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528B1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2528B1 KR101402528B1 KR1020110144665A KR20110144665A KR101402528B1 KR 101402528 B1 KR101402528 B1 KR 101402528B1 KR 1020110144665 A KR1020110144665 A KR 1020110144665A KR 20110144665 A KR20110144665 A KR 20110144665A KR 101402528 B1 KR101402528 B1 KR 101402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fiber
- fiber membrane
- water
- membrane filtration
- filtra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0—Specific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형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압공급되는 원수를 압력차에 따라 여과하는 중공사막 여과부 ;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생산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헤더부 ; 상기 중공사막여과부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물제거용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사막부에 연결되는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 ; 상기 원수가 가압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출입구와 연결되는 제3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조립되는 하부헤더부 ; 및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와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집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로 생산수를 안내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수배관을 포함한다. Thereby providing a high flow rat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filter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difference; A first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concentrated 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oduc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is discharged to be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 residual water discharging and air supply module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unit and having an outflow inlet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o the outside and supplied with ai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 lower header par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pressurized and a third outlet connected with the outlet inlet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water collecting pipe insert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water collec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to guide and discharge the produced water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수를 모듈로부터 배출하여 상부에서 단일 집수하는 구조에서 모듈내에 집수유로를 추가하여 막길이 대비 원수를 여과하는 저항을 줄이고, 낮은 운전압력에 의해서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막면적 대비 고유량 정수처리 및 저에너지를 구현할 수 있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flow-rat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extracting produced water from a module and collecting the sam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a high-flow-rat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operation cost by lowering operating pressure, realizing high-flow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nd low energy consumption compared with a membrane area.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을 내포한 원수를 수처리하여 정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염물질을 분리여과하여 제거하기 위한 정수장치나 오폐수 처리장치에 이용되는 여과막(Membrane)은 0.1 ~ 0.5 마이크론의 미세 공극의 정밀 여과막과 0.001 ~ 0.1 마이크론의 미세 공극의 한외 여과막으로 구분하고 있다. Generally, in a device for purifying raw water impregnated with pollutants, a filtration membrane used in a water treatment plant or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ollutants is composed of a microfiltration membrane of 0.1 to 0.5 micron and a microfiltration membrane of 0.001 And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micropores of ~ 0.1 micron.
이를 다시 막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평판 형태의 평막과 실 형태의 중공사막으로 대별되고, 막을 이용한 정수처리형태에 따라 오염원수탱크 내부에 침적시켜서 사용하는 침지식 막모듈 정수장치와, 압력용기 내부에 고정하고 오염원수를 가압시켜 사용하는 처리하는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로 구별될 수 있다. It is divided into a plate type flat membrane and a hollow type hollow fiber membrane according to the membrane type and is immers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ank according to the type of purified water treatment using membrane, And a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ying apparatus which is used to fix and use the pollution source water.
여기서, 침지식 막모듈 정수장치는 오염원수 저장조의 하부에 막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공급용 산기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평막 또는 실형태의 중공사막을 고정시켜 공기방울의 유동성으로 여과막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고 흡인 펌프로 처리수를 흡입하여 여과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저압으로 운전이 가능하고, 고탁도의 원수에 사용이 가능하여 하폐수 처리 뿐만 아니라 정수처리에 사용되고 있지만 막오염이 발생한 경우, 일정압력 이상에서 운전이 불가능하여 대량 및 고유량 정수처리가 곤란하였다. Here,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amination source water storage tank, the air supply air diffusing tube is installed on the water tank of the immersion membrane module,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fixed thereon. And can be operated at a low pressure and can be used for raw water of high turbidity. Thus, it is used not only for wastewater treatment but also for water treatment. However, when the membrane is contaminated, It is difficult to process large-volume and high-flow water purification.
