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868B1 -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 Google Patents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868B1
KR101397868B1 KR1020080011180A KR20080011180A KR101397868B1 KR 101397868 B1 KR101397868 B1 KR 101397868B1 KR 1020080011180 A KR1020080011180 A KR 1020080011180A KR 20080011180 A KR20080011180 A KR 20080011180A KR 101397868 B1 KR101397868 B1 KR 101397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supported
stream
display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5343A (en
Inventor
김봉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868B1/en
Publication of KR2009008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은 수신된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추출하는 지원 언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지원 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는 지원 언어 표시부를 포함함으로써, 스트림 정보,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재생 가능한 언어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A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ed language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a received stream and extracting a type of a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And a support langu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ype of the extracted supported language, thereby displaying the stream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type of the reproducible language.

원세그, 1Seg, OneSeg, 스트림, 지원 언어, 디스플레이 One Seg, 1Seg, OneSeg, Stream, Supported Languages, Display

Description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 RTI ID = 0.0 >

본 발명은 일본향 모바일 텔레비전인 원세그 텔레비전(1seg televisio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seg television, which is a Japanese mobile televis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language information supported by a received stream.

'원세그'란 one segment의 약어로 디지털 방송용 채널을 13개의 세그먼트로 나누고 그 중 하나의 세그먼트를 쓰는 것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휴대폰 등 각종 모바일 기기에 원세그 대응 기기가 등장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하, 원세그 대응 기기를 원세그 텔레비전이라고 칭한다.'One Seg' is an abbreviation of one segment. It is a name derived from dividing a channel for digital broadcasting into 13 segments and using one of the segments. One segment-compatible devices are appearing in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urrently, the one-segment compatible device is referred to as one-seg television.

상기 원세그 텔레비전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일본향 모바일 텔레비전으로 지상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휴대전화나 초소형 텔레비전 등으로 통근, 통학, 외출 등 언제 어디서든지 즐길 수 있는 지상 디지털 방송의 모바일 기기용 서비스인 원세그(1seg) 방송을 지원하는 기기를 말한다. 원세그 방송은 영상, 음성, 데이터를 구비하는 서비스이지만 독립된 방송이 아니라 일본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채널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그 전송량이 비록 크지는 않지만 모바일 기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서는 충분한 수준이며, H.264/AVC 규격을 지원하는 비디오 방송(영상), MPEG-2 AAC 규격을 지원하는 오디오 방송(음성)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데이터)을 링크해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상세한 콘텐츠(BML, Broadcast Markup Language)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인터넷을 경유하여 다른 네트워크로의 링크도 가능하므로, 방송/통신의 제휴 서비스가 수월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ne-seg television described above is a mobile television set for Japan, and is a one-segment (1seg) service for a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mobile device capable of enjoying a terrestrial broadcast television program on a mobile phone or a miniature television, Means a device that supports broadcasting. One Seg broadcasting is a service that provides video, audio, and data, but uses a part of the channel of digital TV broadcasting in Japan, not independent broadcasting. Although the transmission is not large, it is sufficient for small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and video broadcasting (video) supporting the H.264 / AVC standard and audio broadcasting (voice) supporting the MPEG-2 AAC standard are being implemented . Further, it is possible to link and display detailed broadcast content (BML, Broadcast Markup Language)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the Internet by linking the data broadcast (data). Furthermore, since it is possible to link to other networks via the Intern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peration service of broadcasting / communication is easy.

