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889B1 -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889B1
KR101404889B1 KR1020070072921A KR20070072921A KR101404889B1 KR 101404889 B1 KR101404889 B1 KR 101404889B1 KR 1020070072921 A KR1020070072921 A KR 1020070072921A KR 20070072921 A KR20070072921 A KR 20070072921A KR 101404889 B1 KR101404889 B1 KR 10140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audio signal
inpu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9541A (en
Inventor
전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889B1/en
Publication of KR2009000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가 입력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쉬프트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음성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하고,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쉬프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쉬프트기와,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음성 판단기와,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by an electronic device and a shift audio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audio signal by a first frequency and shifts the audio signal by a second frequency when a audio signal is input, A voice discriminat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outputting a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and a voice detector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a mixer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and the shift sound signal when the signal is inputted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and the shift sound signal when the sound signal is not inputted to the frequency shifter .

Binaural Beat, 입체비트, 쉬프트, Shift, 주파수, Frequency Binaural Beat, Stereo Bit, Shift, Shift, Frequency, Frequency

Description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0001]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0002]

본 발명은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utputting a signal.

사람의 뇌파는 머리표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인데, 이것의 근원은 흥분뉴런의 세포막을 통해 지나가는 이온들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이다.Human brain waves are electrical signals originating from the surface of the head, the source of which is the current generated by ions passing through the cell membrane of excitable neurons.

삭제delete

상기 뇌파는 EEG(Electro Encephalo Graphy)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사람의 머리표면에 (+, -)전극이 부착되어 측정되는데, 100만배의 전압증폭이 되어야 상기 뇌파가 측정되어 두뇌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EEG is measured by attaching a (+, -) electrode to the surface of a person's head using an EEG (Electro Encephalo Graphy). When the voltage is amplified by one million times, the EEG is measured to indirectly determine the state of the brain .

상기 측정된 뇌파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 각기 다른 사람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데, 각 주파수 범위에 따른 뇌파 및 심리상태는 하기의 <표 1>과 같다.The measured EEG shows the psychological state of each pers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The EEG and the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each frequency range are shown in Table 1 below.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뇌파EEG 심리상태 Psychological state > 40 Hz ... > 40 Hz 감마파Gamma wave 13 ~ 40 Hz13-40 Hz 베타파Beta wave 긴장Tension 7 ~ 13 Hz7 ~ 13 Hz 알파파Al Papa 이완relaxation 4 ~ 7 Hz4 to 7 Hz 쎄타파Theta pa 수면, 명상Sleep, meditation < 4 Hz ... <4 Hz 델타파Delta wave 매우 깊은 수면Very deep sleep

상기 <표 1>에서 예를 들어, 뇌의 주파수 범위가 4 ~ 7Hz의 신호를 보이면 사람의 심리상태가 수면이나 명상에 접어든 상태이고, 주파수 범위가 7 ~ 13Hz의 신호를 보이면 사람의 심리상태가 이완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In Table 1, for example, if the frequency range of the brain is a signal of 4 to 7 Hz, if the human psychological state is in the state of sleeping or meditation, and the frequency range is in the range of 7 to 13 Hz, Is in a relaxed state.

따라서, 뇌의 주파수 즉, 뇌파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사람의 심리상태를 나타내는데, 강제적인 뇌파유도로 상기 뇌파를 변환시키면 사람의 심리상태가 변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에 인위적으로 사람의 심리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뇌파유도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고안되었다. 즉, 이러한 뇌파유도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두 개의 정현파를 사람의 귀를 통해 들려주면, 뇌는 상기 두 개 정현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인지하게 되는데 이것을 입체비트(Binaural Beat)라고 한다. Therefore, the frequency of the brain, that is, the EEG shows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person who changes every moment,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person changes when the EEG is converted into a forced EEG induction. Thus, a device for inducing the brain wave induction in order to artificially induce a psychological state of a person has been devised. In other words, when the brain wave guiding device reproduces two sinusoidal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through the human ear, the brain recognize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nusoidal waves, which is referred to as a binaural beat.

상술한 것을 종합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를 사람의 양쪽 귀에 들려주면 뇌의 주파수가 상기 주파수 차이와 동조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람의 심리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론이 뇌파 유도기의 원리이다. In other words, if a sinusoid with a different frequency is heard in both ears of a person, the frequency of the brain will be synchronized with the frequency difference, thereby inducing a psychological change in the person. It is a principle.

