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156B1 - Supply device of material for agriculture for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Supply device of material for agriculture for paddy field wor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9156B1 KR101399156B1 KR1020120023361A KR20120023361A KR101399156B1 KR 101399156 B1 KR101399156 B1 KR 101399156B1 KR 1020120023361 A KR1020120023361 A KR 1020120023361A KR 20120023361 A KR20120023361 A KR 20120023361A KR 101399156 B1 KR101399156 B1 KR 1013991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ing
- case
- conveying
- lower case
- f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관부의 상방에 배출 덕트 등의 다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방 케이스부를 충분히 큰 각도로 개방한 개방 자세로 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쉬운 무논 작업기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퍼(31)의 하부에, 조출 롤(37)의 회전에 의해 호퍼(31) 내의 분말 입자 형상의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케이스부(34)를 연속 설치하고, 조출 케이스부(34)의 하부에, 압송용 공기를 수용하는 송풍관부(36a)와, 조출된 농업용 자재를 포장에 송출하는 반송관부(55)가 연통 배치되고, 조출 케이스부(34)가, 상방 케이스부(35)와 조출 롤(37)보다 반송관부(55) 부근의 제1 횡방향 축심(X1) 주위에서 상방 케이스부(35)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된 하방 케이스부(36)를 구비하고, 반송관부(55)가, 하방 케이스부(36)의 하단부 부근의 제2 횡방향 축심(X2) 주위에서, 하방 케이스부(36)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erial feeding apparatus for a non-ion machine for agricultural use which is easy to perform maintenance by setting an opening posture in which the lower case portion is opened at a sufficiently large angle even when another member such as a discharge duct is provided above the transport pip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eeding case section 34 for feeding agricultural material in the form of powder particles in the hopper 31 is continuously provided by the rotation of the feeding roll 37 at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31, A feeding pipe portion 36a for receiving the air for feeding the pressurized air and a feeding pipe portion 55 for feeding the fed agricultural material to the package are communicatively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portion 34, And a lower case portion 36 pivotally supported on the upper case portion 35 around the first transverse axis X1 in the vicinity of the conveying pipe portion 55 so as to be swingably openable and closable relative to the feeding roll 37, The carrying tube portion 55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case portion 36 so as to be freely swingable around the second transverse axis X2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case portion 36. [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퍼 내에 장입된 비료나 볍씨 등의 분말 입자 형상의 농업용 자재를 무논 등의 포장에 공급하는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말 입자 형상의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의 하부에, 내장한 조출 롤의 회전에 따라서 호퍼 내의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케이스부를 연속 설치하고, 조출 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송풍기로부터의 압송용 공기를 수용하는 송풍관부와, 조출 롤에 의해 조출된 농업용 자재를 압송용 공기와 함께 포장을 향해 송출하는 반송관부가 연통 배치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ing case portion for continuously feeding an agricultural material in a hopper to a lower portion of a hopper for storing agricultural material in the form of powder particles, A feeding pipe portion for receiving the air to be fed from the blower and a feeding pipe portion for feed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fed by the feeding roll together with the feeding air toward the packag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
이러한 종류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 관련된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서는, 조출 케이스가, 호퍼의 상단부 부근에 배치된 상방 케이스부와, 조출 롤을 사이에 끼우도록 상방 케이스부의 하방 개구부에 연속 설치된 하방 케이스부로 분할되어 있고, 하방 케이스부가, 조출 롤보다 반송관부 부근에 배치된 제1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상방 케이스부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As prior art docu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is kind of agricultural material supply device, there is
즉, 비작업 중에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함으로써, 조출 롤을 조출 케이스부에서 꺼내거나 하여, 조출 롤 및 조출 케이스부의 청소나 메인터넌스를 작업성 좋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하측 부분을 다시 폐색할 때도,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에 닿을 때까지 요동 조작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하방 케이스부의 상방 케이스부에 대한 위치 정렬 등이 불필요해져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at is, by setting the lower case part to the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part during the non-operation, the feeding roll is taken out from the feeding case part, and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feeding roll and feeding case part can be performed with good workability. In addition, when the lower portion is closed again, since the lower case portion only needs to be pivoted until it reaches the upper case portion, alignment and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portion of the lower case portion become unnecessary.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서는, 작업의 종료 후 등에 조출 롤 위에 잔류하고 있는 농업용 자재를 회수하기 위한 배출 덕트 등의 다른 부재가 반송관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반송관부가 동 다른 부재와 간섭하기 때문에,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충분히 큰 각도로 개방한 개방 자세로 할 수 없어, 청소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gricultural material feeder of the non-nonskilling machine described i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예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가 부여하는 과제를 감안하여, 반송관부의 상방에 배출 덕트 등의 다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로부터 충분히 큰 각도로 개방한 개방 자세로 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ing device for agricultural use of a non-ionic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gricultural material feeding device for a non-noble working machine which can easily carry out a maintenance work because the case portion can be set in an open posture in which the case portion is opened at a sufficiently large angle from the upper case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의 특징 구성은, 분말 입자 형상의 농업용 자재를 저류하는 호퍼의 하부에, 내장한 조출 롤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호퍼 내의 농업용 자재를 조출하는 조출 케이스부를 연속 설치하고, 상기 조출 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송풍기로부터의 압송용 공기를 수용하는 송풍관부와, 조출 롤에 의해 조출된 농업용 자재를 상기 압송용 공기와 함께 포장을 향해서 송출하는 반송관부가 연통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출 케이스부가, 상기 호퍼에 접속된 상방 케이스부와, 상기 조출 롤을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상방 케이스부의 하방 개구부에 연속 설치된 하방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방 케이스부가, 상기 조출 롤보다 상기 반송관부 부근에 배치된 제1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상기 상방 케이스부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반송관부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하단부 부근에 배치된 제2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상기 하방 케이스부에 하방으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는 점에 있다.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agricultural material feeding device of the non-magnetic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eeding case portion for feed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in the hopp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for storing agricultural- And a conveying pipe portion for convey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fed by the feeding roll to the package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pressure conveying air are arrang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feeding case portion Wherein the feeding case portion includes an upper case portion connected to the hopper and a lower case portion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portion to sandwich the feeding roll, Around the first transverse axis cent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tube portion, the upper case portion is swingably opened and closed It is pivotally connected and supported, and the point at which the conveying pipe, is the seco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ound the axis, the pivot swingably opening downward in the lower casing par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support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se portion.
상기의 특징 구성에 의한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서는, 상기 반송관부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하단부 부근에 배치된 제2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상기 하방 케이스부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관부를 하방 케이스부로부터 연결 해제시키면, 반송관부는 하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제2 횡방향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하방 케이스부를 개방 자세로 하면, 하방 케이스부는 배출 덕트 등의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고, 상방 케이스부로부터 충분히 큰 각도로 개방한 개방 자세가 되어, 조출 롤 및 조출 케이스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agricultural material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since the conveying pipe portion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case portion so as to be freely swingable around the second transverse axis cent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case portion, When the conveying tube portion is disconnected from the lower case portion, the conveying tube portion can be swung around the second transverse axis center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portion. In this state, when the lower case portion is set in the open posture, the lower case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ther members such as the exhaust duct and becomes an open posture with a sufficiently large angle from the upper case portion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eed roll and the feed case portion is performed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만약 반송관부가 하방 케이스부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된 분리 개방 상태로 되는 구성이면, 호스에 접속된 반송관부가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지상 등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종료 후에는, 작업자가 무논 작업기로부터 내려오거나 해서, 호스에 접속된 반송관부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징 구성에 의한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서는, 반송관부가 하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제2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피봇된 상태의 개방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의 종료 후에도, 작업자는 무논 작업기로부터 내려오지 않고 반송관부를 요동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하방 케이스부에 대한 폐쇄 자세로 되돌릴 수 있다.Further, if the conveying pip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 the separated and opened stat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portion, the conveying pipe portion connected to the hose is separated from the agricultural material feeding device and drops to the ground or the like. It is necessary for the worker to come down from the non-ionic working machine to recover the conveying pipe connected to the hose. However, in the agricultural material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zing feature, since the conveying pipe portion can be brought into the open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pipe portion is pivoted about the second transverse direction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portion,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work,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closed posture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portion simply by oscillating the conveying pipe portion without coming down from th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2 횡방향 축심을 구비한 축 부재가 상기 반송관부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 부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는 걸림부가 상기 반송관부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ft member having the second transverse axi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pipe portion and the lower case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shaft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detachably and externally fitte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ying pipe portion and the lower case portion.
