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474B1 - Circuit breaker support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474B1
KR101399474B1 KR1020120113885A KR20120113885A KR101399474B1 KR 101399474 B1 KR101399474 B1 KR 101399474B1 KR 1020120113885 A KR1020120113885 A KR 1020120113885A KR 20120113885 A KR20120113885 A KR 20120113885A KR 101399474 B1 KR101399474 B1 KR 10139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fixing
body portion
circuit break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7784A (en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김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욱 filed Critical 김영욱
Priority to KR102012011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474B1/en
Publication of KR2014004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차단기 받침대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기 받침대는 차단기를 지지하는 차단기 받침대로서, 상기 차단기와 결합하여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의 하부면과 마주보는 상부면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위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 위로 돌출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는 상기 차단기 받침대에 빠르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전반 등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A breaker bracket is provided. The breaker pedestal is a breaker pedestal for supporting a breaker, and includes a body portion supported by the break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reaker, and a body portion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like.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ember protrud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The circuit breaker can be quickly and easily coupled to the breaker pedestal.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like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차단기 받침대{CIRCUIT BREAKER SUPPORTER}{CIRCUIT BREAKER SUPPORTER}

본 발명은 차단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차단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er pedest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eaker pedestal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a breaker.

분전반은 공장, 건물, 아파트와 같은 대형 주거지역 등에 전기를 분배하는 동시에 과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방지하고 부하 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Distribution boards are electric devices that distribute electricity to large residential areas such as factories, buildings and apartments, and also prevent electric accidents by blocking overcurrents and protect load devices.

분전반은 전원측으로부터 전력을 인입하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주 배선용 차단기와 주 배선용 차단기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기 배선용 차단기 등 복수 개의 차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기는 분전반 내 배치된 차단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배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차단기 받침대에 결합시켰다. 그러나, 많은 수의 차단기를 배치하는 경우 차단기를 차단기 받침대에 결합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distribution board includes a main circuit breaker capable of draw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side and shutting off the circuit, and a plurality of branch circuit breakers for distributing power from the main circuit breaker to the load side. The breaker may be arranged to be coupled to the breaker pedestal arranged in the distribution board. In the case of disposing the circuit breaker using the circuit breaker pedestal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the circuit breaker was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pedestal using a bolt.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circuit breakers are arranged, it takes a lot of labor and time to connect the circuit breaker to the circuit break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단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차단기 받침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eaker pedestal for facilitating engagement with a break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는, 차단기를 지지하는 차단기 받침대로서, 상기 차단기와 결합하여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의 하부면과 마주보는 상부면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위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 위로 돌출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top surface oppos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and supported by the circuit breaker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circuit breaker, And a fixing part fixing the breaker to the body part.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ember protrud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2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두 개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한 개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V자 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ixing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ortion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second member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second fixing part may exten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art. The first fixing part may be arranged in two,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arranged in one, and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arranged in a V-shape.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부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받침대는, 상기 홈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홈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홈 영역 내에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groove region recess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The breaker pedestal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disposed in the groove region and supporting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a moving portion disposed in the groove reg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capable of moving the support portion in the groove region . The moving part may have an elastic force.

상기 차단기는 하부면에 배치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차단기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circuit breaker includes an annular portion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annular portion being inserted into a region defined by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Can be combined.

상기 차단기 받침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eaker pedestal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단기가 차단기 받침대에 빠르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전반 등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breaker can be quickly and easily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pedestal. There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tribution board and the like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도이다.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차단기 받침대를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차단기 받침대와 차단기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1 is a top view of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eaker pedestal of FIG. 2A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3A and 3B show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pedestal and the breaker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th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somewhat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modifi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전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는 배전반, 저압반 등 차단기가 설치되는 곳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board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ace where a breaker such as an electric switchboard, a low-pressure switch, etc.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도이다.1 is a top view of a distribu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분전반(1)은 주 차단기(10), 보조 차단기(20), 분기 차단기(30), 메인 부스바 지지대(40), 메인 부스바(100), 분기 부스바(200) 및 차단기 받침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차단기(10), 보조 차단기(20), 분기 차단기(30), 메인 부스바 지지대(40), 메인 부스바(100), 분기 부스바(200), 및 차단기 받침대(300)를 포함하는 분전반(1)의 구성부품들은 외함 내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외함은 상기 구성부품들이 배치되는 하부 판(5)과 상기 하부 판에 연결되어 상기 구성부품들을 덮는 상부 덮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distribution board 1 includes a main breaker 10, an auxiliary breaker 20, a branch breaker 30, a main bus bar support 40, a main bus bar 100, a branch bus bar 200, And a breaker pedestal (300). The distribution board 30 including the main breaker 10, the auxiliary breaker 20, the branch breaker 30, the main bus bar support 40, the main bus bar 100, the branch bus bar 200,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1 can be embedded in the enclosure and shielded from the outside. The enclosure may include a lower plate 5 on which the components are disposed and an upper cov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to cover the components.

