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79B1 -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79B1
KR101397479B1 KR1020120034951A KR20120034951A KR101397479B1 KR 101397479 B1 KR101397479 B1 KR 101397479B1 KR 1020120034951 A KR1020120034951 A KR 1020120034951A KR 20120034951 A KR20120034951 A KR 20120034951A KR 101397479 B1 KR101397479 B1 KR 10139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carbon filter
fil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516A (ko
Inventor
김정용
Original Assignee
김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용 filed Critical 김정용
Priority to KR102012003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7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활성 탄소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되어 물을 필터링하는 카본 필터, 카본 필터의 일단을 막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아래 커버,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흡입될 때는 구멍을 막고, 공기가 카본 필터로 주입될 때는 구멍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커버막, 카본 필터의 타단을 막는 윗커버, 윗커버와 결합되고,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 흡입부, 및 물 흡입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물 저장 용기로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흡입력이 약한 사람들도 공기 유입구에 연결된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물 저장 용기에 주입함으로써, 손쉽게 물을 필터링하여 음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Apparatus of filtering water with a pump}
본 발명은 물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본 필터의 일단에 위치한 아래커버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커버막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멍으로 통해 물이 통과하지 않고, 공기만 통과하도록 하여, 필터의 내부와 외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의 물을 필터링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크게 자연수와 정수된 물로 구분한다. 자연수에는 눈 녹은 물, 빗물, 경수(우물물 등), 연수(저수지, 호수, 강물), 및 광천수 등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물을 말하며, 정수된 물은 인간이 특정작용을 통하여 식수로 이용가능 하도록 변형시킨 물을 말한다.
상기 정수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정수기라 부르고, 정수 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또는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식수는 정수기나 생수를 통해 직접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정수기나 생수기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야외 이동을 하거나 여행 중에는 일회용 페트병에 든 생수를 구입하거나 간편하게 물병에 식수를 담아 다닐 수도 있다.
하지만 정수된 물을 미리 챙겨가는 경우 그 무게가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양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환경오염의 심화로 자연에 흐르는 물이나 고인 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어느 곳에서나 물을 간단하게 여과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휴대용 물병에 필터를 조합하여 물을 정수할 경우, 물 흡입시 필터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필터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달라 지속적으로 필터링된 물을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이와 어른의 경우 동일한 필터를 사용하여도 흡입력의 차이에 따라 필터링되는 물의 양이 달라지므로, 아이의 경우 미세한 입자를 포함하는 필터를 사용하기에 무리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본 필터의 일단에 위치한 아래커버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커버막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멍을 통해 물이 통과하지 않고, 공기만 통과하도록 하고, 필터의 내부와 외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의 물을 필터링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흡입력에 상관없이 일정한 양의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활성 탄소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되어 물을 필터링하는 카본 필터; 상기 카본 필터의 일단을 막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아래 커버;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흡입될 때는 상기 구멍을 막고, 공기가 상기 카본 필터로 주입될 때는 상기 구멍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커버막; 상기 카본 필터의 타단을 막는 윗커버; 상기 윗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 흡입부; 및 상기 물 흡입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물 저장 용기로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물 흡입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때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밀착하는 공기막;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유입로; 및 상기 유입로의 말단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입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공으로부터 나온 공기는 상기 물 흡입부와 상기 물 저장 용기를 결합시키는 나사산 사이로 흘러 상기 물 저장 용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저장용기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기막은 상기 공기막과 상기 공기 유입구를 결합시키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돌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막은 상기 커버막과 상기 아래 커버를 결합시키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돌기 결합부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필터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필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본 필터의 일단에 위치한 아래커버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커버막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멍으로 통해 물이 통과하지 않고, 공기만 통과하도록 하여, 필터의 내부와 외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의 물을 필터링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맛을 개선하기 위한 카본 필터와 정수기에 사용되는 멤브레인 필터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물을 정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력이 약한 사람들도 공기 유입구에 연결된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물 저장 용기에 주입함으로써, 손쉽게 물을 필터링하여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막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가 물 흡입부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가 물 흡입부(610) 및 물 저장 용기(710)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흡입부(610)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포함하는 물병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는 활성 탄소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되어 물을 필터링하는 카본 필터; 상기 카본 필터의 일단을 막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아래 커버;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흡입될 때는 상기 구멍을 막고, 공기가 상기 카본 필터로 주입될 때는 상기 구멍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커버막; 상기 카본 필터의 타단을 막는 윗커버; 상기 윗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 흡입부; 및 상기 물 흡입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물 저장 용기로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는 카본 필터(110), 멤브레인 필터(120), 아래 커버(130), 커버막(140), 및 윗커버(150)로 구성된다.