본 구성이면, 우선 반송관부를 개방측으로 요동한 자세로 해 두고, 다음으로 반송관부를 적당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걸림부가 축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반송관부는 하방 케이스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반송관부의 내부나 하방 케이스부의 하부의 청소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configuration, first, the conveying pipe portion is made to be pivoted to the open side, and then the engag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haft member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pulling the conveying pipe portion in an appropriate direction,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veying pip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portion can be easily cleaned and maintain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압송용 공기를 상기 송풍관부로 보내주기 위한 반송 공기 풍로가, 무논 작업기의 폭 방향을 따라서 병설된 복수의 상기 조출 케이스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 공기 풍로 중, 무논 작업기의 전후 방향에서 각 조출 케이스부와 중복하는 대응 부위가 선택적으로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ing air passage for conveying the pressurizing air from the blower to the blowing pipe portion is disposed along a plurality of the ejecting casing portions juxta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condensing working machine, In which the corresponding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leading case por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air-working machine ar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other portions in the air passage.
송풍관부가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로부터 빠져나가는 구성의 경우에는,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를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아도,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요동 개방시킬 수 있는데, 본 구성이면,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를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출 롤 및 조출 케이스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wing the lower case part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part without releasing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onveying air path from the other part in the case where the blowing tube part comes out from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onveying air path. By separa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air passage from the other portio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eeding roll and the feeding case por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하방 케이스부가 송풍관부를 사이에 두고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구성이면, 해당하는 대응 부위를 인접하는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시키면서,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요동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Even when the lower cas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with the blowing pipe portion sandwiched therebetween, in the case of the present construction, the lower cas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djacent portion It is possible to pivotally open.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대응 부위와 상기 다른 부위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환 형상의 연결구가, 상기 다른 부위의 단부의 전체 둘레와 상기 대응 부위의 단부의 약 절반 둘레에 외부 끼움되는 고정 부위와, 상기 고정 부위에 피봇되어 있고, 상기 대응 부위의 단부의 나머지 약 절반 둘레와 상기 고정 부위에 동시에 외부 끼움된 연결 자세와, 상기 대응 부위의 단부의 나머지 약 절반 둘레와 상기 고정 부위의 양쪽으로부터 이탈된 해제 자세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가동 부위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nnular connector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other portion and about half of the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A connection post pivoted to the fixing portion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t the same time about the remaining approximately half of the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approximately half of the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a releasing postur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releasing posture.
본 구성이면, 연결구의 가동 부위만을 해제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only the movable portion of the connector is switched to the release posture, so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를 분리한 후에도, 연결구는 그 고정 부위에 의해 반송 공기 풍로의 다른 부위에 외부 끼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출 롤 및 조출 케이스부의 메인터넌스 작업 중에 연결구가 방해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반송 공기 풍로의 다른 부위와 다시 연결하는 작업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Further, even after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is separated,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is fitted and fixed to the other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by the fixing portion,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disturbed during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eeding roll and the feeding portion ,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retur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reconnect the conveying air passage to another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도 1은 전식기의 전체 측면도다.
도 2는 전식기의 전체 평면도다.
도 3은 시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시비 장치의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5는 시비시의 반송풍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다.
도 6은 비료 회수시의 반송풍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다.
도 7은 조출부의 구동계 등을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8은 조출부의 종단 측면도다.
도 9는 조출 케이스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0은 배출 셔터가 폐쇄 상태에서의 전환 레버 등의 조작계의 측면도다.
도 11은 배출 셔터가 개방 상태에서의 전환 레버 등의 조작계의 측면도다.
도 12는 배출 덕트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체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3은 하부 조출 케이스(하방 케이스부)와 송풍 덕트(반송 공기 풍로)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4는 셔터 스프링 등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5는 조작 로드, 조작 스프링, 연계 로드 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16은 전환 셔터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17은 하부 조출 케이스(하방 케이스부)와 반송관(반송관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18은 송풍 덕트(반송 공기 풍로)의 로크 링(연결구)을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19는 송풍 덕트(반송 공기 풍로)의 로크 링(연결구)을 도시하는 정면도다.
도 20은 로크 링(연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파단 정면도다.Fig. 1 is an overall side view of an electric table.
Fig. 2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table.
3 is a front view of the fertilizer.
4 is a side view showing an adjusting mechanism of the fertilizer.
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conveying wind at the time of fertilization.
6 shows the flow of the conveying wind at the time of collecting the fertilizer.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drive system and the like of the feeding portion. Fig.
8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feeding por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ning state of the feeding case.
10 is a side view of the operating system such as a switching lever when the discharge shutter is closed.
11 is a side view of the operating system such as a switching lever when the discharging shutter is open.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body provided in the discharge duct.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lower draft case (lower case portion) and a blowing duct (a conveying air passage).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hutter spring or the lik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rod, the operating spr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like.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witching shutter.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lower delivery case (lower case part) and the return pipe (delivery pipe part).
18 is a side view showing a lock ring (connector) of a blowing duct (conveying air passage).
19 is a front view showing a lock ring (connector) of a blowing duct (conveying air passage).