예를 들어, 오른쪽 귀에 기준 주파수인 400Hz의 정현파를 들려주고 왼쪽 귀에 410Hz의 정현파를 들려주면, 뇌에서는 상기 정현파들의 차이에 해당하는 10Hz를 인지하게 되고, 뇌의 주파수 역시 10Hz로 변화된다. 즉, 상기 뇌의 주파수가 변화하면 상기 <표 1>에 도시된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심리상태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체비트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정현파들의 주파수 차이는 40Hz이하여야 입체비트의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상기 정현파들의 주파수 차이가 40Hz를 초과하면 사람은 상기 정현파들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소리로 분별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when a sinusoidal wave of 400 Hz, which is a reference frequency, is played in the right ear and a sinusoidal wave of 410 Hz is played in the left ear, the brain recognizes 10 Hz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sinusoidal waves and the frequency of the brain also changes to 10 Hz. That is, when the frequency of the brain changes, it changes into a psychologic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range shown in Table 1. The frequency difference of the sinusoidal waves for representing the stereoscopic bit should be 40 Hz or less so that a stereoscopic bit effect is obtained. If the frequency difference of the sinusoidal waves exceeds 40 Hz, a human can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of the sinusoidal waves, .

상술한 뇌파 유도기는 다양한 응용에 쓰일 수 있으며 특히, 강의를 녹음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두 개의 정현파를 상기 강의에 첨가해, 상기 강의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는 것에도 쓰인다.The above-described EEG inducer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 particular, it is also used for recording lectures and adding two sinusoidal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to the lecture, thereby enhancing concentration on the lecture.

일예로서 하기에 상기 뇌파 유도기의 동작을 설명한다.As an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brain-wave inducing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를 부가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dding sinusoidal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to a voice signal input to an EEG i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정현파 쉬프트기(100)는 미리 기준 주파수로 입력된 정현파에서 상기 정현파와 주파수가 일정차이가 나는 쉬프트된 정현파를 생성하고, 이어폰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에 상기 정현파와 상기 쉬프트된 정현파를 부가하여 출력한다.The sine wave shifter 100 generates a shifted sinusoidal wave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sinusoidal wave inputted at a reference frequency in advance and outputs the sinusoidal wave and the shifted sinusoidal wave to the audio signal output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earphone, And outputs i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두 개의 정현파를 생성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generating two sinusoidal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in the EEG i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기준 주파수인 정현파(200)는 정현파 쉬프트기(100)에 의해 가로축 주파수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쉬프트 되어 쉬프트된 정현파(210)가 생성되며, 상기 일정한 간격은 상기 정현파 쉬프트기(100)에 의해 상기 <표 1>에 도시된 40Hz이하의 범위에서 지정되어진다.The sinusoidal wave 200, which is a reference frequency, is shifted by a sinusoidal wave shifter 10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to generate a shifted sinusoidal wave 210, and the constant interval is shifted by the sinusoidal wave shifter 100, Is specified in a range of 40 Hz or less as shown in Table 1.

상술한 방법은 다양한 상용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현파는 귀에 거슬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제품에서는 기준 주파수를 변경하기도 하고,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정현파에 매우 작은 잡음을 더해서 사용자가 좀더 편안하게 들을 수 있게 하는 것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used in various commercial products. However, sinusoidal waves are often disturbing to the ear, so in most products, the reference frequency is changed, and another way is to add very little noise to the sinusoidal wave so that the user can listen more comfortably.

하지만, 상기와 같이 기준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작은 잡음을 더해도 사용자는 귀에 거슬리는 소리를 장시간 참고 들어야 한다. 이는 일정시간 이상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두 개의 정현파 소리를 들어야만, 입체비트 효과가 지속되어 뇌파유도가 되기 때문이다. However, even if the reference frequency is changed or a small noise is add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hould listen to the unpleasant sound for a long time. This is because the stereophonic effect continues to induce EEG if only two sinusoidal sound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re receiv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인터넷 강의업체들은 학습 중에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체비트 효과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제공중인 컨텐츠에 단순히 정현파를 더해서 재생시킴으로써 뇌파를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귀에 거슬리는 정현파를 장시간 들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컨텐츠의 음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정현파의 음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음성 신호는 많은 부분이 묵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실제 음성이 아닌 묵음구간을 이용하여 입체비트를 수행할 경우, 상기 입체비트의 효과는 음성이 있는 구간에서만 발생하고 묵음구간에서는 발생하지 않아서 단절감을 느낄 뿐 아니라, 일정시간 입체비트 효과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뇌파유도 효과 역시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ternet lecturers are using stereoscopic bit effect to improve concentration during learning. To this end, they are inducing EEG by simply adding sinusoidal waves to the contents being provided and reproducing them. However, even in the case of using such a service, since the user must listen to a sinusoidal wave which is disconcerted to the user for a long tim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ontent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inusoidal wave. In addition, a large part of the voice signal is composed of silence. Therefore, when the stereoscopic bit is performed using the silent interval instead of the actual voice,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stereoscopic bit occurs only in a voice section and does not occur in a silent sec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duction effect of EEG is also decreas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뇌파유도를 위해 필요한 정현파 대신에 입력되는 음향 자체를 쉬프트시켜 뇌파유도를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EEG by shifting an input sound itself instead of a sine wave required for inducing EEG.

