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935B1 -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935B1
KR101397935B1 KR1020120137226A KR20120137226A KR101397935B1 KR 101397935 B1 KR101397935 B1 KR 101397935B1 KR 1020120137226 A KR1020120137226 A KR 1020120137226A KR 20120137226 A KR20120137226 A KR 20120137226A KR 101397935 B1 KR101397935 B1 KR 10139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unit
cathode
baske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순석
박우신
허진목
이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9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2Electrodes; Connec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circuit electrode unit, a secondary circuit electrode unit, and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an electrode rod from metal oxides inside a reactor, at the same time insulating the primary circuit.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ncludes a structure for insulating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unit. Therefore, a negative electrode rod can be separated from a basket while a salt is yet to be solidifi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maintained insulated from the basket outer wall during the process.

Description

다중회로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e circuit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이차회로의 적용을 위한 음극집합체를 포함하고 환원된 금속이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다중회로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comprising a negative electrode assembly for application of a secondary circuit and having multiple circuits in which the reduced metal is easily separable.

금속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금속산화물로부터 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은 다양한 금속에 대해 상용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상당부분에서 용융염을 전해질로 이용한 전기화학적 반응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금속산화물의 금속전환은 환원된 금속의 회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음극부에 바스켓 타입의 전극을 이용하고, 상기 바스켓 타입의 바스켓 속에 산화물을 충진한다. BACKGROUND ART A technique of recovering a metal from a metal oxide by a method of extracting metal has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metals and is based on an electrochemical reaction using a molten salt as an electrolyte. Metal conversion of the metal oxide u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uses a basket type electrode in the cathode portion to facilitate the recovery of the reduced metal, and the basket is filled with oxide in the basket type.

상기 바스켓 타입의 전극을 이용하는 경우에 산화물의 탈산소화가 이루어진 후 금속이 바스켓이 남기 때문에 고순도의 금속을 생산하기 위하여 바스켓을 후속공정으로 인계하게 된다. 알루미늄을 제외한 일반적인 금속산화물을 이용하는 환원공정은 환원된 금속의 녹는점 이하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고체상태의 금속이 생산된다.In the case of using the basket type electrode, since the metal remains in the basket after the deoxidation of the oxide is performed, the basket is handed over to the subsequent process in order to produce the metal of high purity. Since the reduction process using general metal oxides except aluminum is operated at the melting point of the reduced metal, a solid state metal is produced.

한편, 금속산화물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금속화에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 650℃의 Li2O-LiCl 용융염을 이용한 UO2의 금속전환공정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Li2O을 촉매로 이용하는 Li2O-LiCl 용융염의 전해환원공정이다. 다만, 금속전환공정에 이용되는 산화물 및 촉매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olubility of the metal oxide is low, a catalyst can be used for metalliz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metal conversion process of UO 2 using Li 2 O-LiCl molten salt at about 650 ° C. That is, this is an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of Li 2 O-LiCl molten salt using Li 2 O as a catalyst. However, the oxide and the catalyst used in the metal conversion step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해환원공정에서 LiCl 용융염에 대해 UO2의 용해도는 매우 낮으므로 LiCl 내에서 해리상태로 존재하는 UO2도 극히 미량이다. 따라서, 전기분해의 반응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전기분해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Li2O를 촉매로 이용한다.Since the solubility of UO 2 in LiCl molten salt is very low in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the amount of UO 2 existing in the dissociated state in LiCl is extremely small. Therefore, the reaction of electrolysis is not easy. Li 2 O is used as a catalyst to improve the reaction rate of the electrolysis.

Li2O는 UO2와 달리 약 650℃의 LiCl 용융염에서 약 8.7 wt%의 용해도를 갖고, 해리상수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대부분이 이온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를 통해 Li금속의 생성이 가능하다. Li 2 O, unlike UO 2 , has a solubility of about 8.7 wt% in LiCl molten salt at about 650 ° C, and its dissociation constant is relatively large, so that most of it can exist in ionic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Li metal through electrolysis.

