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398B1 -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398B1
KR101400398B1 KR1020070088487A KR20070088487A KR101400398B1 KR 101400398 B1 KR101400398 B1 KR 101400398B1 KR 1020070088487 A KR1020070088487 A KR 1020070088487A KR 20070088487 A KR20070088487 A KR 20070088487A KR 101400398 B1 KR101400398 B1 KR 10140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838A (ko
Inventor
원종필
이의성
홍승범
이정수
박은영
장원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3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 통신용 단말기 및 자동 설정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 네트워크 정보로 환경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정부, 네트워크 정보 및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송수신부, 및 네트워크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받으면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여 환경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네트워크 정보를 자동 설정한다.
단말기, IP, IP 주소, 통신, 네트워크 정보, 자동 설정

Description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Terminal for IP Communication and its using Method of Network Configuration}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IP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기기 간 또는 휴대용기기와 비휴대용기기 간 여러 방식의 근거리 통신이 있다. 본 발명은 그 중 IP를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 관한 것이다. IP 통신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해야 하는데,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규약)와 같이 동적으로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할당할 수 있는 DHCP 서버와 서버로부터 정보를 할당받아서 해당 정보를 사용하는 DHCP 클라이언트와 같은 부가기능이 필요하다. 또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하여 단말기가 IP 통신이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동적 설정 방법인 DHCP를 단말기에 탑재하기엔 저장용량면이나 요구 사양이 높아 부적절하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사용자가 네트워크 정보에 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추가적인 개발 부담을 줄이면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단말기 간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구성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P 통신용 단말기는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말기로써,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정부,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와 IP 통신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P 통신용 단말기는, 통신망을 탐지하여 상기 제2 단말기가 구축한 통신망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상기 제2 단말기와 IP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전송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저장된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제2 단말기로부터 IP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와 IP(Internet Protocol) 통신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생성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통신망을 탐지하여 제2 단말기가 구축한 통신망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와 IP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의 전송을 상기 제2 단말기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 간에 IP 통신을 하기 위해 DHCP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사용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PC, 노트북, MP3플레이어, PMP, PSP, 휴대용 저장장치, PDA, 네비게이션, 디지털카메라, 및 디지털캠코더 등 다른 무선 기기와 IP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휴대기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에 관한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 네트워크 설정부(40), 및 데이터 송수신부(1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를 구축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에 제2 단말기(190)로부터 연결 요청이 들어오면,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IP 통신을 위해 자신이 사용할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설정부(40)는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 설 정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제2 단말기(190)가 사용할 네트워크 정보도 생성하여 데이터송수신부(10)를 통해 제2 단말기(19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미리 설정된 IP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같은 네트워크망을 형성하는 IP 주소 그룹을 보유하고 있다가 IP 주소 그룹에서 하나의 IP 주소를 선택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한다. 동일망의 IP 주소 그룹은 하나 이상의 그룹을 보유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자신이 사용할 네트워크 정보와 제2 단말기(190)가 사용할 네트워크 정보 간에는 공통점을 가지도록 생성한다. 네트워크 정보의 공통점을 공유하여 서로 IP 통신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통점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동일한 네트워크나 서브네트워크에 있도록 네트워크아이디(Network IP)를 공통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자신이 사용하려는 제1 네트워크 정보와 IP 통신망에 있는 다른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와 상이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한다. 동일한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기기 간 충돌을 일으켜 통신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여 제1 네트워크 정보와 다른 네트워크 정보를 비교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네트워크 연결부(20)는 IP 통신망을 탐지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한 제2 단말기(290)에 연결 요청한다. 제2 단말 기(29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데이터송수신부(10)를 통해 전송받은 경우 네트워크 설정부(40)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한다.
네트워크 연결부(20)는 연결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임을 제2 단말기(290)에 알려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이 구현되지 않은 단말기와 구별되게 한다. 또한 제2 단말기(290)가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이 구현되지 않은 단말기인 경우를 대비하여,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통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 경우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최우선 순위로 한다는 내용을 포함시켜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이 최우선으로 구현한다. 데이터송수신부(10)는 상기 1 이상의 통신 방법 중 제2 단말기(290)가 지원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는 제2 단말기(290)가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지원하지 않아도 단말기 간에 통신을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설정이 구현된 단말기에 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가 제2 단말기(390)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연결부(20)는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지 탐지한다. 만일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2 단말기(390)가 연결요청이 오길 기다린다. 제2 단말기(390)의 연결요청이 오면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자신이 사용할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설정부(40)는 제1 네트워크 정보로 환경 설정한다. 연결요청이 오기 전에 미리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여 환경 설정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30)는 제2 단말기(390)가 사용할 제2 네트워크 정보도 생성하여 제2 단말기(390)에 전달한다.
