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003B1 -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03B1
KR101405003B1 KR1020120131982A KR20120131982A KR101405003B1 KR 101405003 B1 KR101405003 B1 KR 101405003B1 KR 1020120131982 A KR1020120131982 A KR 1020120131982A KR 20120131982 A KR20120131982 A KR 20120131982A KR 101405003 B1 KR101405003 B1 KR 10140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vehicle
sensor
comman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4548A (en
Inventor
이정일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003B1/en
Publication of KR2014006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6Dynamometric measurement of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2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throttl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2059/183Rate of change of accelerator position, i.e. pedal or throttle change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주행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TCU가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를 분석 및 판별하여,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에 적용 가능한 변속 패턴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TCU가 상기 정의된 변속 패턴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collecting travel information data for a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to grasp a traveling state and a road condition of a vehicle; analyzing and discriminating the traveling information data by the TCU, Defining a shift pattern, and causing the TCU to shift the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pattern defined above.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hanging a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시에, 내부 및 외부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되는 주행 조건에 적합한 변속 패턴을 적시에 결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which is capable of timely determining and applying a shift pattern suitable for running conditions,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shift pattern of the transmission.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공급받아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절하는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변속기는 운전자에 의해서 조절되는 수동변속기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변속기로 구분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transmission that receives power generated by an engine and adjusts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transmission includes a manual transmission that is controlled by a driver, an automatic transmission tha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자동변속기는 차량 내연 기관의 출력 샤프트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액셀러레이터 조작량이나 차량 주행 속도 등의 차량 운전 상태에 따라서 자동 변속기의 변속비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한편, 운전자가 수동 조작으로 변속비를 절환 가능하도록 시프트 다운 스위치, 시프트 업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put shaf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axle so that the speed ratio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operation state such as the accelerator operation amount and the vehicle running speed, A shift-down switch or a shift-up switch may be provided.

통상, 엔진의 토크 저감(ETR ; Engine Torque Reduction) 제어를 위해서는, 자동변속기의 업 시프트(Up Shift) 또는 다운 시프트(Down Shift) 시에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업 시프트시에는 단순 순차 변속에 대해서 변속 지령후 변속 시작 시점에서 토크 정보와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의 개도량 정보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엔진 토크 저감 제어를 일정 구간동안 수행하였다.Generally, in order to control an engine torque reduction (ETR), an automatic transmission is used for an upshift or a downshift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In an upshift, The engine torque reduction control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f the torque information and the ope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throttle valve ar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t the start of the shift after the command.

따라서, 변속중에 변속의 종류 및 제어 구간이 바뀌는 변속시에는 엔진 토크 저감 제어의 수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during the shift in which the type of shift and the control period change during the shift, the execution of the engine torque reduction control does not occur.

또한, 스로틀 밸브의 개방에 의한 변속중에 동력 상태가 변경되는 파워 온 업 시프트가 일어날 때에도 엔진 토크 저감 제어가 없는데, 이는 단순 순차 변속시 변속 시작점에서만 토크나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상태만을 참조하여 제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Even when a power-on upshift occurs in which the power state changes during the shifting due to the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there is no engine torque reduction control. This means that only the torque or throttle opening state of the throttle valve It is because it is performing.

도 1은 종래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변속 패턴이 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ft patter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ning amount and the vehicle speed of a conventional throttle valv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변속 패턴의 결정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트랜스퍼 기어의 회전수 감지에 의한 차속(km/h)의 판단에 의해서만 업/다운 쉬프트를 실행한다. As shown in Fig. 1, the determination of a general speed change pattern only performs the up / down shift by judging the opening amount (%) of the throttle valve and the vehicle speed (km / h) by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fer gear.

또한, 종래에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에 따라 저속기어 구간을 다르게 하여 높은 스로틀 개도에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low-speed gear section is ma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valve, so that the driving force can be obtained at a high throttle opening degree.

관련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2011-0115517호(자동 변속기 및 그 유압 제어 방법)(2011.10.21)가 있다.Related technolog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11-0115517 (automatic transmission and its hydraulic control method) (Oct. 21, 2011).