즉,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Li은 UO2와의 화학반응을 통해 Li2O로 전환되면서 U금속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Li2O를 촉매로 이용한 LiCl용융염 전해환원공정은 Li2O의 전기분해와 Li과 금속산화물의 화학반응에 의한다. 이하 반응식(1) 내지 반응식(3)은 Li2O를 촉매로 이용하는 Li2O-LiCl 용융염 전해환원공정의 반응식이다. That is, Li produced through electrolysis is converted to Li 2 O through a chemical reaction with UO 2 to produce U metal. Therefore,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of LiCl molten salt using Li 2 O as a catalyst is based on the electrolysis of Li 2 O and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Li and metal oxide. Below reaction formula (1) to reaction (3) is an equation for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Li 2 O-LiCl molten salt using Li 2 O as a catalyst.

반응식(1)은 백금과 같은 비활성전극을 산화전극으로 사용한 경우의 반응이고, 반응식(2)는 환원전극의 반응이다. 산화전극에서는 산소이온이 산화되어 전자가 발생하고, 환원전극에서는 Li금속이 생성된다. 상기 환원전극에서 발생한 전자는 반응식(3)에서와 같이 UO2와 반응하여 U금속이 생성된다.Reaction formula (1) is a reaction when an inert electrode such as platinum is used as an oxidizing electrode, and reaction formula (2) is a reaction of a reducing electrode. In the oxidation electrode, oxygen ions are oxidized to generate electrons, and in the reduction electrode, Li metal is produced. The electrons generated in the reduction electrode react with UO 2 as in the reaction scheme (3) to produce U metal.

상기 공정 중에 Li은 LiCl 용융염에서 액체상태로 포화상태 또는 과포화상태로 존재한다. 용해상태의 Li은 반응식(4)와 같이 양극에서 직접산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류의 손실이 발생하고, 부반응으로 양극재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During the above process, Li exists in a saturated or supersaturated state in a liquid state in the LiCl molten salt. Li in the dissolved state can be oxidized directly at the anode as in the reaction scheme (4). As a result, a current loss occurs and a loss of the anode material may occur due to side reactions.

또한, Li은 전지분야에서 탄소전극에 삽입되는 기술에 사용될정도로 그 물리적 크기가 매우 작은 원소로서 미세공극으로 침투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반응기의 경우 Li 원자가 침투하여 재료의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세라믹 재질의 경우 Li에 의한 부분환원 및 부반응에 의한 재료의 물성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재료의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Li can penetrate into micropores as an element of very small physical size to be used in a technology to be inserted into a carbon electrode in a battery fiel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reactor, Li atoms infiltrate and structural changes occur in the material. In the case of the ceramic material, the material properties change due to partial reduction by Li and side reactions. Thus, the lifetime of the material can be reduced.

약 650℃의 LiCl 용융염에서 Li의 용해도는 0.6 at%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장치재료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Li이 과포화 상태인 경우 용융염의 상부표면에 Li이 부유하고 이에 따라 용융염 계면에서 손상이 더욱 문제가 된다.The solubility of Li in the LiCl molten salt at about 650 ° C. is relatively low at 0.6 at% but damage to the device material can occur and when Li is in a supersaturated state, Li floa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salt, The damage becomes more problematic.

상기와 같이 Li2O-LiCl 용융염을 이용한 전해환원공정에서 Li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차회로(second circuit)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이차회로는 Li이 음극 바스켓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차회로는 Li을 산화시킨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Li in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using the Li 2 O-LiCl molten salt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ircuit concept can be applied. That is, the secondary circuit serves to prevent Li from diffusing to the outside of the cathode basket. The secondary circuit oxidizes Li.

