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79B1 -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 Google Patents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79B1
KR101400979B1 KR1020130031169A KR20130031169A KR101400979B1 KR 101400979 B1 KR101400979 B1 KR 101400979B1 KR 1020130031169 A KR1020130031169 A KR 1020130031169A KR 20130031169 A KR20130031169 A KR 20130031169A KR 101400979 B1 KR101400979 B1 KR 101400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hitting
gripping
strik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13003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9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6Belt or string g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op tongs with a top striking unit to enable users to grip and move a top to a desired position and to attack an opponent′s top by moving the top while the top is spinning. To achie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ngs part shaped into tongs for gripping the top; and a striking part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ngs part for striking any rotating top.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users to enjoy a top-spinning game by gripping and moving the top to a desired position, and directly striking the spinning top and attacking an opponent′s top as a decrease in the spinning force of the top is minimized and active collisions between the tops are induced.

Description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grip with a top hitting means,

본 발명은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팽이를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중인 팽이를 이동시켜 상대 팽이의 공격이 가능한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gripper having a top gripping means capable of gripping a top and moving it to a desired position, .

일반적으로 팽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구조의 원추형 형태를 갖고,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이 소멸될 때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놀이기구를 말한다.Generally, the top has a conical shape with a symmetrical structure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refers to a play device that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until the rotational force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rotational force disappears.

팽이가 쓰러지지 않고 회전하는 이유는 회전의 관성을 이용하기 때문으로서, 회전하고 있는 물체는 밖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관성으로 공간 안에서 언제까지나 같은 회전운동을 계속하려 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팽이의 회전속도는 변하지 않고 회전축의 방향도 같은 방향을 향하게 된다.The reason why the top does not collapse is because it utilizes the inertia of the rotation. If the rotating object does not apply external force, it will continue to rotate in the same space forever in inertia. Therefor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does not change and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lso faces the same direction.

그러나 팽이의 회전이 차츰 느려지다가 멈추는 것은 공기의 저항이나, 바닥과 팽이 회전축의 마찰이 외부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However, the rotation of the top gradually slows down because the resistance of the air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bottom and top rotary shafts act as external forces.

종래의 팽이에 회전력을 가하는 방식은 실을 원추형의 몸체에 감아 던지는 방식이거나 랙과 피니언구조를 응용해서 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이 위주였다. The conventional method of apply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op is mainly a method of winding a thread around a conical body or providing a power by applying a rack and a pinion structure.

하지만, 최근에는 팽이에 와인더를 끼우고, 와인더를 당김에 따라 팽이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등장하기도 하였다.Recently, however, a method of rotating the top by placing a winder on the top and pulling the winder has appeared.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9845호에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고, 일측 외주면에 작동기어가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작동기어를 은폐하도록 설치되고, 관통공을 가진 커버;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작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을 가진 작동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축지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된 하나 이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팁을 포함한 팽이가 제안되었다.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9845, there is disclosed a rotating body,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an operating gear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cover installed to conceal the operating gear of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through hole; An actuator having a plurality of tooth-shaped teeth inserted and drawn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cover and meshing with the actuating gear; At least one shaft memb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one or more holders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shaft, and at least one rotary tip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

그러나 전통적인 팽이나 최근의 합성수지로 된 사출 팽이는, 회전 후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주어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튕겨내면서 상대 팽이에 대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등 다양한 놀이 방법의 수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팽이치기 놀이에 있어 흥미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p or recent synthetic resin injection top can be used in various play methods such as moving the user to a desired position by giving physical force to the user after spinning, or attacking the top by repelling the top during rotation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the exercise,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terest in the balloon play is reduced.

