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774B1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774B1
KR101398774B1 KR1020130025084A KR20130025084A KR101398774B1 KR 101398774 B1 KR101398774 B1 KR 101398774B1 KR 1020130025084 A KR1020130025084 A KR 1020130025084A KR 20130025084 A KR20130025084 A KR 20130025084A KR 101398774 B1 KR101398774 B1 KR 10139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asuring
user
eye siz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원
Original Assignee
황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원 filed Critical 황재원
Priority to KR102013002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erpupillary distance or diameter of pup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에 저장하고, SD 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디지털 카메라;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 및 상기 디지털 룰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PD 및 OH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 상에서 디지털 룰러와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영상을 겹쳐 표시하고, 안경테에 표시된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이용하여 디지털 룰러의 좌표 간 또는 픽셀 간 실제 거리를 파악함으로써, PD 및 OH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PUPILLARY DISTANCE AND OPTICAL HEIGHT OF EYE GLASSES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PD 및 OH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다. PD는 사용자의 동공 간 거리를 나타내며 동공 간 거리 및 OH를 미리 확인한 후 안경 사용자의 동공 중심과 렌즈의 초점을 맞추어야 사용자가 어지러움증 등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OH는 누진 다초점 렌즈 조제 및 가공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근거리에 대한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안경 조제 및 가공 시 PD 및 OH는 매우 중요한데, 종래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PD 및 OH를 측정해 오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기술에 따른 PD 및 OH의 측정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실물로 제작된 룰러(ruler)를 이용하여 동공 간의 거리인 PD를 측정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가장 오래된 전통적인 방식이다. 현재는 다양한 장비가 나오고 있으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기도 하다. 그러나, PD만 측정 가능하고, OH는 측정 불가라는 단점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PD 및 OH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인 게이지(gauge)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안경테에 부착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게이지가 장착된 안경테를 사용자가 착용하여 이미지 촬영한 후,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게이지의 포인터 위치 거리 값을 인식하여 동공 중심점을 사용자가 게이지의 위치 값과 비교 계산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2d 및 도 2e는 PD 및 OH를 측정하기 위한 패드형 측정 장비 및 대형 측정 장비를 나타낸다. 이러한 장비는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의 고가의 장비이다. 그런데, 패드형 측정 장비 역시 안경테에 게이지를 장착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게이지가 안경테에 부착되어 안경테에 스크래치나 손상을 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게이지가 분실/훼손되거나 망가지면, 이러한 고가의 장비로도 더 이상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드형 측정 장비의 경우에는 카메라에 줌 기능이 없는 웹캠이거나 스마트 폰용 카메라이므로, 정확한 측정이 불가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 외에도 천만원 내지 수천만원의 고가의 대형 측정 장비가 있으나, 고장날 경우에는 대체하여 사용할 수단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비의 가격이 문제가 되며 장비의 부피로 인해 공간 상 제약도 있다. 또한, 무겁고, 안경태에 게이지도 반드시 장착해야 하므로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처럼 기존의 방식에서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OH는 측정이 불가한 방식이며, 게이지가 분실/파손될 경우에는 더 이상 이를 측정할 대체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보다 용이하고 저렴한 수단으로 PD 및 OH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단이 요구된다.