다만, 염이 응고되기 전에 음극을 분리하는 것은 용융염속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바스켓은 별도의 전극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이차회로의 구조를 구비하면서 최종적으로 바스켓만의 분리가 가능하여야 하며, 바스켓과 음극은 회로가 닫힌 상태에서 절연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제약조건이 있다. However, since separating the cathode before the salt solidifies is possible in the molten salt, the basket must have a separate electrode struc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separate only the basket finally with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circuit, and there is a restriction condition that the basket and the cathode must maintain the insulated state in the closed state of the circuit.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환원공정이 종료된 후에 음극과 안정적으로 분리가능하며, 다중회로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that can be stably separated from a cathode after a reduc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has multiple circuit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환원장치는 금속산화물이 수용되는 음극 바스켓,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바스켓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유닛,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유닛의 일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회로유닛에 수납되며, 상기 음극 바스켓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금속산화물과 반응하여 금속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음극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유닛은 상기 음극봉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차회로 전극부 및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와 절연되고 일단이 상기 음극바스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되는 이차회로 전극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cathode basket for receiving a metal oxide; a circuit board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athode basket to the cathode basket, A negative electrode unit which is formed in the circuit unit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negative electrode basket and which is formed to generate a metal by reacting with the metal oxide, . Wherein the circuit unit includes a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to supply power to the anode rod, and a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insulated from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and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thode basket, And a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formed to apply a voltage theret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폐루프를 이루며, 상기 음극 바스켓는 상기 음극 바스켓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는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의 일단에 상기 고리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s a closed loop in its cross section, and the cathode basket includes a r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athode basket, And a bent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loop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음극봉, 상기 지지 음극봉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음극 바스켓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산화물과 반응하는 반응 음극봉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rod unit may include a support cathode ro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a support cathode rod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cathode rod and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to react with the metal oxide And a reaction cathode ro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지지 음극봉과 상기 반응 음극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 상에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gative electrode rod unit further includes an insulator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negative electrode rod and the reaction electrode rod and being seated on the bending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주와 동일한 외주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스킷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gative electrode rod unit includes at least one gaske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formed to have the same outer periphery as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spa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음극봉유닛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극봉유닛의 타단부에 이송장치 등에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견인고리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rod unit further includes a pulling r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node rod unit so as to reciprocate the anode rod unit in the first direction, d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극봉유닛의 이송에 따라 상기 음극봉유닛에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음극봉유닛에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핀홀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pinholes are formed on the anode rod uni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pin is selectively passed through the anode rod unit according to the conveyance of the anode rod uni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환원시스템은 전원을 공급하고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반응기 및 금속산화물이 수용되는 음극 바스켓,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바스켓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유닛,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유닛의 일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회로유닛에 수납되며, 상기 음극 바스켓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금속산화물과 반응하여 금속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음극봉유닛을 포함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comprising: a reactor having a supply space and a storage space; a cathode basket accommodating metal oxide; A circuit uni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being accommodated in the circuit unit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region of the circuit unit, the circuit unit being insertable into the cathode basket, And a negative electrode rod unit which is formed so as to react and produce a met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반응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접촉돌기가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and receive power from the reacto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전해환원장치가 안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일차회로 접합부,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이차회로 접합부 및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와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와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or includes a flange on which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is mounted, the flange including a primary circuit junction electrically in contact with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section, And a second circuit connection portion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and an insulation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ircui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ircuit connection por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환원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음극봉유닛의 일부를 상기 음극 바스킷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음극 바스킷에 금속산화물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음극봉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음극 바스킷을 상기 음극봉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comprising: inserting a part of a cathode rod unit into the cathode basket; charging the cathode basket with a metal oxide Applying power to the anode rod unit, and separating the anode bus bar from the anode rod unit.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전해환원시스템의 구동방법은상기 음극 바스킷을 상기 음극봉유닛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음극 바스킷 및 상기 음극봉유닛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유닛을 포함하는 전해환원장치를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반응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includes a circuit unit configured to separate power from the negative electrode bar unit and to supply power to the negative electrode bar unit and the negative electrode bar unit And separating the electrolytic reducing apparatus including the electrolytic reducing unit from the reactor supplying the p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환원장치가 장착된 전해환원시스템의 모식도.
도 2는 도 1의 플렌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a는 도 1의 전해환원장치의 개념도.
도 3b는 도 3a의 전해환원장치를 분해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전해환원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전해환원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equipped with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lange of FIG. 1; FIG.
FIG. 3A is a conceptual view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of FIG. 1; FIG.
FIG. 3B is a conceptual view of explaining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of FIG. 3A; FIG.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다중회로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Li2O-LiCl을 이용하는 공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전해환원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aO 등 기타 산환물 촉매를 이용하는 전해환원공정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e circui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Hereinafter,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process using Li 2 O-LiCl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hroughout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using other acid catalysts such as Ca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해환원장치가 장착된 전해환원시스템의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equipped with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해환원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환원장치(200)는 상기 반응기(100)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반응기(100)에 장착되면 상기 전해환원장치(200)의 다중회로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00)는 일반적인 전해환원공정의 반응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is mounted inside the reactor 100 to perform an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When installed in the reactor 100, power may be applied to multiple circuits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The reactor 10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reactor of a typical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다만, 본 발명의 전해환원장치(200)의 일차회로 및 이차회로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기(100)에 장착된 플랜지(110)는 일차회로 접합부(111) 및 이차회로 접합부(112) 및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 및 이차회로 접합부(112)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층(113)을 포함한다. The flange 110 mounted on the reactor 100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ircuit junction 111 and the secondary circuit junction 112 to supply power to the primary circuit and the secondary circuit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sulating layer 113 for insulating between the primary circuit connection portion 111 and the secondary circuit connection portion 11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해환원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전해환원장치가 상기 플랜지(110)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A specific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flange 11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도 1의 플렌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a는 전해환원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전해환원장치를 분해한 개념도이다. Fig. 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lange of Fig. 1, Fig. 3a is a conceptual view of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and Fig. 3b is a conceptual view of a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of Fig. 3a.