이러한 팽이치기 놀이의 단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등록번호 제10-1051814호에는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와, 상기 공회전영역을 잡아 튕겨 상대 팽이를 향해 어태킹(attacking)시키는 한 쌍의 어태킹부를 구비하며,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집게 형상을 갖는 핀셋 본체와, 상기 핀셋 본체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핀셋 하우징을 포함하는 완구용 팽이 핀셋을 통해 정지상태의 초기에 팽이를 잡아 회전시키거나 회전 중인 팽이를 잡아 원하는 장소로 위치 이동시켜 상대 팽이와의 충돌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alleviate the monotony of such a balloon play, Patent Registration No. 10-1051814 discloses a balloon having a pair of grippers for gripping an idle region of a ball, and a balloon for catching the balloon and attacking the balloon toward the balloon A pair of catching parts, a pair of tweezers, a pair of tweezers, a pair of tweezers, a pair of tweezers, a pair of tweezers, and a pair of tweezers; An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collision with the counter top by grabbing the rotating top or rotating the top and moving it to the desired plac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팽이 핀셋은 상대 팽이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회전중인 팽이를 잡아 들어올린 후 상대 팽이를 향해 던져야만 공격할 수 있어 팽이치기 놀이의 흥미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op tweezer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ve a problem in that, in order to attack the opponent top, the opponent top can be attacked only when the top is lifted up and thrown toward the opponent top so that the interest of the top end play is reduced.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팽이 핀셋은 상대 팽이를 공격하기 위해 상기 팽이 핀셋을 이용하여 회전중인 팽이의 회전축을 잡아야만 하므로 팽이의 회전력이 감소하여 팽이의 공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p tweezer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ve a problem in that the top force of the top is lowered because the top force of the top is lowered because the top tweezers must catch the rotating shaft of the top while rotating using the top tweezers to attack the top.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39845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9845 특허등록번호 10-1051814호Patent Registration No. 10-105181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이를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중인 팽이를 이동시켜 상대 팽이의 공격이 가능한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p gripper capable of gripping a top and moving it to a desired position and moving the top in rotation to attack the to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팽이 타격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로서, 팽이를 파지하는 집게 형상의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인 임의의 팽이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the top gripper including a grip- And a strik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grip portion and strikes an arbitrary top that is rot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게부는 일측에 팽이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제 1 파지부를 형성한 제 1 본체; 일측이 상기 제 1 본체와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팽이의 공회전 영역 또는 팽이의 와인더 삽입부를 파지하는 제 2 파지부를 형성한 제 2 본체; 및 상기 타격부가 집게부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본체 또는 제 2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한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main body having a first grip portion for holding an idle region of a top on one side thereof; 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via a rotary shaft and having a second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winder insertion portion of the top or the idling region of the top on the other side;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so that the hitt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grip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는 스프링 또는 고무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1 파지부와 제 2 파지부가 일정 거리 이격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bo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rip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the elastic force of a spring or a rubber b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게부는 제 1 결합부에 형성되어 타격부가 상기 집게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amp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atch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unit and fixing the latching un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lamp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타격부는 양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공이 몸체부; 상기 공이 몸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타격부가 집게부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it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having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lower housing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body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are slidably installed; A spring for allowing the ball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to fix the engaging portion to the engag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타격부는 제 2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가 상기 집게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trik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part to fix the striking par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ripping part.

본 발명은 팽이를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중인 팽이를 타격하여 상대 팽이의 공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top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top can be attacked by hitting the top.

또한, 본 발명은 팽이의 회전력 감소를 최소화하며 상대 팽이를 공격하는 것이 가능하여 팽이가 최상의 회전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p and attacking the top, so that the top can attack while maintaining the best rotatio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회전중인 팽이 사이에 적극적인 충돌을 유도하여 팽이치기 놀이의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induce aggressive collision between the rotating tops to further enhance the interest of the balloon pla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로부터 팽이 타격 수단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팽이 타격 수단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1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팽이 타격 수단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 hitting means is separated from the top gripper having the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p hitting means of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p hitting means of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로부터 팽이 타격 수단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팽이 타격 수단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팽이 타격 수단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p hitting means is separated from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hitting means of the top gripper having the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Fig. 1,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p hitting means of the top gripper having the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gripper having a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100)는 팽이를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중인 팽이를 타격하여 상대 팽이의 공격이 가능하도록 집게부(110)와, 타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top gripper 100 having the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top grip to a desired position, hit the top during rotation, (110), and a striking part (120).