이에 반하여,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는 원통형의 압력용기 내부에 실 형태의 중공사막을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처리대상 원수를 압력용기 내부로 가압공급하여 수처리하는 것으로, 고압에서도 운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수처리 분야에 응응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ier has a hollow hollow fiber membrane inside a cylindrical pressure vessel to pressurize and supply the raw water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vessel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operated at a high pressure. It can be.
이러한 가압식 막모듈을 이용한 수처리분야로는 정수장치 뿐만 아니라 제약, 반도체 제조 분야 및 하수처리 분야, 산업용수 처리분야 등, 다방면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The field of water treatment using such a pressurized membrane module is widely used not only in water purification device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pharmaceutic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ewage treatment, and industrial water treatment.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8-005772호와 2006-0019245호에는 분리막을 통과한 생산수가 배출하는 배출구를 몸체상부에 구비하고, 몸체하부에는 농축수를 배출하고, 역세척시 공기 주입을 위한 다수의 구멍과 연결된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s. 2008-005772 and 2006-0019245 disclos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shing machine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produced water passing through a separation membrane on an upper part of a body, discharging concentrated water in a lower part of the body, And connecting the pip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는 원수를 모듈내부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압력에 의해 막을 통과시켜 모듈상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하여 집수하는 단일 집수구조를 갖기 때문에, 모듈몸체의 하부로 유입된 원수가 상부로 배출되는 유로가 길어지면서 여과저항을 증대시키고, 생산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ier has a single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water through the membrane through the outlet of the module through the outlet by pressurizing and supplying raw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module,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is lengthened,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resistance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ed water.
그리고, 고유량 처리능력을 요구하는 수처리 시장의 실정에 맞추어 정수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모듈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분리막을 통과하는 원수의 저항 및 압력손실이 증가되는 한편, 운전압력이 증가되어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e module length i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 treatment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the water treatment market requiring high flow rate processing ability, the resistance and pressure loss of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is increased, .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산수를 모듈로부터 배출하여 상부에서 단일 집수하는 구조에서 집수유로를 추가하여 막길이 대비 원수를 여과하는 저항을 줄이고, 낮은 운전압력에 의해서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막면적 대비 고유량 정수처리 및 저에너지를 구현할 수 있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resistance to filter raw water in comparison with the membrane length by adding a storage oil line in a structure in which produced water is discharged from a module, To provide a high-flow-rat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operation cost by pressure and realizing a high flow ra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and low energy compared to the membrane are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형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압공급되는 원수를 압력차에 따라 여과하는 중공사막 여과부 ;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생산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헤더부 ; 상기 중공사막여과부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물제거용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연결되는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 ; 상기 원수가 가압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출입구와 연결되는 제3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조립되는 하부헤더부 ; 및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와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집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로 생산수를 안내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수배관을 포함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low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filter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difference; A first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concentrated 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oduc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is discharged to be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having an outflow inlet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o the outside and supplied with ai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 lower header par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pressurized and a third outlet connected with the outlet inlet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water collecting pipe insert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water collec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to guide and discharge the produced water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Pressure membrane modu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바람직하게,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제2배출구와 대응하는 중공사막 여과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배관배치공에 삽입배치되는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water collecting pipe comprises a hollow pipe member inserted and disposed in a pipe arrangement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le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집수배관은 불투수성 소재 또는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water collecting pipe is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or a water permeable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는 중공사가 다발로 합쳐진 중공사막의 몸체내부에 상기 중공사를 통과하여 여과된 생산수와 원수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헤더부와 대응하는 중공사막의 단부는 개구형성된다.Preferably,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is inserted so as to separate the product water filtered by the hollow fiber into the body of the bundled hollow fiber membrane, And an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orresponding to the lower header portion is formed as an opening.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헤더부는 상기 제1배출구를 몸체외부면에 구비하는 상부헤더와, 상기 제2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헤더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캡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upper header portion includes an upper header having the first outlet 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n upper cap having the second outlet to be coupled to cover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upper head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헤더의 내부면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의 외부면 사이에는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상부정류통을 삽입배치한다. More preferably, an upper rectifi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ea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잔류수 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과 연결되는 복수개 삽입관과, 상기 유출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관과 연결되는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하부헤더부에 배치되는 모듈몸체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and an inner space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And a module body disposed in the header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헤더부는 상기 유입구를 몸체 외부면에 구비하는 하부헤더와, 상기 제3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헤더의 개방된 하부로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캡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lower header portion includes a lower header having the inlet port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lower cap having the third outlet port and coupled to cover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lower head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헤더의 내부면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의 외부면 사이에는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하부정류통을 삽입배치한다. More preferably, a lower rectifier tube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ea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portion and has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와 상기 제2배출구사이에는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의 개방된 상부로 배출되고 상기 집수배관의 상단으로 배출된 생산수가 채워지는 상부집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집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배출구의 입구와 중공사막 여과부의 상단은 서로 이격배치된다.