상기 전해환원장치(200)는 음극봉유닛(210), 회로유닛(220) 및 음극 바스켓(230)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환원장치(200) 전체에는 양극과 상기 음극봉유닛(210) 사이에 일차회로가 적용되고, 상기 음극봉유닛(210)과 상기 음극 바스켓(230)의 벽면 사이에서 이차회로가 적용된다.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includes a cathode rod unit 210, a circuit unit 220, and a cathode basket 230. A primary circuit is applied between the anode and the anode rod unit 210 and a secondary circuit is applied between the anode rod unit 21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cathode basket 230 in the entir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200.

상기 음극 바스켓(230)은 금속산화물이 충진된다. 금속산화물(metal oxide)은 산소와 결합한 금속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음극 바스켓(230)은 상기 음극봉유닛(21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음극 바스켓(230)의 일단부는 상기 회로유닛(220)에 장착되기 위하여 외부로 절곡되어 고리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봉유닛(210) 및 사익 회로유닛(220)이 상기 음극 바스켓(230)에 장착되는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cathode basket 230 is filled with a metal oxide. Metal oxide means a metal compound bonded with oxygen. The cathode basket 230 is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anode rod unit 210 can be inserted. One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basket 230 is bent outward to be attached to the circuit unit 220 to form a hook 231.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ode rod unit 210 and the squeak circuit unit 220 are mounted on the cathode basket 230 will be described below.

한편 상기 음극봉유닛(21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음극봉유닛(210)은 견인고리(211). 제1 및 제2 핀홀(212a, 212b), 지지 음극봉(213), 개스킷(214), 절연체(215) 및 반응 음극봉(216)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node rod unit 210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anode rod unit 210 is a pulling ring 211. And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pinhole 212a and 212b, a support cathode rod 213, a gasket 214, an insulator 215, and a reaction cathode rod 216.

상기 지지음극봉(213)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견인고리(211)는 상기 지지음극봉(213)의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견인고리(211)는 크레인 등이 상기 음긍봉유닛(210)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cathode rod 213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pulling ring 2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cathode rod 213. The pulling ring 211 is formed so that a crane or the like can transport the negative-positive unit 210.

상기 지지음극봉(213)의 타단에는 반응 음극봉(216)이 형성된다. 상기 반응 음극봉(216)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극봉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음극봉(216)은 상기 음극 바스켓(230)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산화물과 접촉하고 환원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반응 음극봉(216)에서는 용융염의 양이온이 환원되어 생성된 금속 환원제에 의하여 음극 바스켓(230)에 수용된 금속산화물이 금속으로 환원된다. A reaction cathode rod 216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cathode rod 213.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anode rod member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230 to be in contact with the metal oxide and cause a reduction reaction. In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the metal oxide contained in the cathode basket 230 is reduced to metal by the metal reducing agent generated by reducing the cations of the molten salt.

상기 지지음극봉(213)의 중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스킷(214)이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214)의 외주는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가 형성하는 내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해환원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상기 금속산화물의 샘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gasket 21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cathode rod 213.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asket 214 may be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circumference formed by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uttering of the metal oxide during the electrolytic reduction reaction.

상기 지지음극봉(213)과 상기 반응 음극봉(216) 사이에는 절연체(215)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체(215)는 상기 반응 음극봉(216)과 상기 회로유닛(220)의 이차회로와 절연시킨다. An insulator 215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anode rod 213 and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The insulator 215 is insulated from the reaction electrode bar 216 and the secondary circuit of the circuit unit 220.

