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720B1 -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720B1
KR101403720B1 KR1020140028586A KR20140028586A KR101403720B1 KR 101403720 B1 KR101403720 B1 KR 101403720B1 KR 1020140028586 A KR1020140028586 A KR 1020140028586A KR 20140028586 A KR20140028586 A KR 20140028586A KR 101403720 B1 KR101403720 B1 KR 10140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mobile phone
unit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영호
조문철
임용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2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후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폰의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거치된 휴대폰을 향하여 출력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이 휴대폰의 전면에 반사되어 전측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의 화면이 보이도록 거치시킴은 물론,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되,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시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Directional speakers for mobile phones}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거치시킴은 물론,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되 출력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최근 화상통화, DMB 방송 및 게임 등 다양한 기능들이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능을 휴대폰에 탑재하여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휴대폰은 시각 및 청각에 의하여 정보를 전달하므로, 소리의 전달 과정에서 사생활을 침해하고,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이어폰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어폰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피로도를 높이고, 고막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지향성이 향상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일 실시 예로, 돔 모양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지향성 스피커가 개진되었다.
이러한 돔 모양의 반사판을 이용하는 지향성 스피커는 반구상의 진동판 안에 스피커를 위치시키고, 그 진동판에 부딪혀 반사된 소리를 청취자에게 지향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청취자는 반사판의 축 상에 위치해야만 지향성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넓은 반사판을 구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11-0073191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피커를 수납하는 두 개의 스피커 패키징이 구비되며, 이 두 개의 스피커 패키징을 상하로 수납하고, 상부 스피커가 전면으로 개방되고, 하부 스피커의 음향홀이 파이프 구조로 전면으로 개방되는 몸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향성 스피커 모듈은 두 개의 스피커 패키징이 상하로 위치됨에 따라 부피가 작고 전력소모가 적은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 지향성 스피커 모듈은 수납되는 휴대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단순히 분리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확성보다는 이원화된 형상이며, 일정한 방향으로만 음향을 출력시키는 구성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향성 스피커 모듈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특히 휴대폰일 경우, 패키징에 수납해야됨에 따라 휴대폰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음향을 증폭하고, 지향성을 향상시켜 출력함은 물론, 휴대폰의 화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와 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후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를 구비하여 휴대폰의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거치된 휴대폰을 향하여 출력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이 휴대폰의 전면에 반사되어 전측으로 출력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시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후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폰의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거치된 휴대폰을 향하여 출력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이 휴대폰의 전면에 반사되어 전측으로 출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는,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거치대를 상기 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지향성 음향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출력수단을 상기 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폰에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거치대와 출력수단을 상기 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의 위치와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지향성 음향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되는 휴대폰과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부를 통해 휴대폰과 연결되어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확성부, 상기 확성부의 증폭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접속부와 확성부,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세로로 세워서 거치시킨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거치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가로로 세워서 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출력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외부전원을 연결시키기 위한 외부전원단자가 상기 몸체에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력수단은, 마이크가 더 구비되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을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에 의하면, 휴대폰의 화면이 보이도록 거치시킴은 물론,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하되,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시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음향 출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에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음향 출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에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10)는 몸체(100)와 거치대(200) 및 출력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외형을 이루며, 중앙부에 상측으로 통공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대(200)는 몸체(10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20)이 거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출력수단(300)은 몸체(100)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후측으로 출력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거치대(200)에 휴대폰(20)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출력수단(300)은 거치된 휴대폰(20)의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거치된 휴대폰(20)을 향하여 출력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이 휴대폰(20)의 전면에 반사되어 전측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출력수단(300)은 도 3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310)와 확성부(320), 출력부(330) 및 전원부(340)로 구성된다.
접속부(310)는 거치대(200)에 구비되어 거치되는 휴대폰(20)과 접속되는 것으로, 각 휴대폰(20)의 데이터 접속단자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현재 각 휴대폰(20)의 접속단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각 휴대폰(20)의 접속단자에 대응되는 다수의 접속부(310)가 구비되거나 또는 거치되는 휴대폰에 해당되는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접속부(310)는 거치대(2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20)을 세로로 세워서 거치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310)는 거치대(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어 휴대폰(20)을 가로로 세워서 거치할 수도 있다.
물론, 접속부(310)가 거치대(200)의 좌측에 구비될 경우, 휴대폰(20)을 우측에서 삽입하여 거치시키고, 접속부(310)가 거치대(200)의 우측에 구비될 경우, 이와 반대로, 좌측에서 삽입하여 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확성부(320)는 몸체(100) 내에 구비되어 접속부(310)를 통해 휴대폰(20)과 연결되어 음향을 증폭시키게 되고, 출력부(330)는 확성부(320)의 증폭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전원부(340)는 접속부(310)와 확성부(320), 출력부(33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충전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몸체(100)에서 탈부착 가능한 건전지일 수도 있다.
여기서, 출력수단(30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50)와 외부전원을 연결시키기 위한 외부전원단자(360)가 몸체(10)에 더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전원단자(360)를 통해 외부 전원이 전원부(340)로 충전된다.
또한 출력수단(300)은 마이크(370)가 더 구비되어 마이크(370)로 입력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400)가 더 구비된다.
먼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의 위치조절부(400)는 거치대(200)를 몸체(100)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2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출력수단(300)에서 출력되는 지향성 음향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위치조절부(400')는 출력수단(300)을 몸체(100)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거치대(200)에 거치된 휴대폰(20)에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위치조절부(400")는 거치대(200)와 출력수단(300)을 몸체(100)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20)의 위치와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출력수단(300)에서 출력되는 지향성 음향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킨다.
이를 위해, 위치조절부(400")는 제1위치조절부(410")와 제2위치조절부(420")로 구성된다.
제1위치조절부(410")는 거치대(200)를 몸체(100)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음향 출력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위치조절부(420")는 출력수단(300)을 몸체(100)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위치조절부(410")와 제2위치조절부(420")를 통해 음향 출력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스피커 20 : 휴대폰
100 : 몸체 200 : 거치대
300 : 출력수단 310 : 접속부
320 : 확성부 330 : 출력부
340 : 전원부 350 : 조작부
360 : 외부전원단자 370 : 마이크
400, 400', 400" : 위치조절부

