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280B1 -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280B1
KR101402280B1 KR1020120155484A KR20120155484A KR101402280B1 KR 101402280 B1 KR101402280 B1 KR 101402280B1 KR 1020120155484 A KR1020120155484 A KR 1020120155484A KR 20120155484 A KR20120155484 A KR 20120155484A KR 101402280 B1 KR101402280 B1 KR 10140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memory
stat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효중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2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aging a memory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managing a memory in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storing an execution history of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s a learning data; a posi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memory control unit loading one or more application programs in a memory unit by selecting one or more application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by referring the learning data. The device for managing a memory of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the same can improve management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memory by controlling loading of the application program occupying the memory based on the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의 관리 및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emory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emory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 memory.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등과 같이 다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는 프로그램의 사용시 로딩에 의한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차후 실행을 기대하는 프로그램을 여유 메모리(RAM)에 로딩시킨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는 리눅스에 기반한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oom_killer라는 태스크 관리자가 프로그램 수행 중에 메모리(RAM)가 부족하면 메모리 점유를 해제할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using an operating system that executes a plurality of programs such as Android, loads a program in a free memory (RAM) in order to reduce a delay time due to loading when a program is used. For example, Android uses a Linux-based operating system, and a task manager called oom_killer will choose a program to free memory occupancy if memory (RAM) runs out while the program is running.

도 1은 일반적으로 메모리에 로딩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수행 상태를 나타낸다. 메모리부(10)는 현재 수행중 상태(11), 수행 대기중 상태(12), 캐쉬 상태(13)의 영역으로 분류된다. 현재 수행중 상태는 실제 프로그램(ex,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를 의미하고, 수행 대기중 상태는 기존에 실행한 적 있으나 종료는 하지 않고 메모리에 남아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캐쉬 상태는 기존에 실행을 종료했거나 아직 미수행 상태로 메모리에 남아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1 shows the execution state of a program generally loaded in a memory. The memory unit 10 is classified into a current running state 11, a waiting execution state 12, and a cache state 13 area. The currently executing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n actual program (ex,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and the execution waiting state means a program that has been executed but remains in the memory without being terminated. A cache state refers to a program that has already been executed or has not yet been executed and remains in memory.

일례로 안드로이드의 경우 현재 수행중인 상태는 다시 foreground app과 visible app, secondary server로 명명되고, 수행 대기중인 상태는 hidden app으로 명명되며, 처음부터 수행을 시작할 수 있는 캐쉬 상태는 empty app으로 명명된다. 각 단계는 사용 빈도에 따라 값을 부여받으며, empty app이 가장 높은 값을 부여받는다. 운영체제에서 필요한 메모리(RAM)가 부족할 경우 oom_killer에 의해 가장 높은 값을 갖는 것이 삭제(kill)되며, 이를 통해 필요로 하는 메모리를 확보하게 된다.For example, for Android, the currently running state is named foreground app, visible app, secondary server, waiting state is called hidden app, and the cache state that can start execution from the beginning is named empty app. Each step is assigned a valu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empty app is given the highest value. If the memory required by the OS is insufficient, the oom_killer will kill the highest value, which will free up the memory needed.

하지만 이동 단말기의 경우 사람의 선택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므로,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나 용량에 의해 차후 사용 가능성이 결정되기보다는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그리고 변화하고 있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사용될 프로그램이 선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과거에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던 빈도와는 무관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program is executed by a person's choice i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 program to be use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nd changing, rather tha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future use by the frequency or capacity of the program This is likely to be independent of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program was used in the past.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서는 주변 상황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기존과 같이 프로그램의 사용빈도나 용량에 따라 메모리를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실용적이지 못하다 볼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highly likely to select an application program from the user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situation, it is not practical to manage the memor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capacity of the program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공개특허 제2009-0050113호(2009.05.20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ique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50113 (published on May 20, 2009).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를 바탕으로 메모리를 점유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로딩을 제어하여 메모리의 관리 및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mo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 memory by controlling loading of an application program occupying a memory based on a loc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execution history of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s learning data, a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memory controller for selec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tatus and loading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여기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기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언로딩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control unit may unload an application program no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from among the pre-loaded application programs from the memory unit.

