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907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907B1
KR101401907B1 KR1020130043823A KR20130043823A KR101401907B1 KR 101401907 B1 KR101401907 B1 KR 101401907B1 KR 1020130043823 A KR1020130043823 A KR 1020130043823A KR 20130043823 A KR20130043823 A KR 20130043823A KR 101401907 B1 KR101401907 B1 KR 10140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ain body
elastic piece
connec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근한
정원석
고재철
양동평
이건홍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9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9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plug which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n inner part and an outer surface surrounding the inner part; an elastic piece which is dispos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is spaced from the inner part of the plug, and arranged to elastically move back to the inner part of the plug; and a support part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inserted into or move back from a space between the inner part of the plug and the elastic piece and limits the movement of the elastic piece to the back side when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art of the plug and the elastic piece.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having a plug.

셋탑 박스 또는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출력 신호를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의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nector is widely used a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and audio output signals output from a set-top box or a computer to an external apparatus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HDMI 커넥터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그 플러그가 셋탑 박스 또는 컴퓨터와 같은 영상 출력 장치에 마련되는 HDMI 출력 단자에 끼워지면서 영상 출력 장치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The HDMI connector has a plug, which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video output device while being plugged into an HDMI output terminal provided in a video output apparatus such as a set-top box or a computer.

그런데 이러한 HDMI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그의 플러그가 영상 출력 장치의 HDMI 출력 단자의 끼워져 고정되는 것만으로 영상 출력 장치에 고정되고, 별도의 고정구, 예컨대 스크류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HDMI 커넥터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영상 출력 장치와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uch an HDMI connector is usually fixed to the video output device only by plugging and fixing the HDMI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output device, and often does not have a separate fixture such as a screw. Therefore, the HDMI connector may be separated from the video output device due to an external imp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른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그 장치와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시에는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device when connected to another device, and can stably maintain a connection when the device is coupl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둘러싸는 외면을 구비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외면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탄성편과,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와 상기 탄성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와 상기 탄성편 사이의 공간에 삽입 시에 상기 탄성편의 후퇴를 제한하는 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plug projecting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plug having a medial portion and a surrounding outer surface of the medial portion, and a plug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lug, And a resilient piece which is slidably movably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inserted and retracted into a space between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plug and the resilient piece, And a support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etraction of the elastic pieces when the elastic pieces ar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ieces.

또한 상기 탄성편은 일측이 상기 플러그의 외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플러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The elastic piece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and the other sid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또한 상기 탄성편의 상기 플러그의 외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측이 상기 탄성편의 상기 플러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타측보다 상기 플러그의 원단측에 위치될 수 있다. And the one side of the elastic piec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may be located on the far side of the plug tha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iec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의 이동은 상기 파지부의 이동에 연동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connector may include a grip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movab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플러그의 연장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u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and can be slidably moved integrally with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파지부가 상기 본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에 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러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movably dispos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eparating from the main body. When the grip portion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main body, at least a part of the grip portion And a plate spring elastically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ug,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portion of the leaf spring.

또한 상기 탄성편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elastic piece.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는 광 신호 변환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광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ignal converting unit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n optical signal, and an optical signal conver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And a light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the l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다른 장치와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다른 장치와 결합 시에는 그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chment and detachment from other devices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coupling can be stably maintained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with anoth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커넥터의 일부만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커넥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커넥터가 다른 장치와 결합될 때, 도 1의 커넥터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커넥터의 일부만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1;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only a part of the connector of FIG. 1; FIG.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the connector of FIG.
Figs. 5A and 5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the connector of Fig. 1 when the connector of Fig. 1 is engaged with another apparatus.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only a part of the connector of Fig. 6;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necto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본체(100), 파지부(150), 플러그(200), 신호 변환 장치(500), 광 출력 장치(550) 및 광 출력 단자(600)를 구비한다. 1 and 2,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0, a grip portion 150, a plug 200, a signal conversion device 500, an optical output device 550, (600).