20 is a broken front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locking ring (connect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전식기의 전체 구성][Whole composition of tableware]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전식기는, 기체(1)의 운전부 스텝(18) 상에 스티어링 휠(10) 등을 장비한 조종부(11)와 운전석(12)을 구비하고, 본 발명에 관한 시비 장치(2)(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의 일례)가 운전석(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기체(1)는 조향 조작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4) 및 후륜(15)을 구비하고 있고, 차체 프레임(13)의 전방부측에 엔진(16) 및 미션 케이스(17)가 배치된다.1 and 2 includes a
운전부 스텝(18)의 양 외측에는, 운전부 스텝(18)과 연속적인 스텝면을 이루는 전방부 보조 스텝(19)이 설치되고, 또한 그 양 외측에 예비 모 탑재대(22)가 설치된다. 또한, 전방부 보조 스텝(19)의 후방에는 후방부가 높아지는 후방부 보조 스텝(20)이 배치되어 있다. 전방부 보조 스텝(19) 및 후방부 보조 스텝(20)은, 스텝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On both outer sides of the
기체(1)의 배면에는 리프트 실린더(21a)를 구비한 링크 기구(21)가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 기구(21)의 후단부측에 모심기 장치(3)가 구비되고 있다. 시비 장치(2)의 조출부(32)로부터 조출된 비료는, 호스(82)를 통해 모심기 장치(3)의 작홈기(81)에 보내져, 상기 작 홈기(81)로부터 포장면에 공급된다.A
[모심기 장치][Submersible devi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3)는 8조 심기로 구성되어,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83), 식부 전동 케이스(83)에 지지되는 한 쌍의 회전 케이스(84), 각각의 회전 케이스(84)에 구비한 2개의 식부 갈고리(85), 5개의 접지 플로트(86) 및, 매트 형상 모가 적재되는 모 탑재대(87) 각각을 구비하고 있다. 각 식부 갈고리(85)에 의한 모 이식 개소의 횡측 부근에는, 접지 플로트(86)에 설치한 작홈기(81)가 1개씩 배치되고, 그 상단부에는 호스(8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심기 작동과 연계해서 포장면에 이식된 모의 근방 위치에 작홈기(81)가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비료가 공급된다.As shown in Fig. 2, the submersible centrifuge device 3 is constituted by eight planting stages and includes four
[시비 장치][Fertilizer device]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2)는 입자 형상의 비료(농업용 자재의 일례)를 저류하는 저류 호퍼(31)(호퍼의 일례)와, 저류 호퍼(31)의 하측에 배치된 4개의 조출부(32)를 구비한다. 저류 호퍼(31)는 투명 수지제의 용기이며, 지지 프레임(3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33)은 둥근 파이프 형상의 횡 프레임부(33a)와, 횡 프레임부(33a)에 연결하는 각 파이프 형상으로 저류 호퍼(31)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33b)를 구비하고 있다.3 and 5, the
저류 호퍼(3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31a)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31a)를 개방함으로써 저류 호퍼(31)에 상부로부터 비료의 투입이 가능해진다. 저류 호퍼(31)는 기체(1)의 폭 방향을 따른 긴 변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내부가 4개의 저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각 저류 공간의 하측에 하나의 조출부(32)가 배치되어, 이들 4개의 저류 호퍼(31)로부터 조출부(32)에 비료가 보내진다. 1개의 조출부(32)는, 2조의 모 열에 비료를 공급하도록 2개의 호스(82)에 대하여 비료를 송출한다.A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조출부(32)는, 저류 호퍼(31)의 하방에 배치된 조출 케이스(34)(조출 케이스부의 일례)와, 조출 케이스(34)에 내장 된 조출 롤(37) 및 브러시(38)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케이스(34)는 저류 호퍼(31)의 하단부에 지지된 상부 조출 케이스(35)(상방 케이스부의 일례)와, 조출 롤(37)을 사이에 끼우도록 상부 조출 케이스(35)의 하방 개구부에 연속 설치된 하부 조출 케이스(36)(하방 케이스부의 일례)를 갖는다. 조출 롤(37)은, 상부 조출 케이스(35)와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경계부에 횡방향 자세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브러시(38)는 털끝이 조출 롤(37)의 외주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8 and 9, one
저류 호퍼(31)에 저류되어 있는 비료는 자중에 의해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유입된다. 조출 롤(37)의 외주에는 비료가 들어가는 오목부(37a)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출 롤(37)의 축심과 동일 축심에 배치한 조출축(65)이 도 8에서 시계 방향(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오목부(37a) 내에 있는 비료가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보내진다. 이때 여분이 되는 비료는, 브러시(38)로 털어내기 때문에, 오목부(37a)에 들어 있는 일정량의 비료만이 조출된다. 또한, 하부 조출 케이스(36)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fertilizer stored in the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부 전방에는, 후술하는 블로어(104)로부터 보내지는 압송용 공기를 수용하는 송풍관로(36a)(송풍관부의 일례)가 연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부 후방에는, 조출 롤(37)에 의해 조출된 비료를 송풍관로(36a)로부터 보내진 압송용 공기와 함께 포장을 향해 송출하는 반송관(55)(반송관부의 일례)이 연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반송관(55)의 돌출 단부에 상술한 호스(82)가 연결되어 있다.A blowing
또한,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전방부측에는, 블로어(104)로부터의 압송용 공기를 송풍관로(36a)에 보내주기 위한 통 형상의 송풍 덕트(101)(반송 공기 풍로의 일례)가, 무논 작업기의 폭 방향을 따라서 병설된 4개의 조출 케이스부를 따라 가로가 긴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송풍관로(36a)는, 후술하는 도입 부재(108)를 사이에 두고 송풍 덕트(101)와 연통 접속되어 있다.A tubular blowing duct 101 (an example of a conveying air passage) for sending the air for conveying the pressurized air from the
송풍관로(36a) 중 하부 조출 케이스(36)와의 접속부에는 반송풍의 흐름을 제한하는 조임부(36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시비가 행해질 때는, 조출 롤(37)의 회전에 의해 상부 조출 케이스(35)의 비료가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부 공간으로 송출되고, 송풍관로(36a)에는 송풍 덕트(101)로부터의 반송풍이 공급된다. 이 공급 시에는 조임부(36d)가 반송풍의 흐름을 약간 제한함으로써 복수의 송풍관로(36a)에 대하여 균일한 반송풍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하부 공간으로 송출된 비료는 반송풍의 압력에 의해 반송관(55)으로 보내지고, 또한, 반송풍과 함께 호스(82)로부터 작홈기(81)로 반송되어 작홈기(81)를 통해 포장면에 공급된다.A throttling
모심기 장치(3)는 기체(1)에 대하여 승강하기 때문에, 승강에 따라서 유연하게 변형하는 콜게이트관이 호스(82)로서 사용되고 있다. 모심기 장치(3)의 레벨에 관계없이 호스(82)에 대하여 비료를 원활하게 반송하기 위해서 호스(82)의 기단부측, 즉, 시비 장치(2)에 연결하는 위치를 높은 레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반송관(55)의 반송 방향에서의 하류측의 단부 위치를 높은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Since the shaft device 3 is lift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구체적으로는, 반송관(55)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로부터 반송 상류측을 반송 하류측일수록 낮아지는 하행 경사로 설정하고, 중간 위치로부터 하류측을 하류측일수록 높아지는 상행 경사로 설정하도록, 상기 반송관(55)을 완만하게 굴곡시키고 있다. 반송관(55)의 내면이 매끄럽게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조출부(32)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반송풍과 함께 비료가 반송관(55)으로 보내졌을 때는, 비료는 하행 경사를 따라 흘러간 후에 상행 경사를 따라 올라가, 높은 레벨에서 호스(82)에 공급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stream side of the conveying
도 5, 도 6,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조출부(32)는 2개의 반송관(55)에 대하여 비료를 송출하는 구조이며, 상기 2개의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연결하기 때문에, 2개의 반송관(55)에 연결하는 단일한 기단부(55A)가 2개의 반송관(5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55A)에는 1개의 개폐 축(56)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 축(56)과 일체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대응하는 반송관(55)을 개폐 작동하는 2개의 도풍(導風) 셔터(57)가 개폐 축(56)에 구비되어 있다. 개폐 축(56)에 대하여 가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2개의 반송관(55)의 도풍 셔터(57)를 동시에 개방 상태로 설정하는 셔터 스프링(58)이 2개의 반송관(55)의 중간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6, and 13, one feeding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부 공간(조출부(32)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반송관(55)으로 비료가 반송되는 영역이 반송 경로이며, 도풍 셔터(57)는 반송 경로의 어느 개소에 구비되어도 좋다. 따라서, 도풍 셔터(57)를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구비해도 좋다. 특히, 도풍 셔터(57)를 폐쇄 상태로 한 경우에는 송풍관로(36a)에 공급되는 반송풍을 조출부(32)의 하부 조출 케이스(36)로부터 상부 조출 케이스(35)의 방향으로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area where the fertilizer is conveyed from the lower space of the lower draft case 36 (the lower space of the draft portion 32) to the