카본 필터(110)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비어있는 원통 형상이다. 원통 내부에 멤브레인 필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카본 필터(110)는 여러 종류의 화학 오염물질 제거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살충제, 제초제, 산업폐기물과 같은 유기 화학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라돈, 염소, 악취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양질의 카본 필터를 사용할 경우 유기화학물질, 라돈, 염소를 비롯하여 불쾌한 맛을 80 - 99%까지 제거할 수 있다.
카본 필터(110)의 탄소를 활성 탄소라 하는데, 이런 종류의 탄소는 수백만 개의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도록 특수 열처리된 석탄으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수백만 개의 구멍을 통과하는 동안 물속에 존재하던 오염물질은 걸러지게 된다. 카본 필터(110)의 품질은 카본 필터(110)에 들어가는 탄소를 생산하는 기술은 미세한 기공을 얼마나 만들어낼 수 있는가의 차이다. 즉 활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보다 많은 불순물을 보다 쉽게 걸러낼 수 있으며, 물이 일정한 통로로만 흘러가는 터널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멤브레인 필터(120)는 카본 필터(110)를 통과한 물을 2차 필터링하는 필터로서, 카본 필터(110)의 내측 수용부(1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멤브레인 필터(120)를 카본 필터(110)의 내측 수용부(111)에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돌출부(121)가 윗커버(150)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151)와 결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120)의 일예로서, UF(Ultra Filtration)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 필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UF 중공사막 필터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기공성 필터로서, 막 표면에 분포하는 무수히 많은 미세기공을 통해 물만을 통과시켜 물속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중공사는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는 실처럼 생긴 필터사가 여러 개 모여있는 구조이며, 중공사 하나에는 미세한 기공이 1,000억개나 존재하므로, 가정용 정수기뿐만 아니라 산업용 오폐수처리, 초순수제조공정 및 의료용 인공신장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목적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필터이다.
최근에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미립자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막 표면의 기공의 크기가 0.001~0.01마이크론(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만분의 1) 정도이기 때문에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미립자 등 불순물은 제거하지만 미네랄 같이 유익한 물질은 거르지 않고 정수 중에 포함되는 선택적인 여과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멤브레인 필터(120)의 종류는 막이 분리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RO(Reverse Osmosis)는 0.0001 미크론 이상 입자를 제거한다. 0.0001 미크론의 기공크기를 가지며 부유물질, 미생물, 일반 유기 화합 물질 및 중금속의 제거는 물론 이온성 물질에 대한 높은 제거율을 나타낸다.
NF(Nano Filtration)는 0.001 미크론 이상 입자를 제거한다. 초순수여과 또는 나노여과라고도 하며 멤브레인 소프트닝(Membrane Softening)이라고 한다. 나노 여과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같은 2가 이온에 대한 높은 제거율을 나타낸다.
UF(Ultra Filtration)는 0.0015 - 0.1 미크론 이상 입자를 제거한다. 초정밀여과 또는 한외여과라고도 하며 기공의 크기가 0.1 미크론이하로 작아지면 일정한 정수량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압도 동시에 증가한다. 초정밀 한외여과의 경우 기공의 크기가 0.0015 ~ 0.1미크론으로 상당히 작기 때문에 요구되는 수압은 1.4kg/cm 정도이다.
MF (Micro Filtration)는 0.1 - 1.0 미크론 이상 입자를 제거한다. 정밀여과라고도 하며 0.1 ~ 20 미크론의 부유물질 또는 미생물을 제거하며, 막분리공정 중에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멤브레인 기공이 뚫린 막으로 작용한다.
멤브레인 필터(120)를 통과한 물은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물이다.
아래 커버(130)는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의 일단을 막는다. 아래 커버(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구멍을 통해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를 통과하지 않은 물이 지나갈 수 있으므로, 커버막(140)을 아래 커버(130)의 일면에 설치한다. 이때, 커버막(140)은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가 결합되는 아래 커버(130)의 면의 반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커버(130)에 구멍을 형성한 이유는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음용하는 경우 필터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어, 지속적으로 물을 흡입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구멍을 통해 압력의 균형을 맞추도록 하되, 물이 필터링되지 않고, 지나가지 못하도록 커버막(140)을 형성한다.
커버막(14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아래 커버(130)에 형성된 구멍으로 물이 지나가지 못하도록 설치된다. 물을 음용할 때는 커버막(140)이 아래 커버(130)에 밀착되어, 물이 아래 커버(13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공기를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로 불어넣는 경우에는 아래 커버(13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커버막(140)과 아래 커버(130)를 결합시키는 커버막(140) 가운데에 위치한 돌기결합부(141)는 내부가 비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결합부(141) 내부가 비어 있는 경우, 돌기결합부(141)를 응축함으로써, 커버막(140)을 아래 커버(130)에 끼울 때, 아래 커버(130)와 커버막(140)을 결합시키기 편리하다.