본체(100)는 그 내부에 신호 변환 장치(500), 광 출력 장치(550)를 수용하며, 파지부(150), 플러그(200), 광 출력 단자(600)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The main body 100 accommodates therein the signal conversion device 500 and the optical output device 550 and is coupled with and supports the gripper 150, the plug 200 and the optical output terminal 600.

파지부(150)는 본체(100)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본체(1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이동량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파지부(15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ripper 150 is dispos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s arrang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a predetermined movement amount. The movement of the gripper 150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can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user.

플러그(200)는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부의 장치에 마련된 출력 단자에 끼워져 결합된다. 플러그(200)는 외부 장치에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규격에 따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플러그가 HDMI 단자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plug 20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main body 100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The plug 200 is for coupling to an external device and may have various forms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Hereinafter, the plug 200 will be described as an HDMI terminal, for example.

플러그(200)는 외부 출력 장치, 예컨대 셋탑 박스 또는 컴퓨터와 같은 영상 신호 출력 장치 등의 HDMI 출력 단자에 끼워지는 것으로, 합성 수지 재질의 내측부(210)와 그 내측부(210)의 둘레를 둘러싸는 금속 재질의 외면(220)을 구비한다. 내측부(210)에는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에 구비된 돌출 단자가 끼워지기 위한 중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부(210)의 중공(215)의 내측면에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속 단자(230)가 마련된다. The plug 200 is inserted into an HDMI output terminal of an external output device such as a set-top box or a video signal output device such as a computer. The plug 200 includes an inner portion 210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metal surrounding the inner portion 210 And an outer surface 220 of a material. The inner portion 210 is formed with a hollow 215 for fitting a protruding terminal provid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23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215 of the inner side portion 210.

플러그(200)의 하면에는 탄성편(300)이 배치되며, 그의 일측이 플러그(200)의 외면(220)에 연속되게 연결되어 있고, 플러그(200)의 외면(220)에 연결된 일측의 반대측 및 양측은 플러그(200)의 외면(220)과 분리되어 있다. 즉 탄성편(300)은 플러그(200)의 외면(220)에 연결된 일측 외의 부분은 슬릿(302)를 사이에 두고 플러그(200)의 외면(220)과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200)의 외면(220)에 연결된 탄성편(300)의 일측은 플러그(200)의 원단부 측으로 위치된다. 탄성편(300)와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편(300)이 가압될 경우에 탄성편(300)은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탄성편(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elastic piece 30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200 and one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The opposite side of the plug 200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220, Both sides ar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The elastic piece 30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with the slit 302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is located toward the distal end side of the plug 200.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plug 200. When the elastic piece 300 is pressed, the elastic piece 3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plug 200 ) ≪ / RTI > direction. Also, at least one protrusion 310 may be formed on the elastic piece 300.

신호 변환 장치(500)는 외부 장치와 전기 접속된 플러그(20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출력을 위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광 출력 장치(550)로 전달한다. 신호 변환 장치(500)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ignal conversion apparatus 500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plug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optical output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optical output apparatus 550. The signal conversion apparatus 500 may include an integrated circuit.

광 출력 장치(550)는 신호 변환 장치(50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한다. 광 신호는 전기적 신호에 비해서 노이즈의 개입이 적고, 광 케이블로 전송시 신호 감쇠가 전기 신호에 비해서 적어 장거리 신호 전송에 유리하다. The optical output device 550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conversion device 500 into an optical signal. The optical signal has less interference of the noise than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signal attenuation is less than that of the electric signal when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cable, which is advantageous for long-distance signal transmission.