조출부(32)의 송풍관로(36a)와 송풍 덕트(101)를 접속하는 개소에, 도입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도 8,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 부재(108)는, 송풍 덕트(101) 내에 돌출되는 사발 형상의 도입부(108a)를 구비하고 있다. 도입부(108a)는 송풍 덕트(101)의 상류측에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반송풍을 송풍 덕트(101)로부터 송풍관로(36a)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n
도 8,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37)의 외주 근방 중 브러시(38)와 반대측에서, 저류 호퍼(31)와 조출부(32)의 중간 위치에 저류 호퍼(31)의 비료를 배출 가능한 배출 경로로서 배출구(35a)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35a)에는 배출 셔터(39)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배출 셔터(39)는, 횡축(40)과 일체적으로 요동함으로써 개폐된다. 조출부(32)의 후방면측에는 가로로 긴 자세로 배출 덕트(102)가 구비되고, 이 배출 덕트(102)에 형성된 통 형상의 접속부(102a)가 배출구(35a)의 부위와 연결되어 있다.8 and 12,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holding
배출 셔터(39)를 도 8에 도시하는 폐쇄 상태(폐쇄 자세)로 설정한 상태에서, 이 배출 셔터(39)의 요동 단부(39a)가 접촉하는 접촉부(35b)가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형성되고, 이 접촉부(35b)를 기준으로 해서, 배출 덕트(102)의 방향일수록 배출 덕트측의 저면이 저 레벨이 되는 안내 저벽(35c)이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형성되고, 이것에 이어지는 접속부(102a)의 내부에는 단차부(102b)가 형성되어 있다.The abutting
통상의 모내기 작업시에는, 배출 셔터(39)는 도 8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상태(폐쇄 자세)로 유지된다. 이 폐쇄 상태에서는 배출 셔터(39)의 요동 단부(39a)가 배출구(35a)의 접촉부(35b)에 접촉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비료는 배출 덕트(102)에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모내기 작업의 종료 후 등에 비료를 저류 호퍼(31)로부터 회수하는 경우, 배출 셔터(39)를 도 8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 조작한다. 이 개방 상태에서는, 저류 호퍼(31)에 잔류하는 비료가 안내 저벽(35c)으로부터 단차부(102b)로 보내지는 동시에, 조출부(32)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공급되는 반송풍의 압력에 의해 접속부(102a)로부터 배출 덕트(102)로 송출되게 된다. 송풍 덕트(101) 및 배출 덕트(102)의 배치나 배출 셔터(39)의 전환 조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During normal rice planting work, the
[구동·전달 기구] [Driving / transmitting mechanism]
엔진(16)의 동력을 조출부(32)에 전달해서 구동하는 구동·전달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출부(32)를 조작하는 동력은, 도 1에 도시하는 미션 케이스(1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전동축(51)으로부터 전달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51) 및 회전 아암(52)은 기체(1)의 좌우 중앙에 배치되고, 좌우의 차체 프레임(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축(51)에 회전 아암(52)이 연결되고, 회전 아암(52)의 편심 위치에 작동 로드(53)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동축(51)과 함께 회전 아암(52)이 회전 구동했을 때에는 작동 로드(53)가 상하 왕복 운동을 행하고, 이 작동 로드(53)의 상하 왕복 운동은 조절 기구(70)를 통해 구동 로드(59)로부터 조출 롤(37)에 전달된다.A driving / transmitt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and driving the power of the
조절 기구(70)에는, 작동 로드(5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의 작동 스트로크를 조절해서 구동 로드(59)에 전달하는 작동량 조절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내장 되어 있다. 작동량 조절 수단은 도 4에 도시하는 조절 노브(70A)를 포함하고, 이 조절 노브(70A)를 인위적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작동량 변경 수단에 의한 조절량이 변경되고, 작동 로드(53)의 1 작동당의 조출 롤(37)의 회전 각도가 변경되어 비료의 조출량의 조정이 실현된다.Th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34)의 후방부 위치에는 구동축(62)이 배치되고, 이 구동축(62)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 기어(63)가, 각 조출 케이스(34)의 근방에 구비되어 있다. 조출 롤(37)과 일체 회전하는 조출축(65)에 구비한 수동 기어(65A)가 조출 케이스(34)의 측방 외부에 구비되고, 이 수동 기어(65A)와 구동 기어(63)가 맞물려져 있다. 구동축(62)의 축 단부에는 원웨이 클러치(64)가 구비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64)의 아암에 대하여 조절 기구(70)의 구동 로드(59)가 연결되어 있다.7, a driving
모심기 작업이 행해질 때에는, 전동축(51)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작동 로드(53)와, 조절 기구(70)와, 구동 로드(59)를 통해 원웨이 클러치(64)에 전달되고, 구동축(62)의 구동 기어(63)에 맞물리는 수동 기어(65A)가 회전하는 결과, 조출축(65)과 일체적으로 조출 롤(37)이 회전하여, 저류 호퍼(31)의 비료가 조출되고 시비가 행해진다. 그리고, 조절 기구(70)의 조절 노브(70A)를 회전 조작하면, 구동 로드(59)의 상하 방향의 작동 스트로크가 변경되기 때문에, 작동 로드(53)의 1 작동당의 조출 롤(37)의 회전 각도가 변경되어 비료의 조출량의 변경이 실현한다.The driving force from the
[전동 블로어·반송 수단][Electric blower / conveying means]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료의 공급 혹은 회수시에 이용되는 반송풍을 만들어 내는 전동 블로어(104)(송풍기의 일례)가 운전석(12) 아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 블로어(104)는, 전동 모터(104a)를 팬 케이스(104b)에 연결한 구조를 갖고 있고, 팬 케이스(104b)에 내장된 팬(104c)이 전동 모터(104a)로 구동됨으로써 팬 케이스(104b)로부터 송풍 덕트(101)에 반송풍이 공급된다.2 to 5, an electric blower 104 (an example of a blower) for generating a conveying wind to be used at the time of supplying or recovering the fertilizer is disposed behind the driver's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블로어(104)에 외기를 도입하는 도입 덕트(105)는, 도입 덕트(105)의 흡기구(105a)가 엔진(16)의 근방에서 머플러(25)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엔진(16)에서 가열된 공기나 머플러(25)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기구(105a)로부터 흡인하여, 반송풍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반송풍에 의해 비료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2,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차체 프레임(13)으로부터 상방에 보조 프레임(13a)이 세워 설치되고, 이 좌우의 보조 프레임(13a)의 상단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한 브래킷(67)으로 현수시키는 형태로 전동 블로어(104)가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67)은, 수평 자세로 보조 프레임(13a)의 상단부에 대하여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편(67a)과, 상기 지지편(67a)의 중간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하강하는 자세로 팬 케이스(104b)에 연결되는 연결편(6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를 위해 전동 블로어(104)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볼트의 조작에 의해 보조 프레임(13a)으로부터 브래킷(67)을 제거함으로써 전동 블로어(104)를 상방으로 뽑아낼 수 있다.3, an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덕트(101)는, 우측 송풍 덕트(101a)와 좌측 송풍 덕트(101b)를 구비하고, 이들에게 전동 블로어(104)로부터 반송풍을 공급하는 분기 덕트(101c)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조출부(32)의 전방측(도 5, 도 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송풍 덕트(101a) 및 좌측 송풍 덕트(101b)에는 각 조출부(32)의 송풍관로(36a)가 연결되어 있다.5 and 6, the blowing
비료 회수용의 배출 덕트(102)는, 조출부(32)의 후방측(도 5, 도 6의 상측)에 배치되고, 각 조출부(32)의 배출구(35a)와 연결된다. 배출 덕트(102)의 우측 단부(도 5, 도 6의 좌측)에는, 비료를 회수 주머니(5)(도 6을 참조)에 회수하기 위한 배출부(102c)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덕트(101)와 배출 덕트(102)는, 각 덕트의 좌측 단부(도 5, 도 6의 우측)에서,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의 연결 덕트(103)에 의해 연통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덕트(103)에는 전환 셔터(107)가 설치되어, 반송풍의 유입을 허용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The