종래, 차량에 적용되어 있는 변속 패턴은 차량 보호를 위한 보호 패턴과, 차속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로만 결정되는 일반 변속 패턴이 적용되는데, 일반 변속 패턴의 경우는 주행 도로의 경사 상태를 감안한 변속 패턴의 변경 기능도 갖추고 있지만, 이는 경사로에만 국한되어 있는 극히 제한적인 변속 패턴의 변경기능으로서, 일반 변속 패턴을 통해서는 전반적인 도로 상태 및 다양한 차량 주행 조건을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shift pattern applied to a vehicle is applied to a protection pattern for protecting the vehicle and a general shift pattern determined only by the vehicle spee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valve. In the case of a general shift pattern, However, this is a change function of a limited shift pattern limited only to a ramp,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cover the overall road condition and various vehicle driving conditions through the general shift pattern.

더구나, 종래 차량에서는 변속 패턴의 결정시에 예컨대, 스포츠 모드 등과 같이 운전자가 특별히 요구하는 변속 패턴의 모드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특정화된 변속 패턴의 모드로서, 도로 상태 및 차량 주행 조건을 감안하여 변속 패턴을 적절하게 변경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 일일이 변경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vehicle, the mode of the shift pattern specifically required by the driver, for example, a sport mode, etc., can be realiz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when determining the shift pattern. However, this is merely a mode of the specified shift patter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order to appropriately change the shift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condition, manual change by the driver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조건 및 도로 상태를 다양한 센서 데이터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변속 패턴을 클래스 별로 분류하여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주행 상태에 적합한 변속 패턴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000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ed change type shift pattern suitable for various driving conditions by classifying a shift pattern by cla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hanging a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주행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단계, 상기 TCU가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를 분석 및 판별하여,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에 적용 가능한 변속 패턴을 정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TCU가 상기 변속 패턴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for changing a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a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collecting travel information data for grasping a driving state and a road condition of a vehicle, A second step of analyzing and determining data to define a shift pattern applicable to a running state and a road state, and a third step of causing the TCU to shift the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pattern .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로부터의 스로틀 포지션 감지 신호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APS; Accelerator Postion Sensor)로부터의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감지 신호, 차속 센서로부터의 차속 감지 신호,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감지 신호, 휠 센서로부터의 휠 감지 신호, 기울기 센서로부터의 기울기 감지 신호, 브레이크 센서로부터의 브레이크 감지 신호, 엔진 RPM 센서로부터의 RPM 감지 신호, 토크 센서로부터의 토크 감지 신호, 기어 센서로부터의 기어 감지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의 수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irst step, the travel information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throttle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a throttle position sensor (TPS), an accelerator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an accelerator position sensor (APS) An acceleration sensing signal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 wheel sensing signal from the wheel sensor, a tilt sensing signal from the tilt sensor, a brake sensing signal from the brake sensor, a RPM sensing signal from the engine RPM sensor, A torque sensing signal, and a gear sensing signal from a gear sensor.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TCU는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를 선형 판별 기법(LDA; Linear Discrimination Analysis)에 의거하여 분석 및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econd step, the TCU analyzes and discriminates the traveling information data based on a Linear Discrimination Analysis (LDA).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변속 패턴은, 상기 선형 판별 기법(LDA)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변속 패턴 별 클래스 모드 중에서 선별된 특정 클래스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econd step, the shift pattern is a specific class mod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lass modes for each of the predetermined shift patterns according to the linear discrimination technique (LDA).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변속 패턴 별 클래스 모드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액셀러레이터의 포지션, 변속기의 현재 기어 체결 상태, 차속, 가속도, 엔진 RPM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공통(Common) 모드, 차량의 정보 분석이 개입되지 않는 일반 변속 패턴에 따른 노멀(Normal) 모드, 평균 차속, 브레이크 작동 주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이코노미(Economy) 및 파워(Power) 모드, 평균 차속, 차륜의 휠 회전수 차이, 차량의 기울기, 브레이크의 작동 주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홀드(Hold) 모드, 차량의 기울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슬로프(Slope)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econd step, the class mod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hift patterns includes a common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among the throttle opening amount of the throttle valve, the accelerator position, the current gear engagement state of the transmission, the vehicle speed, An Economy mode and a Power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among the normal mode, the average vehicle speed, and the brake operating period is applied in a common mode in which the vehicle information analysis is not intervened, A hold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among an average vehicle speed, a wheel speed difference of a wheel, a slope of a vehicle, an operating period of a brake, and a torque demand of the engine, a slope of the vehicle, And a slope mode in which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상기 제3단계 이전에, 시스템 내부에서 변속 보호 명령이 수행되면, 상기 TCU가 이전의 변속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는 단계, 운전자에 의한 수동 변속 명령이 수행되면, 상기 수동 변속 명령에 따른 변속이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when the shift protection instruction is executed in the system prior to the third step, the TCU maintains the previous shift pattern as it is, and when the manual shift instruction by the driver is performed, the shift according to the manual shift instruction proceeds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제3단계는, 상기 TCU가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 및 상기 변속 패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변속 패턴에 따른 변속 상태가 디스플레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ird step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traveling information data and the shift pattern information in a memory and causing the TCU to display a shift state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on the display.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중에 현재의 주행 조건 및 도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통해 분석 및 판단하여, 현재의 주행 상태에 적합한 조건을 갖는 변속 패턴으로 자동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를 감안한 변속 패턴의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주행시 최적의 연비 유지 및 동력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on current driving conditions and road conditions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is analyzed and determined through various sensor data, and automatic change to a shift pattern having a condition suitable for the current running stat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hift pattern in consideration of various running states and road condition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the optimum fuel economy and improve the power performance at the time of traveling.