Preferably, an upper collec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he upper collecting space being discharged to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filled with production water discharg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The inlet of the second outlet and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filtra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가압공급되는 원수가 통과하는 중공사막 여과부의 몸체 내부에 하부집수공간에 집수된 생산수를 상향으로 배출안내하는 별도의 집수배관을 구비하여 여과처리된 생산수를 중공사막 여과부와 더불어 집수배관을 통하여 동시에 배출생산함으로써 중공사막 여과부의 길이 및 면적 대비 원수를 여과처리하는데 발생하는 저항 및 차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정수장치를 낮은 운전압력으로 가동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동일 조건 종래대비 생산수 처리 및 생산량을 증대시켜 단위시간당 고유량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1) A separate water collecting pipe for discharging produced water upwardly collected in a lower water collecting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to be pressurized is fed, and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s passed through a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By simultaneously discharging and producing the water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ipe, resistance and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in filtering the raw water compared to the length and area of the hollow fiber filtration part can be reduced, so that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can be operated at a low operating pressure, Condition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high flow rate condition per unit time by increasing the production water production and production amoun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2) 중공사막 여과부의 전체면적을 균등하게 사용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이로 인하여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줄여 설비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The entire are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part is uniformly used to prolong the service life, thereby reducing the replacement cycle of consumables, thereby reducing facility maintenance cos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정수장치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정수장치의 정수성능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정수장치에서 생산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정수장치에서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 배출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정수장치의 투수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high-flow-pressur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rified water performance of the high-flow-pressur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production water in a high flow pressuriz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 discharge flow in a high flow pressuriz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water permeation performance of the high flow rate pressuriz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중공사막 여과부(120), 상부헤더부(130),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 하부헤더부(150) 및 집수배관(160)을 포함한다. 1 to 4, the high-flow-volume, pressurized membrane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배치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일정높이를 갖는 중공형 원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러한 하우징(110)은 중공형 원통부재 또는 사각과 같은 다각단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가압공급되는 처리대상물인 오폐수와 같은 원수를 압력차에 따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수단이다. The hollow fiber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는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의 중공사가 단위면적당 막면적비를 높일 수 있도록 다발로 합쳐진 중공사막(121)과, 상기 중공사막(121)을 통과한 원수가 여과처리된 생산수가 안내배수되도록 상기 중공사막(121)의 몸체내부에 복수개의 삽입홈(122)을 구비한다. The hollow fiber
이러한 중공사막 여과부(120)는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접착수단(125)을 매개로 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 내주면과 하단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이들 간의 계면을 실링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하우징(110)에 확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내로 공급된 원수가 불필요영역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hollow fiber
여기서,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는 상기 상부헤더부(130)와 대응하는 상부는 상기 상부헤더부(130)에 구비되는 제2배출구(133)를 통해 생산수를 자중반대방향인 상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되고, 상기 하부헤더부(150)와 대응하는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하부도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 생산수를 자중방향으로 하향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형성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상기 상부헤더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급된 원수 중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농축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31)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한 원수 중 여과처리된 생산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133)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이러한 상부헤더부(130)는 상기 제1배출구(131)를 몸체외부면에 구비하는 상부헤더(132)와, 상기 제2배출구(133)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헤더(132)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캡(134)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상부헤더(132)는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134)은 하단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입방식 또는 융착방식과 같은 다른 결합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Here, the