네트워크 연결부가 네트워크를 탐지한 경우, 네트워크를 구축한 제2 단말기(390)에 연결요청한다. 제2 단말기(390)가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지원하는 경우, 네트워크 설정부(40)는 제2 단말기(39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받아 네트워크 환경 설정한다.
상기 네트워크 구축 탐지나 네트워크 정보 전달은 데이터송수신부(10)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정보는 IP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 IP 주소, 네트워크 마스크 정보, 및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IP 통신망이 구축된 경우, 네트워크 통신부(5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290)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또한 제2 단말기(390)가 외부 네트워크망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외부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있는 제 3 기기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또한 데이터송수신부(10)은 UWB(Ultra WideBand, 초광대역 무선통신),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rDa(적외선 통신) 및 그 외 근거리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UWB는 초광대역 무선통신 기술로 울트라와이드밴드(UWB:ultra wideband) 또는 무선디지털펄스라고도 한다. 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면서도 초당 수천~수백만 회의 저출력 펄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적인 잡음 전력보다도 전력이 낮은 것이 특색이다.
도 4는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 설정 및 전달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 도이다. 네트워크를 구축한 단말기는 IP 통신을 위해 자신이 사용할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한다(S410). 이를 이용하여 환경 설정한다(S420). 또한 제2 단말기가 사용할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여(S430) 제2 단말기에 전달하여(S440) IP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간 IP 통신을 하기 전 인증과정을 거쳐 보안을 유지한다. 이는 아래 WiNET관련된 부분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네트워크를 구축한 제2 단말기에 네트워크 정보 요청 메시지(M2)를 전달하면(S530) 제2 단말기로부터 M2에 대한 응답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받는다(S540). 전달받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 설정한다(S550). M2 메시지를 전달하기 전, 제2 단말기에 자동 설정 가능 메시지(M1)를 전달하여(S510), 제2 단말기로부터 가능하다는 응답을 받고(S520) M2 메지지를 전달하여 IP를 이용한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에 자동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네트워크를 구축한 제1 단말기에 연결 요청하려는 제2 단말기는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이 가능한지 알기 위해 자동 설정 가능 메시지(M1)을 전달한다(S610). 자동 설정이 가능한 제1 단말기는 가능하다는 응답을 한다(S620). 제1 단말기는 자신이 사용할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여(S630) 환경 설정한다(S640). 제2 단말기는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 한다(S650). 제1 단말기는 이에 대해 응답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여(S660)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S670). 제2 단말기는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 설정한다(S680). 이로 써 IP 통신망이 형성되어 양 단말기 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지원하지 않을 것에 대비하여 앞서 설명했듯, 데이터송수신부는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포함하는 1 이상의 자동 설정 통신 방법을 전달하여 제1 단말기가 지원하는 통신 방법으로 단말기가 통신하게 한다. 이 경우 자동 설정을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을 최우선 순위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NET 표준 스펙상의 연결 인증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8은 WiNETWiNET 표준 스펙상의 자동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WiNET은 UWB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방법 중 IP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정의한 스펙이다. WiNET 기술이 단말기에 적용되면 단말기 간에 IP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해 진다. WiNET 버전이 달라지는 경우 구버전의 내용에 관한 신버전의 용어로 대체해서 해석하기로 한다.
WiNET 프레임(frame)은 WiNET 프레임 타입과,필드나 클라이언트 데이터 제어를 기본 포맷으로 한다. 이 중 도 7은 스펙상 3번 타입의 연결 프레임(Association Frame)으로 WiNET 표준 스펙에서 언급되는 두 단말기 간 연결 및 인증 과정이다. Registrar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다른 단말기의 연결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다. Enrollee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WiNET 망에 연결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Registrar에 연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D1 부터 C2 까지의 메시지 형태는 WiNET 표준 스펙상에 정의되어 있다. D1 및 D2 메시지는 현재 WiNET을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지 찾는 과 정이다(S710, S720). 상기 과정을 통해 Enrollee가 네트워크를 찾게 되면 Registrar에 연결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가지 과정을 거친다. E1 및 E2 메시지를 통해 등록 세션(enrollment session)이 시작되며(S730) 그 외 암호화 과정을 위한 다수의 파라미터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과정 등을 거친다. M8까지의 과정을 거치면, 두 단말기 간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S740). C1 및 C2 과정을 통해 연결 요청을 전달하고 연결 요청 수락 메시지가 전달되면 연결과정이 종료된다(S750, S760).
