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625B1 -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625B1
KR101397625B1 KR20130146291A KR20130146291A KR101397625B1 KR 101397625 B1 KR101397625 B1 KR 101397625B1 KR 20130146291 A KR20130146291 A KR 20130146291A KR 20130146291 A KR20130146291 A KR 20130146291A KR 101397625 B1 KR101397625 B1 KR 10139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d material
color
sorting
separating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손정수
양동효
이강인
서강일
장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4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36Sorting out metall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 파쇄물을 이동시키면서 광원을 이용해 빛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파쇄물로부터의 반사광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반사광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색상차이 선별을 위한 이미지 센서,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을 위한 이색(Bi-Chromatic) 카메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Method of Separating Metal using Color Sorting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폐가전제품에서 유가금속과 폐플라스틱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재활용기술에서는 파쇄, 자력선별을 이용한 철 파쇄물의 분리 및 비중 선별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폐가전제품의 유가금속과 폐플라스틱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기존의 재활용기술로는 재질 별로 충분히 분리되지 않아 재활용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53697 (2002. 07. 05.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채 선별을 이용한 효율적인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 파쇄물을 이동시키면서 광원을 이용해 빛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파쇄물로부터의 반사광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반사광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색상차이 선별을 위한 이미지 센서,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을 위한 이색(Bi-Chromatic) 카메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분리에 의해 상기 대상 파쇄물은 흰색의 금속파쇄물과 붉은 색의 금속파쇄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흰색의 금속 파쇄물은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포함하며, 비중선별을 통해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하며, 상기 LED는 필요에 따라 조사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선별 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기준값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단계에서는 입사된 반사광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분리단계에서는 공기분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파쇄물은, 폐가전제품을 파쇄하여 1차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1차 파쇄물에서 철 파쇄물, 우레탄 파쇄물을 제거하여 2차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와류선별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2차 파쇄물에서 플라스틱 파쇄물과 비철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비철 파쇄물일 수 있다.
폐가전제품은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파쇄물을 얻는 단계는, 쉬레더를 이용한 1차 파쇄단계; 1차 파쇄 후, 햄머를 이용한 2차 파쇄단계; 2차 파쇄 후, 쉬레더를 이용한 3차 파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폐냉장고의 비철금속 파쇄물을 색채 선별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냉장고를 1차 전단기작, 충격기작 및 2차 전단기작을 통해 파쇄하여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쇄물을 철 파쇄물, 플라스틱 파쇄물 및 비철금속 파쇄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비철금속 파쇄물을 색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색채 선별 단계에서는 파쇄물로부터의 반사광을 분석하며, 색상차이 선별을 위한 이미지 센서,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을 위한 이색(Bi-Chromatic) 카메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색채선별에 의해 상기 비철금속 파쇄물은 흰색의 금속 파쇄물과 붉은 색의 금속파쇄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흰색의 금속 파쇄물은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포함하며, 비중선별을 통해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장치에 있어서, 대상 파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상기 대상 파쇄물에 광을 가하는 조명부; 상기 대상 파쇄물에서 반사된 광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대상 파쇄물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색상차이 선별을 위한 이미지 센서,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을 위한 이색(Bi-Chromatic) 카메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CCD 및 CMO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조명부는 필요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공압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대상파쇄물을 흰색의 금속 파쇄물과 붉은 색의 금속파쇄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색채 선별을 이용한 효율적인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선별의 결과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선별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의 결과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아래 실시예에서는 금속 분리방법이 냉장고의 재활용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리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폐냉장고를 쉬레더를 이용하여 1차 파쇄하여 파쇄물 A를 얻는다(S1). 쉬레더는 전단기작을 이용한 파쇄방법으로 폐냉장고를 잘게 찢는 역할을 한다. 파쇄물 A에는 철 파쇄물, 알루미늄 파쇄물, 구리 파쇄물, 스테인리스 스틸 파쇄물, 플라스틱 파쇄물 및 우레탄 파쇄물 등이 포함된다. 파쇄물 A에서는 각 재질 별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파쇄물 A를 햄머를 이용하여 2차 파쇄하여 파쇄물 B를 얻는다(S2). 햄머는 충격기작을 이용한 것으로 잘게 찢어진 파쇄물 A를 부수고 파쇄물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파쇄물 B를 대상으로 자력 선별 방법으로 철 파쇄물을 분리(S3)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우레탄 파쇄물을 분리(S4)하여 파쇄물 C를 얻는다. 자력 선별은 자력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철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레탄은 금속 뿐만 아니라 다른 플라스틱 보다 비중이 매우 낮기 때문에 송풍기를 이용하면 대부분의 우레탄 파쇄물을 분리할 수 있다. 파쇄물 C에는 소량의 철 파쇄물, 알루미늄 파쇄물, 구리 파쇄물, 스테인리스 스틸 파쇄물, 플라스틱 파쇄물 및 소량의 우레탄 파쇄물이 남게 된다.