이러한 원세그 방송을 지원하는 원세그 텔레비전은 그 특성상 방송국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스트림을 전송받게 되는데, 아직까지 상기 전송된 스트림의 정보, 구체적으로 전송된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에 대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The one-seg television supporting the one-seg broadcasting receives the various types of streams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by its nature. However,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stream and the method of the kind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transmitted specifically are not presented have.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가 어떤 것인지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하는 원세그 텔레비전 전체에 대한 신뢰도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has to confirm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received stream, which inconveniences the user, which causes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one-seg television to be used to b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세그 텔레비전에서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user to easily grasp a kind of language supported by a stream received from a One Seg televis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원세그 텔레비젼은, 원세그 방송 데이터의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지원언어의 종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지원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one-seg tele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a stream of one-Seg broadcast data and extracting a type of a supported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ype of the extracted supported langua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지원언어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ayback unit for playing back the support language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스트림 내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에서 지원언어와 관련된 플래그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원언어와 관련된 플래그는, 상기 스트림이 단일언어, 다중언어, BML(방송 마크업 언어) 및 폐쇄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소정 부분에 지원가능한 지원언어의 종류를 사용자가 선택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원언어의 종류를 다른 지원언어의 종류와 달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unit may analyze a flag related to a supported language in a program map table (PMT) in the strea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g associated with the supported language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ream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ngle language, a multi-language, a BML (broadcast markup language), and a closed caption language can d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user-selectable type of supportable language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cree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type of the supported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differently from the type of the other supported languag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은 스트림 정보,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이 재생 가능한 언어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the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tream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type of the language So a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은 수신된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추출하는 지원 언어 추출부(10) 및 상기 추출된 지원 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는 지원 언어 표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1, a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ed language extracting unit 10 for analyzing a received stream and extracting a type of a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And a support language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the type of the language.

상기 지원 추출부(10)는 소정 방송 매체에서 전송한 스트림을 수신한 후 분석하여,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지원 언어의 종류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스트림의 분석 범위 내에 해당하므로, 다른 용도로 상기 스트림 정보를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다른 용도의 스트림 정보 분석과 병행하여 수행이 가능하다.The support extracting unit 10 receives and analyzes a stream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 medium, and extracts a type of a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Since the extraction of the type of the supported language is within the analysis range of the stream, whe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ream information for another purpose, it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stream information analysis for the other purpose.

상기 지원 언어의 종류 추출은 상기 수신된 스트림에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원세그 방송에서도 스트림에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수록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Program Map Table) 중 'StreamType'에 수록하고 있다. PMT는 프로그램(스트림) 내의 영상/음성 스트림에 대한 정보(PID, Program Identification, 프로그램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텔레비전 시청시 실제 영상/음성 정보를 얻기 위해 파싱된다. 그 중에서 'StreamType'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위 예는 현재 원세그 방송에서 지원하는 스트림 규격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추후 규격 등이 변화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위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환기한다.The type extraction of the supported languag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received stream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One Seg broadcasting also includes the kinds of languages supported in the stream. Specifically, the types are stored in 'StreamType' in Program Map Table (PMT). The PMT includes information (PID, Program Identification, and program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video / audio stream in a program (stream), and is parsed to obtain actual video / audio information at the time of watching televis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by extracting 'StreamType'. Of course, the above example conforms to the stream standard supported by the current one-seg broadcasting, and it is recall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in consideration of a case where a later specification or the like is changed.

도 2에는 원세그 방송에서 사용되는 스트림에서 PMT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살펴보면, 'StreamType'는 수신된 스트림의 2nd 루프(loop)의 'N loop' 상에 위치하게 되고, 표 1에 나타낸 StreamType 중 하나의 데이터가 수록된다. 도 2의 'StreamType'의 우측에 위치하는 'ES info length'는 상기 'N loop'의 길이를 정의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N loop'에는 필요한 수만큼의 'StreamType'가 배열된다. 비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0x1B, 오디오 정보1,2를 나타내는 0x0F, BML 정보를 나타내는 0x0D, 폐쇄자막(Closed Caption)을 나타내는 0x06 중 하나가 상기 'StreamType'에 수록되며, 다수의 정보를 수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N loop'상에 존재하는 다른 'StreamType'을 사용하게 된다.FIG. 2 shows the structure of a PMT in a stream used in a one-segment broadcasting. The 'StreamType' is located on the 'N loop' of the 2 nd loop of the received stream, and one of the StreamType shown in Table 1 is stored. The 'ES info length'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StreamType' in FIG. 2 defines the length of the 'N loop'. As a result, the necessary number of 'StreamType' is arranged in the 'N loop'. One of 0x1B indicating video information, 0x0F indicating audio information 1 and 2, 0x0D indicating BML information, and 0x06 indicating closed caption is recorded in the 'StreamType'. In case of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nother StreamType existing on the 'N loop' is used.