도 1은 종래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차속에 따라 변속 패턴이 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이 적용되는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ft patter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ning amount and the vehicle speed of a conventional throttle valv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hift control device to which a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이 적용되는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hift control device to which a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이 적용되는 변속 제어 장치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100),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APS; Accelerator Postion Sensor)(110), 차속 센서(120), 가속도 센서(130), 휠 센서(Wheel Sensor)(140), 기울기 센서(150), 브레이크 센서(Brake Sensor)(160), 엔진 RPM 센서(170), 토크 센서(180), 기어 센서(190), TCU(Transmission Control Unit)(200), 메모리(210) 및, 디스플레이(220)를 포함한다. 2, the shift control device to which the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throttle position sensor (TPS) 100, an accelerator position sensor (APS) A vehicle speed sensor 120, an acceleration sensor 130, a wheel sensor 140, a tilt sensor 150, a brake sensor 160, an engine RPM sensor 170, A torque sensor 180, a gear sensor 190,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200, a memory 210, and a display 220.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0)는 엔진(10)의 스로틀 밸브에 대한 개도량에 따른 스로틀 포지션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스로틀 포지션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throttle position sensor 100 senses the throttle posi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of the engine 10 and generates a throttle position sensing signal accordingly.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0)는 운전자의 액셀러레이터 조작 상태에 따른 액셀러레이터 포지션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accelerator position sensor 110 senses an accelerator position according to an accelerator operation state of the driver and generates an accelerator position sens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차속 센서(120)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차속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차속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senses the vehicle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vehicle speed sensing signal accordingly.

상기 가속도 센서(130)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가속도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acceleration sensor 130 senses a change in acceleration due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n acceleration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휠 센서(140)는 차륜 휠의 차량 주행에 따른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휠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wheel sensor 140 senses the rotation state of the wheel wheel as the vehicle travels, and generates a wheel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기울기 센서(150)는 차량의 경사로 주행에 따른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기울기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inclination sensor 150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inclination detection signal.

상기 브레이크 센서(160)는 운전자의 차속 감소 또는 차량 서행을 위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브레이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brake sensor 160 senses an operation state of the brake pedal for reducing the vehicle speed of the driver or slowing down the vehicle, and generates a brake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상기 엔진 RPM 센서(170)는 엔진(10)의 구동에 따른 회전 RPM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RPM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engine RPM sensor 170 senses a rotational RPM according to driving of the engine 10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RPM sensing signal.

상기 토크 센서(180)는 엔진(10)과 변속기(30)의 사이에 결합된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20)의 회전 토크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토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torque sensor 180 senses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torque converter 20 coupled between the engine 10 and the transmission 30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torque sensing signal.

상기 기어 센서(190)는 변속기(30)의 변속에 따른 기어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기어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gear sensor 190 senses a gear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shift of the transmission 30 and generates a gear sense signal accordingly.