파쇄물 C는 다시 한 번 쉬레더를 이용한 파쇄되어 파쇄물 D가 된다(S5). 얻어진 파쇄물 D는 충분히 재질 별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후 물질별 분리의 대상이 된다.
파쇄물 D를 대상으로 다시 자력 선별 방법으로 철 파쇄물을 분리(S6)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우레탄 파쇄물을 분리(S7)하여 파쇄물 E를 얻는다. 추가의 자력 선별(S6) 및 송풍기 작업(S7)으로 파쇄물 E내에 잔류하고 있는 철 분쇄물과 우레탄 분쇄물은 더욱 감소하게 된다.
다음으로, 와전류 선별 방식으로 사용하여 플라스틱 분쇄물을 분리하고(S8) 송풍기 작업을 통해 잔류 우레탄 분쇄물을 제거하여(S9) 파쇄물 F를 얻는다.
파쇄물 E에 대해 2mm 내지 16mm 크기의 파쇄물과 16mm 이상의 파쇄물로 입도 분리한 후 자석의 자력, 컨베이어 벨트 속도, 칸막이 각도 등의 변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와전류 선별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도 2a와 도 2b와 같이 플라스틱과 비철(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이 약 95% 정도 우수하게 선별되었다.
와전류 선별은 고주파 자기장의 유도 원리(와전류)를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는 방법이다. 드럼에 내장된 강력한 영구자석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드럼 표면에서 생성되는 강력한 이동 자계를 이용하여 비철금속과 플라스틱을 분리할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컨베이어 밸트 내부에서 빠르게 회전하는 고성능의 영구자석드럼은 벨트 위로 지나가는 비장성체인 비철금속에 와전류를 유도하여 자기장이 생기게 한다. 이에 의해 생기는 힘은 인력에 반대로 작용하며 비철금속 파쇄물은 컨베이어밸트의 물류 이동시 반력에 의해 튕겨 나가면서 플라스틱 파쇄물과 분리된다.
분리되어 얻어진 플라스틱 파쇄물에는 ABS, PE, HIPS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근적외선 선별을 통해 이들을 분리한다(S10). 도 3은 근적외선 선별의 모식도이다. 콘베이어를 통해 파쇄물이 지나가면 상부에서 조명을 비추어 주고 동시에 초분광 카메라(Hyperspectral camera)를 이용하여 근적외선을 가한다.
근적외선은 0.8 내지 2.5 um의 파장을 가진 빛으로 적외선 중에서도 가시광선에 가까운 것을 말한다. 분자구조로 탄소결합과 수소결합을 가진 물질에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면 그 구조에 따라 기준진동 배음과 결합음으로 공명을 일으켜 에너지가 흡수된다. 분자 구조의 차이에 따라 파장별로 흡수 정도가 달라 파장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이 가능하다.
