920)는 모드변환부(910)로부터 입력된 모드선택신호에 대응하여 화면크기, 화면출력방향 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정보를 화상형성부(92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920)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이 예컨대 모터에 의해 인출되는 경우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제2디스플레이 패널(90)을 기본위치 또는 확장위치로 위치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920)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에 화상이 출력되거나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모두 이용하여 화상이 출력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기본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920)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20)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1디스플레이 패널(80)을 구성하는 소자(예컨대 액정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달리 확장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920)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80,90)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각각의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control unit 920 outputs the image form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creen size, the screen output direction, and the like to the image forming unit 920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mode conversion unit 9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920 drives the motor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90 is drawn out by a motor, for example, to move the second display panel 90 to a basic position or an extended posi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920 supplies power to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display panel so that an image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panel 80 or an image is output us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do. At this time, when the basic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920 supplies power to a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evice) constituting the first display panel 80 so that an image is output to the first display panel 20. Otherwise, when the expansion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920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so that an image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80 and 90. [

화상형성부(93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크기 및 출력방향을 갖는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의 크기 및 출력방향은 모드에 따라 달라진다. 화상은 기본모드의 경우에 세로방향으로 출력되고, 확장모드의 경우에는 가로방향으로 출력된다. 또한 화상의 크기는 기본모드일 경우에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00×800(픽셀)로, 확장 모드일 경우에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1067×800(픽셀)로 설정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section 930 forms an image having a size and an outpu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The size and output direction of the image depends on the mode. The image is out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basic mode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ase of the expansion mod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image can be set to 600 x 800 (pixels) in the case of the basic mode and 1067 x 800 (pixels) in the case of the expanded mode.

도 9a 및 도 9b에는 각각 화상형성부(930)가 기본모드 및 확장모드에 대응하여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기초로 생성한 화상의 출력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의 크기를 소화면으로부터 대화면까지 선택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기능 및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9A and 9B show an example of output of an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forming unit 930 based on the sam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basic mode and the expansion mod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enlarged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the size of an image can be selected from a small screen to a large screen, and thus the display function and portability are very excellent.

미설명한 참조번호 518과 519는 인출홈부(51,52)에 형성된 스토퍼로서, 제1돌기(53,54)가 인출홈부(51,52)의 일측 끝과 타측 끝에 위치하였을 때 원치않는 외력에 의하여 인출홈부(51,5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Reference numerals 518 and 519 are stoppers formed in the lead groove portions 51 and 52. When the first projections 53 and 54 are position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ead groove portions 51 and 52, And is prevented from sliding along the lead groove portions 51 and 52.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핸드폰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xpandabl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도 4a는 도 2의 Ⅳa-Ⅳ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Ⅳb-Ⅳ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4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a-IVa in FIG. 2, and FIG. 4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Vb-IVb in FIG.

도 5a는 도 2의 Ⅴa-Ⅴ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3의 Ⅴb-Ⅴb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3의 Ⅴc-Ⅴc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5A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a-Va in FIG. 2, FIG. 5B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b-Vb in FIG. 3, and FIG. 5C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c-Vc in FIG.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보호창과 보호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protection window and a protection frame of the extended display device shown in FIG.

도 7a는 도 2의 Ⅶa-Ⅶ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3의 Ⅶb-Ⅶ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7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a-VIIa of FIG. 2, and FIG. 7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b-VIIb of FIG.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panel driv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in the expandabl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도 9a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이 기본위치에 있을 때의 출력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확장위치에 있을 때의 출력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9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is in a basic position, and FIG. 9B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is in an extended posi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 본체100 ... Expandable display device 10 ... Body

14 ... 제1보호창 31 ... 제2보호창 14 ... first protection window 31 ... second protection window

40 ... 보호프레임 60 ... 인출부재40 ... protective frame 60 ... withdrawing member

70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 80 ... 제1디스플레이 패널70 ... display panel drive unit 80 ... first display panel

90 ... 제2디스플레이 패널90 ... second display panel

Claims (8)