또한,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와 상기 제2배출구(133)사이에는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 후 중공사막(121)의 개방된 상부로 배출된 생산수가 채워지는 상부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배출구(133)의 입구와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상단은 서로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llow fiber
이에 따라, 상기 제2배출구(133)는 생산수가 채워지는 상부공간과 대응하는 임의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생산수를 배출하는 생산수배출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상부헤더(132)의 내부면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외부면 사이에는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개구부(135)를 관통형성한 상부정류통(136)을 삽입배치한다. An upper rectifying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은 원수공급 중단시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내부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외부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물제거용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입구(141)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와 연결되는 독립적인 모듈부재이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ing and
이러한 잔류수 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22)으로 삽입배치되어 상기 중공사막(121)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자중방향으로 안내배출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제거용 에어가 공급되는 복수개 삽입관(142)과, 상기 유출입구(141)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관(142)과 연결되는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하부헤더부(150)에 삽입배치되는 모듈몸체(143)를 포함한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ing and
상기 하부헤더부(150)는 외부로부터 처리대상물인 원수가 공급되는 유입구(151)와,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을 구성하는 모듈몸체(143)의 하부에 구비된 유출입구(141)와 연결되는 제3배출구(153)를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이러한 하부헤더부(150)는 원수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유입구(151)를 몸체 외부면에 구비하는 하부헤더(152)와, 상기 제3배출구(153)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헤더(152)의 개방된 하부로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캡(155)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하부헤더(152)는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캡(155)은 하단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입방식 또는 용착방식과 같은 다른 결합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Here, the
상기 하부헤더(152)의 내부면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외부면 사이에는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개구부(137)를 관통형성한 하부정류통(138)을 삽입배치한다.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하부캡(155)에 구비되는 제3배출구(153)에는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을 구성하는 모듈몸체(143)의 유출입구(141)가 삽입배치되고, 삽입배치되는 유출입구(141)의 외부면에는 상기 모듈몸체(143)의 외부면과 상기 하부캡(155)의 내부면사이로 유도된 생산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오링부재(14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리고,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을 구성하는 모듈몸체(143)의 외부면은 하부캡(155)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하단과 상기 모듈몸체(143)의 상부면사이에는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 후 하부가 개방된 중공사막을 통해 배출된 생산수가 채워지고, 채워진 생산수를 상기 제2배출구(1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집수공간(165)을 형성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집수배관(160)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와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집수공간(165)에 채워진 생산수를 상부헤더부(130)의 제2배출구(133)측으로 안내배출하도록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관배치공(129)에 삽입배치된다. The
이러한 집수배관(160)은 상기 제2배출구(133)와 대응하는 중공사막 여과부(120)에 관통형성된 배관배치공(129)에 삽입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임의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배관배치공에 삽입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상기 집수배관(160)은 상기 배관배치공(129)의 내부면을 통과하는 생산수가 침투되지 못하는 불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관배치공(129)의 내부면을 통과하는 생산수가 침투되는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ter collecting
이에 따라, 가압공급된 원수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집수공간(165)에 채워지는 생산수는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집수배관(160)을 통해 자중반대방향인 상향안내배출되어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생산수와 상기 상부캡(134)과 중공사막여과부(120)사이에 형성된 상부집수공간에 합쳐진 다음 상기 상부캡(134)의 제2배출구(133)를 통해 외부로 생산배출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oduced water, which is supplied through the hollow fiber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사막(121)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생산수 중 일부는 원수의 공급압력에 의해서 자중의 반대방향인 도면상 상부로 안내되어 상부헤더부(130)의 상부캡(134)에 형성된 제2배출구(133)를 통하여 외부배출된다. 