상기 TCU(200)는 차량의 주행시 도로 상태 및 주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스로틀 포지션 센서(100)로부터의 스로틀 포지션 감지 신호와, 상기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0)로부터의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감지 신호, 상기 차속 센서(120)로부터의 차속 감지 신호, 상기 가속도 센서(130)로부터의 가속도 감지 신호, 상기 휠 센서(140)로부터의 휠 감지 신호, 상기 기울기 센서(150)로부터의 기울기 감지 신호, 상기 브레이크 센서(160)로부터의 브레이크 감지 신호, 상기 엔진 RPM 센서(170)로부터의 RPM 감지 신호, 상기 토크 센서(180)로부터의 토크 감지 신호, 상기 기어 센서(190)로부터의 기어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다. The TCU 200 receives a throttle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the throttle position sensor 100, an accelerator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the accelerator position sensor 110,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120, an accelera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130, a wheel detection signal from the wheel sensor 140, a tilt detection signal from the tilt sensor 150, A torque sensing signal from the torque sensor 180, and a gear sensing signal from the gear sensor 190. The torque sensing signal from the engine RPM sensor 170, the torque sensing signal from the torque sensor 180,

상기 TCU(200)는 상기 각 센서들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통해 도로 상태 및 차량 주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집을 수행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 및 정보 분류를 수행하게 되는데, 수집 데이터를 통해 분석되는 주행 정보 데이터로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액셀러레이터의 포지션, 변속기의 현재 기어 체결 상태, 차속, 가속도, 엔진 RPM, 평균 차속, 차륜의 휠 회전수 차이, 차량의 기울기, 브레이크의 작동 주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 등이 해당된다. The TCU 200 collects data for grasping the road condition and the vehicle running condition through the sensing signals from the sensors, and analyzes and classifies the collected data.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to be analyzed includes at least one of a throttle opening amount of the throttle valve, an accelerator position, a current gear engagement state of the transmission, a vehicle speed, an acceleration, an engine RPM, an average vehicle speed, The torque demand of the engine, and the like.

또한, 상기 TCU(200)는 상기 분석된 정보 데이터에 대해 선형 판별 기법(LDA; Linear Discrimination Analysis)을 적용하여 현재의 차량 주행에 적절한 변속 패턴의 클래스 모드를 정의하게 되는데, 기설정된 변속 패턴의 클래스 모드는, 공통(Common) 모드, 노멀(Normal) 모드, 이코노미(Economy) 및 파워(Power) 모드, 홀드(Hold) 모드, 슬로프(Slope) 모드로 분류된다. In addition, the TCU 200 defines a class mode of the shift pattern appropriate for the current vehicle travel by applying a linear discrimination analysis (LDA) to the analyzed information data. The class of the predetermined shift pattern The modes are classified into a common mode, a normal mode, an economy and power mode, a hold mode, and a slope mode.

상기 공통 모드에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액셀러레이터의 포지션, 변속기의 현재 기어 체결 상태, 차속, 가속도, 엔진 RPM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고, 상기 노멀 모드는, 차량의 정보 분석이 개입되지 않는 일반적인 변속 패턴을 갖는다. In the common mod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a throttle valve, an accelerator position, a current gear engagement state of the transmission, a vehicle speed, an acceleration, and an engine RPM are applied. The normal mode is a general mode in which information analysis of a vehicle is not intervened And has a shift pattern.

상기 이코노미 및 파워 모드는, 평균 차속, 브레이크 작동 주기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고, 상기 홀드 모드는, 평균 차속, 차륜의 휠 회전수 차이, 차량의 기울기, 브레이크의 작동 주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된다. In the economy mode and the power mode, driving information data of an average vehicle speed and a brake operation period are applied. The hol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average vehicle speed, the wheel speed difference of the wheel, the slope of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또한, 상기 슬로프 모드는, 차량의 기울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된다. In the slope mode, running information data of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and the torque demand amount of the engine are applied.

여기서, 상기 TCU(200)는 빈번한 변속 패턴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에 동일한 변속 패턴이 요구될 때에만 해당 변속 패턴의 변경을 수행하도록 한다. Here, the TCU 200 may change the shift pattern only when the same shift pattern is reque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prevent frequent change of the shift pattern.

한편, 상기 선형 판별 기법(LDA)은 클래스 내의 분산을 나타내는 데이터 행렬과 클래스 간의 분산을 나타내는 데이터 행렬의 비율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선형적 변환 방법으로서,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들의 집합들 사이를 가장 잘 구분하는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ar discriminant method (LDA) is a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for maximizing a ratio of a data matrix representing a variance within a class to a data matrix representing a variance between classe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components that are well-distinguished.

또한, 선형 판별 기법(LDA)은 입력 데이터를 클래스 공간으로 매핑(Mapping)하여 유클리디안 거리 등에 기반하여 클래스 확인을 할 수 있도록 최적의 선형판별함수를 산출하는 기법이다. In addition, the linear discriminant technique (LDA) is a technique for calculating an optimal linear discriminant function for class identification based on Euclidean distance by mapping input data to a class space.