근적외선 흡수는 적외선 흡수에 비해 매우 미약하며 다수의 배음과 결합음에 의한 흡수가 중복되어 복잡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으로 이용하여 각종 플라스틱의 파형을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해 측정 스펙트럼과 비교,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근적외선 분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플라스틱의 재질별 분리·선별을 위하여 Boland C++로 구성된 성분인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의 성분인식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에 앞서 플라스틱의 흡수 스펙트럼 특정 파장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선행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흡수 스펙트럼은 특정파장 즉, 1200 ㎚, 1340 ㎚, 1430 ㎚, 1670 ㎚, 1720 ㎚ 등에서 각각의 재질별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플라스틱 표면 특성에 따라 각 재질별 흡수 스펙트럼의 모델링은 수분 및 기름 성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각 재질별 공통적인 근적외선 흡수대역대 피크값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반입되는 미지의 플라스틱에 대한 대역값과 비교하여 확률적 통계에 의한 성분별로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선별 회수율의 순도향상을 위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을 통하여 표면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여부와는 무관하게 플라스틱 재질별로 일정 순도 이상으로 선별·회수가 가능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델링을 통하여 획득한 스펙트럼을 전자식 광학필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분석된 성분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성분별 인식 결과를 나타내었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냉장고의 성상은 수거지역, 제조사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선별 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성분별 근적외선 흡수파장의 전대역 스캔을 통한 성분 인식보다는 특징적인 파장대역만을 인식하여 빠른 성분인식과 함께 고순도로 분리·선별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현재 생활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별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모델링 후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각 재질별 흡수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순수 플라스틱의 성분별 흡수 스펙트럼의 피크는 특정 파장에서 상이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함으로서 고속으로 대용량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속·대량처리를 위해 20 m/s 이내에 재질별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대에서만 스캔하여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에 의한 확률적 방법으로 재질을 인식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성분인식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근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피크들이 넓고 중첩되어 있으며, 시료의 밀도, 온도, 입자크기 등의 차이로 인한 산란에 의해 기준선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기준선의 변화는 NIR 스펙트럼 분석 시 많은 오차를 유발하므로 수학적 처리와 전처리를 통하여 산란효과를 보정할 수 있다. 스펙트럼의 산란 효과의 보정은 스펙트럼의 변화를 줄여 검량선을 안정되게 하므로 정량, 정성 분석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전처리 기법 중의 하나로서 사용하는 수학적 처리는 입력된 신호를 미분함으로써 스펙트럼의 변화는 증폭되고, 결국 바탕선 변화를 미분을 통하여 제거 가능하다. 두 개 이상의 흡수대가 약간의 파장 차이로 겹쳐진 경우에도 흡수대의 확인이 용이하다.
스펙트럼이 파장에 대하여 민감하게 상승하는 부분에 감추어진 약한 흡수대의 확인이 가능하다. 미분값과 농도의 직선성이 성립하므로 배후 물질이 존재하면 정량분석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PLS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재질별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기존 30 mm 이상의 선별품에 대한 선별기술을 10 mm 이상의 선별품에 적용하였고, 컨베이어 속도도 2 m/s 로 유지하여 공기압 토출방식을 개발·적용하였다. 그 결과, 흑색을 제외한 모든 플라스틱(ABS, PE, HIPS)을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색채 선별을 통해 구리 파쇄물과 다른 금속(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을 분리한다(S11).
색채 선별의 수행을 위한 색채선별기(Color Sorter)는 광학적 차이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선별기로서, 크게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나누어진다. 구조는 호퍼, 진동식 정량공급장치, 공급벨트 또는 슈트, 광원, 광전소자(센서), 공압배출 노즐,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하드웨어는 광학부, 공압부, 전원부, 공급부로 구성된다. 광학부(Optical part, 분석부의 일부)는 이미지 센서, Bi-Chromatic, NIR 등 다양한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색상차이 선별에 활용되고 Bi-Chromatic은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에 활용에 활용되며 NIR은 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예, 플라스틱 수지) 선별에 활용에 활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2048 픽셀의 초정밀 카메라를 활용하였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 와 CMOS 외에 다른 가시광 영역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된 LED 광원(조명부)은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기존 형광등과 비교하여 교체 비용이 없으며 일정한 광원의 공급으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모드 변경 시 LED 색상이 자동으로 변경되며, 사용량에 따른 형광등의 광원량 변화에 따른 우려가 없다.
공압부(Pneumatic part, 분리부의 일부)는 1초에 1000회 작동할 수 있는 공기총을 적용하였으며 압축공기 분사량을 현격히 줄인 고효율 공기총을 사용하였다. 작아진 분사구와 슈트당 64개의 공기총을 장착하여 더욱 정확해진 선별이 가능하였다.