연결과정이 종료되면 IP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위해 적절하게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설정해야 한다. 상기 설정 과정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되는 데 이에 대한 흐름도가 도 8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설정이 구현된 단말기임을 표시하기 위해 E1 메시지 단계에서 Enrollee가 Registrar에게 알려준다(S830). E2 단계에서는 Registrar가 해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Enrollee가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WiNET 표준 스펙에서 언급하는 Association Method를 새로이 정의한다.
Value Association Method
0x0008 Enrollee-display
0x0100 Registrar-display
0x0200 Numeric Comarison
0x0400 User-provided Password
상기 표 1은 WiNET 표준 스펙 상의 Association 방법으로 본 표에서 언급되지 않은 값들은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 중 사용되고 있지 않은 값 중에 하나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Value : 0x0300
Assocition Method : Auto Network Configuration
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D1에서 C2까지의 연결 및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자동 설정을 위해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S870) 및 전달(S880)하는 과정을 추가한다. 요청 및 전달은 Request Network Information 및 Response Network Information 메시지로 정의한다.
해당 메시지는 WiNET Association Frame에 포함되어 있는 Attribute 영역으로 표시한다. 표 2는 WiNET Association Frame의 구조를 나타낸다.
octets: 1 1 M1 M2 MN
WiNET Frame Type(3) Association Subtype Attribute 1 Attribute 2 Attribute N
Association subtype이라는 필드는 이후에 실려오는 메시지가 어떤 종류의 메시지인지 나타내는 식별자로써 사용된다. 메시지 종류별로 정의되어 있는 Attribute Value는 표 3과 같다.
Attribute Value Message type
2 D1
3 D2
4 M1
5 M2
7 M3
8 M4
9 M5
10 M6
11 M7
12 M8
14 F0
32 C1
33 C2
상기 표 3에 언급되지 않은 Attribute Value는 아직 사용되고 있지않다.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 중 두 개의 값을 추가로 사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 및 전달하는 메시지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Attribute Value 20을 Request Network Information 메시지(S880)로 Attribute Value 21은 Response Network Information 메시지(S890)로 사용한다.
네트워크 정보나 앞서 언급한 메소드리스트 담을 메시지의 실제 내용인 Attribute를 정의해야 한다. WiNET에 특화된 Attribute Type은 0x2000 내지 0x20FF 범위를 갖는다. WiNET 표준 스펙에서 정의되고 있는 Attribute Type은 표 4와 같다.
Attribute Name Attribute Type Attribute Length
(octets)

Attribute Value
WiNET Version 0x2000 1 The major and minor versin of WiNET implemented by a device, with the mafor version encoded in the upper four bits, and the minor version in the lower four bits
WSSID 0x2001 16 A WiNET srvice set identifier
WSS Name 0x2002 0-64 The friendly name of a WSS, encoded in UTF-8 format
Wss Secure Status 0x2003 1 Set to one if the WSS is secure or zero if it is not secure
WSS Broadcast Address 0x2004 6 The bulticast EUI-48, encoded as an octet string, used for broadcast traffic within a WSS
WSS Master Key 0x2005 16 A master key, encoded as an octet string, generated by a WSS founder and known by all WSS members, used for derivation of temporal keys
Accepting Enrollment 0x2006 1 Set to one if the registrar is accepting enrollment in this WSS, or zero otherwise
WSS information 0x2007 variable A set of attributes that define a WSS, including WSSID, WSS Name, WSS Secre Status, and WSS Broadcast Address, as defined in the D2 frame in 6.6.3
WSS Selection Method 0x2008 1 A value that indicates how a WSS is selected during enrollment, as described in Table 10
Association Methods List 0x2009 2, 4, 6, …, 30 A prioritized list of association methods, most-priferred first, each encoded as define in Table 11
Selected Association Method 0x200A 2 A selected association method for an enrollment session, encoded as defined in Table 11
Enrollee Hash Commitment 0x200B 32 SHA-256(PK|N), encoded as octet string, where PK is the enrollee's public key and N is the enrollee's nonce
WSS Tag 0x200C 1 A one-octet value that a device uses to identify the WSS in frames it transmits
WSS Virtual EUI-48 0x200D 6 An EUI-48, encoded as an octet string, that identifies a device within a WSS
WiNET Associatin Error 0x200E 1 The result of an operation or step, as defined in Table 9
Vendor Extension 0x200F 4-1024 A vendor-defined field that permits inclusion of vendor-specific information in an association frame. The format of the Attribute Value field is defined in Figure 25
표 4에서 언급되지 않은 Type은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는 값이다. 이중 Vendor Extension Type의 Attribute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 및 응답하는 메시지로 사용한다. Vendor Extension은 4 내지 1024 바이트의 내용을 가질수 있다. 상기 예를 바탕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정보 요청 및 응답 메시지 형태는 아래 표 5와 같다.