상기 메모리(210)는 운전자에 의한 수동 변속 명령에 의한 변속과, 변속 보호 명령에 의한 변속 패턴, 클래스 모드의 변속에 의해 정의된 클래스의 변속 패턴 적용시에, 상기 수집 정보 데이터 및 변속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210 stores the collec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shift pattern information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shift pattern by the manual shift instruction by the driver, the shift pattern by the shift protection instruction, and the shift pattern of the class defined by the shift of the class mode .

상기 디스플레이(220)는 상기 TCU(200)의 표시 제어하에, 현재 변속 패턴의 적용에 의한 변속 진행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 가능하게 디스플레이 표시한다. Under the display control of the TCU 200, the display 220 displays the shift progress state by application of the current shift pattern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it.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의 동작에 대해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hift pattern changing method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TCU(200)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100),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110), 차속 센서(120), 가속도 센서(130), 휠 센서(140), 기울기 센서(150), 브레이크 센서(160), 엔진 RPM 센서(170), 토크 센서(180), 기어 센서(190)로부터의 각각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서, 차량의 주행에 따른 정보 데이터를 각각 수집한다(S10).First,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TCU 200 includes a throttle position sensor 100, an accelerator position sensor 110, a vehicle speed sensor 120, an acceleration sensor 130, a wheel sensor 140, a tilt sensor 150, the brake sensor 160, the engine RPM sensor 170, the torque sensor 180 and the gear sensor 190, and collects th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respectively (S10 ).

그 상태에서, 상기 TCU(200)는 선형 판별 기법(LDA)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분석 및 판별하게 되고(S11), 상기 정보 데이터의 분석 및 판별 결과로, 기설정된 공통 모드, 노멀 모드, 이코노미 및 파워 모드, 홀드 모드, 슬로프 모드 중에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에 적정한 변속 패턴의 클래스 모드를 정의한다(S12).In this state, the TCU 200 analyzes and discriminates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using the linear discrimination technique (LDA) (S11),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discrimination of the information data, The class mode of the shift pattern appropriate for the current vehicle running state and the road condition is defined in the mode, economy and power mode, hold mode, and slope mode (S12).

이 때, 상기 TCU(200)는 상기 정의된 클래스 모드에 대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동일 변속 패턴이 요청되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3).At this time, the TCU 200 checks the hysteresis for the defined class mod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ame shift pattern is reque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S13).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 히스테리시스의 체크를 통해 소정 시간동안 동일 변속 패턴이 요청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TCU(200)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을 통해 변속 명령이 발생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한다(S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shift pattern is reques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checking the mode hysteresis, the TCU 200 determines whether a shift command is generated through the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S14) .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속 명령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TCU(200)는 상기 변속 명령이 차량의 변속 보호 로직에 근거한 변속 보호 명령인지를 판단한다(S1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is generated, the TCU 200 determines whether the shift command is a shift protection command based on the shift protection logic of the vehicle (S15).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속 명령이 차량의 변속 보호 로직에 근거한 변속 보호 명령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변속 패턴을 변경하지 않고 현재의 변속 패턴을 그대로 유지한다(S16).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corresponds to the shift protection command based on the shift protection logic of the vehicle, the current shift pattern is maintained without changing the shift pattern (S16).

반면에, 상기 S15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TCU(200)는 상기 변속 명령이 변속 보호 명령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변속 명령이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수동 변속 명령인지를 판단한다(S17).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shift protection command (S15), the TCU 200 determines whether the shift command is a manual shift command by manual operation of the driver (S17) .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속 명령이 수동 변속 명령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TCU(200)는 상기 수동 변속 명령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변속을 진행하도록 유압 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S18).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corresponds to the manual shift command, the TCU 200 controls the hydraulic control unit 40 to advance the shif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manual shift command (S18) .

하지만, 상기 S17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TCU(200)는 상기 변속 명령이 수동 변속 명령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S12 단계에서 정의된 클래스 모드 변속에 따른 변속 명령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정의된 변속 패턴의 클래스 모드에 따라 유압 제어 장치(40)를 제어하여 변속기(30)가 현재 차량 주행 상황에 적정한 변속을 진행하도록 한다(S19).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7 that the shift command is not a manual shift command, the TCU 200 determines that the command is a shift command according to the class mode shift defined in step S12,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40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lass mode of the shift pattern so that the transmission 30 advances the shift appropriate for the current vehicle driving situation (S19).