주 차단기(10)는 주 배선용 차단기로 하나의 분전반(1)에 한 개가 배치될 수 있고, 보조 차단기(20)와 분기 차단기(30)는 분기 배선용 차단기로 하나의 분전반(1)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주 차단기(10)에 복수 개의 메인 부스바(100)가 연결되고, 보조 차단기(20)와 분기 차단기(30)에 복수 개의 분기 부스바(200)가 메인 부스바(100)와 교차하도록 연결된다.The auxiliary breaker 20 and the branch breaker 30 are disposed in a single distribution board 1 as a branch circuit breaker . A plurality of main bus bars 100 are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10 and a plurality of branch bus bars 200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breaker 20 and the branch breaker 30 so as to cross the main bus bar 100 .

메인 부스바 지지대(40)는 메인 부스바(100) 중 주 차단기(10) 측에 접속되는 단부의 반대 측 단부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The main bus bar support 40 supports and fixes the opposite end of the main busbar 100, which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reaker 10 side.

차단기 받침대(300)는 하부 판(5) 위에 배치되어 분기 차단기(30)를 지지한다. 분기 차단기(30)는 차단기 받침대(300)에 의해 하부 판(5)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eaker pedestal 300 is disposed on the lower plate 5 to support the branch breaker 30.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can be fixed to the lower plate 5 by the breaker pedestal 300.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차단기 받침대를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eaker pedestal of FIG. 2A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차단기 받침대(300)는 몸체부(310), 돌출부(320), 홈부(330), 체결부(340), 제1 고정부(351), 및 제2 고정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받침대(40)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A and 2B, the circuit breaker 300 includes a body 310, a protrusion 320, a groove 330, a fastener 340, a first fastener 351, 2 fixing portion 352. [0054] The breaker pedestal 4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synthetic resin using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몸체부(310)는 분기 차단기(30)와 결합하여 지지한다. 몸체부(310)의 일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20)가 제공되고, 타측면에는 한 쌍의 홈부(330)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인접한 차단기 받침대(300)의 홈부(330)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둘 이상의 차단기 받침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복수 개의 차단기 받침대(300)가 하부 판(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분기 차단기(30)가 차단기 받침대(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320)와 홈부(330)의 형상과 개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돌출부(320)와 홈부(330)의 개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돌출부(320)가 홈부(33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310 is coupled with and supported by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A pair of projections 3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310 and a pair of grooves 33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protrusions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330 of the adjacent breaker pedestal 300 so that two or more breaker pedestals 300 may be coupled. The plurality of breaker pedestals 3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lower plate 5 by the coupling and the plurality of branch breakers 3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breaker pedestal 3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20 and the grooves 330.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20 and the grooves 330 may be one or two or more,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320 may include all shapes that the protrusions 32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330 to engage with.

몸체부(3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체결부(340)가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340)는 불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볼트가 상기 홀에 삽입된 후 하부 판(5)에 체결됨으로써 차단기 받침대(300)가 하부 판(5)에 고정될 수 있다.A fastening part 3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art 310. The fastening portion 340 may have a hole into which the bolt can be inserted and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n fastened to the lower plate 5 so that the breaker pedestal 300 can be fixed to the lower plate 5 have.

몸체부(310)의 상부면(311)에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는 각각 몸체부(310)의 상부면(311) 위로 돌출되는 제1 부재(351a, 352a)와 제1 부재(351a, 352a)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면(311)과 마주보는 제2 부재(351b, 35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body part 310. [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are respectively formed of a first member 351a and a second member 352a protruding above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body part 310, And a second member 351b, 352b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311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31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351a, 352a)는 몸체부(310)의 상부면(31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351)의 제2 부재(351b)와 제2 고정부(352)의 제2 부재(352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한다. 즉, 제1 고정부(351)의 제2 부재(351b)는 제1 부재(351a)의 단부에서 몸체부(310)의 전면을 향하여 신장하고, 제2 고정부(352)의 제2 부재(352b)는 제1 부재(352a)의 단부에서 몸체부(310)의 후면을 향하여 신장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51)의 제1 부재(351a)와 제2 부재(351b) 및 몸체부(310)의 상부면(311)에 의해 제1 결합 영역(351s)이 정의되고, 제2 고정부(352)의 제1 부재(352a)와 제2 부재(352b) 및 몸체부(310)의 상부면(311)에 의해 제2 결합 영역(352s)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의 폭은 몸체부(310)의 폭과 같을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members 351a and 352a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body portion 310, or may be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econd member 351b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the second member 352b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exten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second member 351b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extends from the end of the first member 351a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second member 351b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352b may exten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0 at the end of the first member 352a. The first engaging region 351s is defined by the first member 351a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second member 351b and the body portion 310,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352s may be defined by the first member 352a and the second member 352b of the body portion 352 and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body portion 310. [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body part 310.