3, a part of the filtered water pro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중공사막(121)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생산수 중 나머지는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구성하는 중공사막(121)의 개방된 하부단을 통하여 배출되는바, 이러한 나머지 생산수는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의 모듈몸체(143)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사이에 형성된 하부집수공간(165)에 채워지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remainder of the product water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어서, 원수공급압력에 의해서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에 삽입배치된 집수배관(160)의 안내배수유로를 통하여 중공사막을 거치지 않고 자중반대방향인 도면상 상부로 안내되어 상기 상부캡(134)과 접착수단(125)사이에 형성된 상부집수공간에 채워진 다음 상기 상부캡(134)의 제2배출구(133)를 통하여 외부로 생산배출된다.Then, the water is guid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ts own weigh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the guide drainage passag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51)를 통하여 가압공급된 원수가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생산수는 중공사막 여과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향배출됨과 동시에 중공사막 여과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안내배수유로인 집수배관(160)을 통해 상향배출된 후 상부헤더부(130)의 상부캡(134)에 구비되는 제2배출구(133)를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중공사막의 개방된 상부로만 생산수를 배출생산하는 것에 비하여 투수율 및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raw water that has been pressurized and supplied through the
이때,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삽입홈으로 삽입관이 삽입된 모듈몸체(143)의 유출입구(141)는 닫혀진 상태이므로 이를 통한 생산수의 외부배출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를 미처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는 상기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한편, 수처리 조작을 장시간 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오염농도가 점점 늘어나게 되고 특히 상기 중공사막(121)에 여과된 이물질이 점차 많이 붙게 되어 중공사막(121)을 통과하는 원수의 투수속도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water treatment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of the inside of the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중공사막 여과부(120) 세정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바, 이러한 세정작업은 백워싱(back washing) 세정 및 공기에 의한 진동세정, 경우에 따라 화학세정(chemical cleaning)을 통해 중공사막(121)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분리이탈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즉, 이러한 세정작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수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닫혀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유입구(151)가 닫혀진 후 상기 하부헤더부(150)에 배치된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140)의 유출입구(141)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내에 잔류하는 잔류수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삽입관(142)을 통하여 모듈몸체(143)의 내부공간으로 집수되고, 집수된 잔류수는 유출입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inlet port where the raw water is supplied is closed. After the
이어서, 상기 유출입구(141)와 연결되는 에어펌프에 의해서 에어를 상기 모듈몸체(143)의 내부공간으로 가압공급하게 되면, 공기가 모듈몸체(143), 삽입관(142)을 통하여 하우징(110)로 공급되어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진동을 통해 중공사막(121)의 외부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제거하는 세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When air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이때,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120)에 부착된 이물질은 에어에 의해서 분리이탈되어 개방된 제1배출구(131)를 통하여 에어와 더불어 외부배출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hollow fiber
그리고, 상기 상부캡(134)의 상부에 구비된 제2배출구(133)를 통하여 역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면, 역세척수가 중공사막 여과부(1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분리이탈시키고, 분리된 이물질은 역세척수와 더불어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When the backwash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투수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showing the water permeation performance of the high flow rate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전체길이가 2270mm이고, 하우징의 외경이 194mm이고, 중공사막 여과부의 여과면적을 60㎡ 로 하는 본 발명의 장치와 종래의 장치에 각각 동일한 가압조건으로 원수를 공급함으로써, 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된 상부캡의 제2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생산되는 생산수의 투과유량 및 여과유속을 측정하게 되면, 도 5의 그래프와 같이 원수가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는 투수도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28%이상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That is,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total length of 2270 mm, the outer diameter of the housing of 194 mm, the filtration are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of 60 m 2 and the conventional apparatus under the same pressurization conditions, The permeate flow rate and the filtration flow rate of the produc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of the upper cap are measured.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5, when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Can be understood.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는 막여과 유속에 있어도 종래 일일 4.29㎥ 의 생산수가 여과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장치는 일일 5.49㎥의 생산수가 생산배출됨을 알 수 있다. In the membrane filtration flow rate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he production water of 4.29 m 3 / day is filtered, whereas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nd discharges 5.49 m 3 of production water per da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하우징 120 : 중공사막 여과부
121 : 중공사막 122 : 삽입홈
125 : 접착수단 129 : 배관배치공
130 : 상부헤더부 131 : 제1배출구