본 발명은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정현파 사용하지 않고 뇌파를 유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brain waves without using sine waves in providing contents including a voice signal.

본 발명은 상기 컨텐츠의 묵음 구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silent section of the content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입력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쉬프트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음성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하고,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쉬프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쉬프트기와,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음성 판단기와,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lectronic device outputs a shift sound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input sound signal and the sound signal by a first frequency, shifts the sound signal by a second frequency when a sound signal is input, A frequency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peech signal is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 speech detector for outputting the speech signal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a mixer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shift audio signal when the audio signal and the shift audio signal are not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기기에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전자기기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하여,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저장된 음향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하여,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of outputting a signal in an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shifting the voice signal by a first frequency when the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Outputting a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speech signal and the speech signal by a first frequency; shifting an acoustic signal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y a second frequency when the speech signal is not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outputting a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acoustic signal and the acoustic signal by a second frequ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컨텐츠등에 녹음되어 있는 음성 신호에 대해 주파수 쉬프트를 실시하고 상기 음성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묵음구간에서는 사용자가 선정한 음향 신호에 대해 주파수 쉬프트를 실시하여 단절감 없는 입체비트 효과를 얻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requency shift is performed on a voice signal recorded on a content or the like, and a frequency shift is performed on a sound signal selected by a user in a silent section in which the voice signal does not exist, thereby obtaining a stereoscopic bit effect without interruption.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음성이 존재하는 구간만이 아니라 묵음구간에서도 사용자가 선정한 임의의 소리에도 주파수를 쉬프트하기 때문에 단절감 없이 뇌파유도를 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nducing an EEG without disconnection because it shifts frequencies to arbitrary sounds selected by a user not only in a section where a voice exists, but also in a silence s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뇌파를 유도하기위해 정현파를 사용하지 않고, 모노 음성 신호와 상기 모노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주파수대역에서 쉬프트하여, 원래의 주파수와 쉬프트된 주파수를 각 양쪽 귀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ift the original sound frequency and the shifted sound frequency in the frequency band by shifting the mono sound signal and the sound signal outputted when the mono sound signal is not outputted without using a sinusoidal wave to induce EEG, And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 to both ear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서 모노 음성 신호에 대한 주파수 쉬프트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shifting apparatus for a mono voice signal in an EEG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파수 쉬프트기(320)는 주파수 쉬프트기1(300)과 주파수 쉬프트기2(310)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노 음성 신호와 모노 음향 신호로 구성된 모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노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쉬프트 한다. 여기서, 모노 신호란 왼쪽과 오른쪽으로 분리되어 출력될 시, 상기 왼쪽과 오른쪽 모두 똑같은 음량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말한다.The frequency shifter 320 comprises a frequency shifter 1 300 and a frequency shifter 2 310 and receives a mono signal composed of a mono voice signal and a mono sound signal to shift the frequency band of the mono signal . Here, a mono signal refers to a signal output at the same volume at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when separated from left and right.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1(300)은 상기 모노 음성 신호를 받아 상기 모노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쉬프트하여, 상기 모노 음성 신호와 상기 쉬프트된 모노 음성 신호를 믹서기(340)로 출력한다.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2(310)는 상기 모노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노 음향 신호의 주파수를 쉬프트하여, 상기 모노 음향 신호와 상기 쉬프트된 모노 음향 신호를 상기 믹서기(340)로 출력한다.The frequency shifter 300 shifts the frequency of the mono voice signal by receiving the mono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mono voice signal and the shifted mono voice signal to the mixer 340. The frequency shifter 2 310 receives the mono sound signal, shifts the frequency of the mono sound signal, and outputs the mono sound signal and the shifted mono sound signal to the mixer 340.