전원부(Power part)는 각각의 전자보드를 위한 차단장치를 적용하여 이상전류 발생 시 부품을 보호하였으며 여유로운 부품 배열과 열 분산장치로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공급부(Feeding part)의 슈트(Chute)는 선별력 향상을 위해 모양에 따른 다양한 특수 코팅으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후면 열판을 부착하여 슈트 면의 이물질 형성을 억제하였다.
피더(Feeder)는 엑셀레이션 센서 및 바이브레이션 피더로 안정적 원료 공급 원하는 원료투입 상태를 자동/수동 설정하였다.
이송장치가 슈트일 경우 20~30 채널당 1개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1, 2차 선별에 적합한 물량을 조절하며 면선별 방식은 벨트의 속도로 공급량을 조절. 슈트의 재질은 알루미늄 테프론을 코팅하였다. 사용 광원은 일반적으로 특수형광등과 할로겐 등을 사용하였다.
반사광 타입은 개체의 표면 빛깔에 의한 반사특성을 이용하여 표면 빛깔에 따라 개체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흰색과 검은색의 가시광역에서의 분광 반사는 475 ㎚ 부근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광학부를 구성하는 수광소자에 475 ㎚ 부근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광학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흰색과 검은색의 수광소자의 출력이 달라져 분리가 가능하였다.
색채선별기의 원리는 선별물이 진동식 정량공급장치에 의하여 일정량 슈트를 통하여 상단에 떨어지게 되고, 떨어진 선별물은 슈트(Chute) 하단의 일정한 지점에서 조사되고 있는 광원(Lamp)을 지나게 된다(이때 투과 반사되는 빛의 양을 수광센서가 인지한다).
제어장치는 선별물의 종류에 따라 이미 기억된 기준값을 비교색판(Backround Plate)으로 비교하여 그 범위를 벗어나는 착색립자를 순간적으로 센서가 공기분사장치(Air Ejector)를 작동시켜 착색립을 분리·제거시킨다.
색깔에 따라 반사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전·후 센서에 의해서 판단된 착색립이나 이물질 등은 공기분사장치에서 나오는 압축공기로 분리된다.
알루미늄과 구리 혼합물을 대상으로 구리를 공기총으로 날리는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도 4와 같이 흰색의 알루미늄과 붉은색의 구리가 90%의 정확도로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중선별을 통해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분리한다(S12).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냉장고로부터 철, 우레탄, ABS, PE, HIPS, 구리,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스틸을 재질 별로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자력선별 및 송풍기 작업은 추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근적외선 선별과 색채 선별의 순서는 바뀌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 파쇄물을 이동시키면서 광원을 이용해 빛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파쇄물로부터의 반사광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반사광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색상차이 선별을 위한 이미지 센서,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을 위한 이색(Bi-Chromatic) 카메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며,
    상기 분리에 의해 상기 대상 파쇄물은 흰색의 금속파쇄물과 붉은 색의 금속파쇄물로 분리되며,
    상기 흰색의 금속 파쇄물은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포함하며,
    비중선별을 통해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하며,
    상기 LED는 조사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5. 제1항에서,
    선별 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기준값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단계에서는 입사된 반사광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대상 파쇄물은,
    폐가전제품을 파쇄하여 1차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1차 파쇄물에서 철 파쇄물, 우레탄 파쇄물을 제거하여 2차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와류선별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2차 파쇄물에서 플라스틱 파쇄물과 비철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비철 파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1차 파쇄물을 얻는 단계는,
    쉬레더를 이용한 1차 파쇄단계;
    1차 파쇄 후, 햄머를 이용한 2차 파쇄단계;
    2차 파쇄 후, 쉬레더를 이용한 3차 파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8. 폐냉장고의 비철금속 파쇄물을 색채 선별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냉장고를 1차 전단기작, 충격기작 및 2차 전단기작을 통해 파쇄하여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쇄물을 철 파쇄물, 플라스틱 파쇄물 및 비철금속 파쇄물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비철금속 파쇄물을 색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색채 선별 단계에서는 파쇄물로부터의 반사광을 분석하며, 색상차이 선별을 위한 이미지센서, 복합적 색상의 불량 선별을 위한 이색(Bi-Chromatic) 카메라,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활용하며,
    상기 색채선별에 의해 상기 비철금속 파쇄물은 흰색의 금속 파쇄물과 붉은 색의 금속파쇄물로 분리되며,
    상기 흰색의 금속 파쇄물은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포함하며,