또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포함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memory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on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included in the memory unit.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 경로,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reception pat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수신 경로는, GPS 위성, 이동통신 기지국, 액세스포인트, 비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lso, the reception path may be at least one of a GPS satellite,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nd a beacon.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경로에 대한 수신 단절 또는 개시 정보, 및 상기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data storage unit stores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ocation state, and refers to at least one of the reception disconnection or start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reception path and the speed information,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stored by dividing the indoor or outdoor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인접한 지물 또는 건물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로딩할 수 있다.Also, the memory control unit may select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n object or building adjacen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ad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an execution history of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s learning data;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ing at least on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and load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into a memory unit.

여기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기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언로딩할 수 있다.Here, the loading step may unload an application program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among the pre-loaded application programs from the memory unit.

또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에 포함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로딩 및 언로딩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loading step may perform the loading and unloading on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included in the memory part.

또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인접한 지물 또는 건물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로딩할 수 있다.Also, the loading step may select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n object or a building adjacen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ad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를 바탕으로 메모리를 점유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로딩을 제어하여 메모리의 관리 및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emo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oading of the application program occupying the memory based on the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memory.

도 1은 일반적으로 메모리에 로딩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수행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를 수집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실외에서 실내 또는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실외에서 댁내 또는 댁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7은 도 3의 S330 단계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shows the execution state of a program generally loaded in a memory.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mory managemen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ollecting the location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embodiment.
5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moves outdoors from the room or outdoors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FIG. 6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moves outdoors from the premises or from the premises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 S330 of FIG.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의 수신 경로, 그리고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메모리(RAM)를 점유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로딩과 언로딩을 제어함에 따라 메모리의 관리 및 운용 효율을 높인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emory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emory of a mobile terminal by loading and unloading an application program occupying a memory (RAM)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s the control is performed, the memory management and operation efficiency is enhanced.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를 고려하여 현재 위치와 관련이 없는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로부터 언로딩(제거)하여 메모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성이 높은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로 미리 로딩시켜서 따라 메모리를 점유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program unrelated to a current location can be unloaded (removed) from a memory in consideration of a location state of a mobile terminal, thereby securing a space in a memory. Preloading effectively manages application programs that occupy memory along the wa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100)는 데이터 저장부(110), 위치 검출부(120), 메모리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 관리장치(100)는 이동 단말기에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내장되어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mory managemen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memory management apparatus 100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110, a position detection unit 120, and a memory control unit 130. The memory management device 100 is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either hardware or software.

상기 데이터 저장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한다. The data storage unit 110 stores the execution history of appli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loc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s learning data. The position detector 120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메모리 제어부(130)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부(10)에 로딩하며, 기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10)로부터 언로딩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언로딩 동작을 로딩 동작보다 우선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0)는 일반적인 메인 메모리 즉, RAM을 의미한다.The memory control unit 130 selects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data, loads the selecte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10, Unloaded application programs from the memory unit 10 are removed. Here, the unload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loading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n this embodiment, the memory unit 10 means a general main memory, that is, a RAM.

이러한 메모리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0)에 포함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한 정의는 앞서 도 1의 설명 부분을 참조한다.The memory control unit 130 performs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on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included in the memory unit 10. [ Here, the definition of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refers to the description of FIG. 1 in advance.

도 3은 도 2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에 관하여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of a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FIG. Hereinafter, a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상기 데이터 저장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한다(S310). 이는 매 이동 위치에서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위치 상태와 연계하여 저장하면 된다.First, the data storage unit 110 stores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oc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s learning data (S310). This is accomplished by associating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location state at each mobile location.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란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수신 경로,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속도는 시간에 따른 위치정보의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다.Here, the location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reception path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oving speed can be known through a change in position information with time.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를 수집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위치 정보의 수신 경로는 GPS 위성, 이동통신 기지국, 액세스포인트, 비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ollecting the location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embodiment. The reception pat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a GPS satellite,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nd a beacon (not shown).

여기서, 위치 상태의 수집에 이용되는 수신 경로의 종류는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에서는 GPS 위성, 이동통신 기지국,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위치 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 액세스포인트, 비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위치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만약 GPS 위성이나 이동통신 기지국의 신호 수신이 어려운 공간은 공간 내에 설치된 액세스포인트나 비콘으로부터 위치 상태를 수집한다. 보통 수신 신호 내에는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위치 정보 수신 시에는 수신 경로에 관한 정보도 함께 수신된다.Here, the type of the reception path used for collecting the position state may vary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location status can be collected from the GPS satellite,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access point outdoors, and the location status can be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access point, and the beacon in the room. If a GPS satellite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difficult to receive signals, a space state is collected from an access point or a beacon installed in the space. Since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path is also included in the normal receiving signal,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path is also received when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이러한 S310 단계에서 저장되는 학습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별로 사용자가 주로 사용(실행)한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임의 기간 동안 기록하여 학습시킨 정보를 의미한다. 학습 기간은 1회, 일주일, 한 달, 일 년 등 기간과 반복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둘 수 있다.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step S310 means information obtained by recording an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mainly used (executed) by the us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ach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learning it. The learning period can be weighted according to the duration and the degree of repetition, such as once, week, month, and year.