상기 집게부(110)는 팽이(200)를 파지하는 집게 형상의 구성으로서,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와, 회전축(113)과, 제 1 파지부(114)와, 제 2 파지부(115)와, 제 1 결합부(116)와, 걸림홈(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ripper 110 includes a first main body 111, a second main body 112, a rotating shaft 113, a first gripper 114, A second grip portion 115, a first engaging portion 116, and an engaging groove 117.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6,

상기 제 1 본체(111)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되며, 일측에는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제 1 파지부(114)가 형성된다.The first main body 111 is a bar-shaped member, which is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and a first grip portion 114 for gripping an idle region of the top 200 is formed at one side.

상기 제 2 본체(112)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작되고, 일측에는 제 1 본체(111)와 회전축(11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에는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을 파지하는 제 2 파지부(115)가 형성된다.The second main body 112 is a bar-shaped member made of plastic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111 through a rotation shaft 113 at one side thereof and idly rotated The second grip portion 115 for holding the region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를 분리된 2개의 부재가 회전축(113)을 통해 집게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를 'U'자 형상인 하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by the rotation shaft 113. However, Quot; U " shape.

상기 회전축(113)은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가 상기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112)에 형성된 제 1 파지부(114)와 제 2 파지부(115)가 일정 거리 이격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이 상기 회전축(113)에 설치된다.The rotation shaft 113 supports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such that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113.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2, A spring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113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grip portion 114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 1 파지부(114)와 제 2 파지부(115)가 일정 거리 이격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본체(111)의 말단에 형성한 제 1 홈(111a)과 제 2 본체(112)의 말단에 형성한 제 2 홈(112a)에 고무줄 등을 탄성체를 감아 상기 제 1 파지부(114)와 제 2 파지부(115)가 일정 거리 이격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groove 111a and the second groove 111b ar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body 11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114 and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elastic body such as a rubber band may be wound around the second groove 112a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grip portion 112 so that the first grip portion 114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상기 제 1 파지부(114)는 제 1 본체(111)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제 1 파지 홈부(114a)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지부(114)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와인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The first grip portion 114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1 and has a semicircular first gripping groove portion 114a formed therein. The first grip portion 114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grip portion 114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by forming a winder insertion hole (not shown).

상기 제 1 파지 홈부(114a)는 후술되는 제 2 파지 홈부(115a)와 함께 원호를 형성하여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 또는 팽이(200)의 와인더 삽입부와 밀착됨으로써, 팽이(200)가 집게부(110)에 파지(把持)될 수 있게 한다.The first gripping groove 114a forms an arc with the second gripping groove 115a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winder inserting portion of the balloon 200 or the idling region 210 of the balloon 200, 200 can be grasped by the gripper unit 110.

상기 제 2 파지부(115)는 제 2 본체(112)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제 2 파지 홈부(115a)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파지부(115)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와인더 삽입공(115b)이 형성된다.The second grip portion 115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112 and has a semicircular second gripping groove portion 115a formed at the inner side thereof and penetrates the second grip portion 115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by forming a winder insertion hole 115b.

상기 제 2 파지 홈부(115a)는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파지 홈부(114a)와 치합하여 내측에 원호가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내측에는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 또는 팽이(200)의 와인더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팽이(200)가 집게부(11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111 and 112 mo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rotation shaft 113 as the center, the second gripping groove portion 115a is engaged with the first gripping groove portion 114a, And the winder insertion portion of the top 200 or the idling region 210 of the top 200 is inserted into the arc shape so that the top 200 can be fixed to the grip portion 110.

상기 제 1 및 제 2 파지부(114, 115)가 팽이(200)의 와인더 삽입부를 파지한 경우 와인더 삽입공(115b)으로 와인더(220)를 삽입하여 팽이의 회전력을 부가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114 and 115 grip the winder insertion portion of the top 200, the winder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winder insertion hole 115b to apply rotational force of the top .