132 : 상부헤더 133 : 제2배출구
134 : 상부캡 135,137 : 개구부
136,138 : 상,하부정류통 140 :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
141 : 유출입구 142 : 삽입관
143 : 모듈몸체 150 : 하부헤더부
151 : 유입구 152 : 하부헤더
153 : 제3배출구 155 : 하부캡
160 : 집수배관 165 : 하부집수공간110: housing 120: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121: hollow fiber membrane 122: insertion groove
125: Adhesive means 129: Piping arrangement hole
130: upper header portion 131: first outlet
132: upper header 133: second outlet
134:
136, 138: Upper and lower rectifier 140: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141: outlet inlet 142: insertion tube
143: Module body 150: Lower header part
151: inlet 152: bottom header
153: third outlet 155: bottom cap
160: collecting pipe 165: lower collecting space
Claims (10)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압공급되는 원수를 압력차에 따라 여과하는 중공사막 여과부 ;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를 통과하여 여과처리된 생산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헤더부 ;
상기 중공사막여과부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물제거용 에어가 공급되는 유출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연결되는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 ;
상기 원수가 가압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출입구와 연결되는 제3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조립되는 하부헤더부 ; 및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와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집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로 생산수를 안내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수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배관은 상기 제2배출구와 대응하는 중공사막 여과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배관배치공에 삽입배치되는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A hollow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filter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accordance with a pressure difference;
A first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concentrated 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oduc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is discharged to be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having an outflow inlet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o the outside and supplied with ai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 lower header part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pressurized and a third outlet connected with the outlet inlet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And
And at least one water collecting pipe insert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water collec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to guide and discharge the produced water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pipe comprises a hollow pipe member inserted and disposed in a pipe arrangement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let.
상기 집수배관은 불투수성 소재 또는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collecting pipe is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or a water permeable material.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는 중공사가 다발로 합쳐진 중공사막의 몸체내부에 상기 중공사를 통과하여 여과된 생산수와 원수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잔류수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헤더부와 대응하는 중공사막의 단부는 개구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is inserted so that the filtered water and raw wa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hollow fiber by passing through the hollow fiber inside the body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Wherein the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orresponding to the lower header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상기 상부헤더부는 상기 제1배출구를 몸체외부면에 구비하는 상부헤더와, 상기 제2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헤더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캡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upper header portion includes an upper header having the first outlet 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n upper cap having the second outlet and coupled to cover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upper header, Module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상기 상부헤더의 내부면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의 외부면 사이에는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상부정류통을 삽입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 upper rectifying tub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is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hea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상기 잔류수 배출 및 에어공급모듈은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과 연결되는 복수개 삽입관과, 상기 유출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관과 연결되는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하부헤더부에 배치되는 모듈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and air supply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insertion tube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section and an inner space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and having the outflow inlet, And a module body disposed therein.