일반적으로 지하철 주변 또는 지하철 내에서는 지하철 노선도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며, 버스 정류장 또는 버스 내부에서는 버스 노선도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주로 사용한다. 이렇게 특정 공간이나 위치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력을 미리 저장하여 둔 다음, 해당 공간이나 위치로 이동 단말기(200)가 이동 시 그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미리 로딩하거나, 연관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Generally, the application about the subway route map is used mainly around the subway or in the subway, and the application about the bus route map is mainly used in the bus stop or the bus. After the history of the application used in the specific space or location is stored in advanc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load 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in advance in the memory or remove the application from the memory can do.

이러한 학습 데이터 저장 단계에서 데이터 저장부(110)는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되,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경로에 대한 수신 단절 또는 개시 정보, 및 상기 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이동 단말기(200)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한다.In the learning data storing step, the data storage unit 110 stores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stores the reception disconnection or start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receiving path, And stores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by dividing the indoor or outdoor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실외에서 실내 또는 실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의 예이다. 여기서 실내는 지하철 내부를 실시예로 한다.5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moves outdoors from the room or outdoors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Here, the interior of the subway is an example.

이동 경로 A의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항상 실외에 있어 GPS 위성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수신 경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경로 B의 경우, 이동 단말기(200)가 실외에서는 GPS 위성을 통해 위치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나 지하철 내로 이동하면서 GPS 위성의 신호 수신이 단절되는 동시에 지하철 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수신이 개시된다. 물론 지하철 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C 경로의 경우는 B 경로와 반대되는 동작을 갖는다. In the case of the movement route A, the mobile terminal 200 is always outdoors and can use the GPS satellite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s the reception route.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bile path B, the mobile terminal 200 can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via GPS satellites outdoors, but the signal reception of the GPS satellites is disconnected while the mobile terminal 200 moves into the subway, and signal reception of the access point in the subway starts.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C path that moves outdoors in the subway, it has an action opposite to the B path.

동일한 위치상에 있다 하더라도 이동 단말기는 지하 또는 지상에 있는 경우와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이동속도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현재 보행 중인지 또는 주행 중인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이용한다면 지하철 내에서 사용자가 보행 중인지 또는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ground or the ground, and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indoor or outdoor. Also, by using the current movement speed, the user can know whether the user is walking or running. Using these point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user is walking on the subway or traveling on the subway.

이와 같이, 해당 위치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실행한 응용 프로그램 정보를 위치 상태와 연계하여 미리 저장하여 두면, 추후 이동 단말기가 그와 동일한 위치 상태에 있게 될 때 미리 저장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 상에 로딩함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의 재수행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way, if the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executed by the mobile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state is stored in advance in association with the position status, when the mobile terminal becomes in the same position state with the mobile terminal in advance, So that the program can be re-executed quickly.

이외에도 현재 이동 단말기의 동선이 버스 노선과 오차 범위 내에 있고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 시에는 사용자가 버스 안에서 이동 중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버스나 지하철 노선, 각종 지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urrent line of the mobile terminal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bus line and the mobile terminal moves over a certain speed,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is moving in the bus. To this end,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fer to a database of buses, subway lines, and maps.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실외에서 댁내 또는 댁내에서 실외로 이동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러한 도 6은 실외에서 댁내로 이동시 비콘의 수신이 개시되고 반대로 실외로 이동시 비콘의 수신이 단절되는 경우이다. FIG. 6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moves outdoors from the premises or from the premises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FIG. 6 shows a case where reception of a beacon starts when moving from outside to home, and conversely, reception of a beacon is disconnected when moving outdoors.

도 5 및 도 6의 각각의 경우 모두, 이동 단말기(200)에서 실행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수신 경로의 단절 또는 개시가 발생한 내역과 각 시점의 위치 정보를 연계하여 학습 데이터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In both cases of FIGS. 5 and 6, the learning data can be accurately obtained by linking the history of the disconnection or start of the receiving path to the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time point.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수신경로의 수신 단절 또는 개시 정보, 그리고 이동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위치에서 사용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통해, 실제 이동 단말기(200)에서 사용한 응용 프로그램의 이력을 해당 위치 또는 공간 별로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u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disconnection or start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path and the moving speed. In addition, through this method, the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used in the actual mobile terminal 200 can be precisely classified by the corresponding location or space.