광 출력 단자(600)는 광 케이블(미도시)의 접속을 위한 단자이다. 즉 광 출력 단자에 광 케이블이 접속되면 광 출력 장치에서 생성되는 광 신호가 광 케이블로 전달된다. 광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되는 광 신호는 광 케이블에 연결된 다른 영상 출력 장치(미도시), 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으로 전달된다. 광 케이블과 영상 출력 장치의 사이에는 광 케이블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다시 변환해 주는 신호 변환 장치가 개재될 수 있다. The optical output terminal 600 is a terminal for connection of an optical cable (not shown). That is, when the optical cable is connected to the optical output terminal, the optical signal generated by the optical output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optical cable.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an optical cable is transmitted to another image output device (not shown),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connected to the optical cable. Between the optical cable and the video output device, a signal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of the optical cable back into an electrical signal may be interposed.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파지부(150)에 연결되어 있는 받침부(400)를 더 구비한다. 받침부(400)는 본체(100)의 양측에 배치된 파지부(150)를 상호 연결하는 파지부 연결부(410)에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부(400)는 파지부(150)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파지부(150)와 일체로서 함께 전후 이동하게 된다. 받침부(400)의 플러그(200) 측의 단부는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와 외면(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50)에 삽입되는데, 받침부(400)가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와 외면(2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깊이는 파지부(150)의 이동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400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150. FIG.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coupled to a grip portion connecting portion 410 that interconnects the grip portions 15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the receiving portion 400 moves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grip portion 150 as a unit together with the grip portion 150 back and forth. An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400 on the side of the plug 200 is inserted into a space 250 formed between the inside portion 210 and the external surface 220 of the plug 200. When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inserted into the plug 200, The depth of insertion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art 210 and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grip part 15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 part 150. [

파지부(150)가 최후방측으로 후퇴된 경우에는 받침부(400)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300)의 상측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고, 파지부(150)가 최전방으로 전진한 경우에는 받침부(400)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300)의 직상측에 위치된다. When the grip portion 150 is retreated toward the rearmost position,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locat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as shown in FIG. 3A, and when the grip portion 150 is advanced to the forefront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as shown in Fig. 3B.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00)의 내부에는, 받침부(400)의 슬라이딩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가이드 부재가 받침부(400)의 양측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uide membe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unit 400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eceiving unit 400 is guided more stably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플러그(200) 및 받침부(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받침부(400)가 후퇴된 상태 및 받침부(400)가 전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lug 200 and the receiving portion 400 of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A and 4B show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retracted and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advanced.

도 4a를 참조하면, 파지부(150)의 후퇴에 따라 받침부(400)가 후퇴된 위치에 있을 경우, 받침부(400)는 탄성편(300)의 직상측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탄성편(300)과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사이에는 빈 공간(250)이 형성되므로 탄성편(300)은 도 4a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방향으로 탄성 후퇴될 수 있다.4A, when the holding part 40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according to the retraction of the holding part 150, the receiving part 40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As shown in FIG. The elastic piece 300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inner side part 210 of the plug 200 so that the elastic piece 3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part 210 of the plug 200 ) Direction.