한편, 상기 S16 단계나, S18 단계 또는 S19 단계의 진행 상태에서, 상기 TCU(200)는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데이터와 함께, 현재 진행중인 변속 패턴의 정보를 메모리(21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상기 변속 보호 명령에 따른 변속 패턴의 유지 상태나, 수동 변속 진행 상태 또는 상기 정의된 클래스 모드의 변속 패턴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 표시되도록 한다(S20).On the other hand, in step S16, S18, or S19, the TCU 200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hift pattern in the memory 210 together with the travel information data of the collected vehicle, (Step S20), the shift state of the shift pattern according to the shift protection command, the manual shift progress state, or the shift pattern progress state of the defined class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via the input /

그 다음에, 상기 TCU(200)는 차량의 주차 또는 일시 정차에 따라 차속이 "0"이 되는 상태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21), 차속이 "0"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S10 단계로 복귀하여 S10 내지 S20까지의 단계를 재차 수행하게 된다. Next, the TCU 200 determines whether a vehicle speed is detected to be "0" according to parking or temporary stop of the vehicle (S21). If the vehicle speed does not become "0 & And the steps S10 to S20 are performed again.

반면에, 상기 TCU(200)는 차속이 "0"이 되는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변속기(30)의 변속 패턴이 초기의 세팅 모드 즉, 노멀 모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제어 장치(40)를 제어한다(S22).On the other hand, when the TCU 200 senses that the vehicle speed becomes "0 ", the TCU 200 controls the hydraulic control unit 40 (S22).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엔진 20:토크 컨버터
30:변속기 40:유압 제어 장치
100:스로틀 포지션 센서 110: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
120:차속 센서 130:가속도 센서
140:휠 센서 150:기울기 센서
160:브레이크 센서 170:엔진 RPM 센서
180:토크 센서 190:기어 센서
200:TCU 210:메모리
220:디스플레이
10: engine 20: torque converter
30: Transmission 40: Hydraulic control device
100: Throttle position sensor 110: Accelerator position sensor
120: vehicle speed sensor 130: acceleration sensor
140: Wheel sensor 150: Tilt sensor
160: Brake sensor 170: Engine RPM sensor
180: torque sensor 190: gear sensor
200: TCU 210: Memory
220: Display

Claims (7)