상기 제 1 결합부(116)는 제 1 본체(111) 또는 제 2 본체(11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타격부(120)가 집게부(11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타격부(120)가 집게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본체(111)의 길이방향 상면에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first engaging part 116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first main body 111 or the second main body 112 so that the engaging part 120 is fixedly engaged with the grip part 110,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catch 11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11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걸림홈(117)은 제 1 결합부(116)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로서, 타격부(120)와 제 1 결합부(116)가 결합하는 경우, 타격부(120)의 걸림돌기(126)와 치합하여 상기 타격부(120)가 집게부(110)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engaging groove 117 is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6. When the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6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riking part 12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lamping part 110.

상기 타격부(120)는 집게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인 임의의 팽이를 타격하는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121)과, 하부 하우징(122)과, 공이 몸체부(123)와, 스프링(124)과, 제 2 결합부(125)와, 걸림돌기(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riking part 1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grip 110 and is configured to strike an arbitrary top during rotation. The striking part 120 includes an upper housing 121, a lower housing 122, a ball body 123, A spring 124, a second engaging part 125, and a locking protrusion 126. As shown in Fig.

상기 상부 하우징(121)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상부 하우징(121)의 양측에는 공이 몸체부(123)가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 1 개구부(121a)와, 제 2 개구부(121b)가 형성된다.The upper housing 121 has a hollow shape and has a first opening 121a and a second opening 121b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using 121 so that the ball can slide through the body 123, Two openings 121b are formed.

상기 하부 하우징(122)은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 하우징(1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22)의 양측에는 공이 몸체부(123)가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3 개구부(122a)와, 제 4 개구부(122b)가 형성된다.The lower housing 122 is a rectangular member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nd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21 and a ball is slidably mov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122 through the body portion 123 A third opening 122a and a fourth opening 122b are formed.

상기 제 1 개구부(121a)는 제 3 개구부(122a)와 치합하고, 제 2 개구부(121b)는 제 4 개구부(122b)와 치합하여 상부 및 하부 하우징(121, 122) 사이에 공이 몸체부(123)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을 형성한다.The first opening 121a is engaged with the third opening 122a and the second opening 121b is engaged with the fourth opening 122b so that a hol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121, Through hole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22)은 내측 상면에 스프링 거치대(122c)가 설치되어 공이 몸체부(12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4)이 설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housing 122 is provided with a spring mount 122c on its inner upper surface so that a spring 124 for providing a resilient force to the body 123 is installed.

상기 공이 몸체부(123)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 하우징(121)과, 하부 하우징(122)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12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팽이(200)를 타격하며, 상기 팽이(200)를 타격하는 공이부(123a)와, 사용자가 공이 몸체부(123)를 이동시키기 위해 잡는 공이 손잡이(123b)와, 스프링(124)이 수납되도록 하는 스프링 설치홈(12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ll body 123 is a rod-like member and is installed to be slidable through the upper housing 121 and the lower housing 122 so as to strike the top 200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4. [ A ball 123a for striking the top 200 and a handle 123b for holding the ball for the ball to move the main body 123 and a spring mounting groove 123c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124 ).

상기 스프링(124)은 공이 몸체부(123)가 팽이(200)를 타격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은 하부 하우징(122)의 스프링 거치대(122c)에 설치되고, 타측은 공이 몸체부(123)의 스프링 설치홈(123c)에 설치되어 상기 공이 몸체부(123)에 팽이(200)를 타격하기 위한 압축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한다.The spring 12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ll body 123 provides an elastic force for hitting the top 200. One side of the spring 124 is provided in the spring cradle 122c of the lower housing 122, And the spring 123 is provided in the spring mounting groove 123c of the body 123 to provide a compressive elastic force for hitting the top 200 on the body 123. [

상기 제 2 결합부(125)는 하부 하우징(122)의 저면에 설치되어 타격부(120)가 집게부(11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집게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하부 하우징(122)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집게부(110)에 설치된 제 1 결합부(116)와 치합하여 타격부(120)가 집게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engaging part 125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2 so that the engaging part 120 can be engaged with the grip part 110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grip part 110 The hitting unit 1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unit 116 installed on the clipping unit 110 so that the hitting unit 120 can be fixed to the clipping unit 110 .