배출부(102c)는, 배출 덕트(102)의 우측 단부를 하방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비료의 배출 방향을 하방으로 설정하고 있고, 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부(102c)의 근방 위치에서 배출 덕트(102)와 평행한 자세가 되는 지지 로드(90)가 기체 횡방향으로 출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dischargin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부(32)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3)의 지지 프레임부(33b)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스테이(91)가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스테이(91)에 천공된 관통 구멍에 대하여 지지 로드(90)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지지 로드(90)는, 배출부(102c)로부터 배출되는 비료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주머니(5)를 현수하기 위해 사용된다.A plurality of
[비료 회수 구조][Fertilizer Recovery Structure]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2)를 "작업 위치"와 "회수 위치"로 조작 가능한 전환 레버(26)가, 조출부(32)의 전방부측(기체(1)의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환 레버(26)는, 4개의 배출 셔터(39)와, 8개의 도풍 셔터(57)와, 전환 셔터(107)를 연계해서 조작하는 전환 조작구로서 기능한다.10 and 11, the switching
전환 레버(26)는, 전환축(27)의 우측 단부(도 5, 도 6의 좌측)에서, 배출부(102c)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비료의 회수 상황을 확인하면서 전환 레버(26)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전환축(27)에는 4개의 전환 아암(28)과, 회전 아암(45)(도 5, 도 6, 도 16을 참조)이 고정되어 있고, 전환 레버(26)를 조작해서 전환축(27)을 회전시킴으로써, 4개의 배출 셔터(39)와 전환 셔터(107)의 개폐를 동시에 행하고, 배출 셔터(39)의 개폐와 연계해서 도풍 셔터(57)를 개폐하는 연계가 구성되어 있다.Since the switching
전환 레버(26)와 지지 프레임(33)의 사이에는, 상기 전환 레버(26)를 "작업 위치"와 "회수 위치" 중 어느 한쪽에 토글식으로 유지하도록 전환 레버(26)에 상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다. 즉, 스프링(24)이 전환 레버(26)에 결합하는 위치를 가압력 작용점으로 하면, 전환 레버(26)가 "작업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가압력 작용점은 전환축(27)보다 상측에 있어, 스프링(24)의 가압력은 전환 레버(26)를 "작업 위치"로 유지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와는 반대로, 전환 레버(26)를 "작업 위치"로부터 "회수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가압력 작용점이 전환축(27)의 하측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프링(24)의 가압력은 전환 레버(26)를 "회수 위치"로 유지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Between the switching
배출 셔터(39)를 개폐 작동시키는 횡축(40)의 단부에 2개의 아암부를 갖는 전환 부재(72)가 설치되고, 상기 전환 부재(72)의 한쪽의 단부와 전환 아암(28)의 사이에 가압 수단으로서의 조작 스프링(73)과, 조작 로드(74)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즉, 조작 스프링(73)은, 한쪽의 단부를 전환 부재(72)에 결합시키고, 다른 쪽의 단부를 전환 아암(28)에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조작 로드(74)의 한쪽의 단부를 전환 부재(72)에 결합시키고, 다른 쪽의 단부를 전환 아암(28)의 긴 구멍(28a)에 결합시키고 있다.A switching
도 9, 도 10,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풍 셔터(57)를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 축(56)의 단부에 개폐 레버(75)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 레버(75)와 전환 부재(72)의 다른 쪽의 아암과의 사이에 연계 기구로서의 연계 로드(76)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 연계 로드(76)는 상단부측을 전환 부재(72)에 결합시키고, 중간부를 가이드부(35e)에 삽입 관통시키고, 하단부의 조작 단부(76a)를 개폐 레버(75)에 근접시키고 있다(도 15를 참조). 가이드부(35e)는, U자 형상의 로드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의 플랜지부(35f)의 측면에 구비해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10 and 15, an opening / closing
특히, 개폐 레버(75)에 있어서 연계 로드(76)가 결합하는 부위에는, 아암의 상방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이 개방 부분에는 결합부(75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연계 로드(76)가 개폐 레버(75)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75a)는 연계 로드(76)가 하방으로 작동했을 때에, 하단부의 조작 단부(76a)에 결합함으로써 개폐 레버(75)와 연계 로드(76)의 분리를 저지한다.Particularly, in the opening / closing
조작 스프링(73)과, 조작 로드(74)와, 전환 아암(28)의 긴 구멍(28a)으로 조작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기구에서는, 전환 레버(26)를 "작업 위치"로 설정했을 때에는, 조작 로드(74)의 전환 아암측의 단부가 긴 구멍(28a)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변위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며, 조작 스프링(73)(가압 수단)이 신장 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조작 스프링(73)의 가압력만을 전환 부재(72)에 작용시켜, 횡축(40)을 중심으로 해서 전환 부재(72)를 요동시킴으로써 배출 셔터(39)가 폐쇄 상태로 조작된다. 또한, 전환 레버(26)를 "작업 위치"로 설정한 경우에는, 전환 부재(72)의 요동 자세의 전환에 수반하여, 연계 로드(76)가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셔터 스프링(58)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 레버(75)가 요동함으로써, 도풍 셔터(57)가 폐쇄 상태로 조작된다.The operating
상기 조작 기구에서는, 상기 전환 레버(26)를 "회수 위치"로 설정했을 때에는, 조작 스프링(73)이 이완하여 가압력이 전환 부재(72)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하는 동시에, 조작 로드(74)의 전환 아암측의 단부가 긴 구멍(28a)의 단부에 접촉하여, 전환 레버(26)로부터의 압입 방향으로의 조작력을 전환 부재(72)에 전달함으로써 배출 셔터(39)가 개방 상태로 조작된다. 또한, 전환 레버(26)를 "회수 위치"로 설정한 경우에는, 전환 부재(72)의 요동 자세의 전환에 수반하여, 연계 로드(76)가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조작 단부(76a)로부터의 압박력에 의해 개폐 레버(75)를 요동시킴으로써, 셔터 스프링(58)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도풍 셔터(57)가 폐쇄 상태로 조작된다.When the switching
도 5, 도 6,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축(27)은, 전환 로드(46)를 통해 전환 셔터(107)와 연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셔터(107)의 셔터 축(47a)의 축 단부에 조작 아암(47)을 구비하고 있고, 전환축(27)에 구비한 회전 아암(45)과 조작 아암(47)이 전환 로드(46)에 의해 연계되어 있다. 즉, 전환 레버(26)가 "작업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전환 셔터(107)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 설정되고, 전환 레버(26)가 "회수 위치"로 조작되면, 전환 셔터(107)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 도달한다.As shown in Figs. 5, 6, and 16, the switching
모내기 작업을 행할 때에는, 전환 레버(26)를 "작업 위치"로 설정 유지함으로써, 도 5 및 도 8(실선 기재)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셔터(39)를 폐쇄 상태로, 도풍 셔터(57)를 개방 상태로 하고, 전환 셔터(107)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전동 블로어(104)로부터의 반송풍은, 우측 송풍 덕트(101a) 및 좌측 송풍 덕트(101b)로 보내지는데, 배출 덕트(102)에 대한 공급은 전환 셔터(107)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반송풍은 송풍 덕트(101)로부터 조출부(32)의 하부로 전달되어, 이 조출부(32)로부터 조출되는 비료의 포장면에 대한 공급을 실현한다.5 and 8 (solid line), the
이에 대해, 모내기 작업이 종료되고, 비료를 회수할 때에는, 전환 레버(26)를 "회수 위치"로 설정 유지하고, 도 8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셔터(39)를 개방 상태로, 도풍 셔터(57)를 폐쇄 상태로 하고, 전환 셔터(107)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전동 블로어(104)로부터의 반송풍은 조출부(32)의 하부로부터 조출부(32)의 조출 롤(37)의 방향으로 보내지는 동시에, 연결 덕트(103)를 거쳐 배출 덕트(102)로 보내진다. 또한, 배출 셔터(39)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조출 롤(37)과 브러시(38)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과 그 자중에 의해 비료는 조출부(32)로부터 배출 덕트(102)로 배출된다. 그 결과, 배출 덕트(102)로 배출된 비료가, 반송풍에 의해 배출부(102c)로 운반되어, 비료 회수를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nting work is completed and the fertilizer is recovered, the switching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접속하는 접속부(102a)의 개구 부위를 배출 덕트(102)의 내부측으로 약간 돌출시키고, 이 부위의 반송풍의 흐름을 고속화함으로써, 상기 배출 덕트(102)의 부압이 높아져 흡인이 양호하게 행해진다.The open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또한, 상부 조출 케이스(35)와 접속하고 있는 접속부(102a)에, 평면에서 볼 때 삼각 형상의 돌기부(102d)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102d)는, 반송풍의 흐름의 방향에서 하류측이 되는 접속부(102a)의 측면에 형성되어, 반송풍이 상부 조출 케이스(35)로 유입되는 것이나, 접속부(102a)에서 반송풍이 확산되어 소용돌이를 만드는 문제를 억제한다.Further, a