현재 원세그 방송 스트림에서 허용하는 'StreamType'는 최대 5개로 위에 나열한 비디오, 오디오1,2, BML, 폐쇄자막 정보가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오디오1 및 2의 StreamType가 0x0F로 동일하기 때문에 0x0F가 나타난 횟수로 단일 오디오(0x0F가 하나만 존재)인지 다중 오디오(0x0F가 두개 존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1,2에는 언어(음성)가 포함되므로, 결과적으로는 'StreamType'에서의 오디오1,2 할당 여부로 단일 언어를 지원하는지 다중 언어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외에 상기 'StreamType'에 0x0D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송 마크업 언어(Broadcast Markup Language; BML)를 지원, 0x06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폐쇄자막 언어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가 다중 언어, BML, 폐쇄자막 중 어느 하나인 것임을 의미하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언어도 지원이 예상된다.At present, the maximum number of 'StreamType' allowed in the one-seg broadcasting stream is five, and the video, audio 1, 2, BML, and closed caption information listed above can be respectively allocated. Since the StreamType of Audio 1 and Audio 2 is equal to 0x0F,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a single audio (there is only one 0x0F) or multiple audio (two 0x0F exists) as the number of times that 0x0F appears. As a result, since audio 1 and audio 2 are included in the audio (audio),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a single language or multiple languages are supported by assigning audio 1 and audio 2 in 'StreamType'. In addition, when '0x0D' is assigned to 'StreamType', it means that it supports Broadcast Markup Language (BML), and when 0x06 is assigned, it supports closed caption language. This means that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is one of multi-language, BML, and closed cap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types of languages are also expected to be supported.

결과적으로, 상기 지원 언어 추출부(10)는 'StreamType'에 수록된 StreamType를 분석함으로써,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supported language extracting unit 10 extracts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received stream by analyzing the StreamType included in the 'StreamType'.

서비스 정보(Service Type)Service Type (Service Type) StreamTypeStreamType VideoVideo 0x1B0x1B Audio1Audio1 0x0F0x0F Audio2Audio2 0x0F0x0F BML(DSM-CC)BML (DSM-CC) 0x0D0x0D Closed CaptionClosed Caption 0x060x06

상기 지원 언어 표시부(20)는 상기 지원 언어 추출부(10)에서 추출된 지원 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원 표시부(20)는 영상 또는 음성(음향 포함)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나, 다양한 종류의 지원 언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The supported language display unit 20 displays the type of the supported language extracted by the supported language extracting unit 10 so that the recognized language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e support display unit 20 can display images or audio (including sound),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display images and images in order to display various kinds of supported languages.

상기 지원 언어 종류의 영상 디스플레이는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화면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세그 텔레비전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모바일 기기에서 수신 상태, 배터리 상태 등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다른 화면을 침범하지 않고도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지원 언어의 종류가 상기 시스템 상태창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라고 하는 기대에 부응하기 위함이기도 하다.Preferably, the image display of the supported language type is performed at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screen, and particularly displayed at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One-Seg television is mostly applied to mobile devices, so that displaying on the top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system, such as the reception state and the battery state, in the mobile device can be displayed without invading another screen. It is also intended to meet the expectation that the user will be presented with a type of supported language in the system status window.

영상 디스플레이시 그 형태는 각 지원 언어의 약어, 또는 첫 글자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다중 언어의 경우에는 '2L'(2개의 언어가 지원되고 있음을 나타냄), BML의 경우에는 'B', 폐쇄자막 언어의 경우에는 '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case of multiple languages, '2L' (indicating that two languages are supported), and in the case of BML, 'B' for closed caption language, and 'C' for closed caption languag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n example can be various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만약, 상기 지원 언어 추출부(10)에서 추출된 지원 언어가 단일 언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일정 채널 선택시 출력되는 언어가 오직 하나인 경우에는 시청 과정에서 출력되는 언어(발음)를 바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별다른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나, 단일 언어에 대한 약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옵션의 설정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할 경우에만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무방하다.If there is only one language supported by the support language extracting unit 10,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only one language when a certain channel is selected, the language (pronunciation)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a specific display, but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n abbreviation for a single language or display it only when the user desires through the setting of an option.