도 4b를 참조하면, 파지부(150)의 전진에 따라 받침부(400)가 전진된 위치에 있을 경우, 받침부(400)는 탄성편(300)의 직상측에 위치되어 탄성편(300)과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사이의 공간(250)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편(300)은 받침부(400)로 인하여 플러그(2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외력의 작용시에도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4B, when the receiving unit 400 is in the advanced position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the holding unit 150, the receiving unit 4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space 250 between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plug 200. Therefore, the elastic piece 300 is limi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lug 200 due to the receiving part 400, so that the elastic piece 300 maintains its position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플러그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단자에 접속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5a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1)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에 결합될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1)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plug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and FIG. 5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도 5a를 참조하면, 플러그(200)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에 결합될 때 받침부(400)는 탄성편(300)의 상측으로부터 물러난 위치에 위치된다. 받침부(400)는 파지부(150)에 연동되므로,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후퇴시킴으로써 받침부(400)를 탄성편(300)의 상측으로부터 물러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400)가 탄성편(300)의 상측으로부터 물러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탄성편(300)이 그와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사이의 공간(250)으로 탄성적으로 후퇴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플러그(200)를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로 삽입하면, 탄성편(300) 및 그에 형성된 돌기(310)가 함께 후퇴하면서 플러그(2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에 마련되는 돌출부(11)는 플러그(200)의 내측부(210)에 형성된 중공(215)에 끼워지며, 그의 접속 단자는 플러그(200)의 복수의 접속 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5A, when the plug 200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e receiving unit 400 is located at a position retre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 Since the support portion 400 is interlocked with the grip portion 150, the user can retract the grip portion 150 to retract the support portion 400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The resilient piece 300 is elastically retracted into the space 250 between the resilient piece 300 and the inner portion 210 of the plug 200 when the retainer 400 is retrac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It is possible. Therefore, when the plug 200 is inserted into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in this state,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protrusion 310 formed therein are retracted together to smoothly insert the plug 200. The projecting portion 11 provided on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is fitted in the hollow 215 formed in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plug 200.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rojecting portion 1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도 5b를 참조하면, 플러그(200)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편(300)의 돌기(310)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에 마련된 홈(13)에 삽입되면서 탄성편(300)이 원위치로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전방으로 밀어주면 받침부(400)가 전진하여 탄성편(300)의 직상측에 위치된다. 받침부(400)가 탄성편(300)의 상측에 위치되면 탄성편(300)과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사이의 공간(250)을 점유하게 되므로 탄성편(300)은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방향으로의 물러날 수 없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편(300)의 돌기(310)는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의 홈(13)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되어 플러그(200)를 뽑고자 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따르면 커넥터(1)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5B, when the plug 200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the protrusion 310 of the elastic piece 300 is provided on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The elastic piece 3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13. In this state, if the user pushes the grip unit 150 forward, the receiving unit 400 advances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The elastic piece 300 occupies the space 250 between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inner side part 210 of the plug 200 when the receiving part 4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inner tube 210 can not be retracted and its position is fixed. The protrusion 310 of the elastic piece 300 is position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groove 13 of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so that even if a force to pull the plug 200 is applied, State can be maintained. That is,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1 and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can be firmly maintained.

한편, 본 실시예의 커넥터(1)를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커넥터(1)를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 접속할 때와 마찬가지로, 파지부(150)를 후퇴시켜 받침부(400)를 탄성편(300)의 상측에서 물러나도록 한다. 받침부(400)가 파지부(150)의 상측의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면 탄성편(300)은 다시 플러그(200)의 내측부(210) 방향으로 탄성 후퇴가 가능하므로 탄성편(300)의 돌기(310)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의 홈(13)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를 영상 신호 출력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주면 커넥터(1)의 플러그(200)는 용이하게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로부터 빠지게 되고, 커넥터(1)와 영상 신호 출력 장치는 분리된다.When the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is detach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e grip 1 is connected to the gripper 150 as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400 is retrac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The elastic piece 300 can be elastically retracted toward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plug 200 again so that the protrusion 310 of the elastic piece 300 can be retreated Can escape from the groove 13 of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erefore, if the connector 1 is pu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e plug 200 of the connector 1 is easily remov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e device is disconnec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의하면 커넥터(1)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커넥터(1)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그들 간의 기계적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영상 신호 출력 장치에 커넥터(1)를 강제적으로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장치, 예컨대, 스크류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훨씬 간단하게 커넥터의 착탈 또는 고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and disconnect the connector 1 and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and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or 1 is connected to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It can be stably maintained. Therefore,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uch easier to attach or detach the connector than the case of using a fixing device such as a screw for forcibly fixing the connector 1 to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커넥터의 플러그를 포함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cerpt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lug of the connector of FIG.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넥터(2)는 도 1의 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본체(100), 파지부(160), 플러그(200), 탄성편(300), 신호 변환 장치(500), 광 출력 장치(550) 및 광 출력 단자(600)를 구비하며, 본체(100)의 내부에는 받침부(401)가 배치된다. 6, 7A and 7B, the connecto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connector 1 of Fig. 1 except that the main body 100, the grip portion 160, the plug 200, the elastic piece 300, A signal converting apparatus 500, an optical output apparatus 550 and an optical output terminal 600. A receiving unit 401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0. [

본 실시예의 커넥터(2)의 본체(100), 플러그(200), 탄성편(300), 신호 변환 장치(500), 광 출력 장치(550) 및 광 출력 단자(600)는 도 1의 커넥터(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in body 100, the plug 200, the elastic piece 300, the signal conversion device 500, the optical output device 550 and the optical output terminal 600 of the connecto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파지부(160)는 본체(1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며, 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 및 돌출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파지부(160)는 도 1의 커넥터(1)의 파지부(150)와는 이동 방향이 상이하다. The grip portion 16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s disposed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grip portion 1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in moving direction from the grip portion 150 of the connector 1 of Fig.