커버막(140)의 돌기결합부(141)가 아래 커버(130)의 구멍으로 삽입됨으로써, 커버막(140)과 아래 커버(130)가 결합하게 된다.
윗커버(150)는 카본 필터(110) 또는 멤브레인 필터(120)의 타단을 막고, 멤브레인 필터(120)와 카본 필터의 결합을 강화한다. 윗커버(150)에는 멤브레인 필터(1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요홈부(151)가 구비되어 있다.
멤브레인 필터(120)의 돌출부(121)를 윗커버(150)의 요홈부(151)에 끼운 후, 멤브레인 필터(120)를 회전시키면, 멤브레인 필터(120)가 카본 필터(110)의 내측 수용부(111)에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막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막(142) 가운데에 수직으로 형성된 돌기결합부(141)가 도시되어 있다.
돌기결합부(14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아래 커버(130)에 있는 구멍에 삽입할 때, 돌기결합부(141)에 압력을 가하면 변형되므로, 삽입을 쉽게 하도록 한다.
차단막(142)은 아래 커버(1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물을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만을 통과시킨다. 물을 빨아들일 때는 차단막(142)이 아래 커버(130)에 밀착하게 되어, 필터 외부의 물이 내부로 들어오지 않고, 숨을 내쉴 때는 공기가 아래 커버(130)의 구멍을 통해 필터 외부로 배출되므로, 필터 내외부의 압력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또한, 차단막(142)은 도 3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도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윗커버(150)와 멤브레인 필터(1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아래 커버(13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커버막(140)의 돌기결합부(141)가 결속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멤브레인 필터(120)가 카본 필터(110)의 내측 수용부(111)에 일부 공간을 차지한 경우의 예이고, 도 5(b)는 멤브레인 필터(120)가 카본 필터(110)의 내측 수용부(111)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한 경우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가 물 흡입부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물 흡입부(6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와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필터링 장치가 물 흡입부(610) 및 물 저장 용기(710)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물 저장 용기(710)에 저장된 물은 정수 필터 장치의 측면을 통해 흡수되어 필터링됨을 도시하고 있다. 물 저장 용기(71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흡입부(610)의 상세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 흡입부(610)는 공기 유입구(800), 공기막(810), 유입로(820), 및 공기 유입공(830)을 포함한다.
공기 유입구(800)는 공기가 물 저장 용기(710)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다. 공기 유입구(800)를 통해 물 저장 용기(71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막(810)은 도 3에 도시된 커버막(140)과 기능과 모양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공기 유입구(80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막(810)은 공기 유입구(800)로부터 떨어지고, 공기막(810)이 공기 유입구(800)에 밀착될 때는 내부의 공기 또는 액체가 공기 유입구(8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공기막(810)이 공기 유입구(800)를 막고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구(800)를 통해 유입될 때 공기막(810)이 공기 유입구(800)로부터 떨어져 공기가 유입로(820)로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입로(820)는 공기막(810)이 공기 유입구(800)로부터 이탈할 때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통로이다.
공기 유입공(830)은 유입로(820)의 말단에 형성된 공기 구멍이다.
공기 유입공(830)으로부터 나온 공기가 물 흡입부(610)와 물 저장 용기(710)를 결합시키는 나사산 사이로 흘러 물 저장 용기(71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포함하는 물병의 구성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펌프(910)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유입구(800)를 통해 유입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물 저장 용기(710)로 공기가 유입된다.