도 2f는 게이지가 장착된 안경테를 착용한 사용자를 촬영한 것을 나타낸다. 게이지의 수치가 있으므로, 직접 PD 및 OH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은,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에 저장하고, SD 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디지털 카메라;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 및 상기 디지털 룰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PD 및 OH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룰러는, 상기 사용자의 코의 중심과 대응하기 위한 세로의 중심 라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그리드, 상기 안경테의 OH를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가이드 라인, 상기 안경테의 PD를 측정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되, 상기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상기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실제 길이와 대비하여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의 축척/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 라인을 상기 안경테의 하단에 맞추어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상하 가이드 라인과 상기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OH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싱 시스템은, DIN58200/ISO-86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 측정 시, 상기 영상의 코를 상기 중심 라인에 맞추어 겹치도록 표시한 후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아이 사이즈의 양끝단에 맞추어 상기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을 각각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좌우 가이드 라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가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SD 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상기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룰러는, 상기 사용자의 코의 중심과 대응하기 위한 세로의 중심 라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그리드, 상기 안경테의 OH를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가이드 라인, 상기 안경테의 PD를 측정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상기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되, 상기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실제 길이와 대비하여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의 축척/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 라인을 상기 안경테의 하단에 맞추어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상하 가이드 라인과 상기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OH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싱 시스템은, DIN58200/ISO-86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상기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 측정 시, 상기 영상의 코를 상기 중심 라인에 맞추어 겹치도록 표시한 후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아이 사이즈의 양끝단에 맞추어 상기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을 각각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좌우 가이드 라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 상에서 디지털 룰러와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영상을 겹쳐 표시하고, 안경테에 표시된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이용하여 디지털 룰러의 좌표 간 또는 픽셀 간 실제 거리를 파악함으로써, PD 및 OH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촬영 영상 상에 게이지와 같은 기준이 없더라 하더라도 박싱 시스템을 이용하여 PD 및 OH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PD 및 OH의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기술에 따른 PD 및 OH의 측정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룰러 및 박싱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100)은 디지털 카메라(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110)는 SD 카드(111) 및 와이파이 모듈(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와이파이 모듈(121), 메모리(122) 및 터치스크린(1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D 및 OH 측정 시스템(100)은 디지털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 단말(120) 상에서 그 영상과 디지털 룰러를 겹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안경테에 표시된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 상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이용하여 디지털 룰러의 축척 내지는 비율을 파악하여 PD 및 OH의 실제 길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게이지나 고가의 장비가 없이도 손쉽게 PD 및 OH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110)는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111)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줌 기능이 없는 카메라 모듈(미도시)보다는 보다 정확하게 확대된 줌 영상이 더 바람직하므로, 디지털 카메라(110)가 이용된다.
디지털 카메라(110)는 와이파이 모듈(112)을 통해 SD 카드(111)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영상은 영상 내 안경테의 크기 등에 대한 길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 단말(120)은 와이파이 모듈(121)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122)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는 물론, 데스크탑 PC 등 다양한 멀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메모리(122)에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123)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4a는 디지털 룰러의 예시를 나타내고, 도 4b는 디지털 룰러와 영상이 겹쳐져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룰러는 사용자의 코의 중심과 대응하기 위한 세로의 중심 라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그리드, 안경테의 OH를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가이드 라인, 안경테의 PD를 측정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아이 사이즈는 도 4c에서 보듯이 렌즈의 좌우 길이를 나타낸다.
그런데, 도 4b의 영상에서는 디지털 룰러가 실제 아이 사이즈나 PD, OH 등의 길이를 알 수 없다.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4d에서 보듯이 안경테에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라 기입된 아이사이즈 및 브릿지 사이즈를 디지털 룰러의 축척 내지는 비율로 이용한다. 즉, 실제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 길이로 박싱 시스템의 아이 사이즈가 이용된다. 즉, 아이 사이즈의 길이를 통해 디지털 룰러의 한 좌표 간의 거리 내지는 한 픽셀 간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박싱 시스템은 DIN58200/ISO-8624와 같은 표준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 단말(120)은 박싱 시스템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를 터치스크린(123)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 및 디지털 룰러의 비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측정된 PD 및 OH는 메모리(122)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120)은 메모리(122)에 저장된 PD 및 OH를 터치스크린(123) 상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중심 라인에 사용자의 코를 맞추도록 영상을 움직여 조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입력받아 아이 사이즈의 실제 길이와 대비하여 수평/수직 그리드의 축척/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앞서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상하 가이드 라인을 안경테의 하단에 맞추어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상하 가이드 라인과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고 앞서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OH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PD 및 OH를 산출하여 표시된 예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영상을 읽어 디지털 룰러와 겹쳐 표시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중심 라인에 사용자의 코를 맞추도록 영상을 움직여 조정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좌우 가이드 라인을 안경테의 렌즈의 좌우 끝에 맞추어 이동하고, 해당 축척을 이용하여 아이 사이즈를 측정한다. 그리고 아이 사이즈를 입력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앞서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OH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가이드 라인을 이용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디지털 카메라(110)가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에 저장한다(S101).
다음으로, 디지털 카메라(110)가 SD 카드(111)에 저장된 영상을 와이파이 모듈(112)을 이용하여 송신한다(S10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와이파이 모듈(121)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122)에 저장한다(S10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1230) 상에 표시한다(S104).
여기에서, 디지털 룰러는 사용자의 코의 중과 대응하기 위한 세로의 중심 라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그리드, 안경테의 OH를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가이드 라인, 안경테의 PD를 측정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터치스크린(123)을 통해 입력받는다(S10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20)이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터치스크린(123) 상에 출력한다(S106).