    비중선별을 통해 알루미늄 파쇄물과 스테인리스 파쇄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리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130146291A 2013-11-28 2013-11-28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KR10139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291A KR101397625B1 (ko) 2013-11-28 2013-11-28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291A KR101397625B1 (ko) 2013-11-28 2013-11-28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625B1 true KR101397625B1 (ko) 2014-05-23

Family

ID=5089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291A KR101397625B1 (ko) 2013-11-28 2013-11-28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67B1 (ko) * 2017-09-28 2019-04-05 (주)대산금속 폐알루미늄의 재활용 선별시스템
KR102470417B1 (ko) * 2022-06-20 2022-11-25 주식회사 엘에프테크 동 회수율을 높이는 폐자재 파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346B1 (ko) 1999-09-16 2002-08-07 닛폰지료쿠센코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이 끝난 알미늄 가공품에서 알미늄을 회수하는 방법
KR100467238B1 (ko) 2002-04-30 2005-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플라스틱류에 포함된 이물질 분리 방법
JP2012139609A (ja) 2010-12-28 2012-07-26 Hirabayashi Kinzoku Kk ミックスメタルの選別方法
JP2013000685A (ja) * 2011-06-17 2013-01-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家電製品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346B1 (ko) 1999-09-16 2002-08-07 닛폰지료쿠센코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이 끝난 알미늄 가공품에서 알미늄을 회수하는 방법
KR100467238B1 (ko) 2002-04-30 2005-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플라스틱류에 포함된 이물질 분리 방법
JP2012139609A (ja) 2010-12-28 2012-07-26 Hirabayashi Kinzoku Kk ミックスメタルの選別方法
JP2013000685A (ja) * 2011-06-17 2013-01-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家電製品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67B1 (ko) * 2017-09-28 2019-04-05 (주)대산금속 폐알루미늄의 재활용 선별시스템
KR102470417B1 (ko) * 2022-06-20 2022-11-25 주식회사 엘에프테크 동 회수율을 높이는 폐자재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Auto-sorting commonly recovered plastics from waste household appliances and electronics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Serranti et al. Classification of polyolefins from building and construction waste using NIR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EP3263234B1 (en) Scrap sorting method and system
US8742277B2 (en) Method for separating mineral impurities from calcium carbonate-containing rocks by X-ray sorting
Serranti et al. The utilization of hyperspectral imaging for impurities detection in secondary plastics
EP167059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lassifying objects in a waste stream
Kuritcyn et al. Increasing the safety in recycling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by using supervised machine learning
US20150314332A1 (en) Sorting mined material
KR101397625B1 (ko) 색채 선별을 이용한 금속 분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속 분리 장치
Friedrich et al. Qualitative analysis of post-consumer and post-industrial waste via near-infrared, visual and induction identification with experimental sensor-based sorting setup
KR101556228B1 (ko) 분광기를 이용한 플라스틱의 재질별 선별 분류장치
Chen et al. Sensor-based sorting
Cesetti et al. Waste processing: new near infrared technologies for material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EP1449630B1 (en) Coated resin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TWI767196B (zh) 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處理方法
Tong Technical amenability study of laboratory-scale sensor-based ore sorting on a Mississippi Valley type lead-zinc ore
Manouchehri Sorting: possibilitis, limitations and future
CN107234074A (zh) 一种分时led双红外在线物料分选装置及分选方法
KR20150029042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선별 방법
Bonifazi et al. Quality control by HyperSpectral Imaging (HSI) in solid waste recycling: logics, algorithms and procedures
Rue Cullet supply issues and Technologies
Sormunen et al. Report on the state-of-the-art and novel solutions in sorting of post-consumer plastic packaging waste
KR101919748B1 (ko) 품위판정유닛이 구비된 색채선별장치
CN115999943A (zh) 一种非金属矿石分选设备
KR101657493B1 (ko)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