음성 판단기(330)는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320)로 입력되는 상기 모노 신호에 음성이 존재하는지, 묵음구간인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믹서기(340)로 출력한다.The voice determiner 330 outputs to the mixer 340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no signal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320 includes a voice or a silence period.

상기 믹서기(340)는 상기 음성 판단기(3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존재 여부 결과에 따라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320)에 입력되는 모노 신호에서 음성의 존재여부를 인지한다. 상기 믹서기(340)는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1(300)의 출력인 모노 음성 신호와 쉬프트된 모노 음성 신호를 출력하지만, 음성이 없는 묵음구간을 인지하면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2(320)의 출력인 모노 음향 신호와 쉬프트된 모노 음향 신호를 이어폰의 각 왼쪽과 오른쪽에 출력한다.The mixer 340 recogni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ice in a mono signal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320 according to a voice presence or absence result output from the voice determiner 330. The mixer 340 outputs a mono voice signal and a mono voice signal that are output from the frequency shifter 300. If the silence period without voice is recognized, And outputs a sound signal and a shifted mono sound signal to each left and right of the earphon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서 모노 음성 신호에 대한 주파수 쉬프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4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requency shifting apparatus for a mono voice signal in an EE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0단계에서 주파수 쉬프트장치는 모노 음성 신호와 모노 음향 신호로 구성된 모노 신호를 입력받는다.In step 400, the frequency shift device receives a mono signal composed of a mono voice signal and a mono sound signal.

410단계에서는 주파수 쉬프트기1(300)로 입력되는 상기 모노 음성 신호에서 음성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음성이 존재하면 420단계로 진행하고 묵음구간이라면 440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410, it is determined whether a voice exists in the mono voice signal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300. If the voice exist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20. If it is a silence period,

상기 420단계에서는 상기 모노 음성 신호에 대해 주파수 쉬프트를 실시하여, 상기 모노 음성 신호와 상기 모노 음성 신호의 주파수가 쉬프트된 모노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In step 420, a frequency shift is performed on the mono voice signal to output a mono voice signal in which the frequencies of the mono voice signal and the mono voice signal are shifted.

430단계에서는 상기 모노 음성 신호와 상기 모노 음성 신호의 주파수가 쉬프트된 모노 음성 신호를 이어폰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출력한다.In step 430, a mono voice signal whose frequency is shifted from the mono voice signal and the mono voice signal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earphone signals.

상기 440단계에서는 상기 모노 음향 신호에 대해 주파수 쉬프트를 실시하여, 상기 모노 음향 신호와 상기 모노 음향 신호의 주파수가 쉬프트된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In step 440, a frequency shift is performed on the mono sound signal to output a mono sound signal in which the frequencies of the mono sound signal and the mono sound signal are shifted.

450단계에서는 상기 410단계에서 상기 모노 음성 신호에서 묵음구간을 판단했기 때문에, 상기 모노 음향 신호와 상기 모노 음향 신호의 주파수가 쉬프트된 모노 음향 신호를 이어폰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출력한다.In step 450, since the silent interval is determined in step 410, the mono sound signal in which the frequencies of the mono sound signal and the mono sound signal are shifted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earphone signals.