한 쌍의 파지부(160)의 사이에는 판 스프링(450)이 배치된다. 판 스프링(450)은 양측 단부가 파지부(160)에 결합되어 파지부(1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눌렀다가 그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파지부(160)는 원래의 돌출된 상태로 탄성 회복하게 된다. 판 스프링(450)은 아치와 유사한 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며, 플러그(2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파지부(160)를 눌러주면 판 스프링(450)은 더욱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어, 그 가운데 부분이 플러그(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A leaf spring 45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rip portions 160. The plate spring 450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160 at both side ends thereof to elastically support the grip portion 160. [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gripper 160 and releases the pressing force, the gripper 160 is elastic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protruded state. The plate spring 450 is bent in a shape similar to an arch and convex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lug 200. [ Accordingly, when the gripper 160 is pressed, the leaf spring 450 is deformed into a more convex shape, and a portion of the leaf spring 450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ug 200.

받침부(401)는 도 1의 커넥터의 받침부(400)와 마찬가지로, 그 일부가 탄성편(300)과 플러그(200) 사이의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파지부(160)의 이동에 그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연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401)는 파지부(160)와의 연동을 위해서 파지부(160)에 결합된 판 스프링(450)의 가운데 부분에 결합된다. 받침부(401)와 판 스프링(450)의 결합부(455)는 핀, 끼움, 나사, 접착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받침부(401)와 판 스프링(450) 간의 결합은 상호 완전 고정되기보다는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것이 받침부(401)의 원활한 이동에 유리할 수도 있다. Like the receiving portion 400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the receiving portion 401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a part thereof can enter and exit the space between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plug 200,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160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16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401 is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leaf spring 450 coupled to the grasping portion 160 for interlocking with the grasping portion 160. The coupling portion 455 of the support portion 401 and the leaf spring 450 may be formed by various known coupling methods such as a pin, a fitting, a screw, and an adhesive. The coupling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401 and the leaf spring 450 may be advantageous for smooth movement of the receiving portion 401 because the coupling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401 and the leaf spring 450 is combined with a slight clearance rather than being completely fixed to each other.

도 7a은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누르기 전에는 받침부(401)가 탄성편(300)과 플러그(200)의 내측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커넥터(2)는 도 4b에 대응되는 상태가 된다. 7A shows a state before the user presses the grip unit 160. Referring to FIG. 7A, before the user presses the grip unit 160, the receiving unit 401 moves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plug 200 inser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portions. That is, the connecto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Fig. 4B.

도 7b는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누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누름에 따라서 판 스프링(450)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판 스프링(450)이 변형됨에 따라서 판 스프링(450)에 연결된 받침부(401)는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어, 탄성편(300)의 상측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커넥터(2)는 도 4a에 대응되는 상태가 된다.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depresses the grip portion 160. Referring to FIG. 7B, when the user depresses the grip portion 160, the leaf spring 450 is deformed convexly backward Able to know. As the leaf spring 450 is deformed, the receiving portion 401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450 retreats backward, and is displaced from the upper position of the elastic piece 300. That is, the connector 2 of this embodiment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Fig. 4A.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2)는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에 따라서 받침부(401)가 이동하면서 탄성편(300)의 후퇴를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permits or restricts the retraction of the elastic piece 300 while the receiving portion 401 moves as the user presses or depresses the grip portion 160.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누른 경우에는 탄성편(300)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므로 커넥터(2)의 플러그(200)가 용이하게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커넥터는 도 5a에 대응되는 상태로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에 연결이 가능하다.Since the elastic piece 300 can be elastically moved when the user presses the grip unit 160, the plug 200 of the connector 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at is, the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in a state corresponding to FIG. 5A.