또한, 복수의 접속부(102a) 중 연결 덕트(103)에 가장 가까운 부위에서는, 연결 덕트(103)로부터 배출 덕트(102)로 반송풍이 보내질 때에 흐름이 90° 변경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복수의 접속부(102a) 중 공기의 흐름의 상류측(연결 덕트(103)의 측)에는, 반송풍을 접속부(102a)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접속부(102a)의 방향으로의 반송풍의 유입을 억제하는 가이드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접속부(102a)로부터 비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하여, 반송풍의 흐름에 의해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Since the flow is changed by 90 degrees when the conveying wind is sent from the connecting
[시비 장치의 메인터넌스 대응 구조][Structural support for fertilizer maintenance]
시비 장치(2)의 각 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화하기 위해서 설치된 몇 가지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constitutions provided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work of each part of the
시비 장치(2)의 상부 조출 케이스(35)와 하부 조출 케이스(36)는, 상부 조출 케이스(35)의 하단부 후방에 형성한 결합 구멍(35f)과,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후방 상단부에 형성한 결합편(36c)과의 결합에 기초하여 피봇 지지 연결되고, 이 결합부 부근에 위치하는 제1 횡방향 축심(X1)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도 7,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2)의 운전시에는, 상부 조출 케이스(35)와 하부 조출 케이스(36)는, 개폐 레버(49)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개폐 레버(49)는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대하여 횡방향 축심(X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개폐 레버(49)의 상방에 설치된 결합 오목부(49a)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의 플랜지부(35f)의 결합 볼록부(35g)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조출 케이스(35)과 하부 조출 케이스(36)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개폐 레버(49)를 하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결합 오목부(49a)를 결합 볼록부(35g)로부터 결합 해제하면, 하부 조출 케이스(36)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대하여 개방 자세를 향해 요동 조작 가능해진다. 하부 조출 케이스(36)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하면, 상부 조출 케이스(35), 하부 조출 케이스(36), 조출 롤(37)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8, 10 and 11, when the
또한, 반송관(55)도 하부 조출 케이스(36)와 별개로 만들어져 있어, 반송관(55)의 전단부에 연결된 기단부(55A)와 하부 조출 케이스(36)가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 위치 결정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다. 반송관(55) 및 기단부(55A)는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단부 부근에 배치된 제2 횡방향 축심(X2) 주위에서,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횡방향 축심(X2)을 구비한 한 쌍의 축 부재(36p)가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단부로부터 좌우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55A)의 하단부에는, 축 부재(36p)의 외주면에 외부 끼움 지지되는 걸림부(8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The
도 7, 도 8,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 장치(2)의 작동시에는, 반송관(55) 및 기단부(55A)는,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 레버(42)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연결 레버(42)는, 그 요동 단부측의 연결 오목부(42a)를 기단부(55A)의 연결부 외면으로부터 좌우로 돌출 형성된 연결 핀부(55p)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55A) 및 2개의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대한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레버(42)를 인위 조작으로 끌어내려, 연결 핀부(55p)로부터 연결 오목부(42a)를 이격시키면, 기단부(55A) 및 2개의 반송관(55)을 제2 횡방향 축심(X2) 주위에서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요동 조작할 수 있다.7, 8, 10 and 11,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기단부(55A) 및 2개의 반송관(55)이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대한 폐쇄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개폐 레버(49)를 풀러도, 반송관(55)과 배출 덕트(102)의 간섭에 의해, 하부 조출 케이스(36)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대하여 충분히 크게 개방시킬 수 없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에 기단부(55A) 및 2개의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요동 조작시켜 두면, 반송관(55)과 배출 덕트(102)가 간섭하지 않아, 하부 조출 케이스(36)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대하여 충분히 크게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조출 케이스(35), 하부 조출 케이스(36), 조출 롤(37)의 메인터넌스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levers 49 may be pulled out even when the
또한, 기단부(55A) 및 2개의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해도, 기단부(55A), 반송관(55), 호스(82)는, 걸림부(80)를 통해 하부 조출 케이스(36)에 지지된 상태므로, 메인터넌스가 완료했을 때에도, 지상 등에 낙하한 기단부(55A)나 반송관(55)을 회수하는 조작이 불필요해진다.The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55A)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림부(80)는, 기단부(55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연장된 아암부와, 아암부의 선단부로부터 대체로 상하 2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탄성 걸림편을 구비하고, 탄성 걸림편은, 제2 횡방향 축심(X2)을 중심으로 한 부분 환 형상의 탄성 끼움 지지부(80c)와, 탄성 끼움 지지부(80c)의 각 선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연장된 안내부(80d)를 갖는다.17, the engaging
또한, 도 17은, 도풍 셔터(57), 개폐 레버(75), 연결 레버(42), 송풍 덕트(101) 등이 생략된 기재로 되어 있다.17 is a substrate on which the
따라서,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로부터 완전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발생하면, 도 9와 같이 연결 레버(42)를 푼 상태에서, 반송관(55)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탄성을 구비한 탄성 끼움 지지부(80c)가 일시적으로 자동적으로 상하로 개방되어, 축 부재(36p)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기단부(55A) 및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9, when the conveying
반송관(55)을 하부 조출 케이스(36)와 연결된 상태로 복귀시킬 때에는, 한 쌍의 안내부(80d)를 축 부재(36p)에 압박하면, 탄성 끼움 지지부(80c)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여 한 쌍의 안내부(80d)가 일시적으로 개방되어, 축 부재(36p)가 한 쌍의 탄성 끼움 지지부(80c)의 사이로 들어가, 끼움 지지된 피봇 지지 연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축 부재(36p)의 제2 횡방향 축심(X2) 주위에서 반송관(55)을 일으킴으로써, 기단부(55A)를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하류 측단부면과 대향시켜 두고, 연결 레버(42)를 걸림 결함시키면 된다.When the pair of
도 7, 도 8, 도 9,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송풍관로(36a)는 송풍 덕트(10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폐 레버(49)를 푸는 것만으로는, 특정한 조출부(32)에 대해서만 하부 조출 케이스(36)를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덕트(101)의 직선 형상 부위는, 각 조출부(32)에 대응한 짧은 섹션(101p)마다 다른 인접하는 섹션(101p)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전에, 무논 작업기의 전후 방향에서 대응하는 대응 섹션(101p)과 인접하는 다른 섹션(101p)을 체결하고 있는 로크 링(120)(연결구의 일례)을 로크 해제 상태로 해 두면, 이 대응 섹션(101p)의 이동과 함께, 특정한 조출부(32)의 하부 조출 케이스(36)만을 선택적으로 상부 조출 케이스(35)에 대하여 개방 자세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이동 대상이 되는 대응 섹션(101p)의 외주에는 1개의 걸림 플랜지(102a)만이 단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섹션(101p)의 외주에는, 단부에 위치하는 1개의 걸림 플랜지(103a)와, 걸림 플랜지(103a)로부터 축심 방향 내측에 이격된 보조 플랜지(103b)가 형성되어 있다.Only one engaging