본 발명은 입력되는 신호에서 음성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 후, 전체신호대역의 주파수를 쉬프트하여 새로운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정현파를 첨가하지 않고, 상기 신호대역과 상기 신호대역의 주파수가 쉬프트된 신호대역에서 상기 음성이 존재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음성에 대한 입체비트를 수행하고, 상기 묵음구간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이나 효과음등을 넣은 음향 신호에 대한 입체비트를 수행하여 뇌파유도가 단절감 없이 유도되는 일예를 설명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speech is present in an input signal, and then generates a signal having a new frequency by shifting the frequency of the entire signal band. And a controller for performing a stereo bit for the voice in a section where the voice is present in a signal band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gnal band and the signal band are shifted without adding a sinusoidal wave, And a stereo bit for an acoustic signal into which an audiovisual signal is input, thereby inducing an EEG induction without any sense of discomfort.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를 부가하는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dding a sinusoidal wave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to a speech signal input to an EEG induction uni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두 개의 정현파를 생성하는 도면FIG. 2 is a diagram for generating two sinusoidal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in the EEG in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서 모노 음성 신호에 대한 주파수 쉬프트장치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shifting apparatus for a mono voice signal in an EEG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파 유도기에서 모노 음성 신호에 대한 주파수 쉬프트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4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requency shifting apparatus for a mono voice signal in an EEG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전자기기에 있어서,In the electronic device, 입력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쉬프트 음향 신호를 출력하며, 음성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하고,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쉬프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쉬프트기와,And outputs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o a second frequency shifter,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o a second frequency shifter, A frequency shifter for outputting a shifted voice signal shifted by a frequency,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음성 판단기와,A voice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outpu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 mixer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shift audio signal when the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shift audio signal when the audio signal is not inputted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an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하고,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향 신호를 상기 믹서기로 출력하는 제1주파수 쉬프트기와,Wherein the frequency shifter includes a first frequency shifter that shifts the acoustic signal by the first frequency and outputs the acoustic signal and the shift acoustic signal to the mixer,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하고,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향 신호를 상기 믹서기로 출력하는 제2주파수 쉬프트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second frequency shifter which shifts the voice signal by the second frequency and outputs the acoustic signal and the shift acoustic signal to the mix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믹서기는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성 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소리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주파수 쉬프트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쉬프트 음향 신호를 각각 상기 두 개의 소리 출력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Wherein the mixer outputs the audio signal and the shift audio signal to two sound output units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he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when the audio signal is not input to the frequency shifter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and the shift sound signal to the two sound output units, respectively. 전자기기에서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outputting a signal in an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하여,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Outputting a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speech signal by a first frequency and shifting the speech signal and the speech signal by a first frequency when the speech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기기에 저장된 음향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하여,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출력 방법.And outputting a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acoustic signal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y a second frequency and shifting the acoustic signal and the acoustic signal by a second frequency when the audio signal is not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 RTI &gt;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음성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제1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두 개의 소리 출력부로 각각 출력되며, Wherein when the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a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by the first frequency is output to two sound output units respectively located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제2주파수만큼 쉬프트한 신호는 각각 상기 두 개의 소리 출력부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출력 방법.Wherein when the audio signal is not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a signal obtained by shifting the acoustic signal and the acoustic signal by the second frequency is output to the two sound output units. 삭제delete
KR1020070072921A 2007-07-20 2007-07-20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KR101404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921A KR101404889B1 (en) 2007-07-20 2007-07-20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921A KR101404889B1 (en) 2007-07-20 2007-07-20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41A KR20090009541A (en) 2009-01-23
KR101404889B1 true KR101404889B1 (en) 2014-06-09

Family

ID=4048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921A KR101404889B1 (en) 2007-07-20 2007-07-20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88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38A (en) * 2004-10-06 2006-04-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lpha-wave generator for multi channel sound system
KR100941135B1 (en) 2009-02-13 2010-02-09 (주)다보산업 Apparatus for inducing brain wave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38A (en) * 2004-10-06 2006-04-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lpha-wave generator for multi channel sound system
KR100941135B1 (en) 2009-02-13 2010-02-09 (주)다보산업 Apparatus for inducing brain wave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41A (en) 200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5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binaural beat from a stereo audio signal
Stuart et al. Effect of monaural and binaural altered auditory feedback on stuttering frequency
US9191764B2 (en) Binaural audio signal-based applications
KR100941135B1 (en) Apparatus for inducing brain wave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JP2010164970A (en) Audio system and output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50005661A1 (en) Method and process for reducing tinnitus
Glyde et al. Effect of audibility on spatial release from speech-on-speech masking
Stelmachowicz et al. Long-term and short-term characteristics of speech: implications for hearing aid selection for young children
KR200486563Y1 (en) Apparatus for enhancing concentration using sound and sound output device therefor
US20150049879A1 (en) Method of audio processing and audio-playing device
Freyman et al. Spatial release from masking with noise-vocoded speech
KR101404889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output a signal
Thomas et al. Interactions among talker sex, masker number, and masker intelligibility in speech-on-speech recognition
JP2006333396A (en) Audio signal loudspeaker
Unoki et al. How the temporal amplitude envelope of speech contributes to urgency perception
KR1010142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ulsating noise in audio device
JP2010278791A (en) Equipment having audio function
Porter et al. State of the ‘equal-loudness curves’: a literature review
Hermannsen et al. Perception of Audio Quality and Audio-on-Audio Interference in Sound Zones
KR101187468B1 (en) Brain waves inducing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inside of audio frequency range and the signal producing method
US11309858B2 (en) Method for inducing brainwaves by sound and sound adjusting device
JP2006288572A (en) Brain wave induction device
US20170078793A1 (en) Inversion Speaker and Headphone for Music Production
Herold Audio for the Elderly
Chen et al.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combining effect between the virtual bass an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