더욱이, 수신 경로의 종류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건물 내부 또는 외부, 혹은 특정 공간 내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위치로부터 얻어지는 이동속도에 따라 사용자가 한 장소에 머무르고 있는지, 걷고 있는지 혹은 차량에 탑승 중인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Furthermore,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receiving path,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or within a specific space. Depending on the moving speed obtained from the position along the time, Whether or not it can be distinguished.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이동 위치와 유관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확률이 높으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주로 실행한 응용 프로그램이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메모리 상에 유지할 프로그램 또는 제거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후 프로그램의 재수행시 보다 빠른 실행이 가능하게 한다.Generally, a mobile terminal has a high probability of performing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a mobile position, and an application program mainly executed by a user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is point can be used to select a program to be kept in memory or a program to be removed. This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the program more quickly in the case of re-execution of the subsequent program.

이상과 같이 학습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가 확보되면, 위치 검출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한다(S320). When the database of learning data is secur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detecting unit 120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320).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은 앞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즉,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현재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상태 즉, 위치정보, 수신경로,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한다.Here, the method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cquiring the learning data. That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obile terminal 200, that is,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receiving path, and the moving speed is detec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이후, 메모리 제어부(130)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부(10)에 로딩하고, 기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10)로부터 언로딩한다(S330).Then, the memory controller 130 selects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data, loads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10, The application program no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is unloaded from the memory unit 10 at step S330.

도 7은 도 3의 S330 단계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만약, 현재 이동 단말기(200)가 서울역 앞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모리 제어부(130)는 서울역 앞에 대응하는 어플인 어플 C와 D를 학습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로딩한다. 물론, 로딩은 앞서와 같이 메모리부(10)에 포함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 수행한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 S330 of FI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in front of the Seoul station, the memory controller 130 loads the applications C and D corresponding to the Seoul station from the learning data store. Of course, the loading is performed on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included in the memory unit 10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만약 어플 C가 이미 로딩되어 있었다면 해당 어플에 대한 로딩 상태를 유지하고, 어플 C, D와 무관한 기 로딩된 어플의 경우 언로딩을 수행한다. 여리서, 앞서와 같이,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 내에 기 로딩되어 있던 다른 어플을 먼저 언로딩(제거)하여 공간을 확보한 다음 상기 로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로딩과 언로딩 순서는 변경이 가능하다.Here, if the application C is already loaded, the loading state is maintained for the application, and unloading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preloaded application irrespective of the applications C and D. As described above, another application previously loaded in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can be unloaded (removed) first to secure space, and then the loa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order of loading and unloading can be changed Do.

이외에도, 메모리 제어부(1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로딩 시에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인접한 지물 또는 건물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인접한 지물 또는 건물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10)에 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emory control unit 130 may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f the adjacent object or building at the time of loading the application program. That is, the memory controller 130 may select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n object or a building adjacen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ad the selected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10.

즉, 현재 이동 단말기가 특정 지형 지물 또는 건물(ex, 놀이공원 등)과 근접할 때 그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0)에 로딩한다. 이를 통해 특정 지형 지물 또는 건물과 근접한 위치에서 과거 사용한 응용 프로그램을 로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이동 단말기(200)가 놀이공원과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놀이공원에서 사용할 만한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할 수도 있다. 물론, 특정 지형 지물 또는 건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하게 되면 기 로딩한 정보를 언로딩하여 제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urrent mobile terminal is close to a specific terrain or building (ex, amusement park, etc.), th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hereto is loaded into the memory unit 1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load a previously used application program at a location close to a specific feature or building, or to load an application for use in an amusement park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adjacent to the amusement park. Of course, if you deviate a certain distance from a specific feature or building, you can unload and remove the preloaded informa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를 바탕으로 메모리를 점유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로딩을 제어하여 메모리의 관리 및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oading of the application program occupying the memory based on the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memor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110: 데이터 저장부 120: 위치 검출부
130: 메모리 제어부 200: 이동 단말기
100: memory managemen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10: Data storage unit 120: Position detector
130: memory controller 200: mobile terminal