디스플레이 창과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A main body having a display window and a discharge port;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패널;A first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which i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window;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본위치와,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돌출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는 확장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패널;An image is form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ally changeable between a basic position tha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an extended position that protrudes through a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display panel;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과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형성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A display panel driver configured to form an image on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창에 부착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제1보호창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이 기본위치 및 확장위치로 위치변경시 함께 위치변경 가능한 제2보호창;A first protection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ttached to a display window of the main body to protect the first display panel; a second protection window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to protect the second display panel, A second protective window that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main window and the extended position when the window is changed; 상기 제2보호창이 확장위치에 있을 때 이 제2보호창의 상면과 상기 제1보호창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레벨조절수단; 및Level adjusting means for ca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window to be positioned in the same plane when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is in the extended position; And 상기 제2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보호창과 함께 상기 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삽입 및 돌출가능하도록 상기 제2보호창의 후방에 결합되는 보호프레임;을 포함하며,And a protective frame for protecting the second display panel from being wrapped around and protecting the second display panel together with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and being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cond protection window so as to be inserted and protruded through a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Wherein the level adjusting means comprises: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된 수직홈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인출홈부; 및 A horizontal groov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groove extending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t an end of the horizontal groove and formed in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protective frame; And 상기 인출홈부에 끼워져 이 인출홈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본체와 보호프레임 중 상기 인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And a first protrusion that is fitted to the lead groove and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lead groove, and is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protection frame in which the lead groove is not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은,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may include: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레벨조절수단은, Wherein the level adjusting means comprises: 상기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인출부재와, A draw-out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and in an approaching direction;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와, A guide groove portion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ed on one of the protective frame and the pull-out member,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져 이 가이드홈부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며, 상기 보호프레임과 인출부재 중 상기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otrusion that is fitted to the guide groove and is movable relative to the guide groove and is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guard frame and the lead-out member on which the guide groove is not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는, The display panel driver may include: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을 출력하는 기본모드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화상을 출력하는 확장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대한 정보인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모드변환부;A mode converter for outputting a mode selection signal, which is information on a m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basic mode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first display panel and an extension mode for outputting an image to both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크기 및 출력방향을 갖는 화상을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 모두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 및An image forming unit for forming an image having a size and an outpu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ion signal on both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And 상기 모드선택신호가 기본모드이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모드선택신호가 확장모드이면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패널에 화상이 출력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n image to the first display panel when the mode selection signal is a basic mode and a power supply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when the mode selection signal is an expansion mode;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expanded display device.
KR1020070106932A 2007-10-24 2007-10-24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KR101406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32A KR101406169B1 (en) 2007-10-24 2007-10-24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32A KR101406169B1 (en) 2007-10-24 2007-10-24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56A KR20090041456A (en) 2009-04-29
KR101406169B1 true KR101406169B1 (en) 2014-06-13

Family

ID=4076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32A KR101406169B1 (en) 2007-10-24 2007-10-24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1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KR102396761B1 (en) 2015-04-24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783A (en) * 2003-12-31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movable lc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783A (en) * 2003-12-31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movable lc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456A (en)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91B1 (en) Display expansion type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motion
ES2925875T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components in a folded device
KR20190004618A (en) Display expansion type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motion
RU2347322C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everal key panels
US20050248501A1 (en) Multi display device
JP2016197255A (en) Soft displa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2021523391A (en) Mobile terminals, screen control methods, devices, programs and recording media
US20060223596A1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066430B2 (en) Mobile terminal with sealing structure
KR101810463B1 (en) Mobile terminal
KR10185775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KR20170048232A (en) Expanding display type mobile terminal capable of folding reversely
US11743368B2 (en) Screen component, mobile phone and mobile device
JP2008509593A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3206905B (en) Electronic equipment, loudspeaker sound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TW201315324A (en) Function extend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20210041409A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170310798A1 (en) Mobile terminal
KR101406169B1 (en)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KR20100121970A (en) Hinge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456442B1 (en) Display device having expandable display range
KR20110102076A (en) Mobile-terminal with banding type flexible display
KR101401552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20160124414A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170130342A (en) A portab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