이때, 사용자 단말(120)은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되,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실제 길이와 대비하여 수평/수직 그리드의 축척/비율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상하 가이드 라인을 안경테의 하단에 맞추어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상하 가이드 라인과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고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OH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박싱 시스템은 DIN58200/ISO-8624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 측정 시, 영상의 코를 중심 라인에 맞추어 겹치도록 표시한 후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아이 사이즈의 양끝단에 맞추어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을 각각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좌우 가이드 라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에 저장하고, SD 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디지털 카메라;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 및 상기 디지털 룰러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PD 및 OH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룰러는,
    상기 사용자의 코의 중심과 대응하기 위한 세로의 중심 라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그리드, 상기 안경테의 OH를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가이드 라인, 상기 안경테의 PD를 측정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되, 상기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상기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실제 길이와 대비하여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의 축척/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 라인을 상기 안경테의 하단에 맞추어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상하 가이드 라인과 상기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OH를 산출하고,
    상기 박싱 시스템은,
    DIN58200/ISO-86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 측정 시, 상기 영상의 코를 상기 중심 라인에 맞추어 겹치도록 표시한 후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아이 사이즈의 양끝단에 맞추어 상기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을 각각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좌우 가이드 라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3. 디지털 카메라가 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경테 착용 부위를 촬영하여 SD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SD 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저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디지털 룰러와 겹치도록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상기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룰러는,
    상기 사용자의 코의 중심과 대응하기 위한 세로의 중심 라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 PD, OH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수직 그리드, 상기 안경테의 OH를 측정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하 가이드 라인, 상기 안경테의 PD를 측정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 가능한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상기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되, 상기 박싱 시스템(boxing system)에 따른 안경테의 아이 사이즈(eye size)의 실제 길이와 대비하여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의 축척/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의 동공에 아이 포인트(eye point)를 지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PD를 산출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 라인을 상기 안경테의 하단에 맞추어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상하 가이드 라인과 상기 아이 포인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산출된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좌표 거리에 해당하는 OH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박싱 시스템은,
    DIN58200/ISO-86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입력받은 아이 사이즈와 상기 디지털 룰러의 축척/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PD(pupillary distance) 및 OH(optical height)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 측정 시, 상기 영상의 코를 상기 중심 라인에 맞추어 겹치도록 표시한 후 상기 수평/수직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 사이즈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아이 사이즈의 양끝단에 맞추어 상기 2개의 좌우 가이드 라인을 각각 이동시켜 표시하고 표시된 좌우 가이드 라인 간의 좌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방법.
KR1020130025084A 2013-03-08 2013-03-08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39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084A KR101398774B1 (ko) 2013-03-08 2013-03-08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084A KR101398774B1 (ko) 2013-03-08 2013-03-08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774B1 true KR101398774B1 (ko) 2014-06-27

Family

ID=5113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084A KR101398774B1 (ko) 2013-03-08 2013-03-08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63B1 (ko) 2019-02-28 2020-06-29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설계점 측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3710A (ja) 2008-04-08 2009-10-29 Mega Chips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3710A (ja) 2008-04-08 2009-10-29 Mega Chips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63B1 (ko) 2019-02-28 2020-06-29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설계점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601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arameter of an optical equipment
CN103163663B (zh) 估计观众所戴一副眼镜中矫正镜片的屈光度的方法和设备
KR102050647B1 (ko) 안경 장용 파라미터 측정 시스템, 측정용 프로그램, 및 그 측정 방법, 그리고 안경 렌즈의 제조 방법
US10156740B2 (en) Spectacle wearing parameter measurement device, spectacle wearing parameter measurement program, and position specifying method
WO2019206893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messen einer optischen linse für individuelle tragesituationen eines nutzers
KR101398774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경의 pd 및 oh 측정 시스템 및 방법
EP3286598B1 (en) Method for calibrating a binocular displaying device
EP330960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arameter of an optical equipment
US20240159621A1 (en) Calibration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688177A (zh) 一种基于终端的瞳距测量方法、瞳距测量装置、服务器及其系统
US11215849B2 (en) Pantoscopic tilt measurement device
CN206531628U (zh) 镜片测量设备和用于制造光学镜片的设备
KR102299051B1 (ko) 안경렌즈 처방을 위한 3차원 매개변수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5064455A (ja) 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装置、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取得方法
JP2015064254A (ja) 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装置、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取得方法
Hong Simple method of characterizing the spatial luminance distribution at the user position for autostereoscopic 3‐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