도 3에는 원세그 텔레비전의 실제 화면으로 지원 언어의 종류가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FIG. 3 shows the output of the kind of the supported language on the actual screen of the one-seg television.

사용자가 텔레비전 시청을 위해 원세그 텔레비전의 화면(터치 스크린 방식) 또는 단축키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전환을 선택하게 되면, 원세그 텔레비전은 A/V 파싱 정보를 얻는 것과 동시에 상기 지원 언어 추출부(10)를 통하여 해당 스트림의 정보,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정보를 취득하게 되며,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지원 언어 표시부(20)를 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서는 화면의 상단 시스템 상태 표시란에 지원 언어를 '2L', 'B', 'C'와 같이 표시하고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elevision conversion by using a screen of the one-seg television (touch screen method) or a shortcut key for viewing the television, the one-seg television obtains the A / V parsing information, Information on a stream, specifically, information on a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and displays the result on the screen through the support language display unit 20. [ As described above, in FIG. 3, the supported languages are displayed as '2L', 'B', and 'C' in the upper system status display field of the screen.

이와 같이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어려움 없이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 이용에 대한 편의가 증대된다.By displaying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received stream, the user can recognize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program being watched without difficulty, and convenience for using the content is increased.

한편, 지원 언어의 디스플레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원 언어를 선택함으로써, 바로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원 언어의 종류에 따른 재생이 가능한 재생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desirable that the desired service can be provided immediately by selecting the displayed supported languag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isplay of the supported language.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ayback unit 30 as far as possible.

상기 재생부(30)는 상기 지원 언어 표시부(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지원 언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지원 언어를 처리하여 콘텐츠의 음성, 문자의 형태로 출력하게 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2L', 즉 다중 언어를 선택하게 되면, 서브 메뉴로 다시 디스플레이되는 지원가능한 언어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현재 원세그 방송에서 지원하는 다중 언어는 2가지가 한계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2개 언어(Japanese, English)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추후 규격 변경, 기술 발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을 환기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English'를 선택하면 상기 재생부(30)는 상기 스트림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영어 발음의 언어를 출력하고, 'Japanese'를 선택하면 역시 상기 재생부(30)의 동작에 의해 일본어 발음의 언어를 출력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upported languag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support language display unit 20, the playback unit 30 processes the supporte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pport language and outputs it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of the content , And selects '2L', i.e., multiple languages as shown in FIG. 5, to select one of the two available languages to be displayed again in the submenu. Currently, only two languages (Japanese and English) are shown in this embodiment because it is limited to two kinds of multiple languages supported by one-seg broadcasting. However, it is recalled that th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future specification chang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When the user selects 'English', the playback unit 30 extra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stream and outputs the language of the English pronunciation. If 'Japanese' is selected, The language of the Japanese pronunciation is outputted by the operation.

사용자가 'B'를 선택하면, 상기 재생부(30)는 상기 스트림에서 대응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도 6(우측)에서와 같이 BML을 출력한다.When the user selects 'B', the playback unit 30 extracts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stream and outputs BML as shown in FIG. 6 (right).