상기 걸림돌기(126)는 하부 하우징(12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타격부(120)와 상기 집게부(110)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타격부(120)가 집게부(110)의 제 1 결합부(116)에 형성된 걸림홈(117)과 치합하여 집게부(110) 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The engaging protrusion 126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2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10 when the engaging portion 12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0 of the grip portion 110. [ (117) formed on the clamping member (116)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lamping unit (11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op gripper 100 having the top hit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팽이 집게(100)의 집게부(110)는 회전축(113)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 또는 제 1 홈부(111a)와 제 2 홈부(112a)에 설치되는 고무줄(미도시) 등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의 선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gripper 110 of the ball gripper 100 is urged by a spring (not shown) or a first groove portion 111a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113 and an elastic force of a rubber band (not shown) provided on the second groove portion 112a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first main body 111 and the second main body 112 are kept open with the rotation shaft 113 as a center.

사용자가 집게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정지 상태의 팽이(200)를 파지하기 위해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1 본체(111)와 제 2 본체(112)의 말단에 설치된 제 1 파지부(114)와 제 2 파지부(115)가 이동하여 밀착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grasp the stopper top 200 while holding the catcher 110, 111 and the first grip portion 114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15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econd main body 112 move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제 1 파지부(114)에 형성된 제 1 파지 홈부(114a)와 제 2 파지부(115)에 형성된 제 2 파지 홈부(115a)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파지부(114, 115)에는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관통공에는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 또는 팽이(200)의 와인더 삽입부가 안착되어 팽이(200)가 집게부(110)에 파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114 and 115 are formed by the first gripping groove portion 114a formed in the first gripping portion 114 and the second gripping groove portion 115a formed i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115, The winder insertion portion of the top 200 or the idling region 210 of the top 200 is seated on the through hole of the top to hold the top 200 in the holding portion 110.

상기 집게부(110)에 파지된 팽이(200)에 와인더(200)를 와인더 관통공(115b)을 통해 삽입한 다음 잡아당겨 팽이(200)에 회전력을 발생시킨 후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바닥 또는 팽이판 등)에서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를 놓으면 회전축(113)에 설치된 스프링 또는 제 1 홈부(111a)와 제 2 홈부(112a)에 설치된 고무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가 벌어져 팽이(200)가 집게부(110)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게 된다.The winder 200 is inserted into the winder 200 gripped by the winder 200 through the winder penetrating hole 115b and is then pulled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on the winder 200 and then rot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 and 112 are placed on a floor or a top plate or the like, due to the elasticity of a spring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113 or a rubber band provided on the first groove portion 111a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112a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 and 112 are opened and the top 200 is separated from the catch 110 and rotated.

이때, 도 6과 같이 상대 팽이(300) 방향으로 회전중인 팽이(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팽이(200)의 일측에 팽이 집게(100)의 타격부(120)를 배치한 상태에서, 공이 몸체부(123)를 후측으로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공이 몸체부(123)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팽이(200)를 타격한다.6, in a state where the striking part 120 of the top gripper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op 200 so that the top 200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top balloon 300 can move, When the body part 123 is pulled back and released, the body part 123 slid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4 to strike the top 200.

상기 타격부(120)의 공이 몸체부(123)가 팽이(200)를 타격하면, 팽이(200)는 상대 팽이(300)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돌함으로써, 팽이치기 놀이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body part 123 of the striking part 120 strikes the top 200, the top 20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p 300 is located and collides with the top 100 so that the interest of the topping play can be further increased do.

또한, 회전 상태인 팽이(200)의 위치를 옮기는 경우, 사용자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제 1 본체(111)의 제 1 파지부(114)와 제 2 본체(112)의 제 2 파지부(115)가 벌어진 상태의 집게부(110)를 회전중인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 주변에 배치시킨 다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한다.W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of the top 200 in the rotating state, the user rotates the first grip portion 114 of the first main body 11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14 of the second main body 112 about the rotation shaft 113, The clamping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unit 115 is opened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idling region 210 of the rotating top 200 and then pres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 1 파지부(114)에 형성된 제 1 파지 홈부(114a)와 제 2 파지부(115)에 형성된 제 2 파지 홈부(115a)는 원호 형상의 관통공을 형성하며 회전중인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과 밀착함으로써, 팽이(200)가 집게부(110)에 회전 상태로 파지된다.The first gripping groove 114a formed in the first gripping part 114 and the second gripping groove 115a formed in the second gripping part 115 form an arcuate through hole The top 200 is gripped by the gripper 110 in a rotating state by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dling region 210.