상기 하부헤더부는 상기 유입구를 몸체 외부면에 구비하는 하부헤더와, 상기 제3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헤더의 개방된 하부로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lower header portion includes a lower header having the inlet por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a lower cap having the third outlet port and coupled to cover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lower header,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 하부헤더의 내부면과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의 외부면 사이에는 몸체외부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하부정류통을 삽입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lower rectifier tube is insert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heade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has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와 상기 제2배출구사이에는 상기 중공사막 여과부의 개방된 상부로 배출되고 상기 집수배관의 상단으로 배출된 생산수가 채워지는 상부집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집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배출구의 입구와 중공사막 여과부의 상단은 서로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 upper collec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discharg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unit and filled with the produced water discharg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Wherein the inlet of the second outlet and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665A KR101402528B1 (en) | 2011-12-28 | 2011-12-28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PCT/KR2012/003355 WO2013100272A1 (en) | 2011-12-28 | 2012-04-30 |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 pressurized membrane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665A KR101402528B1 (en) | 2011-12-28 | 2011-12-28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6180A KR20130076180A (en) | 2013-07-08 |
KR101402528B1 true KR101402528B1 (en) | 2014-06-11 |
Family
ID=4898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46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2528B1 (en) | 2011-12-28 | 2011-12-28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25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6295B1 (en) * | 2014-04-17 | 2016-02-2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stacking |
KR101644558B1 (en) * | 2014-09-30 | 2016-08-02 |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 Water treatment module |
KR101656572B1 (en) * | 2014-09-30 | 2016-09-12 |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 Water treatment module |
KR101674730B1 (en) * | 2014-09-30 | 2016-11-10 |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 Water treatment module |
KR102137257B1 (en) * | 2019-12-17 | 2020-07-22 |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or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
KR20240159139A (en) * | 2023-04-28 | 2024-11-05 | 주식회사 에코로직스 | Non-submerged type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reactor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2935A (en) * | 1999-06-02 | 2000-12-12 | Mitsubishi Rayon Co Ltd | Filter apparatus |
KR100333779B1 (en) | 1998-03-13 | 2002-06-20 | 로헴 로-바써베한들룽 게엠베하 | Device for separating liquid medium containing foreign matter |
JP2006082036A (en) * | 2004-09-17 | 2006-03-30 | Toray Ind Inc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2011
- 2011-12-28 KR KR1020110144665A patent/KR1014025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779B1 (en) | 1998-03-13 | 2002-06-20 | 로헴 로-바써베한들룽 게엠베하 | Device for separating liquid medium containing foreign matter |
JP2000342935A (en) * | 1999-06-02 | 2000-12-12 | Mitsubishi Rayon Co Ltd | Filter apparatus |
JP2006082036A (en) * | 2004-09-17 | 2006-03-30 | Toray Ind Inc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6180A (en) | 2013-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2528B1 (en)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
US7491329B2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nit, membran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513250B1 (en) | Central baffle, pressuriz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the sam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
KR20010087356A (en) | Fluid treatment elements, methods for cleaning fluid treatment elem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fluids | |
US20070131604A1 (en) | Filter unit with deaerating mechanism | |
US20110192794A1 (en) | Advanced filtration device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 |
KR101402399B1 (en) | Lower water collecting assembly of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
RU2410336C2 (en) | Apparatus for purifying liquid, method of washing hollow-fibre filter and application of method of washing hollow-fibre filter | |
KR20120007946A (en) | High Flow Pressurized Membrane Module Water Purifier | |
US20160375408A1 (en) | Submerged-type filtration apparatus | |
KR101373938B1 (en)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
JP2016068046A (en) | Vertically-arranged external pressure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557544B1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20140087414A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ing positive pressure and back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3897591B2 (en) |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module assembly | |
KR19980076086A (en) |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separator | |
WO2013129227A1 (en) | Filtration device | |
US20230087869A1 (en) | Hybrid filter assembly and method | |
JP2017113735A (en) | Operation method of separate membrane filtration device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 |
JP5874866B1 (en) | Operation method of turbidity removal membrane module | |
JP2009078243A (en) | Method for specifying damaged membrane in immersion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KR101425991B1 (en) |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 |
KR101466330B1 (en) | Simplicity clean water treatment apparatus | |
JP2013233484A (en) |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using membrane module and method of cleaning filter membrane | |
KR20150079091A (en) | High-Flux Pressured Membrane Module Water-Purifying Apparatus and Water-Purify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inspecting membrane brea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