WiNET Frame Type
(=3)
Association Subtype
(21) or (22)
Attribute
(Vendor Extension)
WiNET에 상기 새로운 메시지 형태를 이용하여 양 단말기는 네트워크 정보를 주고 받는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추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네트워크 정보의 생성, 설정, 및 전송에 관한 블럭도,
도 2는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설정이 구현된 단말기의 블럭도,
도 4는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 설정 및 전달하는 흐름도,
도 5는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에 자동 설정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NET 표준 스펙상의 연결 인증하는 흐름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NET 표준 스펙상의 자동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네트워크 연결부 30: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
40: 네트워크 설정부

Claims (19)

  1.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설정부;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와 IP 통신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IP 통신망 내에 있는 다른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와 IP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네트워크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아이디(Network ID)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네트워크 정보는
    IP 주소, 네트워크 마스크 정보 및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저장된 제1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제2 단말기로부터 IP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와 IP(Internet Protocol) 통신이 가능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생성된 제2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정보 및 IP 통신망 내에 있는 다른 단말기의 네트워크 정보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설정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설정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아이디(Network ID)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설정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088487A 2007-08-31 2007-08-31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10140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487A KR101400398B1 (ko) 2007-08-31 2007-08-31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487A KR101400398B1 (ko) 2007-08-31 2007-08-31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838A KR20090022838A (ko) 2009-03-04
KR101400398B1 true KR101400398B1 (ko) 2014-05-26

Family

ID=4069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487A KR101400398B1 (ko) 2007-08-31 2007-08-31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629B1 (ko) 2009-03-16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ⅰp 통신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131A (ko) * 2003-12-05 2005-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Ip 주소 자동 할당을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20060078031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도약 접속 방식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영역에서,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피 주소 설정 제어 방법
KR20060091935A (ko) * 2005-02-16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증을 통한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의 참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131A (ko) * 2003-12-05 2005-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Ip 주소 자동 할당을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20060078031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도약 접속 방식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영역에서,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피 주소 설정 제어 방법
KR20060091935A (ko) * 2005-02-16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증을 통한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의 참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838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9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digital device
US965490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70013447A1 (en) Wireless association table denial of service prevention
EP22308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network for IP communication in a mobile terminal
KR20210032133A (ko) IoT 단말의 무선랜 AP 자동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4788A (ko) 신뢰할 수 있는 매체를 통한 무선 usb(wusb) 접속수립
US200902717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wireless lan of device
EP318564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O2011144174A1 (zh) 配置接入设备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30250934A1 (en) Rapid local address assign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20050057628A (ko) 액세스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을 설정하는 방법 및시스템
CN108738019B (zh) 融合网络中的用户认证方法及装置
EP2356791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07045147A1 (fr) Procede, systeme et terminal de reseau d’acces du terminal de reseau local sans fil
US1119715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ermina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234762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951236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3101553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接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3226594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btaining local domain name
CN113596141B (zh) 设备控制权限的设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400398B1 (ko) 아이피 통신용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정 방법
WO2012142867A1 (zh) 一种认证通知方法及系统
CN116888988A (zh) 实现网络之间的服务广告和服务发现的双连接设备、用户设备及系统
JP6640949B2 (ja) 接続情報送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10198B1 (ko) 모바일 브리지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