회전중인 팽이(200)가 집게부(110)에 파지되면 사용자는 팽이(200)를 적절한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바닥 또는 팽이판 등)로 이동시킨 후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를 놓으면 회전축(113)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가 벌어져 팽이(200)가 집게부(110)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게 된다.When the rotating tops 200 are gripped by the grippers 110, the user moves the tops 200 to an appropriate arbitrary position (e.g., a floor or a top plate) and then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111,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 and 112 are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a spring (not shown)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113 so that the top 200 is separated from the catch 110 and rotated.

따라서 팽이를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회전중인 팽이를 직접 타격하여 상대 팽이의 공격이 가능하며, 팽이의 회전력 감소를 최소화시켜 상대 팽이를 공격하여 팽이 사이에 적극적인 충돌을 통해 팽이치기 놀이의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tch the top and move it to the desired position, and it is possible to attack the top by directly hitting the top in the rotation, and the top of the top is attacked by minimizing the reduction of the rotation force of the top,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course of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 팽이 집게 110 : 집게부
111 : 제 1 본체 111a : 제 1 홈부
112 : 제 2 본체 112a : 제 2 홈부
113 : 회전축 114 : 제 1 파지부
114a : 제 1 파지 홈부 115 : 제 2 파지부
115a : 제 2 파지 홈부 115b : 와인더 삽입공
116 : 제 1 결합부 117 : 걸림홈
120 : 타격부 121 : 상부 하우징
121a : 제 1 개구부 121b : 제 2 개구부
122 : 하부 하우징 122a : 제 3 개구부
122b : 제 4 개구부 122c : 스프링 거치대
123 : 공이 몸체부 123a : 공이부
123b : 공이 손잡이 123c : 스프링 설치홈
124 : 스프링 125 : 제 2 결합부
126 : 걸림돌기 200 : 팽이
210 : 공회전 영역 220 : 와인더
300 : 상대 팽이
100: Top forceps 110: Forceps
111: first body 111a: first groove
112: second body 112a: second groove
113: rotating shaft 114:
114a: first gripping groove portion 115: second gripping portion
115a: second gripping groove portion 115b: winder insertion hole
116: first engaging portion 117: engaging groove
120: striking portion 121: upper housing
121a: first opening 121b: second opening
122: lower housing 122a: third opening
122b: fourth opening 122c: spring holder
123: Ball body part 123a: Ball part
123b: Ball handle 123c: Spring mounting groove
124: spring 125: second engaging portion
126: Hooking device 200: Top
210: idling region 220: winder
300: Top

Claims (6)