또한, 다른 섹션(101p)의 단부에는, 환 형상의 스페이서(105)가 걸림 플랜지(103a)와 걸림 결합하는 형태로 외부 끼움 설치되어 있다.An outer fitting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도 18,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링(120)은, 다른 섹션(101p)(도 19에서 우측에 도시하는 부위)의 단부의 전체 둘레와 대응 섹션(101p)(도 19에서 좌측에 도시하는 부위)의 단부의 약 절반 둘레에 외부 끼움되는 고정 부위(121), 및 고정 부위(121)에 대하여 횡방향 축심(X4)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 가동 부위(122)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8, 19, and 20, the
가동 부위(122)는, 횡방향 축심(X4) 부근으로부터 부분 환 형상을 띠도록 연장 설치된 본체(122a)와, 본체(122a)의 다른 섹션(101p)측의 중간 부위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파지부(122b)와, 본체(122a)의 대응 섹션(101p)측의 중간 부위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 유지부(122c)와, 본체(122a)의 선단부에 형성된 피 걸림부(122d)를 갖는다.The
도 18,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위(122)는, 대응 섹션(101p)의 단부의 나머지 약 절반 둘레와 고정 부위(121)에 동시에 외부 끼움된 연결 자세(도 18에서의 실선 기재, 도 19 및 도 20(a)를 참조)와, 대응 섹션(101p)의 단부의 나머지 약 절반 둘레와 고정부위(121)의 양쪽으로부터 이탈된 해제 자세(도 18에서의 2점 쇄선 기재 및 도 20(b)를 참조)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18 and 20, the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위(121)의 다른 섹션(101p) 부근의 내경 측단부는, 가동 부위(122)의 자세에 관계없이, 다른 섹션(101p)의 보조 플랜지(103b)와 스페이서(105)의 사이의 환 형상의 간극 내에 안정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어 있다.20,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near the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부위(122)의 연결 자세에서의 각 섹션(101p)의 상측 절반 둘레 부위에서는, 대응 섹션(101p)의 걸림 플랜지(102a)가, 고정 부위(121)의 대응 섹션(101p) 부근의 내경 측단부와 스페이서(105)의 사이에 협착 유지되는 형태로, 대응 섹션(101p)과 다른 섹션(101p)의 클램프가 실현되어 있다.20 (a), the
한편, 가동 부위(122)의 연결 자세에서의 각 섹션(101p)의 하측 절반 둘레 부위에서는, 가동 부위(122)의 플랜지 유지부(122c)가 대응 섹션(101p)의 걸림 플랜지(102a)의 단부면을 송풍 덕트(101)의 축심 방향에서 걸림 결합하고, 가동 부위(122)의 탄성 파지부(122b)가 고정 부위(121)의 일부 단부면을 축심 방향에서 플랜지 유지부(122c)를 향해 압박하는 형태로, 대응 섹션(101p)과 다른 섹션(101p)의 클램프가 실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half periphery of each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자세에서는, 가동 부위(122)의 선단에 설치된 피 걸림부(122c)가, 고정 부위(121)의 대응 섹션(101p)측으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탄성 아암부(121a)의 훅부(121b)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121a)를 인위적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피 걸림부(122c)와 훅부(121b)의 결합이 해제되어, 가동 부위(122)의 해제 자세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18, the engaged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 섹션(101p)의 양단부에 있어서, 가동 부위(122)가 해제 자세로 전환되면, 각 섹션(101p)의 하측 절반 둘레 부위에서의 클램프 상태가 해제되므로, 대응 섹션(101p)은, 걸림 플랜지(102a)를, 고정 부위(121)의 대응 섹션(101p) 부근의 내경 측단부와 스페이서(105)의 사이로부터 하향으로 뽑아내는 형태로, 하방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b), when the
도 9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섹션(101p)에 대하여 하방으로 변위된 대응 섹션(101p)은, 하부 조출 케이스(36)와 일체적으로, 제1 횡방향 축심(X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된다.9 and 18, the corresponding
대응 섹션(101p)을 다른 섹션(101p)과 인접하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양 부재를 다시 연결할 때에는, 우선, 대응 섹션(101p)의 상방의 걸림 플랜지(102a)를, 고정 부위(121)의 대응 섹션(101p) 부근의 내경 측단부와 스페이서(105)의 사이에 압입시킨다. 다음으로, 가동 부위(122)를, 도 18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해제 자세로부터 상방으로 요동 조작해 가면, 우선, 탄성 파지부(122b)의 선단부만이 고정 부위(121)의 측면과 걸림 결합되고, 또한 상방으로 요동 조작하면, 대응 섹션(101p)의 하방의 걸림 플랜지(102a) 및 고정 부위(121)의 일부 단부면이, 가동 부위(122)의 플랜지 유지부(122c)와, 가동 부위(122)의 탄성 파지부(122b)의 사이에 끼움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가동 부위(122)의 피 걸림부(122c)를 고정 부위(121)의 훅부(121b)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상의 각 조작을 대응 섹션(101p)의 양단부에서 실시함으로써, 대응 섹션(101p)과 다른 섹션(101p)의 클램프가 완료한다.When the
[다른 실시 형태] [Other Embodiments]
<1> 상기의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제2 횡방향 축심(X2)을 구비한 축 부재(36p)가 반송관(55)에 설치되고, 축 부재(36p)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는 걸림부(80)가 하방 케이스부(36)에 설치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1) In contrast to the above embodiment, the
<2> 반송관(55)과 하방 케이스부(36)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축 부재(36p)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는 걸림부(80)로서, 축 부재(36p)에 대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의 압박에 기초하여 외부 끼움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축 부재(36p)에 대한 축심 방향 외측으로부터의 장착에 기초하여 외부 끼움 지지되는 걸림부를 사용해도 된다.(2) An engaging
<3> 상부 조출 케이스(35)가 저류 호퍼(31)의 하방 부위로서 일체 형성되고,이 하방 부위에 대하여 하부 조출 케이스(36)가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고, 이 하방 부위와 하부 조출 케이스(36)의 경계 부분에 조출 롤(37)이 배치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이에 의해 조립시의 작업 공정을 적게 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해진다.The
<4> 본 발명은, 송풍관부가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하방 케이스부를 상방 케이스부에 대하여 요동 개방시킴으로써, 송풍관부가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로부터 자동적으로 빠져나가는 형태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도, 반송 공기 풍로의 대응 부위를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출 롤 및 조출 케이스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ing pipe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and the lower case portion is pivotally ope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portion so that the blowing pipe portion automatically escapes from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ssag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gricultural material supply apparatuses of agricultural products. Also in this mode, by separa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air passage from the other portio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eeding roll and the feeding case por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5> 비료 대신에 볍씨를 저류 호퍼(31)에 저류함으로써 시비 장치(2)를 직파용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5> It is possible to use the
본 발명은, 비료나 볍씨 등 분말 입자 형상의 농업용 자재를 압송용 공기와 함께 포장을 향해 송출하기 때문에, 전식기 등에 설치되는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를,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구성으로 개량하는 기술로서 이용 가능한 발명이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feeding device installed on a table or the like to a structure easy to perform a maintenance operation because the agricultural material in the form of powder particles such as fertilizer or rice seed is sent toward the package together with the air for feeding It is an available invention.