만약, 사용자가 'C'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재생부(30)는 상기 스트림에서 대응되는 정보를 추출하여 도 7(우측)에서와 같이 자막을 출력한다.If the user selects 'C', the reproducing unit 30 extracts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stream and outputs the subtitles as shown in FIG. 7 (right).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재생부(30)는 상기 지원 언어 표시부(20)와 연동하여 현재 출력 중인 언어에 대한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BML을 출력 중인 경우에는 상기 지원 언어 표시부(20)를 통한 지원 언어 표시 중 상기 BML에 대응되는 'B'를 다른 지원 언어 표시인 '2L', 'C'보다 밝게 할 수 있으며, 그 색깔을 달리할 수도 있다. 다중 언어를 나타내는 '2L'의 경우는 상기 '2L'을 위의 'B'와 같이 처리할 수도 있으나, 현재 표시되는 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보다 인지가 용이할 것이므로 현재 출력되는 언어에 따라 약어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English'를 선택하여 영어 발음의 언어가 출력 중인 때에는 '2L' 대신에 'E', 'Japanese'를 선택하여 일본어 발음의 언어가 출력 중인 때에는 '2L' 대신에 'J'와 같은 식으로의 디스플레이가 바람직하다.For convenience of the user, the playback unit 30 may display the currently output language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ed language display unit 20. For example, when the BML is being output, the 'B' corresponding to the BML can be made brighter than the other supported language indications '2L' and 'C' during the display of the supported language through the supported language display unit 20, The color may be different. In the case of '2L' representing multiple languages, '2L' may be processed as the above 'B', but since it is easier to recognize the type of the currently displayed language, It may be desirable to change. That is, when 'English' is selected and the language of English pronunciation is being outputted, 'E' and 'Japanese' are selected instead of '2L', and when the language of Japanese pronunciation is being outputted, 'J' Is preferred.

또한, 사용자가 지원 언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전에도 기본적으로 어느 하나의 언어가 출력되어야 하는데, 이는 옵션 설정 등을 통하여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before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supported languages,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languages should be outpu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anguage can be changed through option setting or the like.

한편, 상기 재생부(30)는 사용자에 선택에 따른 출력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단축키 등의 수단과 연계되어야 하는데, 상기 입력 수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기로 한다.Meanwhile, the playback unit 30 should be associated with a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or a shortcut key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 order to output a user's selection. The input means will not be discussed in detail.

도 4의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원세그 텔레비전의 사용자가 텔레비전 시청으로 전환하게 되면(S 110), 상기 원세그 텔레비전은 일정 방송 매체의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게 된다(S 120). 상기 지원 언어 추출부(10)는 상기 수신된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추출하고(S 130), 그 추출 결과는 상기 지원 언어 표시부(20)를 통하여 영상 또는 음성으로 디스플레이된다(S 140). 음성으로 지원 언어를 표시하는 경우 현재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사용자가 인식이 가능한 자국 언어로 알려주게 되며, 영상으로 지원 언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지원 언어의 종류를 화면의 일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스템 상태창이 되는 화면의 상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원 언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된 스트림이 지원하는 언어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지원 언어의 종류 중 원하는 지원 언어가 있는 경우 선택을 하도록 하고(S 150), 상기 선택에 대응되는 지원 언어를 판별하여(S 160)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S 170), 사용자가 원하는 지원 언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operation of the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the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of the one-seg television switches to the television viewing (S110) And receives the stream (S 120). The supported language extracting unit 10 analyzes the received stream, extracts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S 130), and the extracted result is displayed as video or audio through the supported language display unit 20 (S 140). When the supported language is displayed by voice,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currently received stream is informed by the user's local language. When displaying the supported language by video, the type of the supported language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do. The display position is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screen as the system status window, as described above. By displaying the kind of the supported language in this manner, the user can grasp the type of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received stream, thereby facilitating the user's convenience. If the user selects a desired language among the displayed languages, the user is prompted to select the desired language (S 150),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language (S 160) is reproduced and output (S 170) Allow the user to be provided with the desired support language.