한편, 상기 지지음극봉(213)에 제1 및 제2 핀홀(212a, 212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핀홀(212a, 212b)은 선택적으로 상기 회로유닛(22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핀홀(212a)이 상기 회로유닛(22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반응 음극봉(216)이 상기 음극 바스켓(230)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산화물과 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제2 핀홀(212b)이 상기 회로유닛(220)에 고정되면 상기 반응 음극봉(216)이 상기 음극 바스켓(230)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금속산화물과의 반응이 제한된다. 상기 회로유닛(220)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핀홀(212a, 212b)는 견인고리(211)가 크레인 등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이동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pinholes 212a and 212b are formed in the support cathode rod 213. [ The first and second pinholes 212a and 212b are selectively fixed to the circuit unit 220. For example, when the first pinhole 212a is fixed to the circuit unit 220,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230 to react with the metal oxide. When the second pinhole 212b is fixed to the circuit unit 220,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exposed from the cathode basket 230 to restrict the reaction with the metal oxide. The first and second pinholes 212a and 212b fixed to the circuit unit 220 can be moved while being transported by a crane or the like.

상기 제1 및 제2 핀홀(212a, 212b)이 상기 회로유닛(220)에 고정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한다.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inholes 212a and 212b are fixed to the circuit unit 22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회로유닛(220)은 이차회로 전극부(221), 일차회로 전극부(222), 전극고정부(223), 절연부(224)를 포함한다. The circuit unit 220 includes a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221, a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2, an electrode fixing portion 223, and an insulating portion 224.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의 양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is formed to have a closed loop. Opening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의 일단은 상기 음극 바스켓(23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의 일단에는 절곡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21')은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의 중앙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21'')는 상기 음극 바스켓(230)의 고리부(231)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리부(231)와 상기 절곡부(221'')에 의하여 상기 음극 바스켓(230)과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다. One end of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unit 221 is connected to the cathode basket 230. That is, a bent portion 221 ''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The bent part 221 'is formed by bending the center part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art 221. The bent portion 221 '' is formed to catch on the hook 231 of the negative basket 230. That is, the cathode basket 230 and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etachable by the loop 231 and the bent portion 221 ''.

상기 절곡부(221'') 상에 상기 고리부(231)가 중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231) 상에 상기 음극봉유닛(210)의 절연체(215)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 및 상기 음극 바스켓(230)은 상기 반응 음극봉(216)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아니한다.The annular portion 231 is disposed on the bent portion 221 '' and the insulator 215 of the negative electrode rod unit 210 is disposed on the annular portion 231. Therefore,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unit 221 and the cathode basket 230 are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는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는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와 상기 고정너트(223)에 의하여 고정된다.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unit 222 is formed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D2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D1.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art 222 is fixed by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art 221 and the fixing nut 223.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는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가 관통하는 영역에 절연부(2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와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한다.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art 222 is formed with an insulating part 224 in a region through which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art 221 passes. Therefore,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2 and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1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플랜지(110)에 의하여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1) 및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2)에 각각 전원이 공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110)는 일차회로 접합부(111)와 이차회로 접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와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112)는 폐루프를 이루는 단면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112)의 내주는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의 내주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해환원장치(200)는 상기 플랜지(110)에 걸치게 된다. Power is supplied to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1 and the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2 by the flange 110,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2, the flange 110 is formed with a first circuit joint portion 111 and a second circuit joint portion 112. The primary circuit connection portion 111 and the secondary circuit connection portion 112 are formed to have a closed loop cross section and overlap each othe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ircuit joint portion 11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imary circuit joint portion 111 and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200 is wound around the flange 110.

한편,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는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랜지(110)의 이차회로 접합부(11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물리적으로 걸치도록 형성되는 접촉돌기(221')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돌기(221')의 외주는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의 외주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includes a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and physically contacting and electrically contacting the connection unit 112 of the flange 110 221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protrusion 221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2.

따라서,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는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의 접촉돌기(221')는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contact protrusion 221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art 2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part 111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2' And is supplied with power.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상기 음극봉유닛(210)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1)의 일영역에 상기 지지 음극봉(213)이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음극봉(213)은 상기 홀을 관통하고 상기 홀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는 견인고리(211), 하부에는 반응음극봉(216)이 형성될 수 있다.A hole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1 so that the supporting electrode rod 213 penetrates the electrode rod unit 21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support cathode rod 213 may be formed with a pulling ring 211 at an upper portion and a reaction cathode rod 216 at a lower portion through the hole.