한편 커넥터(2)의 플러그(200)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에 삽입된 다음, 사용자가 파지부(160)에서 손을 떼면, 판 스프링(450)이 탄성 회복되면서 받침부(401)가 원래의 위치로 전진하여 탄성편(300)와 플러그의 내측부(210) 사이의 공간을 점유함으로써 탄성편(300)이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즉 커넥터(2)는 도 5b에 대응되는 상태가 되어, 탄성편(300)의 돌기(310)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의 홈(13)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커넥터(2)의 플러그(200)는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출력 단자(1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영상 신호 출력 장치와 기계적 및 전기적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removes the grip portion 160 after the plug 200 of the connector 2 is inserted in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the leaf spring 450 is elastically restored and the support portion 401 And advances to the original position to occupy the space between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inner side portion 210 of the plug, thereby fixing the elastic piece 300 in place. That is, the connector 2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Fig. 5B, and the protrusion 310 of the elastic piece 30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groove 13 of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Therefore, the plug 200 of the connector 2 can stably maintai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upling with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without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output terminal 10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2)도 도 1의 커넥터(1)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영상 신호 출력 장치로부터 착탈될 수 있으면서도, 일단 영상 신호 출력 장치와 결합이되면 안정적으로 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Like the connector 1 of FIG. 1, the connecto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and once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is coupled with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the connec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가 가능하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2)가 영상 신호 출력 장치의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이와는 달리 단순히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다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nectors 1 and 2 have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the function of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of the video signal output device into an optical signal. However,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imply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Or may be embodied in a form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nother electrical signal.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넥터(1,2)가 HDMI 규격의 플러그(20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HDMI 규격의 플러그 외 다른 규격의 플러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connectors 1 and 2 are provided with the plug 200 of the HDMI standar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plugs other than the HDMI standard plug.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편(300)이 플러그(200)의 외면(220)을 이루는 금속과 동일 재질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탄성편(300)은 플러그(200)의 외면(220)과 구분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후퇴가 가능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elastic piece 300 is continuous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etal forming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astic piece 3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Or may be embodi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retracted elastically by a separate spring.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받침부(400,401)와 파지부(150,160)의 연동 작용이 받침부(400)와 파지부(150)의 직접 결합 혹은 판 스프링(450)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파지부와 받침부의 연동은 상술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파지부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받침부가 파지부에 기어 결합됨으로써, 받침부는 파지부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units 400 and 401 and the grip units 150 and 160 is performed through the direct coupling of the receiving unit 400 and the grip unit 150 or the leaf spring 45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may take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form. For example, the grip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main body 100 and the support portion is gear-engaged with the grip portion, so that the support portion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grip portion.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편(300)의 외측에 돌기(310)가 마련되고 플러그(200)가 결합되는 장치의 단자 측에 그 돌기(310)에 대응되는 홈(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탄성편(300)의 외측에 홈이 형성되고 플러그가 결합되는 단자 측에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러그(200)가 끼워지는 단자에는 홈(13) 대신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protrusion 310 is provided outside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groove 13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310 is formed on the terminal side of the device to which the plug 200 is couple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terminal side where th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plug is coupled. Also, the terminal to which the plug 200 is fitted may be formed with a step instead of the groove 13. [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편(300)과 플러그(200)의 외면(220)의 연결부분이 플러그(200)의 원단측으로 배치되고, 그 부분을 제외하고 탄성편(300)의 둘레를 따라 슬릿(30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탄성편(300)과 플러그(200)의 외면(220)의 연결 부분이 플러그(200)의 근단측에 위치되고 그 연결 부분을 제외하고 탄성편(300)의 둘레를 따라서 슬릿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is dispos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plug 200 and the sli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300 and the outer surface 220 of the plug 200 is locat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plug 200 and the elastic piece 300 30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이외에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1,2 ... 커넥터 100 ... 본체
150, 160 ... 파지부 200 ... 플러그
300 ... 탄성편 400, 401 ... 받침부
1,2 ... connector 100 ... body
150, 160 ... grip portion 200 ... plug
300 ... elastic piece 400, 401 ... receiving portion