이상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지원 언어를 선택하기 전에도 수신된 스트림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일정 언어로 재생하여야 하는 바, 기본적으로 자국의 언어(음성)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옵션 설정 등을 통하여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process, the broadcasting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tream is to be reproduced in a certain language even before the user selects the supported langu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oadcasting program is basically outputted in the language of his / her own (voic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change possible.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원세그 방식을 지원하는 텔레비전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일본향 원세그 텔레비전에의 적용이 유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television supporting the One Seg method, and particularly, it is advantageous to apply it to one Seg televis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원세그 방식의 스트림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ial structure of a stream of a one-segment method;

도 3은 도 1의 구성을 통하여 실제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지원 언어의 형식을 나타낸 개략도.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rmat of a supported language displayed on an actual scree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정보 표시가 가능한 원세그 텔레비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one-seg television capable of displaying stream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 내지 7은 도 4의 구성을 통하여 실제의 화면에 출력되는 언어를 나타낸 개략도.FIGS. 5 to 7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languages output on an actual scree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FIG. 4;

도 8은 도 4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지원 언어 추출부 20...지원 언어 표시부10 ... Supported language extractor 20 ... Supported language display

30...재생부30 ... reproducing section

Claims (6)

원세그 방송 데이터의 스트림을 분석하여 상기 스트림이 지원하는 지원언어의 종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An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a stream of the one-segment broadcasting data and extracting a type of a supported language supported by the stream; And 수신한 원세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추출된 지원언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원세그 텔레비전.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status window while displaying the received one-segment broadcast data and indicating the type of the extracted supported langu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지원언어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원세그 텔레비젼.And a playback section for playing back the supported language determined by the user's sel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트림 내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에서 지원언어와 관련된 플래그를 분석하는 원세그 텔레비젼.A one-seg television that analyzes flags associated with a supported language in a program map table (PMT) in the strea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언어와 관련된 플래그는,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스트림이 단일언어, 다중언어, BML(방송 마크업 언어) 및 폐쇄자막 언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록하는 원세그 텔레비젼.Wherein the stream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ream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ngle language, a multi-language, a BML (broadcast markup language), and a closed caption langu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가 선택한 지원언어의 종류를 다른 지원언어의 종류와 달리 디스플레이하는 원세그 텔레비젼.One Seg television that displays the kind of support language you select differently from other supported languages.
KR1020080011180A 2008-02-04 2008-02-04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KR101397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80A KR101397868B1 (en) 2008-02-04 2008-02-04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80A KR101397868B1 (en) 2008-02-04 2008-02-04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43A KR20090085343A (en) 2009-08-07
KR101397868B1 true KR101397868B1 (en) 2014-05-20

Family

ID=4120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80A KR101397868B1 (en) 2008-02-04 2008-02-04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8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2815A (en) * 2019-01-31 2019-06-04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A kind of the subtitle state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44A (en) * 2000-10-14 2002-04-20 구자홍 Output language display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KR20070091488A (en) * 2006-03-06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language in a television receiver
JP2007281922A (en) * 2006-04-07 2007-10-25 Sharp Corp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44A (en) * 2000-10-14 2002-04-20 구자홍 Output language display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KR20070091488A (en) * 2006-03-06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language in a television receiver
JP2007281922A (en) * 2006-04-07 2007-10-25 Sharp Corp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43A (en)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7586B1 (en) Receiver apparatus, broadcast/communication-cooperation system, and broadcast/communication-cooperation method
US8752120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700335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CN101662614A (en) Advertisement inserting method and advertisement inserting control device of digital program
KR100617790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JP2012231383A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employing iptv services,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program
EP235958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broadcasting thereof
KR101397868B1 (en) 1seg television for displaying a stream information
KR20060074224A (en) Caption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US20140068658A1 (en) Advertisement embedded system, advertisement embedde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2055253B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and multiplexing independent subtitle stream
KR200700143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agent service
KR100402888B1 (en) Operating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80054181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JP2008172767A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338216B1 (en) Program genre display method and device
KR20100073344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method thereof
KR100622257B1 (en) Method for handling text back-link by using specification of MPEG-2 Transport Stream
KR100912557B1 (en) Apparatus for multi-displaying broadcasting image,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ulti-displaying broadcasting image
WO2015134878A1 (en) Simultaneous subtitle closed caption system
KR100701308B1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Program-Guide using slide type image
KR10143582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ption data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aption data
KR101285657B1 (en) A device for broadcasting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uperimposed title in thereof
KR20090025056A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therein
KR20090074631A (en) Method of offering a caption transla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