Claims (10)

  1. 몸체;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대; 및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후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폰의 음향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거치된 휴대폰을 향하여 출력함에 따라, 지향성 음향이 휴대폰의 전면에 반사되어 전측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거치대를 상기 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지향성 음향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출력수단을 상기 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폰에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거치대와 출력수단을 상기 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시켜 거치된 휴대폰의 위치와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지향성 음향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음향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되는 휴대폰과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부를 통해 휴대폰과 연결되어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확성부;
    상기 확성부의 증폭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접속부와 확성부,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거치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세로로 세워서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거치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가로로 세워서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외부전원을 연결시키기 위한 외부전원단자가 상기 몸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마이크가 더 구비되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KR1020140028586A 2014-03-11 2014-03-11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KR10140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586A KR101403720B1 (ko) 2014-03-11 2014-03-11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586A KR101403720B1 (ko) 2014-03-11 2014-03-11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720B1 true KR101403720B1 (ko) 2014-06-27

Family

ID=5113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586A KR101403720B1 (ko) 2014-03-11 2014-03-11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121B1 (ko) * 2014-12-01 2016-06-03 조수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무전원 스피커
KR20220164654A (ko) 2021-06-05 2022-12-13 문규리 무전원 휴대폰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671Y1 (ko) 2005-03-22 2005-06-16 (주)큐세븐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KR101164015B1 (ko) 2012-03-22 2012-07-18 (주)성민전자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
KR101198961B1 (ko) 2012-06-30 2012-11-0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스마트폰 용 스피커
KR20120129194A (ko) * 2011-05-19 2012-11-28 어수곤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671Y1 (ko) 2005-03-22 2005-06-16 (주)큐세븐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KR20120129194A (ko) * 2011-05-19 2012-11-28 어수곤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101164015B1 (ko) 2012-03-22 2012-07-18 (주)성민전자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
KR101198961B1 (ko) 2012-06-30 2012-11-0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스마트폰 용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121B1 (ko) * 2014-12-01 2016-06-03 조수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무전원 스피커
KR20220164654A (ko) 2021-06-05 2022-12-13 문규리 무전원 휴대폰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992B2 (en) Mobile media device case/attachment for providing passive acoustic boosting
CN107438217B (zh) 无线音响设备
US9485557B2 (en) Device accessory with speakers
CN101258770B (zh) 多模式音频再现设备
EP3035699B1 (en) Headphone-type acoustic device
US20040209654A1 (en) Directional speak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4534449A (ja) 携帯電話用の手を使わなくてよい小型アダプタ
KR20070082580A (ko) 스피커 장치
KR101734412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US20140211970A1 (en) Earphone arrangements
JP2007110656A (ja) 携帯端末用スピーカアクセサリ
US20200389714A1 (en) Dual-mode audio system
JPWO2003079650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
US20140341410A1 (en) Speaker apparatus suitable for use with a computer
KR101403720B1 (ko) 휴대폰용 지향성 스피커
KR20130126824A (ko) 스마트폰 용 스피커
US20110046954A1 (en) Portable audio control system and audio control device thereof
WO2009068859A1 (en) Earphone
KR20110024077A (ko) 무선 통신 마이크
KR101403765B1 (ko) 모바일용 확성장치
JP2011103580A (ja) 携帯端末、そのプログラム及び着信音声音量制御方法
JP2006157199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KR20150073655A (ko) 다기능 스피커
CN203761563U (zh) 发声装置
TWM552655U (zh) 供使用者定向交談之智慧型耳機裝置個人化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