Claims (14)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execution history of an application program as learning data according to a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d a memory controller for selec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tate and load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with reference to the learning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기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언로딩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mory control unit,
And unloads an application program no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state from among the pre-loaded application programs from the memory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포함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emory control unit,
And performs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on a memory area in a cache state included in the memory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 경로,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reception pat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경로는,
GPS 위성, 이동통신 기지국, 액세스포인트, 비콘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eceiving path includes:
A GPS satellite,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nd a beac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경로에 대한 수신 단절 또는 개시 정보, 및 상기 이동속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data storage unit stores,
Storing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ocation state, and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reception disconnection or start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reception path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speed, And stores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by classifying the indoor or outdoor sta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인접한 지물 또는 건물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memory control unit,
Selecting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n object or a building adjacen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ading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Storing an execution history of an application program as learning data according to a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Selec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state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data, and loading the selected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단계는,
기 로딩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현재 위치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언로딩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loading into the memory unit comprises:
And unloads an application program no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state from among the pre-loaded application programs from the memory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에 포함된 캐쉬 상태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 상기 로딩 및 언로딩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loading into the memory unit comprises:
And loading and unloading the memory area in the cache state included in the memory uni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 경로, 및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ation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reception pat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경로는,
GPS 위성, 이동통신 기지국, 액세스포인트, 비콘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eiving path includes:
A GPS satellite,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nd a beac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상태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경로에 대한 수신 단절 또는 개시 정보, 및 상기 이동속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실내 또는 실외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이력을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storing the learning data comprises:
Storing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ocation state, and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reception disconnection or start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reception path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speed, And storing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application program by classifying the indoor or outdoor sta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인접한 지물 또는 건물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로딩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ading comprises:
Selecting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n object or a building adjacen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loading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he memory unit.
KR1020120155484A 2012-12-27 2012-12-27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402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484A KR101402280B1 (en) 2012-12-27 2012-12-27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484A KR101402280B1 (en) 2012-12-27 2012-12-27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280B1 true KR101402280B1 (en) 2014-06-02

Family

ID=5113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484A KR101402280B1 (en) 2012-12-27 2012-12-27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2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71A1 (en) * 2017-10-24 2019-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932243A (en) * 2020-07-15 2020-11-13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Riding code plug-in management method, device, server, terminal equipment and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12A (en)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manag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15011A (en) * 2005-05-03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mory managemen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90057318A (en) * 2006-09-21 2009-06-04 트루포지션, 인크. Location quality of service indicator
KR20090131224A (en) * 2008-06-17 2009-12-28 주식회사 셀픽 Method for managing a flash mem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12A (en)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manag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15011A (en) * 2005-05-03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mory managemen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90057318A (en) * 2006-09-21 2009-06-04 트루포지션, 인크. Location quality of service indicator
KR20090131224A (en) * 2008-06-17 2009-12-28 주식회사 셀픽 Method for managing a flash memor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71A1 (en) * 2017-10-24 2019-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45765A (en) * 2017-10-24 2019-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KR102348693B1 (en) * 2017-10-24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US11429256B2 (en) 2017-10-24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932243A (en) * 2020-07-15 2020-11-13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Riding code plug-in management method, device, server, terminal equipment and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5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estimation
EP2680039B1 (en) Indoor/outdoor differentiation using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s
US98120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arking information for a vehicle using vehicle data and external parking data
US9863773B2 (en) Indoor global positioning system
US11317238B1 (en) Monitoring outdoor and indoor regions with mobile devices
CN107076561A (en) Indoor and outdoor transition is considered during position is determined
CN107544085B (en) Positioning method and wearable device
US9247518B2 (en) Mobile device positioning responsive to externally generated regional candidate position fix mode selection
US10522037B1 (en) Parking availability monitor for a non-demarcated parking zone
US10785617B2 (en) Context awarenes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mart service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KR20150139170A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ssociated with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939031B2 (en) Machine learning-based device placement and configuration service
US20190122554A1 (en) Smart parking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CN101867867A (en) System time automatic updating system and method
CN104634359A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navigation application
JP2010128815A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program
CN103236183A (en) Automatic car-searching system, automatic car-sear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wireless geomagnetism detection
JP2016133431A (en) Indoor/outdoor determination device, indoor/outdoor determin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2280B1 (en)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occup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493791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3840279B (en) Analog card activatio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18232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gateway of an architecture
KR1020294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using gridding map
US8768618B1 (en)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a multi-modal kalman filter
US20130179260A1 (en) Predicting Trends Using A Geographic Pos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