Claims (8)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내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둘러싸는 외면을 구비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외면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탄성편과,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와 상기 탄성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의 내측부와 상기 탄성편 사이의 공간에 삽입 시에 상기 탄성편의 후퇴를 제한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A main body,
A plug projecting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surrounding the inner side;
An elastic piece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lug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ide of the plug and arranged to be elastically retractabl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lug;
The elastic piece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and retracted into a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plug and the elastic piece and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retraction of the elastic piece when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portion of the plug and the elastic piece And a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일측이 상기 플러그의 외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플러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piece
Wherein one sid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and the other side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상기 플러그의 외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측이,
상기 탄성편의 상기 플러그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타측보다 상기 플러그의 원단측에 위치되는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ne side of the elastic piec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And the elastic piece is located on the far-end side of the plug from the other side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u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의 이동은 상기 파지부의 이동에 연동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rip portion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movab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portion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holding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플러그의 연장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커넥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movably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lug extend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grip portion, and is slidingly moved integrally with the grip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파지부가 상기 본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에 일부가 상기 플러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는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판 스프링에 결합되는 커넥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ripping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movable in a direction to approach and separate from the main body,
And a leaf spring coupled to the grip portion and being elastically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grip portion moves away from the plug when mov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eaf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elastic pie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는 광 신호 변환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광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 optical signal convert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n optical signal;
And a light output terminal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converting unit to the outside.
KR1020130043823A 2013-04-19 2013-04-19 Connector KR1014019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823A KR101401907B1 (en) 2013-04-19 2013-04-19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823A KR101401907B1 (en) 2013-04-19 2013-04-19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907B1 true KR101401907B1 (en) 2014-05-30

Family

ID=5089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823A KR101401907B1 (en) 2013-04-19 2013-04-19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9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933A (en) * 2019-08-26 2021-03-08 김남구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065A (en)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KR20000025886A (en) * 1998-10-15 2000-05-06 윤종용 Optical connector module
JP2003317869A (en) 2002-04-19 2003-11-07 Tdk Corp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065A (en)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KR20000025886A (en) * 1998-10-15 2000-05-06 윤종용 Optical connector module
JP2003317869A (en) 2002-04-19 2003-11-07 Tdk Corp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933A (en) * 2019-08-26 2021-03-08 김남구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terminal
KR102282652B1 (en) * 2019-08-26 2021-07-28 김남구 Connec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643B2 (en) XLR cable connector
US8939790B2 (en) Signal cable, cable connector and signal cable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391137B2 (en) Ball lock connector
CA2687797C (en) Lock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US20120252282A1 (en) Connector
BRPI0606655A2 (en) electrical connector, rca connector, bnc connector, and f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coaxial cable
CN106654620B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20150268424A1 (en) Connector and plug that incorporates same
US7476118B2 (en) Releasably engag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EP2826106B1 (en) Push-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 electrical signal therewith
WO2010141647A2 (en) Releasably engag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KR101566687B1 (en) Electric connector
US9941631B1 (en) Plug and cable with plug
CN104852225A (en) Electrical and optical hybrid connector
KR101076472B1 (en) Locking type usb socket apparatus
KR101401907B1 (en) Connector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RU2655652C2 (en) Connecting device, unit from it and assembling method
US9570860B1 (en) Electrical connector providing secured plugging and convenient unplugging
CN104218384A (en) A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231452A1 (en) Safely separating plug connector part
TW202125016A (en) Optical connector mechanism and optical connector
US20200273607A1 (en) Cable assembly
KR101523039B1 (en) Connector
KR20160148993A (en) Optical and electrical hybri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