도 3a 및 도 3b는 도 2a의 차단기 받침대와 차단기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3A and 3B show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pedestal and the breaker of FIG.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분기 차단기(30)는 그 하부면에 배치된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부(31)는 제1 결합 영역(351s)에 삽입되고, 제2 고리부(32)는 제2 결합 영역(352s)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기 차단기(30)가 차단기 받침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분기 차단기(30)가 차단기 받침대(300)에 결합하기 직전에는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 사이의 간격이 커질 수 있어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는 각각 제1 결합 영역(351s)과 제2 결합 영역(352s)에 삽입될 수 있고, 결합 후에는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는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에 견고하게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may include a first ring 31 and a second ring 32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first ring portion 3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351s and the second ring portion 3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352s. Thereby, the branch breaker 30 can be coupled to the breaker pedestal 300. 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first r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ring portion 32 may have an elastic force. Thus, the gap between the first ring part 31 and the second ring part 32 can be enlarged immediately before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is coupled to the breaker pedestal 300, 2 ring 32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351s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352s, respectively, and after the engagement, the first r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ring portion 32 May be firmly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310)의 상부면(311)에 제1 고정부(351)가 두 개 배치되고, 제2 고정부(352)가 한 개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는 V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의 폭은 몸체부(3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wo first fixing portions 351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body portion 310, and one second fixing portion 352 is disposed.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may be arranged in a V-shape.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art 31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310)는 상부면(311)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 영역(315)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영역(315) 내에 지지부(370)와 이동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70)는 제1 고정부(351)와 결합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홈 영역(315)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동부(380)는 지지부(370)를 몸체부(310)에 연결시키고, 지지부(370)를 홈 영역(315)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380)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이동부(380)는 외부의 힘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380)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이동부(380)는 줄어들게 되어 지지부(370)는 제2 고정부(35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고정부(351)는 제2 고정부(352)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또, 상기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 고정부(352)는 제2 고정부(352)의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면에는 제1 고정부(351)만 이동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 모두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ody portion 310 may include a groove region 315 recess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311. The support portion 370 and the moving portion 380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region 315. The support portion 370 functions to support and support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is movable in the groove region 315. The moving part 380 may connect the supporting part 370 to the body part 310 and move the supporting part 370 in the groove area 315. [ The moving part 380 may have an elastic force and may be, for example, a spring. That is, the moving unit 380 can be stretched or shrunk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ing part 380, the moving part 380 is reduced, and the supporting part 370 is moved toward the second fixing part 352. [ As a result,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moves toward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becomes narrow.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first fixing part 352 move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352 by the elastic force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lthough only the first fixing part 351 is illustrated as being movable in the figure,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다시 도 2a, 도 2b,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351)가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분기 차단기(30)의 하부면에 배치된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 사이의 간격에 상관없이 분기 차단기(30)는 차단기 받침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 사이의 간격이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 제1 고정부(351)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가 제1 결합 영역(351s)과 제2 결합 영역(352s)에 삽입될 수 있고, 분기 차단기(30)가 차단기 받침대(300)에 결합된다. 결합 후에는 이동부(38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고리부(31)와 제2 고리부(32)는 제1 고정부(351)와 제2 고정부(352)와 견고하게 맞물려 분기 차단기(30)는 차단기 받침대(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2A, 2B, and 5, since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is movable, the first loop portion 31 and the second loop portion 3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can be coupled to the breaker pedestal 300 irrespective of the interval between the branch circuit breakers.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ing part 31 and the second ring part 32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35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2, The first claw 31 and the second claw 32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region 351s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352s by moving the branch circuit breaker 30 Is coupled to the breaker pedestal (300). The first r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ring portion 32 are firmly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ortion 35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5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oving portion 380, 30 can be stably fixed to the breaker pedestal 30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 분전반 10 : 주 차단기
20 : 보조 차단기 30 : 분기 차단기
40 : 메인 부스바 지지대 100 : 메인 부스바
200 : 분기 부스바 300 : 차단기 받침대
310 : 몸체부 320 : 돌출부
330 : 홈부 340 : 체결부
351, 352 : 고정부 370 : 지지부
380 : 이동부
1: distribution board 10: main breaker
20: auxiliary breaker 30: branch breaker
40: Main booth bar support 100: Main booth bar
200: Branch booth bar 300: Breaker pedestal
310: body part 320:
330: groove portion 340: fastening portion
351, 352: Fixing portion 370: Support portion
380:

Claims (10)

차단기를 지지하는 차단기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와 결합하여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의 하부면과 마주보는 상부면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위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기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 위로 돌출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과 마주보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2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A breaker bracket for supporting a breaker,
A body portion supported by the circuit break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And
And a fixing part formed on the body part and fixing the circuit breaker to the body part,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and a second fixing portion which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each include a first member protruding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fac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second fixing part exten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폭은 상기 몸체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idth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두 개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한 개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V자 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fixing part is disposed in two, the second fixing part is disposed in one,
Wherei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arranged in a V-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부면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홈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홈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홈 영역 내에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groove region recess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A support portion disposed in the groove region and supporting the first fix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art disposed in the groove area a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to move the supporting part in the groove are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ving part has an elastic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하부면에 배치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부재,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부면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차단기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breaker includes an annular portion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annular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by inserting the annular portion into an area defined by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배치된 홈부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s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groove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KR1020120113885A 2012-10-14 2012-10-14 Circuit breaker supporter KR101399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85A KR101399474B1 (en) 2012-10-14 2012-10-14 Circuit breaker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85A KR101399474B1 (en) 2012-10-14 2012-10-14 Circuit breaker supp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84A KR20140047784A (en) 2014-04-23
KR101399474B1 true KR101399474B1 (en) 2014-05-28

Family

ID=5065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885A KR101399474B1 (en) 2012-10-14 2012-10-14 Circuit breaker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4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803B1 (en) 2015-06-26 2017-07-24 조규완 Apparatus for Supporting Circuit Breaker
WO2023132388A1 (en) * 2022-01-07 2023-07-13 (주)에코파워텍 Support device for assemblable distribution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66Y1 (en) * 2006-05-19 2006-08-01 원영환 Contact breaker supporter
KR20090032603A (en) * 2007-09-28 2009-04-01 이상전 The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 supporter which can remove a circuit breaker easily
KR20110103118A (en) *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Structure for install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ng board and cabinet panel
KR20110125855A (en)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Structure for install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ng board and cabinet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66Y1 (en) * 2006-05-19 2006-08-01 원영환 Contact breaker supporter
KR20090032603A (en) * 2007-09-28 2009-04-01 이상전 The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 supporter which can remove a circuit breaker easily
KR20110103118A (en) *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Structure for install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ng board and cabinet panel
KR20110125855A (en)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Structure for install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ng board and cabinet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784A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892B1 (en) Branch bus bar, structure for bonding bus bars, and branch bus bar kit
CN103733451A (en) Clamping element
US8829346B2 (en) Bus bar retention snaps for a base pan assembly
KR101506670B1 (en) rail type fabricated cabinet panel
KR101399474B1 (en) Circuit breaker supporter
KR101506672B1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1466324B1 (en) Structure for bonding bus bars
KR100996857B1 (en) Direct connection mounting plate of wiring circuit breaker and switchboard
KR101864020B1 (en) Busbar support for panel board
KR20160148248A (en) Enclosure for switchgear
KR20170034123A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using block for assembly
US7295427B2 (en) Electrical component with flush side action fasteners for a load center basepan
KR101399471B1 (en) Circuit breaker supporter
US7245480B2 (en) Electrical component side action fasteners for a load center basepan
KR101096762B1 (en) Structure for install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ng board and cabinet panel
KR100772839B1 (en) Device supporting a low voltage cable for distributing board
KR102075824B1 (en) Supporting unit for switch
KR101126493B1 (en) Power distribution board
KR100924727B1 (en) The dividing type insulation cover installed to the bus bar with reinforcing unity
KR101931786B1 (en) Switchgea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787655B1 (en) Bus-bar fixed base for distribution box
KR101447117B1 (en) Clip busbar connecting assembly, and the power distribution board having the same
KR101270117B1 (en) Residential electrical controller
KR101744057B1 (en) Coupling structure
KR101133273B1 (en) Structure for install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ng board and cabine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