이에 따라서, 상기 전해환원공정은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고 일차회로 전극부(222), 음극봉유닛(210) 및 음극 바스켓(230)으로 구성되는 일차회로와, 이차회로 접합부(112)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고 접촉돌기(221')를 포함하는 이차회로 전극부(220) 및 음극 바스켓(230)으로 구성되는 이차회로를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uses a primary circuit composed of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2, the cathode rod unit 210, and the cathode basket 230 using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primary circuit connection portion 111, And a secondary circuit composed of a secondary circuit electrode part 220 and a cathode basket 230 using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junction part 112 and including a contact protrusion 221 '.

상기 음극봉유닛(2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전해환원공정의 진행 및 종료가 제어되는 바, 이하 상기 전해환원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The progress of the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is controlled by the movement of the anode rod unit 210, and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lytic reduction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a 내지 도 4c는 전해환원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전해환원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s. 4A to 4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n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and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도 1,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해환원장치(200)를 상기 반응기(100)내부에 장착하고(S1), 상기 반응 음극봉(216)을 음극 바스켓(230) 내부로 삽입한다(S2). 1, 4A and 5,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is mounted inside the reactor 100 (S1), and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230 (S2).

상기 음극봉유닛(210)의 상기 반응 음극봉(216)은 상기 음극 바스켓(230)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산화물과 접촉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전해환원장치(200)는 상기 반응기(10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4)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근거하여 금속을 얻게 된다.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of the anode rod unit 210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2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oxi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ince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is mounted inside the reactor 100, a metal is obtained based on a power source applied through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unit 224.

한편 상기 금속산화물은 상기 음극 바스켓(230)에 반응 음극봉(216)이 삽입된 후 상기 음극 바스켓(230)에 상기 금속산화물을 충진한다(S3). Meanwhile, after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230, the metal oxide is filled in the anode basket 230 (S3).

상기 전해환원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여(S4), Li2O-LiCl 용융염을 이용하는 전해환원공정에서, Li는 UO2와 반응하여 U금속을 생성시킨다.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S4). In an electrolytic reduction process using a Li 2 O-LiCl molten salt, Li reacts with UO 2 to produce a U metal.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근거하여 상기 반응 음극봉(216)으로부터 상기 음극 바스켓(230) 방향으로 확산되는 Li이상기 음극 바스켓(23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221)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 Li을 산화시켜 전자를 회귀시킴으로서, 용융염 내에 액체상의 Li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Li이 금속산화물이 아닌 양극이나 장치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diffusion from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to the outside of the Li-ion machine negative electrode basket 230 diffused in the dire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basket 230 based on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have. That is, the Li is oxidized by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unit 221 to return electrons, thereby preventing the liquid Li from diffusing into the molten salt.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Li from contacting the anode and the device material other than the metal oxide.

한편, 상기 제1 핀홀(212b)에 고정핀이 장착되어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 상에 상기 제1 핀홀(212b)이 형성되므로 상기 음극봉유닛(2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극봉유닛(210)과 상기 음극 바스켓(2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pinhole 212b is fixed on the first pinhole 212b and the first pinhole 212b is formed on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22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negative polehole 210 can be fixed. Accordingly, the positions of the cathode rod unit 210 and the cathode basket 230 can be stably fixed.

도 1,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해환원반응이 종료되면, 상기 음극 바스켓(230)으로부터 상기 반응 음극봉(216)을 분리한다(S5). 다만, 상기 반응 음극봉(216)을 상기 금속산화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은 용융염속에서만 가능하다. 즉 염이 응고되면 상기 반응 음극봉(216)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전해환원장치(200)가 상기 반응기(100)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분리공정이 이루어져야 한다.Referring to FIGS. 1, 4A and 5, when the electrolytic reduction reaction is completed,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separated from the cathode basket 230 (S5). However,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from the metal oxide is possible only in molten salt. That is, when the salt is solidified,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can not be separated, so that the separation process must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lectrolytic reducing apparatus 200 is installed in the reactor 100.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 예를 들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견인고리(211)를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면, 상기 반대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음극봉유닛(210)이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금속산화물과 상기 반응 음극봉(216)의 접촉은 해지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이와 동시에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와 상기 플랜지(110)의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의 전기적인 접촉도 해지된다. 이에 따라 회로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111)는 절연상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4B, when the traction hook 211 is convey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by using a conveying device, for example, a crane, (210) moves. Therefore, the contact between the metal oxide and the reaction cathode rod 216 is canceled.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t the same tim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222 and the primary circuit connection portion 111 of the flange 110 is also canceled. As a result, the primary circuit junction 111 is in an insulated state when the circuit is open.