사람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를 통해 정수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도 9에 도시된 펌프(91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910)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물 저장 용기(710)로 유입되어 물 저장 용기(71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균형을 유지한다. 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가 고밀도화가 될수록 물 저장 용기(7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져야 물이 필터링되는데, 펌프(910)를 이용하여 공기를 물 저장 용기(710)로 주입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펌프(910)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동물 모양 등으로 펌프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펌프(910)의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펌프(910)는 핸드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910)를 사용하게 되면, 사람의 흡입력을 이용할 때보다 고압으로 정수되는 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를 이용할 수 있다. 고압으로 정수되는 카본 필터(110)는 고밀도의 탄소로 구성되는 필터로서 정수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활성 탄소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되어 물을 필터링하는 카본 필터;
    상기 카본 필터의 일단을 막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아래 커버;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흡입될 때는 상기 구멍을 막고, 공기가 상기 카본 필터로 주입될 때는 상기 구멍을 통해 공기가 상기 카본 필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커버막;
    상기 카본 필터의 타단을 막는 윗커버;
    상기 윗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 흡입부; 및
    상기 물 흡입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물 저장 용기로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하되,
    상기 카본 필터는 물 저장 용기 내에 밀폐되어 상기 아래 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카본 필터 내부의 제1 압력과 상기 카본 필터 외부와 상기 물 저장 용기 사이의 제2 압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필터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입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때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밀착하는 공기막;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유입로; 및
    상기 유입로의 말단에 형성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유입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공으로부터 나온 공기는 상기 물 흡입부와 상기 물 저장 용기를 결합시키는 나사산 사이로 흘러 상기 물 저장 용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용기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막은 상기 공기막과 상기 공기 유입구를 결합시키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돌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필터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필터를 더 포함하는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막은 상기 커버막과 상기 아래 커버를 결합시키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돌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물 필터링 장치.
  7. 활성 탄소로 이루어지고, 기공이 형성되어 물을 필터링하는 카본 필터;
    상기 카본 필터의 일단을 막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아래 커버;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흡입될 때는 상기 구멍을 막고, 공기가 상기 카본 필터로 주입될 때는 상기 구멍을 통해 공기가 상기 카본 필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커버막;
    상기 카본 필터의 타단을 막는 윗커버;
    상기 윗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카본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 흡입부;
    상기 윗커버 또는 상기 물 흡입부와 결합되는 물 저장용기; 및
    상기 물 흡입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물 저장 용기로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카본 필터는 물 저장 용기 내에 밀폐되어 상기 아래 커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카본 필터 내부의 제1 압력과 상기 카본 필터 외부와 상기 물 저장 용기 사이의 제2 압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
KR1020120034951A 2012-04-04 2012-04-04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KR10139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951A KR101397479B1 (ko) 2012-04-04 2012-04-04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951A KR101397479B1 (ko) 2012-04-04 2012-04-04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16A KR20130112516A (ko) 2013-10-14
KR101397479B1 true KR101397479B1 (ko) 2014-05-20

Family

ID=4963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951A KR101397479B1 (ko) 2012-04-04 2012-04-04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89B1 (ko) * 2017-01-19 2018-07-19 (주)아이비티 휴대용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889A (ko) * 1986-05-15 1987-12-18 강열귀 휴대용 정수기
US4940542A (en) * 1988-04-21 1990-07-10 Tomei Sangyo Kabushiki Kaisha Liquid purifying device
JP2001520572A (ja) * 1997-04-16 2001-10-30 リカバリー・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重力供給水処理装置用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KR100847208B1 (ko) * 2007-02-22 2008-07-17 장 제임스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889A (ko) * 1986-05-15 1987-12-18 강열귀 휴대용 정수기
US4940542A (en) * 1988-04-21 1990-07-10 Tomei Sangyo Kabushiki Kaisha Liquid purifying device
JP2001520572A (ja) * 1997-04-16 2001-10-30 リカバリー・エンジニアリ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重力供給水処理装置用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KR100847208B1 (ko) * 2007-02-22 2008-07-17 장 제임스 휴대용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16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338B2 (en) Universal water purifier unit assembly device
US7604737B2 (en) Water filter device for use with individual containers
US7585409B2 (en)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device
US110979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water
US6919025B2 (en) Portable drinking device
US20090039037A1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0876347B1 (ko) 막 모듈 및 수처리 시스템
JP2010504197A (ja) 浄水装置
KR101330154B1 (ko) 물 필터링 장치
KR102010981B1 (ko) 수처리장치
KR101397479B1 (ko) 펌프를 구비한 물 필터링 장치
KR102512015B1 (ko) 자외선 및 오존 미세기포를 이용한 기포부상식 수처리시스템
KR20070102531A (ko)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폐수 스트림의 처리 방법
US20180022620A1 (en) Water Filtration Device
TW201731775A (zh) 高硬度排水之處理方法
KR20170047090A (ko) 고분자 유도물질을 사용한 에너지 저감형 정삼투막-여과막 결합 수처리와 해수담수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12268B1 (ko) 생물학적 활성탄 흡착 여과 장치 및 그 세정 방법
CN102701328A (zh) 一种净水器
KR100473532B1 (ko) 중공사막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 방법 및 그 운전방법
KR20110058328A (ko) 맞춤형 복합 필터 부재, 복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KR200373502Y1 (ko) 소형 정수 필터
KR100699039B1 (ko) 반영구적 정수장치
KR20050032168A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활성탄소섬유 여과장치를 구비한간이정수처리장치 및 정수처리공정
WO20160181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