2 : 시비 장치 31 : 호퍼
32 : 조출부 34 : 조출 케이스(조출 케이스부)
35 : 상부 조출 케이스(상방 케이스부)
36 : 하부 조출 케이스(하방 케이스부)
36a : 송풍관로(송풍관부) 36p : 축 부재
37 : 조출 롤 55 : 반송관(반송관부)
55A : 기단부 80 : 걸림부
82 : 호스 101 : 송풍 덕트(반송 공기 풍로)
101p : 섹션(송풍 덕트, 대응 부위, 다른 부위)
102 : 배출 덕트 104 : 블로어(송풍기)
120 : 로크 링(연결구) 121 : 고정 부위
122 : 가동 부위 122a : 본체(가동 부위)
122b : 탄성 파지부(가동 부위) 122c : 걸림부(가동 부위)
X1 : 제1 횡방향 축심 X2 : 제2 횡방향 축심 2: fertilizer 31: hopper
32: Feeder 34: Feeder case (Feeder case)
35: Upper feeding case (upper case part)
36: Lower feeding case (lower case part)
36a: blowing duct (blowing pipe) 36p: shaft member
37: Feed roll 55: Return pipe (return pipe)
55A: proximal portion 80:
82: Hose 101: Ventilation duct (conveying air passage)
101p: Section (blowing duct, corresponding part, other part)
102: exhaust duct 104: blower (blower)
120: Lock ring (connector) 121: Fixed area
122: moving
122b: elastic grip portion (movable portion) 122c: engaging portion (movable portion)
X1: first transverse axis X2: second transverse axis
Claims (4)
상기 조출 케이스부의 하부에는, 송풍기로부터의 압송용 공기를 수용하는 송풍관부와, 조출 롤에 의해 조출된 농업용 자재를 상기 압송용 공기와 함께 포장을 향해서 송출하는 반송관부가 연통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출 케이스부가, 상기 호퍼에 접속된 상방 케이스부와, 상기 조출 롤을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상방 케이스부의 하방 개구부에 연속 설치된 하방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방 케이스부가, 상기 조출 롤보다 상기 반송관부 부근에 배치된 제1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상기 상방 케이스부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반송관부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하단부 부근에 배치된 제2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상기 하방 케이스부에 하방으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A feeding case portion for feed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in the hopper is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for stor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in the form of powder particl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uilt-
A feed pipe portion for receiving the feed air from the blower and a feed pipe portion for feeding the agricultural material fed out by the feed roll toward the package together with the feed air for feed are arrang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case portion,
Wherein the feeding case portion includes an upper case portion connected to the hopper and a lower case portion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portion to sandwich the feeding roll,
Wherein the lower case par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case part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case part can swing openably and closably around a first transverse axis center disposed nearer to the feeding tube than the feeding roll,
Wherein the conveying pipe portion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lower case portion so as to be swingably pivotally openable and closable around a second transverse axis cent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case portion.
상기 제2 횡방향 축심을 구비한 축 부재가 상기 반송관부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축 부재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는 걸림부가 상기 반송관부와 상기 하방 케이스부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haft member having the second transverse axi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veying pipe portion and the lower case portion and a latching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tachably and externally fitted to the shaft member is provided on the conveying pipe portion and the lower case portion An agricultural material feed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압송용 공기를 상기 송풍관부로 보내주기 위한 반송 공기 풍로가, 무논 작업기의 폭 방향을 따라서 병설된 복수의 상기 조출 케이스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 공기 풍로 중, 무논 작업기의 전후 방향에서 각 조출 케이스부와 중복하는 대응 부위가 선택적으로 당해 조출 케이스부와 중복하지 않는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conveying air passage for conveying the pressurizing air from the blower to the blowing pipe portion is disposed along a plurality of the rudder case portions juxta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
Wherein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nveying air path overlapping with each of the feeding case por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non-kneading machine is selectively detachable from other portions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feeding case portion.
상기 대응 부위와 상기 다른 부위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환 형상의 연결구가,
상기 다른 부위의 단부의 전체 둘레와 상기 대응 부위의 단부의 약 절반 둘레에 외부 끼움되는 고정 부위와,
상기 고정 부위에 피봇되어 있고, 상기 대응 부위의 단부의 나머지 약 절반 둘레와 상기 고정 부위에 동시에 외부 끼움된 연결 자세와, 상기 대응 부위의 단부의 나머지 약 절반 둘레와 상기 고정 부위의 양쪽으로부터 이탈된 해제 자세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가동 부위를 구비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농업용 자재 공급 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nnular connector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A fixing portion that is externally fitted around the entire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other portion and about half of the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A connection post pivoted to the fixing portion and being fitted to the fixing portion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around the remaining approximately half of the en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a movable portion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the unlocking posture and the unlocking po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135569A JP5101718B1 (en) | 2011-06-17 | 2011-06-17 | Agricultural material supply equipment for paddy field machine |
JPJP-P-2011-135569 | 2011-06-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9532A KR20120139532A (en) | 2012-12-27 |
KR101399156B1 true KR101399156B1 (en) | 2014-05-27 |
Family
ID=4752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361A KR101399156B1 (en) | 2011-06-17 | 2012-03-07 | Supply device of material for agriculture for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101718B1 (en) |
KR (1) | KR1013991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31317B (en) * | 2014-04-09 | 2016-02-03 | 东北农业大学 | Paddy field fertilizing device fertilizer placement and transporting position switching mechanism |
KR102431274B1 (en) | 2016-06-29 | 2022-08-11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Paddy field work machine |
JP6380613B2 (en) * | 2017-05-18 | 2018-08-29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transplanter |
JP7126390B2 (en) * | 2018-06-29 | 2022-08-26 | 株式会社クボタ | work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3913A (en) | 2002-05-17 | 2003-11-25 | Iseki & Co Ltd | Granule feeding machine |
JP2005021168A (en) | 2004-09-17 | 2005-01-2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Sulky rice transplanter |
JP2005204540A (en) | 2004-01-21 | 2005-08-04 | Kubota Corp | Sulky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fertilizer applicator |
JP2006158353A (en) | 2004-12-10 | 2006-06-22 | Kubota Corp | Carrier air-distributing structure of granule-fee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09152B2 (en) * | 1995-05-30 | 2003-05-26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Rice transplanter |
-
2011
- 2011-06-17 JP JP2011135569A patent/JP5101718B1/en active Active
-
2012
- 2012-03-07 KR KR1020120023361A patent/KR10139915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3913A (en) | 2002-05-17 | 2003-11-25 | Iseki & Co Ltd | Granule feeding machine |
JP2005204540A (en) | 2004-01-21 | 2005-08-04 | Kubota Corp | Sulky rice transplanter equipped with fertilizer applicator |
JP2005021168A (en) | 2004-09-17 | 2005-01-27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Sulky rice transplanter |
JP2006158353A (en) | 2004-12-10 | 2006-06-22 | Kubota Corp | Carrier air-distributing structure of granule-feed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000074A (en) | 2013-01-07 |
KR20120139532A (en) | 2012-12-27 |
JP5101718B1 (en) | 2012-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9811B2 (en) | Working machine | |
KR101399156B1 (en) | Supply device of material for agriculture for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
CN107535144B (en) | Paddy field working vehicle | |
JP5237855B2 (en) | Agricultural supply equipment | |
JP5491841B2 (en) | Paddy field machine | |
JP5379768B2 (en) | Powder and particle feeder | |
CN114731804B (en) | Paddy field operation vehicle | |
JP2008029214A (en) | Granule applicator | |
JP5108807B2 (en) | Powder and particle feeder | |
JP6635882B2 (en) | Paddy field work vehicle | |
JP6739249B2 (en) | Paddy work vehicle | |
JP5281434B2 (en) | Powder and particle feeder | |
JP2003164207A (en) | Granule delivery machine | |
KR101779035B1 (en) | Fertilizer applicator and riding-type rice transplanter having same mounted thereon | |
JP5596640B2 (en) | Paddy field machine | |
JP4555761B2 (en) | Paddy field machine | |
JP2002119109A (en) | Rice transplanter | |
JP2008092893A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powdery and granular material, and farm working machine using the apparatus for transporting powdery and granular material | |
JPH10290611A (en) |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 |
JP7138590B2 (en) | Paddy work machine | |
JP3516890B2 (en) | Rice transplanter with fertilizer application | |
JP5547996B2 (en) | Agricultural granular material supply equipment | |
JP3843603B2 (en) | Fertilizer | |
JP2003210012A (en) | Riding type seedling planter provided with fertilizing apparatus | |
JP3629966B2 (en) | Fertilizer applic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