한편, 상기 제2 핀홀(212b)에 상기 고정핀이 장착되어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222)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극봉유닛(22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in is mounted on the second pinhole 212b and is formed on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art 222.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anode rod unit 220 can be stably fixed.

도 1, 도 5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음극봉유닛(210)과 상기 회로유닛(220)을 상기 반응기(100)로부터 분리한다(S6). 1, 5, and 4C, the anode rod unit 210 and the circuit unit 220 are separated from the reactor 100 (S6).

즉, 상기 절곡부(221'')와 상기 고리부(231)을 분리하고, 상기 음극 바스켓(230)을 견인하여 후속공정으로 연계한다. That is, the bending portion 221 '' and the annular portion 231 are separated, and the negative basket 230 is pulled and linked in a subsequent process.

본 발명의 전해환원장치(200)는 이차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반응기 내부에서 상기 음극봉유닛(210)을 상기 금속산화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일차회로를 절연시킬 수 있다.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ary circuit to isolate the cathode rod unit 210 from the metal oxide in the reactor and to insulate the primary circuit.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전해환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환원시스템과 이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the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including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Claims (12)

금속산화물이 수용되는 음극 바스켓;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바스켓과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되는 회로유닛;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로유닛의 일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회로유닛에 수납되며, 상기 음극 바스켓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금속산화물과 반응하여 금속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음극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유닛은,
상기 음극봉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차회로 전극부; 및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와 절연되고 일단이 상기 음극바스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되는 이차회로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A cathode basket containing a metal oxide;
A circuit unit which forms an internal space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thode basket to be supplied with power;
An anode rod uni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being accommodated in the circuit unit so as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one region of the circuit unit and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cathode basket and formed to generate a metal by reacting with the metal oxide; Including,
The circuit unit includes:
A primary circuit electrode port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o apply power to the negative electrode rod; And
And a second circuit electrode part insulated from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part and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basket to apply power to the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폐루프를 이루며,
상기 음극 바스켓는 상기 음극 바스켓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는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의 일단에 상기 고리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s a closed loop in cross section,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basket includes an annular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basket,
Wherein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bent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so as to be hooked to the loop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음극봉;
상기 지지 음극봉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음극 바스켓에 삽입되어 상기 금속산화물과 반응하는 반응 음극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3.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2,
A supporting negative electrode ro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urther comprising a reaction cathode rod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cathode rod and inserted into the cathode basket to react with the metal ox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지지 음극봉과 상기 반응 음극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 상에 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or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anode bar and the reaction cathode bar and formed to be seated on the ben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주와 동일한 외주를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5.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4,
And at least one gaske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formed to have the same outer periphery as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봉유닛은,
상기 음극봉유닛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음극봉유닛의 타단부에 이송장치 등에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견인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ulling ring connected to a conveying device or the like at the oth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unit for reciprocating the negative electrode unit in the first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봉유닛의 이송에 따라 상기 음극봉유닛에 고정핀이 선택적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음극봉유닛에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in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node rod unit so that the fixing pin selectively passes through the anode rod unit according to the conveyance of the anode rod unit.
전원을 공급하고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반응기;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해당되는 전해환원장치를 구비하는 전해환원시스템.
A reactor for supplying power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 electrolytic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formed to be housed in the storage sp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회로 전극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반응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ontac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electrode portion and receive power from the reac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전해환원장치가 안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일차회로 전극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일차회로 접합부;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와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이차회로 접합부; 및
상기 일차회로 접합부와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와 상기 이차회로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환원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actor comprises a flange on which the electrolytic reducing device is seated,
The flange
A primary circuit junction electrically contacting the primary circuit electrode;
A second circuit junction formed to partially overlap the primary circuit junction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 And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primary circuit junction, the secondary circuit junction, and the secondary circuit j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37226A 2012-11-29 2012-11-29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397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26A KR101397935B1 (en) 2012-11-29 2012-11-29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26A KR101397935B1 (en) 2012-11-29 2012-11-29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935B1 true KR101397935B1 (en) 2014-05-23