TCU(Transmission Control Unit)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의 차량 주행 상태 및 도로 상태에 적정한 변속 패턴의 클래스 모드를 정의하는 제2 단계;
상기 정의된 클래스 모드에 대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동일 변속 패턴이 요청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판단에 따라, 소정 시간동안 동일 변속 패턴이 요청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을 통해 변속 명령이 발생하는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의 판단에 따라, 차량의 내부 시스템을 통해 상기 변속 명령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변속 명령이 차량의 변속 보호 로직에 근거한 변속 보호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의 판단에 따라, 상기 변속 명령이 차량의 변속 보호 로직에 근거한 변속 보호 명령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변속 패턴을 변경하지 않고 현재의 변속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6 단계;
상기 제5 단계의 판단에 따라, 상기 변속 명령이 변속 보호 명령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변속 명령이 운전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수동 변속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의 판단에 따라, 상기 변속 명령이 수동 변속 명령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동 변속 명령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변속을 진행하도록 유압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제7 단계의 판단에 따라, 상기 변속 명령이 수동 변속 명령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의된 클래스 모드 변속에 따른 변속 명령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정의된 변속 패턴의 클래스 모드에 따라 상기 유압 제어 장치를 제어하여 변속기가 현재 차량 주행 상황에 적정한 변속을 진행하게 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
A first step of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collecting driving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A second step of defining a class mode of a shift pattern appropriate for a current vehicle driving condition and a road con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data;
A third step of checking hysteresis for the defined class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ame shift pattern is reque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hift command is generated through an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when the same shift pattern is reque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third step;
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hift command is a shift protection command based on the shift protection logic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fourth step that the shift command is generated through the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A sixth step of maintaining the current shift pattern without changing the shift patter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corresponds to the shift protection command based on the shift protection logic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ifth step.
A seven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hift command is a manual shift command by manual operation of the dri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does not correspond to a shift protec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ifth step;
An eighth step of controlling the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so as to progress the shif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manual shift control comm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corresponds to the manual shift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step 7;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hift comm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manual shift comm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eventh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and is a shift command based on the defined class mode shift, And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to cause the transmission to advance a shift appropriate for the current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로부터의 스로틀 포지션 감지 신호와,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센서(APS; Accelerator Postion Sensor)로부터의 액셀러레이터 포지션 감지 신호, 차속 센서로부터의 차속 감지 신호,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가속도 감지 신호, 휠 센서로부터의 휠 감지 신호, 기울기 센서로부터의 기울기 감지 신호, 브레이크 센서로부터의 브레이크 감지 신호, 엔진 RPM 센서로부터의 RPM 감지 신호, 토크 센서로부터의 토크 감지 신호, 기어 센서로부터의 기어 감지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신호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
2.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throttle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a throttle position sensor (TPS), an accelerator position sensing signal from an accelerator position sensor (APS), a vehicle speed sensing signal from a vehicle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ing signal from an acceleration sensor , A wheel detection signal from the wheel sensor, a tilt detection signal from the tilt sensor, a brake detection signal from the brake sensor, an RPM detection signal from the engine RPM sensor, a torque detection signal from the torque sensor, Wherein the at least one sensing signal is collected through at least one sensing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모드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액셀러레이터의 포지션, 변속기의 현재 기어 체결 상태, 차속, 가속도, 엔진 RPM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공통(Common) 모드, 차량의 정보 분석이 개입되지 않는 일반 변속 패턴에 따른 노멀(Normal) 모드, 평균 차속, 브레이크 작동 주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이코노미(Economy) 및 파워(Power) 모드, 평균 차속, 차륜의 휠 회전수 차이, 차량의 기울기, 브레이크의 작동 주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홀드(Hold) 모드, 차량의 기울기, 엔진의 토크 요구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행 정보 데이터가 적용되는 슬로프(Slope)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 common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from among the opening amount of the throttle valve,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the current gear engagement state of the transmission, the vehicle speed, the acceleration and the engine RPM, An Economy mode and a Power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among a normal mode, an average vehicle speed and a brake operating period according to the average vehicle speed, the average vehicle speed, the wheel speed difference of the wheel, A slope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from among a hold mode in which at least one running information data is applied among an operating cycle of the engine, a slope of the vehicle, Wherein the shifting pattern changing step includes the step of changing the shifting patter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CU가 상기 주행 정보 데이터 및 상기 변속 패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변속 패턴에 따른 변속 상태가 디스플레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 변경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CU stores the driving information data and the shift pattern information in a memory and causes the shift state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KR1020120131982A 2012-11-20 2012-11-20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1405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82A KR101405003B1 (en) 2012-11-20 2012-11-20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82A KR101405003B1 (en) 2012-11-20 2012-11-20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48A KR20140064548A (en) 2014-05-28
KR101405003B1 true KR101405003B1 (en) 2014-06-10

Family

ID=5089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82A KR101405003B1 (en) 2012-11-20 2012-11-20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0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486A (en) * 1996-12-06 1998-06-23 Toyota Motor Corp Vehicle control device
KR100306020B1 (en) 1999-02-22 2001-10-29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Speed-change pattern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otor vehe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486A (en) * 1996-12-06 1998-06-23 Toyota Motor Corp Vehicle control device
KR100306020B1 (en) 1999-02-22 2001-10-29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Speed-change pattern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otor vehe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48A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5637B (en) By the Active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the vehicle for learning type of drive
CN103206525B (en) The control gea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6507780B2 (en) Controller for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US90675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train
JP2009518601A (en) How to select gea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n steep uphill driving conditions
JP2006321364A (en) Vehicle driving condi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91000437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CN107401604B (en) The gear shift indicator of vehicle
KR2022008057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4538306B2 (en) Shif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405003B1 (en) Method for Transfering Transmission Shift Patter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N102235483A (en) Speed-changing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speed-changing device
JP4395718B2 (en) Vehicle start control device
CN106976456A (en) Hybrid-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674166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lutch control device
JP5974606B2 (en) Shift control device
JP5488672B2 (en) Vehicle engine brake control device
JPH0324362A (en) Speed change control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JPS646436Y2 (en)
JP4703957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35402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uel of auto transmission in vehicle
JP5181867B2 (en) Vehicle engine brake control device
JP2005147215A (en) Speed change control unit for vehicle
JP2008222175A (en) Vehicle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JP2009052723A (en) Downshift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downshift learn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