팽이(200)를 파지하는 집게 형상의 집게부(110); 및
상기 집게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인 임의의 팽이를 타격하는 타격부(120)를 포함하는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A tongue-shaped gripper 110 gripping the top 200; And
And a top hitting mean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lamping unit (110) and including a striking portion (120) striking an arbitrary top in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0)는 일측에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을 파지하는 제 1 파지부(114)를 형성한 제 1 본체(111);
일측이 상기 제 1 본체(111)와 회전축(11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팽이(200)의 공회전 영역(210) 또는 팽이(200)의 와인더 삽입부을 파지하는 제 2 파지부(115)를 형성한 제 2 본체(112); 및
상기 타격부(120)가 집게부(110)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본체(111) 또는 제 2 본체(1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한 제 1 결합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unit 110 includes a first body 111 having a first grip portion 114 for gripping the idle region 210 of the top 200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wave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111 through the rotation shaft 113 and which has a winder insertion portion of the top 200 or the idle rotation region 210 of the top 200, A second body (112) which forms a part (115); And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116 formed on one of the first main body 111 and the second main body 112 so that the hitt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grip portion 110. [ A top forceps having a top hitt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111, 112)는 스프링 또는 고무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 1 파지부(114)와 제 2 파지부(115)가 일정 거리 이격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1 and 112 are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ripper 114 and the second gripper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the elastic force of a spring or a rubber band A top forceps having a top hitting means.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10)는 제 1 결합부(116)에 형성되어 타격부(120)가 상기 집게부(11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1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atching part 110 further includes a catching groove 117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art 116 to fix the catching part 1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tching part 110. [ A top gripper having a hitt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120)는 양측에 개구부(121a, 121b)를 형성한 상부 하우징(121);
상기 상부 하우징(1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개구부(122a, 122b)를 형성한 하부 하우징(122);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21, 122)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공이 몸체부(123);
상기 공이 몸체부(12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4); 및
상기 하부 하우징(122)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타격부(120)가 집게부(11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tting portion 120 includes an upper housing 121 having openings 121a and 121b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lower housing 122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21 and having openings 122a and 122b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body portion 123 which is slidably insert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121 and 122;
A spring 124 for providing the elastic force to the body portion 123;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25)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22) to fix the engaging portion (120) to the engaging portion (110)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120)는 제 2 결합부(125)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120)가 상기 집게부(11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타격 수단을 갖는 팽이 집게.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riking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126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part 125 to fix the striking part 1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ripping part 110 Top forceps with top hitting means.
KR1020130031169A 2013-03-22 2013-03-22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KR101400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69A KR101400979B1 (en) 2013-03-22 2013-03-22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69A KR101400979B1 (en) 2013-03-22 2013-03-22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979B1 true KR101400979B1 (en) 2014-05-29

Family

ID=5089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169A KR101400979B1 (en) 2013-03-22 2013-03-22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50B1 (en) * 2015-07-30 2018-01-08 최종일 Holder of to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83Y2 (en) * 1989-12-21 1994-06-15 東邦工業株式会社 Top turning device
JPH10216370A (en) * 1997-02-05 1998-08-18 Yoshiyuki Hidawa Toy and base for constituting the toy
KR20070108327A (en) * 2005-02-15 2007-11-09 차우 킹 체 Flying toy for propeller launching
KR20100137172A (en) * 2009-06-22 2010-12-30 최신규 A toy top tweez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83Y2 (en) * 1989-12-21 1994-06-15 東邦工業株式会社 Top turning device
JPH10216370A (en) * 1997-02-05 1998-08-18 Yoshiyuki Hidawa Toy and base for constituting the toy
KR20070108327A (en) * 2005-02-15 2007-11-09 차우 킹 체 Flying toy for propeller launching
KR20100137172A (en) * 2009-06-22 2010-12-30 최신규 A toy top tweez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50B1 (en) * 2015-07-30 2018-01-08 최종일 Holder of t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1014B2 (en) Device for picking up golf balls
KR100986905B1 (en)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projection part
KR101400979B1 (en) Top tongs with hitting mean of top
KR20170001444U (en) table tennis paddle
US9089741B2 (en) Golf ball grabber
KR100817249B1 (en) Pen holder table tennis paddle capable of the style of batting using the other side
GB2460718A (en) Drumstick tethering band
CN203852473U (en) Intraocular foreign body tweezers
KR20100137172A (en) A toy top tweezers
KR101029792B1 (en) A implement for playing baseball
JP3184479U (en) Table tennis racket
JP6288966B2 (en) Finger pressure enhancer
JPH075360U (en) Handle for fishing reel
KR101370610B1 (en) Winder for top
US4759550A (en) Bat with elastically connected ball
KR101463679B1 (en) Holder of top
KR20170006377A (en) Racket
JP2603175B2 (en) Pachinko ball hitting equipment
JP3673140B2 (en) Fishing reel handle
CN216909107U (en) Golf club handle and golf club
TW201524714A (en) Grappler of crane machine
JP5960425B2 (en) Bullet ball machine
KR20170112301A (en)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hand
JP3173463U (en) Grip end with weight
JP7360367B2 (en) table tennis 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