Family

ID=5089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226A KR101397935B1 (en) 2012-11-29 2012-11-29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93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1136A (en) * 2017-10-18 2018-03-06 铜陵市业永兴工贸有限责任公司 A kind of electrolytic copper powder screeding device
KR20200122927A (en) * 2019-04-19 2020-10-28 한국원자력연구원 Apparatus for Electrolytic Reduction and Method for Electrolytic Reduction
KR20200124049A (en) * 2019-04-23 2020-11-02 한국원자력연구원 Stacking-structured electrolytic reduc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10003616A (en) * 2019-07-02 2021-01-12 한국원자력연구원 Cathode module and a metal product retriev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89A (en) 1998-10-29 2000-05-12 Toshiba Corp Reducing device and method for spent oxide fuel
JP2006314958A (en) 2005-05-13 2006-11-24 Toshiba Corp Electrolytic device
JP4089944B2 (en) 2001-11-30 2008-05-28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31605A (en) * 2010-05-31 2011-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Electrolytic reduction equipment and method, with metal anode shrou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89A (en) 1998-10-29 2000-05-12 Toshiba Corp Reducing device and method for spent oxide fuel
JP4089944B2 (en) 2001-11-30 2008-05-28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6314958A (en) 2005-05-13 2006-11-24 Toshiba Corp Electrolytic device
KR20110131605A (en) * 2010-05-31 2011-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Electrolytic reduction equipment and method, with metal anode shrou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1136A (en) * 2017-10-18 2018-03-06 铜陵市业永兴工贸有限责任公司 A kind of electrolytic copper powder screeding device
KR20200122927A (en) * 2019-04-19 2020-10-28 한국원자력연구원 Apparatus for Electrolytic Reduction and Method for Electrolytic Reduction
KR102182475B1 (en) 2019-04-19 2020-11-24 한국원자력연구원 Apparatus for Electrolytic Reduction and Method for Electrolytic Reduction
KR20200124049A (en) * 2019-04-23 2020-11-02 한국원자력연구원 Stacking-structured electrolytic reduc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102256093B1 (en) * 2019-04-23 2021-05-26 한국원자력연구원 Stacking-structured electrolytic reduc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the same
KR20210003616A (en) * 2019-07-02 2021-01-12 한국원자력연구원 Cathode module and a metal product retriev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32622B1 (en) * 2019-07-02 2021-03-29 한국원자력연구원 Cathode module and a metal product retriev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935B1 (en) Electrolytic reduction device having multiplr circuit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EP2721037B1 (en) Synthesis of hetero ionic compounds using dialkylcarbonate quaternization
WO2013146714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id electrolyte
CN1898833A (en) Electrochemical battery cell
CN103534867A (en) Ionic liquid containing sulfonate ions
KR101684266B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neodymium matal using electrowinning
JP6853132B2 (en)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capacitor manufacturing metho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de protection method
KR101872057B1 (en) Aluminum-halogen fuel cell
US20150295291A1 (en) Electrode body for batteries, anode, and metal air battery
JP6154999B2 (en) Battery electrode body, battery and metal-air battery
JP2013152810A (en) Sea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8181726A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4501330A (en) Anode-cathode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106903B2 (en) Consumable anode and anode assembly for electrolytic reduction of metal oxides
JP7170057B2 (en)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CN207738308U (en) A kind of electrolytic aluminium anode interlocking handling apparatus
KR20160065277A (en) Electrolytic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oxide using conductive oxide ceramic anode and method thereof
JP2009252636A (en) Air cell
Kitta et al. Determinati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formation mechanism on negative electrode surface in Li-O2 battery electrolyte by operando electrochemical atomic force microscopy observation
KR1019973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ning metal
OKAZAKI et al. Formation and Breakdown of the Solid-electrolyte Interphase in a Bis (fluorosulfonyl) amide-based Ionic Liquid in the Presence of Lithium Ion
US10050312B2 (en) Electrochemical storage device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duction properties
KR101129320B1 (en) A non-metallic inclusion decomposition method using electrochemical refining method
CN209178501U (en) A kind of novel electrolytic cell structure
CN202007246U (en) Device for deoxidizing slag under action of external electric field between slag and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